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의 학교 적응에 대한 변별력
송현주 한국심리치료학회 2014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송현주, 2014)가 학교적응수준을 변별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74명(남41, 여33), 중학생 103명(남53, 여50), 고등 학생 85명(남33, 여52)이었으며 학교적응척도와 학교성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적응 상위 20%집단과 하위 20%집단을 구분하였으며 학교 성적은 스스로 자신의 성적을 5단계로 구분하여 보고하도록 하였다. 판별분석을 통하여 계획 및 조직화 곤란, 행동통제 곤란, 정서통제 곤란과 부주의 요인들의 학교적응과 학교성적수준에 대한 판별력을 분석하고, ROC 분석을 통해 학교적응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절단점 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판별분석에서 학교적응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아동청소년 집행기능 곤란질 문지를 통해 88.2% 정확하게 변별해 낼 수 있었으며 성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은 72.5% 정확하게 변별 해 내었다. ROC(Receiving Operating Characteristic)분석에서도 아동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는 AUC(Area Under the Curve) 범위가 학교적응의 경우 .7-.9 범위에 걸쳐있어 양호한 수준으로 학교적응 집단을 변별해 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에 대해서는 .6-.8 범위를 나타내 학교적응보다는 낮은 수준 의 변별력을 보였다. 민감도와 특이도 값을 근거로 학교적응에 대한 집행기능 곤란 하위 요인들의 절단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가 아동 청소년 의 학교적응을 변별해 내는데 유용한 도구라는 점이 검증되었다.
송현주 언어과학회 2024 언어과학연구 Vol.- No.108
. This study explores medical professionals' attitudes towards using metaphors in medical discourse. Firstly, the benefits of using metaphors in medical communication include improving patient understanding, reducing inquiries, increasing treatment consent rates, and simplifying explanations of complex topics. Additionally, metaphors can enhance doctor-patient rapport, making physicians seem more approachable. However, they can also distort factual information, induce misconceptions, complicate explanations of adverse outcomes, and alienate patients if not used contextually. Lastly, the study highlights effective metaphor usage in medical communication, stressing alignment with patients' knowledge and age, fostering empathetic connections, using familiar and simple metaphors, and evaluating their suitability based on disease severity and stage.This study explores medical professionals' attitudes towards using metaphors in medical discourse. Firstly, the benefits of using metaphors in medical communication include improving patient understanding, reducing inquiries, increasing treatment consent rates, and simplifying explanations of complex topics. Additionally, metaphors can enhance doctor-patient rapport, making physicians seem more approachable. However, they can also distort factual information, induce misconceptions, complicate explanations of adverse outcomes, and alienate patients if not used contextually. Lastly, the study highlights effective metaphor usage in medical communication, stressing alignment with patients' knowledge and age, fostering empathetic connections, using familiar and simple metaphors, and evaluating their suitability based on disease severity and stage.
송현주,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4
디지털 건축은 근대 건축 설계의 2차원 체계에서 차원이 확장된 3차원 설계 도구로 공간에 대한 새로운 모델링 기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2차원 중심의 사고에서 3차원으로의 축의 확장은 현대 건축 모델링 체계를 비정형성을 가지는 형태로 더욱 발전시키고 있고, 그 결과 비정형 건축물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지털 건축의 기술이 근대의 전통적인 시각화 프로세스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시각화 프로세스의 새로운 확장 모델에 대한 단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공간디자인 시 모델링의 물리적인 모형(模型, mockup)은 물론 시각화 끝단에서는 상호작용하는 양방향성을 가진 모델의 생성을 제시함으로써 3차원 공간 모델링 도구가 물질적 공간의 비물질적인 공간으로의 새로운 진화의 도구임을 제시하며, 축의 확장이 시각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줌으로써 확장 프로세스 이용자들에게 좀 더 효율성 있는 시각화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율성이 현대 건축 설계에 있어 3차원 도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안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Digital architecture is developing new modeling techniques with 3D modeling tools for the space which was dealt in the two-dimensional system of modern architectural design. This dimensional expansion allows architectural modeling system to have atypicality. As a result atypical buildings are growing in number.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visualization process have changed with the techniques of digital architecture and to provide the clue to new expanded model of visualization process. 3D modeling tools which can create the realistic and interactionable model is considered as innovation because it puts the object in physical space in non-physical space. The effects of dimensional expansion on visualization will provide the users of expanded process with more effective visualized models and this effectiveness will provide one of the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 of established architectura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