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하이브리드화 분석

        김성수,송보미,박용태 대한산업공학회 2012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확장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사용목적에 따라 20여개의 카테고리로 나뉜다. 그러나 최근 복수의 사용 목적이 융합되어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복합적인 컨셉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컨셉의 다양화 및 복합화는 서비스 산업 전체에서 전반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모바일 시장의 확대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도 서비스 혁신의 새로운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복합적인 컨셉을 가지고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의 개념을 정의하고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브리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정의하고 시간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하이브리드화 진행 과정과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 두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첫째, 하이브리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둘째, 코워드 분석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하고 시간에 따른 하이브리드화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향후,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본체계와 과정의 실질적 적용을 시도할 것이다.

      • KCI등재

        복잡도가 높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위한 아키텍처 패턴과 적용지침

        장정란,라현정,김수동,Jang, Jeong-Ran,La, Hyun-Jung,Kim, Soo-D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9 No.1

        안드로이드 OS, iOS 등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 운영체제를 통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운영하는 모바일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개인용 컴퓨팅 용도뿐 아니라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원의 제한성,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지원 능력 등 이전의 피처폰이나 개인용 컴퓨터에는 없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시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진 속성을 반영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반영하는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설계 방법이다. 아키텍처 설계를 하기 위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으로부터 아키텍처 비기능적 요구사항인 아키텍처 드라이버를 추출한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여러 패턴 제공하고 있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특징을 반영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아키텍처 패턴을 정의하고, 각 패턴을 설계하는 지침을 제안한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정의하고, 이 특징으로부터 아키텍처 드라이버를 추출한다. 그리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패턴을 정적 뷰와 동적 뷰 관점으로 설명하고, 각 아키텍처 패턴을 적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설계하기 위한 적용 지침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시된 아키텍처 패턴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아키텍처 패턴을 아키텍처 드라이버 별로 평가하고 또한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아키텍처 패턴을 평가한다. Mobile devices with Android OS and iOS have been emerged as mobile computing devices where various software applications are deployed. Furthermore, they are anticipated to be used not only for traditional personal computing but also for enterprise computing. However, such mobile devices have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such as limited resources and flexible network capabilities, which are not revealed in traditional computers. Hence, there is high demand for methods to develop mobile applications with reflecting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Since those characteristics belong to non-functional requirements, they should be reflected in architecture design while designing mobile applications. To desig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drivers that are architecture non-functional requirements are decided from mobil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Conventional architecture design methods do not consider those characteristics so that the methods cannot be straightforwardly applied to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aper, to efficiently develop mobile applications reflecting those characteristics, we propose a set of architecture patterns and define a guideline to apply those patterns. First,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lications distinguished and derive architectural drivers from them. Then, we propose architecture patterns in terms of static and dynamic views and define an architectural guideline to apply the patterns to designing architecture for mobile application. And, we perform case studi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proposed patterns. Finally, we assess the proposed architecture patterns by proving how the patterns can fulfill identified architecture drivers and by comparing our approach with previous works.

      • KCI등재

        모바일 사용 혜택과 비용이 모바일 기기와의 자아연결에 미치는 영향: 패션 어플리케이션 사용/비사용자 간 비교 고찰

        윤남희 ( Nam Hee Yoon ),추호정 ( Ho Jung Choo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 중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소비자와 모바일 기기와의 관계 형성 및 그 설명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혜택을 구분하고, 각 혜택은 효용적 차원과 쾌락적 차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와 소비자의 자아연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모바일 사용상 지각된 인지적 비용 역시 사용 혜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앱스토어를 통해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한 경험이 있는 20-30대 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 478부의 응답치를 분석하였다. 특히 패션제품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스마트폰과 어플리케이션의 잠재력을 예측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패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와 비사용자로 표본을 나누어 두 집단 간 모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기기와 소비자의 자아연결의 관계형성에는 모바일 기기 및 어플리케이션의 쾌락적 혜택이 효용적 혜택보다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 사용의 인지적 비용이 큰 경우, 모바일 기기의 사회적 매력성이 모바일 기기와 소비자의 자아연결에 미치는 영향력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패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와 비사용자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패션 혁신성이 높은 패션어플리케이션 사용자는 정보충족성과 사회적 연결성만 자아연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편향적인 모바일 기기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패션 어플리케이션 비사용자는 모바일에서 더욱 강조되는 혜택인 개인화와 유희성이 자아연결에 주요한 영향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인지적 비용이 증가할수록 정보충족성과 유희성 혜택이 자아연결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다양한 향후 모바일 기기의 등장과 함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하고자 할 때, 일차적으로 소비자와 기기의 인지적 자아연결을 위한 관계형성에 있어 중요한 혜택 요인을 제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consumer develops a personalized relationship with a product which is in the possession of him/herself through the use experience. This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 impacts, depending on its nature and strength, on the owner`s self-recognition and awareness. For smart phones, which are creating a huge buzz on the market, users are encouraged to search for and buy mobile applications they want, and download them to their devices. After this, the initial version of the phone becomes a different, customized product. Through continuous purchases and uses of applications, this personalization process further develops, which, in turn, has influence on the smart phone-user relationships. That is, it is believed that smart phones are fully functional when applications are utilized. This study selected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major bracket of smart phone users, to examine how multiple benefits provided by smart phones and applications, and subsequent cognitive costs impa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 and the phone. Particularly, give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benefits and costs, this paper focused on how a smart phone influences on a user`s self-connection in terms of its reciprocal relationship,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people who use fashion-related applications and those who do no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487 male and female respondents who have owned smart phones and downloaded applications. Before the further analysi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multi-item constructs were tes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bile device benefits was found to be composed of two benefit types, which were utilitarian benefits (technological advantage and safety) and hedonic benefits (aesthetics and social attractiveness). In the same vein, Application benefits also composed of two benefit types of utilitarian (information fulfillment and personalization and hedonic benefits (playfulness and social connectivity). These utilitarian and hedonic benefits from both device and applications had effects on the users` perception of self-connection with their smartphones. It was found that in forming this connectivity, hedonic benefits offered by their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were more important than utilitarian counterparts.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users of fashion-related applications and non-users when it came to how the benefits and cognitive costs influence on self-connection to the mobile devices. A group of non-users showed a lower level of fashion innovativeness than that of fashion application users. In this non-user group, the effect of playfulness benefit of applications on the self-connection became stronger when cognitive costs were highly perceived. In order to promote users to select fashion applications,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them to use their efforts to obtain knowledge and services so that they can learn ifs flow, besides the fun and excitement that the application can give to such users. However, for the fashion application using group that showed a high level of fashion innovation, it was shown that information fulfillment and social connectivity were the two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creating relationships with mobile devices. This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mobile devices is important not because of the mobile device itself, but because of the information power and social communication features offered by the device. This study is useful in that it further explained an innovative product`s uses by analyzing it and its services and, more importantly, users` experiences with them. Also by comparing fashion application users and non-us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devices, this paper provided insight on how these advanced mobile phones and their services are used among fashion people, the major marketing target for the fashion industry. Based on the work of this study, relations between the users and various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can be further investigated to make suggestions for continued uses of mobile services.

      • KCI등재

        모바일 패션도구로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실태

        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패션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현황을 조사하고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활용을 고려하고 있거나 새로운 디자인 및 마케팅 도구를 필요로 하는 패션산업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이폰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와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ket)에서 한글 ‘패션’과 영어 ‘fashion'으로 검색을 통해 선정된 408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분석하여 유형화한 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패션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매거진을 포함한 패션정보, 게임, 모바일 쇼핑, 브랜드 홈페이지, 소셜네트워크, 개인 패션관리, 기타 순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특징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목적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목적과 기능이 융합된 형태가 많았으며,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에 독립된 매체 보다는 웹과 병행하여 도입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모바일이라는 이동성과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QR코드나 LBS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언하였으며 종적연구, 컨텐츠 개발, 사용자 디자인, 모바일마케팅에 대한 전략개발에 관한 소비자조사 등 다양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TV홈쇼핑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석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수용자들의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는 향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경제적 차원과 이론적 차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 첫째,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수용자가 지각하는 편리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수용자가 인식하는 정보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과 관련한 오락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수용자가 지각하는 경제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의 검증 과정을 통하여 TV홈쇼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영향과 관련한 이론적 배경과 수용자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학문적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또한 TV홈쇼핑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모바일 전략 수립 시 세부적인 영향과 인과 관계를 통한 실무적 대응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TV홈쇼핑 업체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이를 통한 쇼핑의 편리성과 효율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상황 인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미들웨어 아키텍처

        김희열,전태웅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2007 소프트웨어공학회지 Vol.20 No.4

        상황 인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Context Aware Mobile Application)이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황 정보를 사용하는 모바일 프로그램이다. 상황 인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상황 인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구현하면서 겪게 될 응용 문제의 분석과 설계 결정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해당 문제 영역의 요구 사항과 설계 제약 사항을 잘 반영한 아키텍처에 기반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고 그러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각각 특정 문제에 맞춰진 개별적인 아키텍처이므로 상황 인지 응용 영역에 속한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일반적인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상황 인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컴포넌트와 상황 인지의 기본적인 기능을 미들웨어(middleware)에서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과 개발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상황 인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미들웨어의 요구사항 및 이를 반영한 미들웨어 아키텍처 모델을 설명한다.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모바일 외식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기수,조성호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3

        This study was to validate how the innovativeness and the information dependency for mobile food service applications influence on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such as review reliability, relationship for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usefulness for mobile food service application, and sustainabl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 Look a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o external variables, first, the information dep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ew reliability, whereas the innovativeness did no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at. Secondly, the innovativeness and the information dependency did no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Third, the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view reliability. Fourth, the review reliability and the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fulness. Fifth, the usefulness and the review reli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stainable u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first, the dependency about the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and the review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view reliability, whereas the innovativeness about the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showed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ew reliability. Finally, the dependency about the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sufficiency to provide information, whereas the innovativeness about the usefulness did no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at. 본 연구는 모바일 외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혁신성과 의존성이 외식 어플리케이션 리뷰신뢰, 정보제공 충분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그리고 외식 어플리케이션 유용성과 종속변수인 지속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외부변수의 모바일 외식 앱의 혁신성과 의존성이 리뷰신뢰와 제공 충분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첫째, 외식 어플리케이션 의존성은 외식 어플리케이션 리뷰신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식 어플리케이션 혁신성은 외식 어플리케이션 리뷰신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 어플리케이션 혁신성, 외식 어플리케이션 의존성은 외식 어플리케이션 제공 충분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 어플리케이션 정보제공 충분성은 리뷰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 어플리케이션 리뷰신뢰, 외식 어플리케이션 정보제공 충분성은 외식 어플리케이션 유용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용성과 리뷰신뢰는 모바일 지속이용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외식 어플리케이션 정보제공 충분성, 외식 어플리케이션 리뷰신뢰, 외식 어플리케이션 유용성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첫째, 외식 어플리케이션 의존성이 리뷰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보제공 충분성, 리뷰신뢰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성이 리뷰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보제공 충분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 어플리케이션 의존성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보제고 충분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나, 혁신성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보제공 충분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비교 연구 - 카카오톡과 위챗의 인터페이스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시양멍린,김혜경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6

        사람과 정보, 기계의 상호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요구사항도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성공적인 디자인은 반드시 사람의 감성적 니즈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기본적인 심미성과 개인별 가치관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생리, 심리, 환경과 같이 사람에게 영향을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인간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어플리케이션의 중요한성공 요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와 항공 서비스 등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한국과 중국에서 가장 사용자가 많은 두 종류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요소의 차이를 분석한것이다. 이를 위해 그 대상을 한국의 카카오톡과 중국의 위챗으로 선정하여 인터페이스 구성 기본 요소인 정보 디자인, 시각 디자인,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를 비교하였다. 두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기본적인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색상과 메뉴의 구조적인 면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인터랙션디자인 요소에 있어서도 두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는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레이아웃, 도표, 색상, 타이포그래피로 대표되는 네 개 시각요소에대한 느낌과 사용의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전망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요소에 있어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사용행태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한국과 중국에 진출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in our modern society, we are in a knowledge economics age. Therefore, people have begun to pursue personal development and to undertake activities which appeal to emotions after their physical demands are met. Accordingly, people's emotional demands must be considered in designs. Human emotions are not only linked to the form of aesthetics and a sense of value but are also embodied through deep investigations of the effects of physiology, psychology and environments to in fact realize human-centered principles. The humanized design of the interface for cell phone applications has not only been limited to changes of themes but now takes into consideration man-machine interactions. These humanized interfac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 key means of measuring a competitive advantage. This article discusses the UI of two mobile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one that is most popular and the other most utilized in China and Korea, in an effor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pplication software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interface, we compare the information design elements, visual design elements and interaction design elements and conduct a dee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youts, icons, colors and words a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At the same time, we endeavo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regarding the UI design, special functions and the habits of typical users through illustrations, comparisons, document research and a questionnaire. Finally, we help an application software development corporation to find new breakthrough points and design directions so as to design interfaces that correspond to Korean and Chinese users.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지각특성과 경험이 지속이용에 미치는 영향

        이국용(Lee, Kook-Yong)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모바일 생태계를 바꾸어놓은 스마트폰 사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 이용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특성으로 즐거움, 본 연구는 모바일기기(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모바일기기 어플리케이션 지각특성을 유희성, 대중성, 유용성 그리고 이용편리성 그리고 이전의 이용경험이 사용자 만족과 습관을 경유하여 지속이용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모바일기기(스마트폰과 스마트 패드)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각특성중 유희성, 대중성, 유용성 그리고 이용 편리성 그리고 이전의 경험이 만족과 습관을 경유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판매하는 기업에게 여러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사용자 행위 로그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기법

        김영욱(Youngwook Kim),변정원(Jungwon Byun),최순황(Soonhwang Choi),박수용(Sooyong Park),박수진(Sooji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2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실행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상 다른 도메인의 어플리케이션 보다 소프트웨어의 품질 속성 중에서 사용성의 우선순위가 높다. 현재까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과 스토리보드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대해 설문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성을 측정하여 문제점을 식별하고 개선시켜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관련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식별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매번 설문을 진행해야하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개선시켜 나가기 위해 사용자 행위 로그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기법의 실효성 검증을 위해 안드로이드폰에 탑재되어 제공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본 기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When it comes to providing efficient service to the client's needs, a user-friendly interface is a key element. Especia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mobile applications that enables them to be in service anywhere at any time, the convenience factor is high on the list of priorities. Until now, the method of survey using the prototypes and storyboards has commonly been practiced to test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however, the methodology bears the inconvenience that series of surveys after surveys have to be done in order to identify and keep up with the needs. Therefore, in this research, an usability analysis method of mobile application using user behavior logs is suggested for continual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after the initial distribution of the applic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was tested by applying it to the mobile applications for Android phones and analyzing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