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경찰학 연구에서의 메타분석의 적용과 연구방향

        장재성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2

        Meta-analysis is an analysis of analysis, and we use this method for reviewing numerous previous studies or reanalyzing the results of early studies to discover new knowledge. Recently, meta analysis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but it attempts very rarely in Police Science study in the Korea. In this study, for address these problems, a meta-analysis method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s(r) that is mainly used in Social Science research is introduced. In addition, prior meta-analysis studies in Police Science were reviewed and it is explained whether applying meta-analysis method in the field of Police Science is appropriate through some prior research cases. And based on review of prior meta-analysis studies conducted in other country or other research area, some additional meta-analytic research topics are proposed. The topics suggested in this study includ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olice’, ‘Job Stress of Police Officers’ and ‘Fear of Crime’. 메타분석은 분석에 대한 분석으로서 기존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재검정하여 종합적 결과를 도출하거나 새로운 사실을 발견해내는 연구방법론이다. 최근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메타분석이 활용되고 있지만, 국내 경찰학 영역에서는 메타분석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분석의 기본원리와 절차 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사회과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상관계수(r)를 활용한 메타분석의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어 국내 경찰학 분야의 메타분석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경찰학 영역에서 메타분석 연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실성이 있는지 연구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국외 경찰학 분야 및 국내 다른 학문 영역에서 수행된 메타분석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추가적으로 국내 경찰학 영역에서 메타분석이 가능한 주제들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경찰 조직효과성’,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범죄두려움’등이 메타분석이 가능한 주제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단순히 메타분석 방법론을 이론적으로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례를 통해 메타분석 연구방법의 장점을 제안하고, 실제 경찰학 영역에서 메타분석 연구가 가능한 주제들을 발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BHHR 메타분석과 Hunter-Schmidt 메타분석 간의 비교 분석

        오순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ness of two different meta-analysis, and then with two kinds of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re are several distinguishing differences in two methodologies ; Hunter-Schmidt Meta-Analysis(H-S meta-analysis) & the meta-analysis of Borenstein et al.(BHHR meta-analysis). First of all, the distinction between confidence intervals and credibility intervals is very important. While BHHR meta-analysis use the confidence intervals referring to estimates of a single value-the value of , H-S meta-analysis use the credibility intervals referring to the distribution of parameter values. Second distinction is whether or not to handle the correction of study imperfections. Unlike BHHR meta-analysis, H-S meta-analysis strives to make corrections for attenuation due to measurement error, and other artifacts. Finally, other differences are technical in nature. These include the way between-studies variance is estimated, the us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rather than Fisher's Z-transformed values, etc. The effects of these choices have been extensively examined through simulations, which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are likely to be trivial in many cases. The analytic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According to BHHR meta-analysis, the weighted mean correlation is .617. Lower & Upper limit of the confidence intervals(95%) are .537 and .687, respectively. According to H-S meta-analysis, the is .660. Lower & Upper 10% of Credibility intervals(80%) are .526 and .793,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Borenstein 등이 주장하고 있는 메타분석과 최근 산업조직심리학 내지 조직행동 분야에서 지지를 얻고 있는 Hunter-Schmidt 메타분석에 대해 방법론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각각의 메타분석 방법론에 기초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 하는 것이다. 우선 메타분석 여러 절차 중 메타통계분석 및 분석결과 제시에 초점을 맞춰 상이한 분석방법과 절차 및 결과 해석 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방법론적 차이점들은 신뢰구간과 확신구간, 측정오차 등 오차의 교정, 피셔 z 전환값 사용 여부, 효과크기 비교, 동질성 검사 여부, 각각의 전용 메타분석 프로그램 등 6가지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비교분석과 병행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상관관계를 Borenstein 등의 메타분석 방법과 Hunter-Schmidt 메타분석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 CMA 프로그램과 Hunter-Schmidt Meta-Analysis Programs를 이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교육학 분야 질적메타분석에 대한 연구동향

        이승호,황정훈,박대권 한국교육학회 2024 敎育學硏究 Vol.62 No.4

        본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서의 질적 메타분석이 갖는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학에서의 질적 메타분석이 시작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총 10년간 출판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질적 메타분석 선행연구물의 개선점을 찾고, 질적 메타분석의 방법론적 엄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 기준은 크게 기본 특성, 분석 대상 문헌, 연구 결과의 세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총 66편의 질적 메타분석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타당화 과정을 제시하지 않은 연구가 50%에 가까운 것은 그간 수행된 질적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이 엄밀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진 간 교차검증 등 연구 타당화 과정이 필요했다. 둘째, 연구결과 보고 시 직접인용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3분의 1정도이다. 질적 메타분석이 각 연구들의 ‘메타포’를 종합하여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직접 인용을 삽입하는 것이 질적 메타분석에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를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결과 제시 시 ‘도식화를 통한 새로운 구조화 수준’까지 이른 연구가 ‘문헌 종합 수준에 그친’ 연구에 비해 절반 이하였다. 기존 질적 사례 연구에서 도출하지 못한 새로운 통찰의 발견이라는 질적 메타분석의 취지를 고려할 때 그간의 질적 메타분석의 결과 기술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적 메타분석의 대상 문헌들은 출판편향을 보이는데 이에 대한 언급이 드물었다. 질적 사례 연구들의 내용뿐만 아니라, 연구대상 선정, 저자들의 맥락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질적 메타분석 연구에 기술할 필요가 있다. Based on recognition of the utility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in educational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research trend in published journal articles over the past decade, analyzing 66 works across three domains: basic characteristics, analyzed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Key findings include several implications. Almost 50 percent of the studies lacked a validation process, indicating methodological rigor issues. Validation processes, such as cross-verification among researchers, were needed. Around one-third did not use direct quotations in their findings, though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consider direct quotations in qualitative meta-synthesis. Fewer than half reached a “new structuring level through schematization,” suggesting a need to enhance reporting to discover new insights. Lastly, the literature subject to qualitative meta-analysis showed instances of publication bias; however, this bias was rarely addressed.

      • KCI등재

        오즈비를 이용한 메타분석에 관한 연구

        강민수,안홍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method that summarizes outcomes of previous studies. This leads us to gain more reliable results. Because of this advantage, it has been widely used in a variety of fields. In this writing, we focus on odds ratios among lots of statistics used in meta-analysis. Adjusted odds ratios are generally presented as outcomes because they give more precise treatment effects.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offer adjusted odds ratios as the results in meta-analysis.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and limits in meta-analysis using adjusted odds ratios.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summarize the adjusted odds ratios in meta-analysis. As the result, we are able to report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s adjusted odds ratios. 메타분석(meta-analysis)은 개별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계적으로 통합하여 일반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얻고자 시행하는 분석 방법이다. 메타분석은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메타분석의 대상이 되는 통계량은 평균, 상관계수, 오즈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오즈비(odds ratio: OR)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기 위해 개별 논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adjusted 오즈비가 연구결과로써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djusted 오즈비는 연구자의 관심변수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사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에 의해 추출되는 통계량이다. 따라서 adjusted 오즈비를 통해서 보다 더 정확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는 adjusted 오즈비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말해 준다. 하지만 adjusted 오즈비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justed 오즈비를 이용한 메타분석 방법에 대해 모색하여 보고 이를 실증 예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 결과 adjusted 오즈비로써 메타분석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메타인지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김동일(金東一),라수현(羅秀賢),이혜은(李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정보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교육 분야의 이슈는 많은 지식들을 기억하는 것보다 수많은 정보들을 다루고 그 과정을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능력인 메타 인지적 기술을 발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된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 연구들을 수집 · 분석하여,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의 적용특성과 그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의 학술저널에 출간된 11편의 집단설계연구와, 학위논문까지 포함한 단일사례연구 9편, 총 20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선정된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의 활용영역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단일사레연구는 IRD 메타분석방법, 집단설계연구는 다층메타분석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및 종속변수와 중재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메타 인지적 전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업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메타 인지적 전략은 1) 학습 내용 자체, 2) 학습을 촉진시키는 학습 및 교수 전략의 두 가지 영역에 적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효과크기 분석 결과 메타인지적 전략은 연구주제 영역인 학업영역, 인지영역, 정의영역, 행동영역 모두에서 효과가 컸고, 구체적으로는 학업영역보다는 정의영역이나 인지영역, 행동영역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In this society, flooded with massive amounts of information, fostering meta-cognitive skills has emerged as a pivotal issue among contemporary pedagogues who are studying the way to enhance information managing the ability of students. Along with this trend, this study examined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used to those studies. From 2000 to 2015, eleven group-designed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nine single case studies in Korean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s, and then estimated the effect sizes of studies by interven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rough IRD meta-analysis for single case studies and multi-level meta-analysis for group-designed stud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s was related to academic area in most studies. Also,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 two areas; 1) learning contents, 2)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cquired through learning strategies. Finally, the meta-cognitive strategic interventions were highly effective for four dependent variables - the academic doma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and more specifically,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academic domain.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a suggestion to do follow-up studies.

      • 베이지안 메타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강·하천의 환경적 가치

        한미진 ( Mijin Han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하계

        환경재의 가치평가는 그간 환경경제학 분야에서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던 문제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축적된 가치추정 연구를 바탕으로 통합된 하나의 가치추정치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그동안 시도된 메타분석 역시 편익이전을 위한 중간단계로만 고려되었고 추정치의 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베이지안 3단계 계층적 메타분석과 베이지안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극복하고자 하였다. 강·하천의 환경적 가치를 추정한 국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강과 하천의 환경가치를 추정한 결과 전체 강/하천에 대한 지불의사는 베이지안 3단계 계층적 메타분석에서 37,860원/년/가구, 베이지안 메타회귀분석에서는 34,740원/년/가구로 추정되었다. 유역별로는 한강과 금강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불의사를 나타내었으며, 서식지제공이나 생물다양성, 경관미 기능과 같은 간접적 수요를 갖는 환경서비스에 비해 수질이나 수량과 같이 직접적 수요를 나타내는 환경서비스에 대한 지불의사가 확연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이지안 3단계 계층적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강/하천의 환경적 가치를 추정한 결과 연간 총 8,189억 1,180만원의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베이지안 메타회귀분석에서는 연간 총 7,628억 9,010만원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nvironmental valueation is the issue that has consistently interested in the academia. However, there was almost no study of evaluate a single significant value, and the some results of existing meta analysis are not significant when the number of the sample is not enough. This study estimates the environmental values of the rivers and the streams in South Korea by applying Bayesian meta-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evaluating environmental values of the rivers and the streams. This study intends to overcome the drawback by using a Bayesian three-step hierarchical meta-analysis and a Bayesian meta-regression. As the results, willingness to pay for the rivers and the streams presents ₩37,860(₩/year/household) and ₩34,740(₩/year/household) in a Bayesian three-step hierarchical meta-analysis and Bayesian meta-regression, respectively. The results in Meta analysis show that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Han river and Geum-gang river were relatively high. Also,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environmental service, representing direct demand such as water quality and quantit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ndirect demand such as habitat, biodiversity, and view. Based on the results of a Bayesian three-step hierarchical meta-analysis, the environmental value of river/stream was estimated to be 818 billion won per year, and based on the Bayesian meta-regression analysis, it was 763 billion won per year.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 분야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 평가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최유임,김세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이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국내 작업치료 분야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 론적 질을 평가하고 메타분석 연구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게재 논문 중 메타분석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논문을 선택하였다.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은 AMSTAR 평가도구의 기준에 따 라 분석하였다. 결과 : 메타분석 논문의 전체 방법론적 질 평균점수는 6.71점(SD=0.70)으로 보통 수준에 해당하였다. 분석논 문들은 모두 보통 수준(100%)에 해당하였으며 높은 수준 및 낮은 수준의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분석대상 연구들은 AMSTAR의 11개 항목 중 7개 항목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었으나, 4개 항목(회색문헌 사용, 포함 및 배제논문 목록 제시, 결론 도출 시 질 평가 결과 활용, 이해상충 기술)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거의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분야의 메타분석 연구들은 방법론적 분석과정을 보통 수준 이상으로 충실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메타분석 시 회색문헌을 선정기준에 포함하고 개별연구 질 평가 결과를 결론에 반영하며 이해상 충 표기를 함으로서 메타분석 논문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야 하겠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JOT) and provide guidelines for future meta-analysis research.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JOT from the first issue until 2019, meta-analyses were searched and seven papers were select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AMSTAR evaluation tool. Results: The overall methodological quality average score of the meta-analyses was 6.71 (SD = 0.70), which is a moderate level. Analytical papers were all at a moderate level (100%), and there were no high or low level studies. All of the studies faithfully implemented 7 out of 11 items of AMSTAR. However, it was found that four items (use of grey literature, presentation of included and excluded study lists, use of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 studies in formulating conclusions, and conflicts of interest) were rarely commonly conducted in all studies. Conclusion: Meta-analyses in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y field were found to faithfully apply the methodological analysis process at above a moderate level.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ta-analyses by using the grey literature, reflecting the results of a quality evaluation of individual studies in the conclusions and describing conflicts of interest.

      • KCI우수등재

        SEM 기반 메타분석의 이론 및 적용 - Cheung의 접근법 중심으로

        이현정,손수경,장유나,홍세희 한국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7 No.1

        Recently,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s and meta-analysis are increasing rapidly in many areas. The two methods have been used for different purposes in different fields. That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s been used for evaluating theoretical models, while meta-analysis has been applied to integrating individual studies. However, combing the two separate methods, meta-analysis can be don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is study, SEM based meta-analysis was introduced and applied to empirical studies to demonstrate an example of analysis. We focused on the SEM based meta-analysis, which Cheung (2008, 2015) presented, and explained the method using Mplus. Our presentation was as follows: first, advantages of SEM-based meta-analysis were explained in detail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eta-analysis. Next, SEM-based meta-analysis model(fixed-effects, random-effects, mixed-effects model) and analysis method were presented. For a real-data example, the effect size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integrated and the effects of research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구조방정식모형과 메타분석은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행동과학을 비롯한 모든 영역에서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방법론이다. 최근까지 두 방법론은 각자의 방식대로 발전해왔으며, 각각 서로 다른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즉, 구조방정식모형은 연구자가 제안한 연구모형의 검증에 활용되었고 메타분석은 단일 주제 연구들을 통합하는 데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타분석은 구조방정식의 프레임웤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기존의 방식보다 더 많은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메타분석 방법론을 소개하고이를 실증연구에 적용하여 분석한 예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최근 Cheung(2008, 2015)이 제시한 SEM 기반 메타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국내에서 구조방정식 분석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plus를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SEM 기반 메타분석의 장점을 기존의 메타분석과 대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전통적인 메타분석 모형(고정효과, 임의효과, 혼합효과)에 대해 SEM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모형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한예시로서,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의 효과크기를 통합하고 조절변수로서 연구특성 변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메타버스 관련 국내연구 경향 분석

        황지현,한유진,임해원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the metaverse,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in South Korea. After surveying this researchtopic, the keywords of research papers based on text mining methods such as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analyzed. There were 637 metaverse articles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lished from 2007 to 2022. After pre-processing a total of 240 articles, 722 keywords were prepar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severalcategorized topics and crucial keywords. The most important keyword found in metaverse articles was virtual reality, which was mainlystudied in four types of the metaverse. Among the four types, augmented reality and the virtual world appeared as major keywords whereasmirror world and life-logging were not mainly dealt with. Therefore, the keywords mirror world and life-logging can be studied in the futurefor spatial design and architecture domains. Although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t has yet to be thoroughly studied. Manystudies have focused on metaverse applications and content as a very important keyword, but the scope has been very limited, especiallyregarding architecture domain. Lastly, the metaverse platform and user experience seem to be key topics in domestic research that especiallyfocus on major platforms belonging to the virtual world. Thus, in terms of spatial design and architecture, broader research on the metaverseneeds to be continuously conducted from a user’s perspective.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gain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conducting future metaverse studies.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소통이 일상이 되면서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타인과 교류하는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미래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메타버스 연구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였음에도, 메타버스의 활용을 대상으로 동향을 파악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활용 관련 국내 연구의 주제 및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메타버스를 중심어로 하여 학술논문을 검색하여 2007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총 637편의 국내 학술논문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전처리를 거쳐 총 240편의 논문과 722개의 키워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학문 분야 및 주제를 분석한 뒤, 텍스트 마이닝 방법론 중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활용 주제 및 관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메타버스 활용 관련 국내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메타버스 관련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메타버스의 네 가지 유형(증강현실, 가상세계, 거울세계, 라이프로깅)과 함께 연구된 '가상현실'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의 네 가지 유형 중 ‘증강현실’과 ‘가상세계’는 중요하게 나타난 반면, ‘거울세계’와 ‘라이프로깅’은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건축 및 실내건축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큰 거울세계와 라이프로깅이 향후 연구 주제로 다뤄지기를 제안한다. 둘째, 공학 뿐만 아니라 복합학, 사회과학, 예술학 등 다학제적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아직 다양한 활용 대상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은 연구들이 메타버스의 다양한 분야에의 확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콘텐츠'가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 다뤄졌으나 세부 대상은 교육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건축 및 실내건축 분야에서 가용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국내 연구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위한 플랫폼으로도 적용 및 연구되고 있다. 기술은 구현 자체보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메타버스 공간의 디자인 방향과 경험의 설계,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메타버스가 더욱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메타버스의 활용과 관련하여 더욱 폭넓은 콘텐츠를 대상으로 사용자 중심의 구체적인 적용 방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