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박승우(Seung Woo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부터 등장한 우리나라의 동아시아 담론을 ‘경제공동체 담론’, ‘정치안보적 동아시아 담론’, ‘동아시아 아이덴티티 담론’, ‘대안체제 담론’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담론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그 주된 내용 및 주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이들 담론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상 네 가지 담론의 문제점을 나름대로 교정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이라 명명한 새로운 유형의 담론을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의 외연, 동아시아 공동체의 성격,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과 정체성 형성의 방법론 등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제기된 여러 가지 논의와 관점 중 일부를 취사선택하고 다듬어 이 새로운 담론 유형의 전제로 삼았다. 이는 그간 각각의 분과학문의 경계 내에 머물러 있던 동아시아 담론들 사이에,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보다 전향적이고 역동적인 학문적 소통을 재촉하기 위한 것이다. Since the early 1990s, many Korean schola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ve been engaged in the discussions on East Asia, such as on the issues of identity or community. Altogether, they form what can be called the ‘discourse of East Asia,’ which is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economic community discourse,’ ‘political and security discourse,’ ‘East Asian identity discourse,’ and ‘alternative social order discourse.’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arguments of each discourse, and identifi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in each of them. This study also suggests a new type of discourse of East Asia, which I have termed, ‘East Asian Community discourse.’ It is based on various differing perspectives on the scope and meaning of ‘East Asia’ and the East Asian community, and on the methods of creating a regional identity or building a regional community. One of the purposes of this endeavor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cholars of various disciplines, engaged in the study of the discourse of East Asia.

      • KCI등재

        동아시아담론에 대한 비평적 회고와 전망

        고성빈(Ko, Sung-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4

        포스트 냉전시대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지식과 문화의 사조에는 ‘인정투쟁’의 숨결이 그 기저에 깔려있다. 동아시아담론도 밑바닥에는 그런 움직임이 잠재되어 있다. 서세동점 이래로 동아시아를 덮친 서구적 근대와 전후 냉전체제가 부여한 지식과 문화의 지배기제는 동아인을 저항과 순응, 혹은 기회주의적 편승의 틀 안에 묶어 놓았으며, 포스트 냉전의 도래는 이렇게 억눌렸던 동아인의 자아의 각성과 존중받고 싶은 욕망을 자극하였다. 자연히 ‘탈근대적 문제의식’에서 파생한 탈서구, 탈제국, 탈식민, 탈중심, 탈국가 의식이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였다. 서구와 패권제국에 대한 동아시아의 저항의식을 자원으로 하지만 저항을 초탈하는 동서의 상호 수평의식을 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담론에서는 근대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 분단체제론, 복합국가론, 동아시아 한국교차로 구상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동아담론은 한편으로는 서구가 규정하는 동아시아를 벗어나 동아시아 자신의 주체성을 찾는 일종의 계몽운동의 성격을 띠면서도 동시에 중국과 일본의 동양학에 대비되는 한국의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려는 의도가 혼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여러 학자들이 제기한 견해를 필자의 생각과 상호 유비하면서, 동시에 동아담론의 미래의 비전과 현실주의적 실천성의 간극을 연결시키려는 의도에서 ‘의지적 낙관주의’에 의한 ‘미래사적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In the post-cold war era, behind the intellectual and cultural tide in East Asia lies the breath of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East Asian discourse also has such a movement at the bottom. The ruling mechanism of knowledge and culture, which was given by the Western modernity and post-cold war regime that have hit East Asia since the Western powers advancing toward the East, has tied the East Asians into a framework of resistance, conformity, or opportunism, and the arrival of the post-cold war has stimulated the awakening of the self of the suppressed East Asian. Naturally, the theme of the post-imperialism, post-colonialism, post-centrism, and post-statism derived from “post-modern critical thought” emerged as important topics. The East Asian discourse regards a resistance to the Western hegemony as theoretical resource, but it is aiming at the mutual horizontal consciousness of East and West that deviates from resistance. Specifically, in the discourse of Korea, the double project of adapting to and overcoming modernity, the division system theory, the compound state theory, and the project of East Asia’s Korea intersection are being raised. The East Asian discourse, which considers the subject, seeks a kind of citizen and intellectuals’ solidarity in East Asia as well as East Asian’s own identity beyond the one defined by the West. At the same time, it is mixed with the intention to lead the East Asian studies of Korea in contrast to those of Japan and China. Significantly of all, I try to propose “future historical methodology” by “will-based optimism” in the intention to link the gap between humanistic imagination and realistic practicality, while presenting the future vision of the East Asian discourse that I think while using the opinions of various scholars in mutual use with my thoughts.

      • KCI등재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현재와 미래

        박민철(Park, Min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3 No.-

        ‘동아시아’라는 문제제기와 결부된 여러 시각과 논의는 과거처럼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분단극복과 통일의 위한 사상적 자원으로서 ‘동아시아’라는 질문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는 구체적인 현실로서 더욱 강하게 우리들에게 다가오고 있다. 바로 그렇기에 동아시아담론 그리고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새로운 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논문은 바로 그러한 목적을 위해 쓰여진 것이었다. 본 논문은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담론적 이행에 따른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발생과 관련해서,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공동체론의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동아시아담론이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본격화로 이행해왔다는 점을 주장했다. 나아가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진전을 가로막는 논쟁점들을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미래적 전망을 위한 이념적 지향과 선결조건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이념적 지향을 ‘역사적 연대’로 설정했으며, 그 선결조건으로서 한반도 분단극복과 평화체제로의 이행을 시론적으로 제시했다. There have not been active discussions or different perspectives related to the topic of ‘East Asia’ compared with the past.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find questions dealing with ‘East Asia’ as an ideological resource for reunification or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spite of this, East Asia as a concrete reality has been approaching us with higher intensity. Because of this, a fresh discourse on East Asia and an East Asian Community has seen renewed calls. Indeed,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courses on East Asia and an East Asian Community with regard to the subsequent appearance of an East Asian Community which came into existence following the East Asian discourse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rguments that, as a result, discourses on East Asia have moved forward into the realiz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Furthermore, this paper, by examining points in dispute that impede further advancement of an East Asian Community, verifies prerequisite conditions and ideological directions for the sake of the future prospects of an East Asian Community. Therefore ‘historical solidarity’ is ultimately established as an ideological direction for an East Asian Community, and as for prerequisite conditions, this paper proposes the overcoming of division and the building of a Peace Regime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views.

      • KCI등재

        북핵 문제와 동아시아 담론

        윤여일(Yoon, Yea-Yl)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2

        본 논문은 북핵 문제와 동아시아 담론의 생산적 접점을 탐색하기 위한 시론이다. 1990년대 초 탈냉전의 국면으로 접어들자 한국지식계에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부상했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북한은 북중동맹이 이완되자 자위 차원에서 핵개발을 서둘렀다. 즉 동아시아 담론과 북핵 문제는 탈냉전과 한중수교라는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며 발생했다. 그리고 지난 20여 년 동안 북핵 문제는 한반도의 범위를 초과해 국제화되었다. 그럼에도 그간 동아시아 담론에서 북핵 문제는 전면적인 의제로 부각된 적이 없이 다양한 안보 이슈 중 하나로 나열되는 양상이었다. 북핵 문제는 단순한 무기 개발을 둘러싼 안보 문제만이 아니라 국가 형태의 상이성, 국가 간·국가관계 간 비대칭성, 탈냉전의 추세에도 불구한 동아시아 분단체제의 지속 등 동아시아적 조건과 상황을 집약해 표출하는 문제다. 따라서 동아시아 담론이 축적한 학술적 성과를 활용할 때 북핵 문제에 접근하는 시야는 점증하는 북핵 위기를 현상추수적으로 따라가며 기술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동아시아 담론 역시 북핵 문제를 한반도 문제와 결부시키고 그것을 동아시아의 과제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지역의 학술적 자산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he current view to search a productive point of contact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East Asian discourse. With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phase from the early 1990s, the East Asian discourse emerg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circle. However, during the same period, North Korea rushed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s a self-defense after the Sino-North Korea alliance was relaxed. That is, the East Asian discourse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ccurred while sharing the backgrounds of the age -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become an international affair in the last two decades. Nonetheless, in the East Asian discourse so far,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was listed as one of various security issues and has not been pointed out as one full agenda.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is not merely the security issue surrounding weapon development but the issue which expresses the East Asian conditions and situations including the continuance of the East Asian division in spite of different state forms, asymmetry between nations, and the end of the Cold War trend. Therefore, when the academic outcomes accumulated by the East Asian discourse are utilized, the vision towar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not remain at chasing the steadily increasing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based on the status quo but can be expanded. Moreover, the East Asian discourse can arrange the opportunity for it to become the local academic asset in the course of connecting the nuclear problem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converting it into the task for East Asia.

      • KCI등재

        ‘서구 근대’의 위기와 한국 동아시아 담론의 기이한 여정

        이우창(Lee, Woo-cha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3

        이 글은 1989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 ‘동아시아 담론’의 역사를 ‘서구근대’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대응에 초점을 두어 이해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담론은 민족문학론이 1980년대 말 포스트모더니즘과 탈냉전시대의 도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 비판적 담론으로서의 동아시아 담론이 동아시아 지역이 서구 근대의 대안을 낳을 수 있다는 논리를 제시했다면, 이후 동아시아를 상상하고 규정하려는 시도들에서 이 논리는 보다 급진화했다. 2000년대 영미권에서는 현실사회주의의 패배와 “역사의 종말” 이후 미국 패권에 비판적이었던 좌파 지식인들이 점차 ‘중국식 모델’을 유력한 대안으로 신봉하게 되었으며, 2010년대 초반 한국의 유교적 근대론자들은 중국으로부터 기원한 유교적 전통이 근대 동아시아에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서구 근대의 문제를 극복하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오늘날 한국의 동아시아 이데올로그들은 이와 같은 입장들을 더욱 극단화시켜 중국 중심적 질서 혹은 반민주주의로서의 정치적 현능주의를 옹호하기에 이른다. ‘동아시아 담론’의 역사는 동아시아 담론의 동아시아 규정이 서구 근대에 대한 안티테제들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그것이 실제로는 훨씬 더 서구 종속적이라는 사실과 함께, 특히 규범적 모델로서의 서구 근대를 폐기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과제임을 깨닫게 한다. 서구 근대 비판론은 역설적이게도 서구 근대에 대한 보다 깊은 역사적 성찰 없이 자신의 과제를 달성할 수 없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East Asian discourses’ from 1989 to 2017, focusing on it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the crisis of ‘Western modernity’. The East Asian discourse was born out of National Literary Theory which faced the challenges of postmodernism and the post-Cold War era in the late 1980s. As a critical discourse it suggested that the East Asian region could give birth to the alternative to Western modernity; this logic was more radicalized in the following attempts to imagine and define East Asia.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m and “the End of history,” a group of western leftist intellectuals, critical of the American hegemony gradually gravitated towards the “China model” as a viable alternative in the 2000s; in the early part of the 2010s, Confucian modernists in Korea argued that the Confucian tradition originating from China could not only continue in modern East Asia but also offer solution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modern Western’ era. The East Asian ideologues in Korea of today extend these positions further to advocate the Sinocentric system or anti-democratic political meritocracy. The history of the ‘East Asian discourses’ reveals that they are in fact more subordinate to ‘Western modern,’ for their definitions of ‘East-Asian’ civilization consist of the antitheses of ‘Western modern’; therefore, to discard ‘Western modern’ as a normative model would be a much harder task. The ‘Western modern’ criticism, ironically, cannot achieve its task without a deeper historical reflection on Western modernity.

      • KCI등재

        동아시아 공동체와 담론 전쟁

        김성해(Sung Ha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3

        동아시아를 둘러싼 권력질서는 결정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다. 냉전이 끝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양세력과 소련을 정점으로 한 대륙세력의 대립은 사라졌다. 미국달러를 중심으로 한 국제금융질서의 구조적 문제가 드러나면서 집단적 금융안보의 필요성도 증가했다. 디지털 혁명을 통해 아시아의 독자적인 관점과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보다 민주적인 국제 정보 질서가 구축되고 있다. 동아시아 공동체는 이러한 공통의 이해관례를 토대로 부상한 것으로 지금까지 역내 소속 국가의 주된 어젠다였다. 그러나 영토분쟁, 과거사 논란 및 역사인식 등의 문제로 인해 모처럼 형성된 공동체 논의는 잦아들고 그 자리를 신냉전이 채우고 있다. 이 연구는 이에 공통의 이해관계 지형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불신과 갈등으로 인해 역내 협력이 방해받고 있는 이유로 언론을 통한 담론정치에 주목했다. 연구문제로는 국내 언론이 패권 질서 또는 대안질서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언론의 담론정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동체를 지향하기 위한 담론전략은 무엇인지 등을 제기했다. 분석사례로 동북공정과 독도분쟁을 선택했으며 국내 언론의 정치적 입장을 고려해 동아, 한국 및 한겨레신문의 사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동아시아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충돌이 담론에 반영되고 있으며 담론을 구성하는 주요 프레임과 태도 등은 현실적 이해관계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존 질서 유지 또는 대안질서 모색은 ‘준거담론’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패권위협, 패권의혹, 진정성 및 전략적 연대 등의 파생담론과 중국과 일본정부에 대한 태도 등은 이들 준거담론이 정한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했다. 연구자는 이를 근거로 동아시아 분열과 담론의 연결고리를 끊고, 대안질서에 대한 우호적 담론을 생산하며, 대안적 담론의 발굴 및 확산을 제안했다. The power order surrounding East Asia has been dramatically changing. The Cold war between U.S. led atlantic bloc and continental bloc led by Soviet Union had passed away resulting in peaceful Asia. While U.S. dollar based international financial order used to meet recurrent crisis, Asians start to consider adopting alternative order represented by Asian Monetary Fund and Asian single unit. The digital evolution also helps to create more democratic information order in way of pursing Asian perspective. Such a strong demand on East Asia community, however, seems to be diminishing largely because of regional conflict issues like territorial dispute and history perception.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East Asians" self-destructive antagonism in spite of growing common interests, this paper projects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war along with real politics. To figure out whether the press takes a critical part in the war of discourse, total 154 editorial pieces in three major Korean newspapers have been analyzed. Discourse analysis reveals first of all the strong connection between media discourse and actual conflict of interests. While those supporters for the status quo take more critical stance against China and community, some liberal newspapers endeavor to put them into a positive tune. Neither frames nor attitude toward regional government were deviated from major discourse associated firmly with current power order. Taking such results into account, the author urges to initiate discourse competition for the benefit of East Asia Community. To make it happen, such strategies as producing alternative discourse, dismantling dominant discourse and providing vision about new order need to be employed.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동아시아담론':상호연관성과 쟁점의 비교 및 평가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6 No.3

        According to the East Asian discourse, East Asians have been preoccupied with “a dream for the strong nation-state” in the past century that specifically accounts for the secularized concept of modernization, “the wealth and power of the nation-state.” But rising above the dream is more desirable in both bringing peace to the region and helping carry the grand project of East Asian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the 21st century. This is an integration initiated from the periphery (weaker states) to the center (strong states), and an integration which differs from the past Chinese empire and the Japanese Greater-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In conclusion, it is the author's firm belief that the East Asian discours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vercoming the strong nation-state myth, thereby paving the way for East Asian integration in the post-Cold War era. For the full materialization of the spirit of the East Asian discourse, the essential component is continuous dialogue among intellectuals from throughout the region to gain and improve a horizontal perspective among them and to overcome the obsolete and redundant geographical concept of the nation-state. The East Asian discourse will therefore provide a communication network to support active intellectuals in their striving to provide an academic framework capable of supporting the regional positiv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동아시아담론은 서구중심의 근대주의적 발전주의에 대한 토착적인 대안 즉 동아시아의 자주적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동아시아담론에서의 동아시아의 개념은 냉전시대의 의미를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이다. 동아시아공동체구상에서 내포하는 동아시아의 의미는 지역의 중심국에 의해 주도되는 개념이 아닌 주변국이 상상하고 제안하는 탈중심의 동아시아개념이다. 그러나 지적인 영역에서 출발하여 정치적 사회적 실천의 영역으로 발전을 추구하려는 일종의 상상의 프로젝트로서 아직은 동아시아각국의 구체적인 정책에서 지역적 차원의 실천수준으로 발전되지는 않았다. 자연적으로 비판론자들은 담론이 단지 현상에 대한 비판을 위한 비판에 머무르고 있으며 구체적 대안이 없다고 한다. 동아시아담론이 단순히 정치경제적인 상상이 아니고 지적, 문화적, 인간적 교류까지를 망라한 복합적 상상이라면 지역국가 간의 상호 수평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지역국가의 경제발전과 제도의 투명성, 시민사회와 지식인간의 대화와 활동의 네트워크구축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담론의 주창자들은 탈국경적인 시민연대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개별 국가의 지식인 그룹과 민간운동의 주체가 직면한 모순이 미국 및 지역의 중심-주변국가들 사이에 연관된 문제이고 그 영향이 지역국가의 민중에게 미치는 만큼 그 해결도 단순히 일국내부 민간단체의 사회운동 내지는 대정부 투쟁이 아니라 국경을 넘는 연대운동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동아시아의 균형과 지역 국가들 간의 수평적 관계를 증진시키며 나아가 “수평적 지역 네트워크”를 형성 할 수 있다고 필자는 믿고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라는 이름 아래 변혁의 상상력은 아직 유효한가 —백영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나남출판, 2022)—

        장세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3 개념과 소통 Vol.- No.31

        There are various branches of East Asian discourse, but its Korean origin derives from the ‘East Asian Alternative System Theory’ developed by the Changbi group in the early 1990s, in response to the dislocation caused by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theory was labeled ‘East Asian’ because at that time the concept of East Asia was doubly compelling. Firstly, it signaled the potential for change: South Korea ideologies had previously been confined by anti-communism, but in the post-Cold War era there was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 to redefine itself, independently of the Asian socialist countries to the north. Secondly, fresh attention was given to East Asia as the locus of an ancient civilization, with its own theoretical systems, long predating the Cold War. Socialism was in decline, and capitalism was perceived by some to be a temporary phenomenon. In this light, East Asia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 to Western modernity, which had given rise to both systems. After the passage of 30 years, however, East Asian theory now seems hardly tenable, when seen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Baek Young-seo’s work, The Genealogy and Future of East Asian Discourse (2022),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East Asia still holds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The author delves into the colonial period, tracing the historical genealogy of East Asian discourse (Part 1). He also reevaluates the future prospects of the concepts of ‘double periphery’ and ‘composite state,’ which he considers key methodologies for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contemporary East Asian countries (Part 2). For East Asian discourse to remain realistically relevant, however, a dramatic change in South Korea’s domestic situation is necessary. The current ruling party in South Korea is forcing inter-Korean relations into a deadlock and is helping drive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owards a new Cold War. How should East Asian discourse reinvent itself while waiting and hoping for this situation to change? To paraphrase Chantal Mouffe: East Asian discourse should cautiously prepare for an ecological divergence that bridges the needs of both ecological nature and social nature. All theories envisioning transformation inevitably go through such a phase at this juncture. 동아시아 담론에는 여러 갈래가 존재하지만, 그 한국적 기원이란 1990년대 초반 소연방(USSR)의 해체 이후 전반적인 전망 부재 상황 속에서 ‘창비’ 그룹이 설계한 ‘동아시아대안체제론’이라 할수 있다.그렇다면, 왜,어째서 ‘동아시아’였을까.당시 동아시아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설득력 있는 개념이었다. 첫째, 정세론의 언어로서 이 단어는 반공의 울타리에 갇혀 있던 남한이 탈냉전을 맞이해 북방의 아시아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재규정할 수 있도록 이끈, 변혁의 전망을담은 어휘였다. 둘째, 동아시아는 냉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보다 오랜 규모의문명론의 차원에서도 각광받았다. 사회주의의 종말과 함께, 자본주의의 한정된 수명역시 예측되는 상황에서 두 체제 모두를 낳은 서구 근대성(modernity)의 대안으로서동아시아는 당시 가장 유력해 보였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동아시아론이처한 현재 국내 상황과 국제 정세는 양자 모두 녹록하지 않아 보인다. 백영서의 저작『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2022)은 동아시아가 여전히 변혁의전망을 담을 수 있는 언어인지 스스로 묻고 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저자는 식민지시기로거슬러올라가동아시아담론의저항성을역사적으로계보화하는한편(1부), 실재하는 동아시아 각국들과의 관계 설정에서 그동안 동안 자신이 핵심적인 방법론으로간주해온‘이중적주변’과‘복합국가’개념의향후전망을다시점검하고있다(2부). 그러나 동아시아 담론이 여전히 현실적으로 유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한의 국내 정세가 극적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현재 남한의 집권 세력은 남북 관계를폐색국면으로 아슬아슬하게몰고가며, ‘신냉전’에근접한국제 정세에다른어떤역내 국가보다 앞장서고 있다. 전망 부재의 상황 속에서, 언젠가 다가올 정세의 반전을 기다리는 동안, 동아시아 담론은 어떻게 스스로를 갱신해야 할까. 샹탈 무페의 말을 빌리자면, 현시점에서 변혁을 꿈꾸는 이론이라면 모두 겪을 수밖에 없는 “생태적자연과사회적자연모두의요구를접합하는생태적분기”를동아시아담론이고심해준비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새로운 동아시아 담론을 위한 서설(序說) - 방법으로서 관문도시와 동아시아 서발터니티

        이홍규 ( Lee Honggyoo ),김동규 ( Kim Donggyu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24 東亞 硏究 Vol.43 No.1

        미-중관계가 패권경쟁의 심화로 국익을 중시하는 국가 중심적인 동아시아 담론 추구가 어려워진 상황이다. 시민사회 중심으로 대안적 동아시아 체제를 모색하는 새로운 동아시아 담론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환을 위해서 동아시아에서 소리 없이 배제되고 차별받던 존재들의 양상, 즉 동아시아 서발터니티에 주목해야 한다. 동아시아 서발터니티 문제를 연구하여 이들이 처한 구조를 드러내야 한다. 이 문제가 동아시아 공동의 쟁점으로 부각될 때, 비로소 국가 중심의 동아시아 담론이 아니라 시민사회 중심의 동아시아 담론이 형성된다. 또한 동아시아 서발터니티 연구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방법으로서의 관문도시’라는 인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문도시를 개방/폐쇄, 이음/단절이라는 이중적 성격이 작동하는 권력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서의 관문도시’라는 인식틀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서발터니티 문제를 연구하여 시민성과 공공성 구축을 위한 새로운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nsification of hegemonic competition in US-China relations has made it difficult to pursue a state-centered East Asia discourse that emphasizes national interests. A new discourse on East Asia that centers on civil society and seeks an alternative East Asian system is needed. In order to make this transi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voiceless, excluded, and discriminated against in East Asia, namely East Asian subalternity. The issue of East Asian subalternity should be studied to reveal the violent structures they are subjected to. Only when this issue is highlighted as a common East Asian issue will a civil society-centered East Asian discourse be formed. We also propose the concept of 'gateway city as a method' as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East Asian subalternity. By recognizing the gateway city as a space of power where the dual nature of open/closed and connect/disconnect operates, the 'gateway city as a method' can provide a new opportunity to study the issue of East Asian subalternity to build citizenship and publicity space in East Asia.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담론: ‘포아론(包亞論)’적 사유의 전개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From the peripheral point of view, it can be argued that the East Asian Discourse in China has yet to be matured theoretically and still remains more sentimental than analytical. This study define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China's perception of East Asia as “an Embracing Asia Perspective,” which has been embedded in Chinese mind-set and intellectual orientation ever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esides this, China internalizes both the “representing Asia perspective” and the “China and Asia as one-body perspective”, all of which, as this paper insists,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Embracing Asia Perspective. Therefore, China rarely views peripheral states in East Asia on a horizontal perception, and instead sees itself in a hierarchical interrelationship with them. This means that China perceives East Asia, as a device or a means, not as an autonomous entity or a purpose, in order to protest against the US, Japan and the West. In addition, China's hierarchical view of its regional neighbors is mainly attributable to a dichotomous world-view of "China vs. the West" structure that considers China a unique counterpart matched by the West and furthermore, capable of resisting it. In this world-view, China's presence is thought to be equated with the whole of East Asia as such and peripheral states merely fall into a category of cogs or sub-system under China as a whole system. By contrast, China always draws attention to both the US and the West as a good exemplary or a bad enemy, disregarding peripheral neighbors in East Asia. Following the pan-Asianism in the 1920s, further development of China's East Asian discourse entered into a dormant phase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World War II. During the Cold War period, ideological standoff led to a frozen state of discussion of unresolved history questions in East Asia. It is therefore forthcoming of the post-Cold War era that a reasonable and critical debate on a variety of East Asian issues would follow. In fact, recently, critical intellectuals have come to take part in the East Asian discourse enthusiastically than ever before. 주변부의 시각에서 비평해 보면 중국의 동아시아주의는 아직은 정서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론적 수준으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근대 이래로 중국인의 문화적, 지적인 심리구조에 내면화된 동아시아관을 “포아론”적 지향이라고 정의 내리려 한다. 중국은 아직도 동아시아의 존재인식이 미국/일본/서구에 대항하는 과정에서의 수단적 의미에 머물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중국은 “중국의 동아시아”라는 기본적인 사고에서 “아시아대표의식”과 “중아일체의식”을 내면화 하고 있는데 이 같은 인식들은 “포아론”의 함의에 모두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중국의 동아시아사고는 동아시아 주변부에 대한 수평주의적 지향을 회피하면서 위계적인 관계성을 내재화하는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위계적의식이 생성된 배경은 중국의 타자는 유일하게 서구이며 중국만이 서구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대표적인 존재라는 “중국 대 서구의 이원적 세계관”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세계관에서 중국은 아시아 그 자체이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의 하위에 있는 작은 단위일 따름이다. 반면에 서구에 대해서는 항상 중국이 배워야하는 모범으로서 혹은 대치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적으로서 주목하고 있다. 범아시아주의의 등장이래로 중국에서의 동아시아사고의 발전적 전개는 내전과 세계대전으로 휴지기를 맞이하였다. 이어서 냉전시대의 이념적 대치상태로 인해서 동아시아지역의 공통적인 주제-동아시아의 근대사문제-에 대한 지적이고 이성적인 토론이 정체되었다. 탈냉전은 이러한 정체상황을 토론이 가능한 상황으로 변화시켰다. 근래에는 비판적 지식인의 동아시아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