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핵 문제와 동아시아 담론 = 생산적 접점 마련을 위한 시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5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핵 문제와 동아시아 담론의 생산적 접점을 탐색하기 위한 시론이다. 1990년대 초 탈냉전의 국면으로 접어들자 한국지식계에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부상했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

      본 논문은 북핵 문제와 동아시아 담론의 생산적 접점을 탐색하기 위한 시론이다. 1990년대 초 탈냉전의 국면으로 접어들자 한국지식계에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부상했다. 그런데 같은 시기에 북한은 북중동맹이 이완되자 자위 차원에서 핵개발을 서둘렀다. 즉 동아시아 담론과 북핵 문제는 탈냉전과 한중수교라는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며 발생했다. 그리고 지난 20여 년 동안 북핵 문제는 한반도의 범위를 초과해 국제화되었다. 그럼에도 그간 동아시아 담론에서 북핵 문제는 전면적인 의제로 부각된 적이 없이 다양한 안보 이슈 중 하나로 나열되는 양상이었다. 북핵 문제는 단순한 무기 개발을 둘러싼 안보 문제만이 아니라 국가 형태의 상이성, 국가 간·국가관계 간 비대칭성, 탈냉전의 추세에도 불구한 동아시아 분단체제의 지속 등 동아시아적 조건과 상황을 집약해 표출하는 문제다. 따라서 동아시아 담론이 축적한 학술적 성과를 활용할 때 북핵 문제에 접근하는 시야는 점증하는 북핵 위기를 현상추수적으로 따라가며 기술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동아시아 담론 역시 북핵 문제를 한반도 문제와 결부시키고 그것을 동아시아의 과제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지역의 학술적 자산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current view to search a productive point of contact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East Asian discourse. With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phase from the early 1990s, the East Asian discourse emerged in the Korean intell...

      This study is the current view to search a productive point of contact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East Asian discourse. With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phase from the early 1990s, the East Asian discourse emerg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circle. However, during the same period, North Korea rushed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s a self-defense after the Sino-North Korea alliance was relaxed. That is, the East Asian discourse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ccurred while sharing the backgrounds of the age -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become an international affair in the last two decades. Nonetheless, in the East Asian discourse so far,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was listed as one of various security issues and has not been pointed out as one full agenda.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is not merely the security issue surrounding weapon development but the issue which expresses the East Asian conditions and situations including the continuance of the East Asian division in spite of different state forms, asymmetry between nations, and the end of the Cold War trend. Therefore, when the academic outcomes accumulated by the East Asian discourse are utilized, the vision towar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not remain at chasing the steadily increasing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based on the status quo but can be expanded. Moreover, the East Asian discourse can arrange the opportunity for it to become the local academic asset in the course of connecting the nuclear problem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converting it into the task for 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변동하는 북핵 문제와 장기적인 동아시아 시각
      • Ⅱ. 동아시아 시각에서 조명하는 북핵 문제의 복합적 의미
      • Ⅲ. 북핵 문제를 통한 동아시아 담론의 진전 방향: 한반도평화체제와 동북아비핵지대
      • Ⅳ. 나가며 : 한국 동아시아 담론의 동아시아화를 위하여
      • 참고문헌
      • Ⅰ. 들어가며: 변동하는 북핵 문제와 장기적인 동아시아 시각
      • Ⅱ. 동아시아 시각에서 조명하는 북핵 문제의 복합적 의미
      • Ⅲ. 북핵 문제를 통한 동아시아 담론의 진전 방향: 한반도평화체제와 동북아비핵지대
      • Ⅳ. 나가며 : 한국 동아시아 담론의 동아시아화를 위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4

      2 우메바야시 히로미치, "핵 없는 세계로 가는길" 서해문집 2014

      3 이원봉, "한중관계 발전의 요인과 과제" (1) : 1992

      4 김동성, "한반도평화체제 논의와 구축방향" 경기개발연구원 2008

      5 이삼성, "한반도의 선택" 삼인 2001

      6 이삼성, "한반도의 선택" 삼인 2001

      7 백낙청, "한반도에서의 식민성 문제와 근대 한국의 이중과제" (105) : 1999

      8 이준규,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시아를 비핵지대로- 3+3안에 기초한 동북아시아 비핵지대 구상을 중심으로" 2004

      9 박인휘, "한반도‘안보-안보부재’의 정치학: ‘한미-남북’관계의 모순적 결합" 한국정치학회 45 (45): 229-249, 2011

      10 이삼성, "한반도 평화협정: 북한 핵문제 근본해결로서의 평화협정의 틀과 윤곽" (57) : 2005

      1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4

      2 우메바야시 히로미치, "핵 없는 세계로 가는길" 서해문집 2014

      3 이원봉, "한중관계 발전의 요인과 과제" (1) : 1992

      4 김동성, "한반도평화체제 논의와 구축방향" 경기개발연구원 2008

      5 이삼성, "한반도의 선택" 삼인 2001

      6 이삼성, "한반도의 선택" 삼인 2001

      7 백낙청, "한반도에서의 식민성 문제와 근대 한국의 이중과제" (105) : 1999

      8 이준규,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시아를 비핵지대로- 3+3안에 기초한 동북아시아 비핵지대 구상을 중심으로" 2004

      9 박인휘, "한반도‘안보-안보부재’의 정치학: ‘한미-남북’관계의 모순적 결합" 한국정치학회 45 (45): 229-249, 2011

      10 이삼성, "한반도 평화협정: 북한 핵문제 근본해결로서의 평화협정의 틀과 윤곽" (57) : 2005

      11 박영호, "한반도 통일문제에 대한 주변4국의 입장 분석" 민족통일연구원 1997

      12 정근식, "한국학의 학술사적 전망 2권" 소명출판 2014

      13 동북아시대위원회,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 구상" 동북아시대위원회 2005

      14 최원식,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79) : 1993

      15 윤여일, "탈냉전기 동아시아 담론의 형성과 이행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6 조자상, "조선 핵위기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역할" 04 (04): 2004

      17 송주명, "일본의 민족주의 국가전략: ‘경제대국’을 넘어 ‘안보대국’으로" (48) : 2005

      18 권영경, "아시아·태평양 지역협력 추세에 비추어 본 남북경협의 발전방향" 북한연구학회 7 (7): 275-298, 2003

      19 허문영, "북핵보유선언: 향후 정세전망과 우리의 정책방향" 통일연구원 2005

      20 최명해, "북한의 대중 ‘의존’과 중국의 대북 영향력 평가" 외교안보연구원 2010 (2010): 2010

      21 돈 오버도퍼 로버트 칼린, "두 개의 한국" 2014

      22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창비 2000

      23 윤여일, "동아시아담론" 돌베개 2016

      24 전재성, "동아시아공동체신화와현실" 동아시아연구원 2008

      25 이윤식, "동아시아, 갈등을 넘어 협력으로" 오름 2011

      26 정영신, "동아시아 분단체제와 안보분업구조의 형성 ― 동아시아의 전후 국가형성 연구를 위한 하나의 접근 ―" 한국사회사학회 (94) : 5-48, 2012

      27 고성빈, "동아시아 담론의 논리와 지향"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28 전재성, "동아시아 국제정치" EAI 2011

      29 최장집, "동아시아 공동체의 이념적 기초: 공존과 평존를 위한 공동의 의미지평" 아세아문제연구소 47 (47): 93-122, 2004

      30 이철기, "동북아시아 비핵지대화 구상" 9 (9): 2000

      31 이삼성, "동북아시아 비핵지대" 살림 2005

      32 이철기, "동북아다자간안보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 동북아안보와 한반도 문제 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28 (28): 1994

      33 이철기, "동북아 비핵지대 창설의 가능성: 동남아 비핵지대와의 비교" 아세아문제연구소 49 (49): 107-140, 2006

      34 최원식, "남북 통일에 관한 정치경제적 담론의 유효성과 한계"

      35 田中昭彦, "アジアのなかの日本" NTT出版 2007

      36 권혁태, "‘고구려사 문제’와 일본의 동북아시아 인식" (45) : 2004

      37 이삼성, "[기획:한반도 평화와 통일문제]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공동체 사이에서-" 5.18연구소 6 (6): 5-50, 2006

      38 Endicott, John, "Track‐II Cooperative Regional Security Efforts: Lessons from the Limited Nuclear‐Weapons‐Free Zone for Northeast Asia" 11 (11): 1999

      39 정철호, "NPT 유효성 한계의 극복 방향" 세종연구소 2011

      40 Robert L. Rothstein, "Alliances and Small Power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41 Umeyabashi, Hiromichi, "A Northeast Asia Nuclear Weapon Free Zone(NEA‐&NWFZ)" Peace Depot & Pacific Campaign for Disarmament and Security 2004

      42 여인곤, "21세기 미・일・중・러의 한반도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통일연구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