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 중심의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적 상상력 함양 방안

        이인재(Lee In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도덕적 상상력은 특정한 상황에서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가능한 여러 대안을 생각해 보고, 그 결과들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으로 도덕적 추론, 공감, 배려, 동정심이 발휘될 때 가능한 것이다. 최근 역량 중심의 도덕과 교육 및 인성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생들이 도덕적 상상력을 잘 발휘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면 인성교육 및 도덕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연구는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 분석을 토대로 도덕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안을 탐구한 것이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역량중심의 인성교육 또는 도덕과 역량이나 기능 함양과 관련하여 도덕적 상상력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의 근거를 찾고 이에 터한 도덕적 상상력을 기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속성, 작동 기제 등에 대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역량중심 인성교육과 도덕과 역량 또는 기능 함양을 위해 적절한 요인을 찾아 이에 부합하게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Moral imagination can generally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escape from self-centeredness in a particular situation, to consider the possible alternatives, and to evaluate the right and wrong or good and bad of the results. Moral imagination therefore can be effectively exercised when moral reasoning, empathy, care and compassion are functioned properly. With the recent emphasis on competence-based character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f students have learned moral imagination to solve a given problem, it can help them achieve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However, existing researches on moral imagination have explored general methods that can be used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oral imagination. There has been no research that finds a basis for how to be connected and suggests ways to develop moral imagination in relation to competencies. until now.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mpetence-base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purpose is to explore the appropriate factors for developing competences or functions to cultivate moral imagination.

      • KCI등재

        倫理道德教育教學中道德想象力的培養

        張壽(Zhang, Sho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y the moral imagination of students should be cultivated and how to cultivate in the process of school moral education and t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ism. The aim of school ethical education and teaching is to enhance students moral understanding and cultivate their moral wisdom to discover and create practical norms. However, the realization of this goal is inseparable from the cultivation of moral imagination. Moral imagination is the ability to use imagination to identify and imagine the possible outcomes of various behaviors. This kinds of moral imagination are the cognitive basis and prerequisite for moral judgment and moral understanding. Therefore, cultivating students moral imagin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goal orientation of school ethical education and teaching reform.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will present the fundamental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imagination in terms of human cognitive structure. Next, I will explore the overall goals and specific goals of fostering moral imagination for students in school moral education and teaching. Finally, as a path selection of moral imagination training for students, I suggest lectures on the knowledge of moral understanding; metaphorical approach to abstract moral concepts; use of excellent literary visual works; statements on the narratives of students their own real life; and transition of teacher s role and action etc. 이 논문의 목적은 체험주의적 시각에서 학교 윤리 도덕교육 및 교수 과정에서 학생들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을 왜 양성해야 하며, 또한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논하는 것이다. 학교 윤리 도덕교육 및 교수의 목표와 임무는 학생들의 도덕적 이해력을 높이고, 그들의 실천적 행위규범을 발견하고 창조하는 도덕적 지혜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 같은 목표 임무의 달성은 도덕적 상상력의 양성을 떠날 수 없다. 체험주의에 따르면 도덕적 상상력은 일종의 상상을 통해 자신의 다양한 행동의 가능한 결과를 식별하고 추측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도덕적 상상력 은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이해를 위한 인지적 기반이고 선결 조건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도덕적 상상력을 양성하는 것은 학교 윤리 도덕교육 및 교수 개혁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먼저 인간의 인지적 구조 차원에서 도덕적 상상력 양성의 근본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교 윤리 도덕교육 및 교수 과정에서 학생들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 양성의 총체적인 목표와 구체적인 목표를 탐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 양성의 경로 선택으로 도덕적 이해의 지식에 관한 강의, 추상적 도덕 개념에 대한 은유적 접근, 우수한 문학 영상 작품들의 활용, 학생들 자신의 현실 생활 서사를 진술, 교사 역할과 작용의 전환 등을 제안한다.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이두연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도덕적 상상력의 필요성을 탐구하고 도덕적 상상력이 어 떻게 함양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덕적 상상력 의 개념을 마크 존슨과 너스바움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도덕적 상상력은 자신 만의 체험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도덕적 이해 영역과 자신 및 타인 모 두에게 공감하는 정의적 영역이 모두 합해진 복합적인 능력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영역을 중심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 수학습 방안을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내용과 관련지어 다음과 같 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콜버그의 역할채택을 제안하여 자신 및 타 인의 상황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추론하는 도덕적 상상력 함양 기회 를 제공한다. 둘째, 예술교육을 통해 섬세하고 치밀한 공감능력에 근거 한 도덕적 상상력을 발달시키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eed for moral ima gination and to reveal how moral imagination can be cultivated. To this e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of moral imagination c entering on the theory of Johnson and Nussbaum, and suggest conc rete teaching methods. Moral imagination is a complex ability that combines both the domain of moral understanding that is inferred based on one's own experience and the domain of affection that is sympathetic to both oneself and other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cultivate moral imagina tion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high school life and ethics as fol lows. First, it offers the opportunity to develop moral imagination by imagining how it will affect the situation of self and others by sugg esting the moral dilemma situation and role change of Kohlberg. Sec ond, I tried to present a way to develop a moral imagination based on delicate and sympathetic ability through art education. The purpo se is to combine the concept of moral imagination with the discours e of art education and apply it morally.

      • KCI등재

        도덕적 의사결정에서 도덕적 상상력의 기능과 도덕교육에의 적용 방안 연구

        문경호(Moon, Ky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moral imagination and also the use of moral imagination at the school s moral education scene, noting that moral imagination can perform a significant function in the process of moral decision making. Moral imagination is the ability to predict and influence the decisions of self and other people through empathic and imaginative reasoning in moral problems, and to find and solve alternative solutions based on these predictions. When faced with moral situations, the process of evaluating alternatives by creating moral alternatives and reviewing the expected consequences of each alternative can be improved through moral imagination. In order to improve moral decision-making ability through moral imagination, literature and images can be used in class. Literature and images equipped with a narrative form can be effectively used as indirect experience contents of moral decision making through moral imagination, Because it can function effectively. 이 글에서는 도덕적 상상력이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유의미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탐색하고, 학교 도덕 교육 현장에서 도덕적 상상력을 활용한 수업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덕적 상상력은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공감적이고 상상적인 추론을 통해 자신의 결정이 자신과 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결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고 평가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도덕적 사태에 직면하였을 때, 도덕적 대안을 창출하고, 각각의 대안이 초래할 수 있는 예상되는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대안을 평가하는 과정은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학생들의 도덕적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학과 영상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데, 서사적 형식을 갖추고 있는 문학과 영상은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도덕적 의사결정의 간접 체험 콘텐츠 혹은 도덕적 실험의 장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

        이성천,이은영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This paper appears in the system of thought of Han deserve moral imagination and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identifying serve as means. This paper raises these issues through the Han's literary writing editorials, and practical action as a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rather than isolated from each other 'moral imaginatio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medium that it would prove. His literary creation, as well as activities unrelated to the accident or any other kind of activity, not an optional matter in his whole life and activity would suggest that naturally harmonious. Specifically, chapter 2 of the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relation- ship between imagination and practice Buddhist philosophy of Man- hae looked around. Chapter 3 of the moral imagin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Manhae and the information primarily for the ('Korea Buddhist theism') was investigated through. Chapter 4 of Manhae and his literary and moral imagination in practice what is being expressed and examined in detail. In the process, this study literature and practice of the Manhae is not a separate activity of the external manifestation of the imagination proved to be the same. Manhae in terms of personal moral imagi- nation of the inner discourse of the literary and 'linguistic' is expre- ssed in the form of Buddhism called reform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physical' is expressed in the form. Also expressed in the language of literature over the Manhae individuals to stimulate the reader's moral imagination wont recharge, so the reader inside the external action of the imagination, after all, is leading to. Manhae moral imagination of the end of his own verbal or physical conduct of a motive, as well as one of his poems, novels and a change in the mind of the reader to act, make up. Thus, the literature of Manhae led his own practice and ethical means of wiping the mind, the other practical means to cultivate their moral imagination can be said. 이 논문은 만해 한용운의 사상체계에 나타나는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에 관한 의미 규명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만해의 문학적 글쓰기가 논설, 실천적 행위로써의 불교개혁운동 및 독립운동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도덕적 상상력’을 매개로 해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했다. 뿐만 아니라 그의 문학 창작 활동은 우연적이거나 다른 활동과 무관한 일종의 선택적 사안이 아니라 그의 전체적인 삶과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것임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체적 논의로 본고의 2장에서는 상상력과 실천의 관계에 대해 만해의 불교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의 형성과 그 내용에 대해 주로 「조선불교유신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이 그의 문학과 실천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만해의 문학과 실천은 별개의 활동이 아니며 동일한 상상력의 외부적 표출임을 입증했다. 개인적 측면에서 만해 내면의 도덕적 상상력은 문학과 논설이라는 ‘언어적’ 형식으로 표출되고, 불교개혁운동과 독립운동이라는 ‘신체적’ 형식으로 표출된다. 또한 언어로 표출된 문학은 만해 개인을 넘어서 독자의 도덕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함양시키는데, 이렇게 해서 독자 내면의 상상력도 결국은 외부적 실천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은 그 자신의 언어적, 신체적 행위의 동인(動因)일 뿐만 아니라 그의 시, 소설을 읽는 독자의 마음에 변화를 일으켜 행동하게 만든다. 따라서 만해의 문학은 자기 자신의 실천을 이끄는 도덕적 마음을 닦는 수단이자, 타자들의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시키는 실천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논문 :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

        이성천 ( Seong Chun Lee ),이은영 ( Eun Young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이 논문은 만해 한용운의 사상체계에 나타나는 도덕적 상상력과 문학의 상관성에 관한 의미 규명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만해의 문학적 글쓰기가 논설, 실천적 행위로써의 불교개혁운동 및 독립운동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도덕적 상상력``을 매개로 해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했다. 뿐만 아니라 그의 문학 창작 활동은 우연적이거나 다른 활동과 무관한 일종의 선택적 사안이 아니라 그의 전체적인 삶과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것임을 제시하고자 했다.구체적 논의로 본고의 2장에서는 상상력과 실천의 관계에 대해 만해의 불교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의 형성과 그 내용에 대해 주로 「조선불교유신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만해의 도덕적상상력이 그의 문학과 실천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이 과정에서 본고는 만해의 문학과 실천은 별개의 활동이 아니며 동일한 상상력의 외부적 표출임을 입증했다. 개인적 측면에서 만해 내면의 도덕적 상상력은문학과 논설이라는 ``언어적`` 형식으로 표출되고, 불교개혁운동과 독립운동이라는 ``신체적`` 형식으로 표출된다. 또한 언어로 표출된 문학은 만해 개인을 넘어서 독자의 도덕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함양시키는데, 이렇게 해서 독자 내면의 상상력도결국은 외부적 실천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만해의 도덕적 상상력은 그 자신의 언어적, 신체적 행위의 동인(動因)일 뿐만 아니라 그의 시, 소설을 읽는 독자의 마음에 변화를 일으켜 행동하게 만든다. 따라서 만해의 문학은 자기 자신의 실천을 이끄는 도덕적 마음을 닦는 수단이자, 타자들의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시키는 실천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ppears in the system of thought of Han deserve moral imagination and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identifying serve as means. This paper raises these issues through the Han`s literary writing editorials, and practical action as a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rather than isolated from each other ``moral imaginatio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medium that it would prove. His literary creation, as well as activities unrelated to the accident or any other kind of activity, not an optional matter in his whole life and activity would suggest that naturally harmonious. Specifically, chapter 2 of the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relation- ship between imagination and practice Buddhist philosophy of Man- hae looked around. Chapter 3 of the moral imagin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Manhae and the information primarily for the (``Korea Buddhist theism``) was investigated through. Chapter 4 of Manhae and his literary and moral imagination in practice what is being expressed and examined in detail. In the process, this study literature and practice of the Manhae is not a separate activity of the external manifestation of the imagination proved to be the same. Manhae in terms of personal moral imagi- nation of the inner discourse of the literary and ``linguistic`` is expre- ssed in the form of Buddhism called reform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physical`` is expressed in the form. Also expressed in the language of literature over the Manhae individuals to stimulate the reader`s moral imagination wont recharge, so the reader inside the external action of the imagination, after all, is leading to. Manhae moral imagination of the end of his own verbal or physical conduct of a motive, as well as one of his poems, novels and a change in the mind of the reader to act, make up. Thus, the literature of Manhae led his own practice and ethical means of wiping the mind, the other practical means to cultivate their moral imagination can be said.

      • KCI등재

        통일에 대한 도덕적 상상력과 통일교육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0

        본 논문의 초점은 통일교육 교사들에게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강조하는 새로운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상력은 현존하지 않는 사람, 장소, 사물, 상황에 대한 풍부하고 다양한 정신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도덕적 상상력은 주어진 상황에서 다양한 행위의 가능성을 구분하고 주어진 행동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가능한 이익과 해악을 그려보는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고양된 도덕적 상상력을 가진 도덕적 행위자는 타인의 복지를 목적 그 자체로서 적극적으로 존중할 것이다.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들은 사회적, 실존적 갈등, 특히 정체성의 갈등, 소외, 편견과 같이 그들이 해결하기에는 복잡하고 어려운 한 도덕적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도덕적 상상력은 그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도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통찰력을 발달시키도록 도울 것이다. 본 몬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통일교육의 현실과 과제에 대한 논의이다. 둘째,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논의이다. 셋째, 베커(Wolfgang Becker) 감독의 굿바이 레닌!(Good Bye, Lenin!) 영화를 활용한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도덕과 수업의 사례 제시이다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을 활용하는 인격교육

        조미영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use moral imagination to achiev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is a mental characteristic that encompasses intellectual, affective, and behavioral traits, and expresses a person's dignity. In particular, Rickona defines that moral knowing, moral feeling, and moral action are related to each other. A good character is achieved by integrating three things: knowing, feeling, and acting on what is deemed to be good. Character pedagogues centered on Rickona,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or rationalized moral education in the theory of value clarification fail to provide a clear standard for right and wrong, not only confounding students about moral values, but also criticizing that they produced irresponsible young people. Therefore,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abits and behaviors raised in Aristotle's virtue theory, and insisted that he should help character grow through schoo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moral imagination, which provides a rich way of thinking about moral life, understands the behavior of oneself and others in the context of each individual, considers which actions are beneficial or harmful, and ultimately how to live helps you decide whether or not to do it. A person with this imagination can sensitively perceive the moral complexity of life, and can assess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life. Therefore, while understanding the moral imagination and the meaning and rol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of character education, it is possible to conduct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at utilizes moral imagination to form a mature character. 본 연구는 통합적 인격교육을 이루기 위해 도덕적 상상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격은 지적·정의적·행동적 특성을 포괄하는 정신적 특징으로 사람의 품격을 나타내는 것이며, 특히 리코나는 도덕적 인지와 감정, 행동의 세 부분이 상호 관련되어 이루어진다고 정의하였다. 훌륭한 인격은 선에 대해 알고 의지를 가지며 행동하는 세 가지가 통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리코나를 중심으로 한 인격교육론자들은 인지발달론이나 가치명료화 이론의 합리적 도덕교육은 옳고 그름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제시해주지 못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도덕적 가치에 대해 혼란에 빠뜨리게 했을 뿐만 아니라 무책임한 젊은이들을 양산했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에서 제기되었던 습관과 행위의 중요성을 다시 부각시키며, 학교교육을 통해 인격이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도덕적 삶에 대한 풍부한 사고방식을 제공하는 도덕적 상상력은 각 개인이 직면한 상황에서 자신과 타인의 행위를 이해하고, 어떤 행동이 이익 또는 해가 되는지를 고려하며, 궁극적으로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상상력이 발달한 사람은 삶의 도덕적 복잡성을 민감하게 지각할 수 있고, 삶의 다양한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적 상상력의 이해와 함께 인격교육의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 행동적 측면에서 지니는 의미와 역할을 검토하면서 성숙한 인격의 형성을 위해 도덕적 상상력을 활용하는 통합적 인격교육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 나타난 공감의 문제 연구- 공감적 상상력과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조혜경(Cho, hye kyung)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 논문은 공감과 도덕의 공통분모로서 상상력을 상정한다. 인간의 상상은 공감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리나 공감에 기반한 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도덕적인 상상의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공감의 범위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우리는 도덕적인 상상력을 통해 그것의 보편타당한 것인지 검증해야 하는 것이다. 공감의 문제에 천착했던 두 러시아 작가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의 소설에 나타난 주인공의 공감의 문제는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 먼저 <<지하로부터의 수기>>의 주인공은 자기만족과 우월감을 확인하기 위해 공감적 상상력과 도덕적인 상상력이 결여된 환상을 펼치며 리자를 모욕한다. 한편 <<지주의 아침>>의 주인공 네흘류도프는 자신의 목적과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농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것은 공감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즉 그에게는 공감적인 상상력이 부족했던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나중에 자신이 농민들과 하나가 되지 못하였음을 공감적 상상력의 부족에서 찾는다. 이처럼 공감은 단지 감정의 차원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차원에서도 보편타당함을 획득할 때 판단의 기준이 되고 실천의 동기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assumes imagination as a common denominator of sympathy and morality. Human imagination is necessary not only for sympathy but also for moral imagination to practice actions based on sympathy. Because the range of sympathy is infinite, we must verify that it is universally valid through moral imagination. The question of the sympathy of the protagonist in the novels of two Russian writers Dostoevsky and Tolstoy who stared at the issue of sympathy suggests many things to us. First, the protagonist of the Notes from the Underground insults Liza by unfolding a fantasy lacking sympathetic imagination and moral imagination to confirm self-gratification and sup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 of the Landowner s morning , Nekhliudov, tried to improve the lives of peasants in order to realize his goals and ideals, but it was not based on sympathy. In other words, he lacked sympathetic imagination. However, the main character later finds out that he is not one with the farmers because of lack of emotional imagination. As such, sympathy can become a criterion of judgment and an incentive to practice when acquiring universal relevance not only in the dimension of emotion but also in the moral dimension.

      • KCI등재

        전통 ‘의상(意象)론’에 기초한 ‘체험주의’ 교육의 ‘도덕적 상상력’ 연구— Mark Johnson의 ‘Moral Imagination’과 비교 —

        김현미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0

        본 논문은 동아시아 전통 ‘의상론’에 기초하여 ‘체험주의 교육’의 ‘도덕적 상상력’을 연구한 결과이다. ‘도덕적 상상력’은 대한민국 교육부가 2022년 12월에 고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제시하는 인간상 구현을 뒷받침하는 개인의 내적 역량으로, 타인의 입장에서 다양한 상황을 이해하고, 도덕적 숙고를 통하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더 나은 삶의 서사를 창조해나가는 개인의 내적 능력이다. ‘의상론’은 공자의 인(仁) 사상에서 발원하여 한나라 초기에 정립된 기화우주(氣化宇宙)관과 중화의학(中和醫學) 사상에 기초한 ‘생태존재론’이다. 종래 한국 학계에서 ‘도덕적 상상력’ 연구는 ‘체험주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체험주의’는 인간 본성인 ‘공감(empathy)’ 능력에 주목하여, 인간의 감성 능력인 ‘상상력’을 도덕적 가치 판단과 추론을 위한 핵심 요소로 다루었다. 이런 측면에서 현대 ‘체험주의 윤리학’에서 논하는 ‘도덕적 상상력’은 동아시아 전통 인식론인 ‘의상론’과 비교할 만한 맥락을 갖추었다. 이런 까닭에 ‘체험주의 윤리학’의 ‘도덕적 상상력’ 이론을 정리한 후, 이와 견주어 ‘의상론’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연구를 실시하였다. ‘의상론’은 전통 유학의 선한 본성론을 바탕으로 삼았으며, 한나라 초기에 형성된 ‘기화우주관’과 ‘중화의학’ 사상에 근거하여 공감의 범위를 우주⋅생태계 전체로 넓혔기에,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생태계 위기에 공감하는 도덕적 상상력”을 논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의상’은 우리 ‘몸’의 생리적 흐름인 ‘장상’에 기초하여 일어나는 마음의 현상으로, 주역 의 ‘천상’으로부터 투사된 것이다. 주역 의 ‘천상’은 ‘춘-하-추-동’ 사시로부터 일어난 추상 개념인 ‘인-의-예-지’에 ‘신(信)’을 더한 오상이다. 오상이 투사된 오장의 상상적 구조는 ‘심(心)-비(脾)-폐(肺)-간(肝)-신(腎)’이다. 오장에는 ‘맥(脈)-영(營)-정(精)-혈(血)-기(氣)’가 각각 담겼으며, 이는 정신 작용의 근원이 되는 물질적 요소들이다. 이 물질적 요소들에는 ‘신(神)-의(意)-지(志)-혼(魂)-백(魄)’이 담겨 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본문 중에 [그림1~7]로 정리하였다. ‘의상론’은 본래부터 ‘마음’을 ‘몸’과 분리하여 논하지 않았다. 처음부터가 ‘체화된 마음’이었고, ‘몸-마음’이었다. ‘의상론’에서 ‘의지’는 ‘경험’을 통하여 기억된 것이며, ‘혼백’은 타고난 원형과 본능을 말한다. ‘의지’와 ‘혼백’은 모두 ‘체화된 마음’으로, 이를 기초로 ‘사려(思慮)’가 이루어진다. ‘사(思)’는 ‘의지’를 지속할지 변경할지를 판단하는 통합적 활동이고, ‘려(慮)’는 사(思)에 기초하여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추론 활동이다. ‘의상’은 ‘심(心)’의 ‘상상적 구조’이며, 투사된 ‘천상’이고, 본성인 ‘천리’의 현상이다. 이를 타고난 본성으로 논함은 평생에 걸쳐 변하지 않는 확고한 규범이나 가치가 우리 내면에 새겨졌다는 뜻이 아니다. 우리가 외부 세계인 우주⋅생태계와 더불어 ‘태화(太和)’를 이루는 능력을 타고났다는 뜻이며, 이는 외부 세계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해 갈 수도 있다는 구성의 의미를 전제한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studying “Moral imag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and ecology based on “意象(Yi-Xiang) Theory.” which is a traditional East Asian epistemology. “Yi-Xiang” is an epistemology based on the view of “The vaporization universe” and “Oriental Harmony Medicine,” which originated from Confucius ideology of “ren(仁)” and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days of the Han Dynasty. “Moral imagination” is an individual's inner ability to create a better narrative of life by understanding various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and solving common problems through moral consideration. Conventional research on “Moral imagination” was based on “experiential ethics.” “Experientialism” focused on the ability of human nature to “empathy”, which is a human emotional ability, as a key element for moral value judgment and reasoning. In this respect, the “Moral imagination” discussed in the modern “experiential ethics” has a context comparable to that of the traditional East Asian epistemology, “empathy”. For this reason, after organizing the theory of “Moral imagination” of modern “experiential ethics,” a study of “Moral imagination” was conducted through “Yi-xiang theory” in comparison. Based on the theory of good natur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Yi-xiang theory” was based on the idea of “The vaporization universe” and “Oriental Harmony Medicine” formed in the early Han Dynasty, it was judg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discuss “Moral imagination to empathize with ecosystem crises.” “Yi-Xiang” is a phenomenon of the mind that occurs based on the physiological flow of our “body”, which is a phenomenon of the mind projected from the ‘celestial image’ of the Book of Changes . The ‘celestial image’ of the Book of Changes is a five-image that adds ‘xin(信)’ to the ‘ren(仁)-yi(義)-li(禮)-zhi(智)’, an abstract concept arising from the “Spring-summer-fall-winter” perspective. The imaginary structure of the five chapters on which the five images are projected is spleen(脾), lung(肺), liver(肝), kidney(腎), blood(血). The five chapters contain pulse(脈), camp(營), sperm(精), blood(血), qi(氣), which are material elements that are the source of mental action. These material elements contain ‘shen(神)’, ‘Yi(意)’, ‘Zhi(志)’, ‘Hun(魂)’ and ‘Po(魄)’. The contents related to this are summarized in [Figure 1-7] in the text. “意象(Yi-Xiang) Theory.” did not originally discuss ‘mind’ separately from ‘body’. From the beginning, it was ‘embodied mind’ and ‘body-mind’. In “意象(Yi-Xiang) Theory.”, ‘Will(意志)’ is remembered through ‘experience’, and ‘HunPo(魂魄)’ refers to an innate prototype and instinct. Both ‘Will(意志)’ and ‘HunPo(魂魄)’ are ‘embodied minds’, and based on this, ‘SaiLu(思慮)’ is made. ‘Sai(思)’ is an integrated activity that determines whether to continue or change ‘fwill’, and ‘Lu(慮)’ is an inference activity that predicts what will happen based on ‘Sai(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