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 교과서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최형찬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0 No.1

        This is to analyse 7th grade's morality textbooks of 2007 revised curriculum. A Textbook includes all the contents of the subject. It is the core of the subject education. Nevertheless, the authorities concerned and educators have little interest and make little effort in textbook contents. Morality textbook is an essential means of moral education and influences strongly on the students' morality development. Based on that, this study reviews moral model persons and moral topics in the textbooks and examines how this textbook influences on the students' morality development. To do this, it investigates the model person selection criteria and check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ions. Then, it examines the description styles of moral terms, moral episodes, and morality development. Conclusively, it suggests that improvement be needed in the choices of moral models and explanations of moral terms and the morality development. 이 논문은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를 분석한다. 교과서는 교과 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교과서는 각 교과의 목표와 그 실현을 위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관련 당사자들의 교과서 내용에 대한 관심과 개선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 특히 도덕 교과서는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도덕 교육에 있어 핵심적인 학습 도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도덕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도덕 교과서가 도덕성의 발달에 끼칠 영향에 관해 살핀다. 먼저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도덕적 이상을 구현한 인물로서 ‘도덕적 인물’이 도덕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도덕 교과서의 서술 방식과 도덕 교과서에 사용된 용어 등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먼저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도덕적 인물이 학생들의 도덕적 이상을 실천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교과서 서술방식이 도덕적 사실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거치지 않고 규범을 나열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규범의 나열은 관습적 도덕의 주입에 다름 아니며 중학교 학생들에게 필요한 도덕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도덕 교과서에서 도덕 용어를 출판사별로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에게 개념상의 혼란을 주고 있음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현행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도덕적 인물과 학습 내용의 서술방식 및 도덕 용어의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 분석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본 연구는 독일의 윤리교육의 성격과 위상, 실시 상황, 목표, 유형(내용) 등을 분석하고, 독일 초등학교 『윤리』교과서와 중등I단계 『사람으로 사는 과정의 모험』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가 우리나라 도덕과교 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의 윤리교육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는 역사적으로 종교교과 의 대체과목으로 출발하여, 현재 몇몇 주에서 선택의무교과 또는 필수의무교과로서 종교교과와 동등한 위상을 얻고 있다. 2) 독일의 윤리교과의 명칭은 ‘윤리’, ‘철학’, ‘삶의 설계-윤리-종교’, ‘가치와 규범’ 등으로 상이하지만, 윤리교과는 독일의 모든 주에서 실시되고 있다. 3) 독일 윤리 교과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책임 있고 윤리적 가치의식에 토대를 둔 도덕 판단 능력과 행위 실 천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4) 독일의 윤리교육은 실천철학으로서의 윤리교육, 삶의 지침으로서 의 윤리교육, 도덕적 교화 내지 가치교육으로서의 윤리교육, 윤리적 성찰로서의 윤리교육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독일의 윤리교육은 전체적으로 도덕적 판단,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독일의 윤리교과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가치 관계 확장 또는 생활 영역 확장에 따라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2)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및 토론 등을 강조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 윤리교육의 현황, 한계, 변화에 대한 분석과 윤리교과서 분석은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1)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현재와 같이 필수의무교과 로 설정, 유지될 필요가 있다. 2)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주요 가치와 덕목을 토대로 공동의 교 육과정을 수립하고, 각 교과서는 이를 기준으로 자율성과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3) 향후 우 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각 교과서의 분량과 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한다. 4)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가치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가치중립성의 원칙을 준수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도덕적 사유,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등을 강조하는 내용 구성의 적절성과 교육적 효과를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 status, situation, goal, contents of ethics education in Germany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namely Ethik in elementary school(Grundschule) and Abenteuer Mensch sein in middle school(Sekundarstufe I).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The analysis of ethics educ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haracterized as alternative subject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quasi-compulsory subject or compulsory subject. Today, ethics education in Germany become a equal status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2) Although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called differently(e.g. Ethik, Philosophie, Lebensgestaltung-Ethik-Religion etc), ethics education is taught in all states of Germany. 3) The goal of ethics education is to foster moral competence(e.g. moral judgment, moral practice etc). 4)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lassified as practical philosophy(Praktische Philosophie), guidelines of life(Lebenshilfe), moral education(Moralerziehung) and moral reflection(Moralische Reflexion). In short,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etc are emphasized in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Textbooks are written based on the principle of value relationship. 2)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asoning, discussion etc a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are as follows. 1)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a compulsory subject. 2) A common curriculum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formed based on core values and virtues. Based on this common curriculum, we can pursue autonomy and diversity of textbooks. 3)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amount and contents of textbooks. 4) We should recognize a diversity of values and observ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when we write textbooks. 5)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emphasis on moral thinking,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moral reasoning in relation to textbook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선정 평가기준 연구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도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덕·윤리 교사의 교과서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과서는 교실학습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교과서의 질은 교실학습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교실학습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검정심사에 합격하여 저작자나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교과서 선정 평가과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과 교과서 발행이 국정에서 검정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도덕과 교육에서 사용될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교사들이 개발한 타 교과 평가기준 분석,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과서 평가기준, 전문가회의를 거친 평가기준을 기초로 도덕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 평가기준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덕과 교과서의 적합성, 타당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비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교육, 현직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al education textbook evaluation tool with high confidence and universal validity. And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ograms which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moral teacher in textbooks evaluation. Evaluation on Textbook is defined as an action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xtbooks, which promotes the quality of textbooks by strengthening the advantages and revising the disadvantages. In order to evaluate textbooks, a textbook evaluation tool should be firstly developed. A textbook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evaluation categories,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cales. Out of the three elements,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developed not only by analyzing textbook authorization standards in a government level and teacher-developed evaluation standards in a school level, but also by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include both the internal areas of textbooks, such as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and the external areas of graphic layout (design and presentation), orthography, and durability.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정신과 추구하는 바를 실현함에 있어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도덕과교육 실행에 있어 도덕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바로 이런 점에서 좋은 도덕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하겠다. 이 연구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을 계기로 앞으로 도덕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 교과서 개발의 기본 관점으로서 유덕한 인격의 형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학교의 현실과 요구를 고려한 현장 적합성과 실효성이 높은 교과서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어 교과서에 담길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과교육학적 연구에 기반하는 동시에 교육과정상 지도 요소를 잘 상세화하여 가르칠 내용을 제대로 선정․조직하고, 내용의 질과 수준을 좀더 높이고 적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예화, 소재, 자료 등의 적절성을 높이는 일 등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제재의 체제․구성과 관련하여서는 탐구학습의 원리에 기반하는 일, 도덕 수업과 제재 구성의 기본틀은 덕과 인격육성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합리적이고도 분명히 하되 제재의 구성과 유형 등은 다양화하는 일, 교과서 자체의 수업 완성도를 높이고 기르고자 하는 것과 그 과정, 활동, 방법, 자료 등을 보다 자세히 담는 일 등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조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문제, 교과서 개발 시의 사전 연구 및 계획, 집필진의 구성과 운영 등 교과서 개발 과정과 조건의 충실화 측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As we know well, it is really important to develop good moral textbook because it is a critical element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So, in this paper, I discussed several items and suggested some ideas that we have to consider for making moral textbooks. First, we need to have right viewpoint that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and its textbook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character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moral textbook that is much appropriate to the abilities and demands of teachers and the re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rganized. Especially, considerating the main directions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when we decide the teaching contents. In addition, we have to select good contents that a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arrange them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stages. Moreover, taking appropriate quantity of contents and increasing the qualitie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are indispensable parts in making good moral textbook. Third, making reasonable structures and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s also a essential task. To do this well, in addition to take the principles of inquiry learning, we need not only to establish a rational-basic framework of virtue education and various models of moral teaching-learning but also to diversify the types and constructional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n moral textbook.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make more detailed textbook than now and to include right teaching-learning process, good activities, fine methods, and high-quality materials in the textbook.

      • KCI등재

        7차 교육과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 내용의 문제점 분석

        이영경 ( Young Kyu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한 것이다. 현행의 중학교 도덕 교과서는 6차 교육과정까지의 지식 전달 중심의 단선적인 교과서 내용에서 탈피하여 실천 중심의 다양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현행의 도덕 교과서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구성과 생활 중심적 특성, 다양한 예화의 편성, 한국 전통윤리의 가치와 소재의 적극적 활용 등 의미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의 도덕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점에서 중요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의 개선이 요청된다. 첫째, 윤리(도덕), 가치 개념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와 이에 의거한 적용이 문제되고 있다. 예컨대, 도덕성이 미적(美的) 가치를 규정한다고 진술하는 등 일종의 변형된 도덕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 자아 형성과 관련하여 청소년들이 첨예한 관심을 갖는 주제들(성문제, 흡연, 음주, 왕따, 인터넷 중독 문제 등)을 지나치게 소략하고 안이하게 다루고 있어서 실제적인 문제의식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국가와 사회에 대한 교과서의 관점이 여전히 국가에 대한 일방적인 충성심을 요구하는 맥락으로 진술되어 있어서,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의미가 제대로 표명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한국 전통의 문화와 윤리를 지나치게 미화시키고 있으며, 한국 전통 규범과 관련된 소재(素材)들을 해석하는데 있어서도 의미가 굴절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도덕 교과서에 함축되어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서 자율적으로 자신의 관점과 행위를 성찰케 하지 못하게 하고,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함양하는데 한계를 초래한다. 또한 한국 전통윤리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여 전통윤리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약화시킬 수 있다.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ㆍ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 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 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 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 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 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Nowadays we have developed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2009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s we know very well, the textbooks play the decisive role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 if we really want to practice good moral education in schools and bring up desirable character-virtues in our children, we must know the textbooks accurately and strive to use them very effectively. S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introduce and give some good explanations about the systems and structures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 inquired and suggested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moral teaching-learning that are practiced in using the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es. Also, I explained the difference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between 3-4 grade and 5-6 grade. And finally, I suggested some things that we have to considerate when we use the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KCI등재

        申海永 編述의 『倫理學敎科書』에 대한 재검토 - 도덕교육 학계의 관련 논의에 유의하여 -

        박학래(Park, Hakr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10여 년 전에 이미 역사학계의 연구를 통해 申海永(1870~1909)이 편술한 『倫理學敎科書』(1906, 1908)가 일부 내용 수정은 있었지만, 19세기 말부터 일본의 국가주의 도덕교육을 주도한 이노우에 테쓰지로(井上哲次郞)와 다카야마 린지로(高山林次郞)가 공동 저술한 『新編 倫理敎科書』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임이 밝혀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도덕교육 연구자들은 『윤리학교과서』가 『신편 윤리교과서』을 번역한 것임을 전혀 거론하지 않은 채, 이 교과서에 관한 도덕교육사적 의미와 내용 분석을 전개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사학계 연구에 유의하여 신해영의 생애를 수신 교과서 편술에 주목하여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리학교과서』의 편술 배경과 그가 편술의 저본으로 삼았던 『신편 윤리교과서』 판본 및 이에 관한 대체적인 내용을 분석적으로 정리하는 등 재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윤리학교과서』가 가지는 도덕 교육론적 의미와 한계를 제시하여 기존에 제시된 도덕교육 연구자들의 연구 내용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진전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More than a decade ago, researchers in history have already reported that Ethics Textbook(倫理學敎科書) edited and published by Shin Hae-young have been partially revised, but most of the contents of Japanese New Ethics Textbook(新編倫理敎科書)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However, moral education researchers have overlooked that Ethics Textbook has translated the Japanese New Ethics Textbook jointly written by Inoue Tetsujiro and Takayama Linjiro, who have led the nationalist moral education in Japan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history and the review of contents of moral education researchers on Ethics Textbook can be evaluated as revealing basic errors. In this study,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history academia, the life of Shin Hae-young was summarized by focusing on translation editing of Ethics Textbook. And the background of his edited and published Ethics Textbook was examined. In particular, Japanese New Ethics Textbook, which were the subject of translation, and the alternative contents of them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this, it suggest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Ethics Textbook in terms of moral education theory of ethics school textbooks, and suggested that critical reflection on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researchers" studies on moral textbooks of this period, is necessary.

      • KCI등재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김형주 ( Hyeongjoo Kim ),변순용 ( Byun Sun-yong ),김민수 ( Kim Min-s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본 연구는 독일의 초등 도덕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의 도덕과 교육 및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독일의 초등학교에 실제 적용되고 도덕과 교과서이며, 구체적으로는 현재까지 독일 초등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코넬슨(Cornelson), 클레트(Klett), 밀리츠케(Militzke)출판사의 교과서들이다. 이 교과서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는 독일 초등 도덕과 교과의 내용 구성 원리 및 성취 능력 목표를 귀납적으로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 성과를 토대로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의 핵심은 두 가지이다. 우선, 독일의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네 가지의 범주 영역을 근간으로 되어 있음을 밝힌다. 네 가지 범주 영역은 첫째, ‘자아에 대한 반성과 이해’, 둘째, ‘나와 공동체의 관계’, 셋째, ‘역사와 문화’, 넷째, ‘환경과 자연 혹은 세계’이다. 다음으로, 각 범주 영역을 바탕으로 3가지의 성취 능력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이 드러난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러한 독일 초등 도덕과 관련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계의 특성을 우리는 ‘가치 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이라는 말로 함축하고, 이 모델이 ‘가치관계 확장 모델’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하고 있는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 및 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음을 결론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Germany.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and textbooks in Korea. Specifically, it analyzes textbooks that a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in Germany, analyzes contents of textbooks and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hese analyzes, we will derive the meaning of the content and editori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ity and textbooks in Germany. In our content analysis research, our core research achievements are twofold. One of them is that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is hunted into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are: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self’ ; second, ‘relationship with community’ ; third, ‘history and culture’ ; and fourth, ‘environment and nature or world’. The other is that the goal or ability of education based on this content converges to three. The three abilities are ‘conceptualization ability’, ‘text analysis ability’, and ‘reflection and judgment 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positively evaluate and uti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ositively, we summarize it from four viewpoints of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moral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