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 교과서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최형찬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0 No.1

        This is to analyse 7th grade's morality textbooks of 2007 revised curriculum. A Textbook includes all the contents of the subject. It is the core of the subject education. Nevertheless, the authorities concerned and educators have little interest and make little effort in textbook contents. Morality textbook is an essential means of moral education and influences strongly on the students' morality development. Based on that, this study reviews moral model persons and moral topics in the textbooks and examines how this textbook influences on the students' morality development. To do this, it investigates the model person selection criteria and check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ions. Then, it examines the description styles of moral terms, moral episodes, and morality development. Conclusively, it suggests that improvement be needed in the choices of moral models and explanations of moral terms and the morality development. 이 논문은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검정 도덕 교과서를 분석한다. 교과서는 교과 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교과서는 각 교과의 목표와 그 실현을 위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관련 당사자들의 교과서 내용에 대한 관심과 개선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 특히 도덕 교과서는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도덕 교육에 있어 핵심적인 학습 도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도덕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도덕 교과서가 도덕성의 발달에 끼칠 영향에 관해 살핀다. 먼저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도덕적 이상을 구현한 인물로서 ‘도덕적 인물’이 도덕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도덕 교과서의 서술 방식과 도덕 교과서에 사용된 용어 등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먼저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도덕적 인물이 학생들의 도덕적 이상을 실천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교과서 서술방식이 도덕적 사실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거치지 않고 규범을 나열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규범의 나열은 관습적 도덕의 주입에 다름 아니며 중학교 학생들에게 필요한 도덕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 실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도덕 교과서에서 도덕 용어를 출판사별로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에게 개념상의 혼란을 주고 있음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현행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도덕적 인물과 학습 내용의 서술방식 및 도덕 용어의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정세구(Jung Se-K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교사용 지도서 포함)의 개발 역정을 제3차 교육과정기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밝힌 것이었다.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전담했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학년별 1권씩 3권이 편찬되었는데 교과서 내용선정원칙은 전통적인 윤리학설과 4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였고,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는 전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반공교육과 발달과업 실현의 원리와 가치관 형성의 원리에 따라 편찬되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국민윤리’ 모두 국판의 소형, 흑백 인쇄의 수준이었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교 ‘도덕’교과서 개발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고등학교 ‘국민윤리’교과서 개발을 담당한 역할 분담의 시기였다. 중학교 ‘도덕’은 권수나 내용 선정원칙 모두 제3, 4차와 거의 같았다.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서는 종전과 같이 3개 학년 1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직한 윤리관이나 윤리체계를 갖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는 종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제6차와 제7차의 교육과정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에서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개발을 둘 다 담당한 시기였다. 제6차에서 중학교 ‘도덕’은 종전처럼 3권이 편찬되었는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내용선정원칙을 정하였다. 고등학교 ‘윤리’는 전 학년 1권인데 내용선정 원칙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제7차에서는 교육과정체계가 근본적으로 변경되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가 ‘도덕’,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의 3개 선택과목을 개설하였다. 그에 따른 새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교과서는 종전에 비해 거의 2배 크기의 판형, 총천연색 사진과 고급지질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형 수준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extbook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edited from the 3r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3rd(1973, 1974-1981) and 4th curriculum periods(1981-1987, 1988) were the time whe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student, 3 books for each school year, were develop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e., the deontological and the teleological, while the national ethics education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1 book for 3 years, was developed on the principle of anti-communism education plus the realization of values formation The 5th curriculum period(1987, 1988-1992) was the time when KEDI and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hared the responsibility of developing second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rinciple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3rd and 4th curriculum period, while that of content selection for the high school was drastically changed to the extent that desirable ethical views and ethical systems of Korea were very emphasized. The 6th(1992-1997) and 7th curriculum periods(1997-2007) were the time when the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charge of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the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ethics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s students for the 6th curriculum period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5th curriculum but those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6th curriculum: the new 7th curriculum designed 'Moral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to the 1st grade in the high school(4grades) plus 3 selective courses of 'Citizen Ethics', ’Ethics and Thoughts', 'Traditional Ethics'. The textbook for the 7th curriculum period showed a very dramatic progress in its appearance and quality of edition to the extent that we can usually meet in the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정신과 추구하는 바를 실현함에 있어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도덕과교육 실행에 있어 도덕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바로 이런 점에서 좋은 도덕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하겠다. 이 연구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을 계기로 앞으로 도덕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 교과서 개발의 기본 관점으로서 유덕한 인격의 형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학교의 현실과 요구를 고려한 현장 적합성과 실효성이 높은 교과서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어 교과서에 담길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과교육학적 연구에 기반하는 동시에 교육과정상 지도 요소를 잘 상세화하여 가르칠 내용을 제대로 선정․조직하고, 내용의 질과 수준을 좀더 높이고 적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예화, 소재, 자료 등의 적절성을 높이는 일 등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제재의 체제․구성과 관련하여서는 탐구학습의 원리에 기반하는 일, 도덕 수업과 제재 구성의 기본틀은 덕과 인격육성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합리적이고도 분명히 하되 제재의 구성과 유형 등은 다양화하는 일, 교과서 자체의 수업 완성도를 높이고 기르고자 하는 것과 그 과정, 활동, 방법, 자료 등을 보다 자세히 담는 일 등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조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문제, 교과서 개발 시의 사전 연구 및 계획, 집필진의 구성과 운영 등 교과서 개발 과정과 조건의 충실화 측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As we know well, it is really important to develop good moral textbook because it is a critical element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So, in this paper, I discussed several items and suggested some ideas that we have to consider for making moral textbooks. First, we need to have right viewpoint that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and its textbook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character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moral textbook that is much appropriate to the abilities and demands of teachers and the re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rganized. Especially, considerating the main directions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when we decide the teaching contents. In addition, we have to select good contents that a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arrange them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stages. Moreover, taking appropriate quantity of contents and increasing the qualitie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are indispensable parts in making good moral textbook. Third, making reasonable structures and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s also a essential task. To do this well, in addition to take the principles of inquiry learning, we need not only to establish a rational-basic framework of virtue education and various models of moral teaching-learning but also to diversify the types and constructional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n moral textbook.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make more detailed textbook than now and to include right teaching-learning process, good activities, fine methods, and high-quality materials in the textbook.

      • KCI등재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 분석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본 연구는 독일의 윤리교육의 성격과 위상, 실시 상황, 목표, 유형(내용) 등을 분석하고, 독일 초등학교 『윤리』교과서와 중등I단계 『사람으로 사는 과정의 모험』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독일의 윤리교육과 윤리교과서가 우리나라 도덕과교 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의 윤리교육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는 역사적으로 종교교과 의 대체과목으로 출발하여, 현재 몇몇 주에서 선택의무교과 또는 필수의무교과로서 종교교과와 동등한 위상을 얻고 있다. 2) 독일의 윤리교과의 명칭은 ‘윤리’, ‘철학’, ‘삶의 설계-윤리-종교’, ‘가치와 규범’ 등으로 상이하지만, 윤리교과는 독일의 모든 주에서 실시되고 있다. 3) 독일 윤리 교과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책임 있고 윤리적 가치의식에 토대를 둔 도덕 판단 능력과 행위 실 천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4) 독일의 윤리교육은 실천철학으로서의 윤리교육, 삶의 지침으로서 의 윤리교육, 도덕적 교화 내지 가치교육으로서의 윤리교육, 윤리적 성찰로서의 윤리교육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독일의 윤리교육은 전체적으로 도덕적 판단,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독일의 윤리교과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가치 관계 확장 또는 생활 영역 확장에 따라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2) 독일의 윤리교과서는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및 토론 등을 강조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 윤리교육의 현황, 한계, 변화에 대한 분석과 윤리교과서 분석은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1)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현재와 같이 필수의무교과 로 설정, 유지될 필요가 있다. 2) 우리나라 도덕과교육은 주요 가치와 덕목을 토대로 공동의 교 육과정을 수립하고, 각 교과서는 이를 기준으로 자율성과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3) 향후 우 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각 교과서의 분량과 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한다. 4)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가치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가치중립성의 원칙을 준수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향후 우리나라 도덕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도덕적 사유, 도덕적 탐구, 도 덕적 성찰, 도덕적 추론 등을 강조하는 내용 구성의 적절성과 교육적 효과를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 status, situation, goal, contents of ethics education in Germany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namely Ethik in elementary school(Grundschule) and Abenteuer Mensch sein in middle school(Sekundarstufe I).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The analysis of ethics educ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haracterized as alternative subject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quasi-compulsory subject or compulsory subject. Today, ethics education in Germany become a equal status of religion subject education. 2) Although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called differently(e.g. Ethik, Philosophie, Lebensgestaltung-Ethik-Religion etc), ethics education is taught in all states of Germany. 3) The goal of ethics education is to foster moral competence(e.g. moral judgment, moral practice etc). 4) Ethics education in Germany can be classified as practical philosophy(Praktische Philosophie), guidelines of life(Lebenshilfe), moral education(Moralerziehung) and moral reflection(Moralische Reflexion). In short,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etc are emphasized in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is as follows. 1) Textbooks are written based on the principle of value relationship. 2) Moral judgment, moral investigation, moral reasoning, discussion etc a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he suggestions of ethics education and textbooks for ethics education in Germany to our ethics subject education are as follows. 1)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a compulsory subject. 2) A common curriculum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should be formed based on core values and virtues. Based on this common curriculum, we can pursue autonomy and diversity of textbooks. 3)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amount and contents of textbooks. 4) We should recognize a diversity of values and observe the principle of neutrality when we write textbooks. 5) We should review the propriety of emphasis on moral thinking, moral investigation, moral reflection, moral reasoning in relation to textbook for ethics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선정 평가기준 연구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도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덕·윤리 교사의 교과서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과서는 교실학습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활용된다. 따라서 교과서의 질은 교실학습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교실학습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검정심사에 합격하여 저작자나 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교과서 선정 평가과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과 교과서 발행이 국정에서 검정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도덕과 교육에서 사용될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도덕과 교육의 중요한 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덕과 교과서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교사들이 개발한 타 교과 평가기준 분석,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과서 평가기준, 전문가회의를 거친 평가기준을 기초로 도덕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 평가기준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덕과 교과서의 적합성, 타당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비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교육, 현직 도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 평가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al education textbook evaluation tool with high confidence and universal validity. And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ograms which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moral teacher in textbooks evaluation. Evaluation on Textbook is defined as an action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xtbooks, which promotes the quality of textbooks by strengthening the advantages and revising the disadvantages. In order to evaluate textbooks, a textbook evaluation tool should be firstly developed. A textbook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evaluation categories,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cales. Out of the three elements,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developed not only by analyzing textbook authorization standards in a government level and teacher-developed evaluation standards in a school level, but also by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include both the internal areas of textbooks, such as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and the external areas of graphic layout (design and presentation), orthography, and durability.

      • KCI등재

        7차 교육과정 중학교 도덕 교과서 내용의 문제점 분석

        이영경 ( Young Kyu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한 것이다. 현행의 중학교 도덕 교과서는 6차 교육과정까지의 지식 전달 중심의 단선적인 교과서 내용에서 탈피하여 실천 중심의 다양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현행의 도덕 교과서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구성과 생활 중심적 특성, 다양한 예화의 편성, 한국 전통윤리의 가치와 소재의 적극적 활용 등 의미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의 도덕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점에서 중요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의 개선이 요청된다. 첫째, 윤리(도덕), 가치 개념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와 이에 의거한 적용이 문제되고 있다. 예컨대, 도덕성이 미적(美的) 가치를 규정한다고 진술하는 등 일종의 변형된 도덕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둘째, 자아 형성과 관련하여 청소년들이 첨예한 관심을 갖는 주제들(성문제, 흡연, 음주, 왕따, 인터넷 중독 문제 등)을 지나치게 소략하고 안이하게 다루고 있어서 실제적인 문제의식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국가와 사회에 대한 교과서의 관점이 여전히 국가에 대한 일방적인 충성심을 요구하는 맥락으로 진술되어 있어서,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의미가 제대로 표명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한국 전통의 문화와 윤리를 지나치게 미화시키고 있으며, 한국 전통 규범과 관련된 소재(素材)들을 해석하는데 있어서도 의미가 굴절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도덕 교과서에 함축되어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서 자율적으로 자신의 관점과 행위를 성찰케 하지 못하게 하고,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함양하는데 한계를 초래한다. 또한 한국 전통윤리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여 전통윤리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약화시킬 수 있다.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Nowadays we have developed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2009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s we know very well, the textbooks play the decisive role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is country. So if we really want to practice good moral education in schools and bring up desirable character-virtues in our children, we must know the textbooks accurately and strive to use them very effectively. S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introduce and give some good explanations about the systems and structures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 inquired and suggested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moral teaching-learning that are practiced in using the textbooks in elementary classes. Also, I explained the difference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between 3-4 grade and 5-6 grade. And finally, I suggested some things that we have to considerate when we use the textbooks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초등 도덕과 새 교과서 체제ㆍ구성의 특징과 활용 방안

        유병열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2007 개정 초?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 초등 도덕과 교과서가 개발되어, 2010년부터는 3?4학년용이 그리고 2011년부터는 5?6학년용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도덕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그 활용을 제대로 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새 도덕 교과서의 체제?구성 을 소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구, 안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새 도덕과 교과서가 어떤 관점과 원리 위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새 도덕 교과서는 덕과 인격을 기르기 위한 덕?인격교육적 접근에 기초하고 있으며. 덕과 인격을 구성하는 지?정?행 측면의 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르기 위해 조직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접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안내하고자 한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새 도덕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 수업이 기 본적으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새 교과서를 활용한 도덕수업은 1차시: 지식이해 중심-2차시: 도덕판단 중심-3 차시: 가치심화 중심을 기본골격으로 하면서 여기에 정의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순차적?동시적으로 통합 추구되도록 하고 있 는데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도덕수업의 기본 모습을 탐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중학년과 고학년 교과서 사이 의 차별성과 연계성 및 새 도덕 교과서 활용상의 유의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에 대한 서사학적 접근 -주네트의 『서사담론』을 중심으로-

        송영민 ( Young Min S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4

        교사는 도덕과 수업을 위해 도덕과 교육과정을 구체화한 도덕과 교과서를 연구한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도덕과 교과서를 해석의 텍스트로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가르치기 위해서이다. 해석 텍스트로서 도덕과 교과서는 교과서 저자들이 도덕과 교육과정을 주제로 서술한 일종의 서사이다. 다른 서사 텍스트와 달리 저자성이 축소된 도덕과 교과서는 텍스트에 초점을 두는 서사 이론의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 구조주의 서사이론은 텍스트에 초점을 두면서 작품의 의미가 발생하는 전반적 구조를 밝힌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주의 서사이론의 고전으로 평가되는 주네트의 『서사담론』을 중심으로 그의 이론을 정리하고, 그 정리에 터하여 도덕과 교과서라는 서사담론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도덕과 교과서 단원의 전체적 서사구조는 도덕과 목표 및 수업에 관한 지배적 경향을 ‘비초점화’ 관점에서 ‘겉 이야기’의 서술자가 피서술자에게 요약하는 목소리로 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저자의 서사행위에서도 ‘겉 이야기-이종이야기’ 서술자가 ‘겉 이야기’의 피서술자에게 ‘비초점화’ 관점에서 말하는 형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차시를 구성하는 주요 서사에서는 내포 독자가 실제 독자와 동일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교과서 서술자가 실제독자에게 설명하고 설득하는 형식에 가깝다. 따라서 도덕과 교과서의 개선을 위해서는 현행 교과서에 나타난 주된 서사 형식의 변경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A teacher studies on moral education textbooks that take shape a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moral education curriculum by using a moral education textbooks.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as a interpretation text are a kind of narrative in which authors of textbook expose a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moral theme. But a moral education textbooks differentiate in the respect of reduced authorship than other typical narrative. In the structuralist criticism, it clarify the way of emerging meaning in global structure of works. Gerard Genette’s Narrative Discourse is evaluated as classical text in the structuralist narrative theory. This study was to carry out narrative analysis o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 based on Genette’s Narrative Discourse. Whole structure of it narrates dominant inclination of moral education aim and moral instruction as a story. And narrator narrate to the narratee in extradiegetic story by voice of summary. We can see that a type for explanation and persuasion by a omniscient narrator to the real reader like teacher. And also, in the narrating act focusing on students, we can see that narrator in extradiegetic-heterodiegetic speak to the narratee in extradiegetic by voice of zero focalization. We can see that as a type for explanation and persuasion to the real reader. And also in the main narratives constituting each periods, a implicit reader identify a real reader. We can see that as a type for explanation and persuasion, too. For the improvement of textbook, we endeavor to alternation of narrative form that differentiate from dominant narrative form of current moral education textbooks.

      • KCI등재

        초등 교사의 교과서 중심 도덕 수업에 대한 이해

        권혜선 ( Hye Seon Kw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4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덕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교과 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양질의 도덕 수업을 위해서는 도덕 수업의 주체인 교사를 중심으로 도덕 교과서의 활용과 수업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덕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지니고 있지 않은 일반적인 초등교사 명을 대상으로 도덕 교과서 활용 경험과 수업 방식에 대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도덕 교과서의 내용이 너무 많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수업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 자신 교과서 내용 선택 과정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의 수업 방식은 교사의 부담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한 번 읽어라도 보기 상시적으로 인식시키고 자연스럽게 넘어가기 일단 재미있는 활동 선택하기 급하게 진도 나가기 의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지닌 부담의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도덕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 안에 다루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덕 교과서의 내용을 축소하고 보다 정제된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추후 학교 현장에 기 반한 실제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textbooks take a significant position in that most of the curriculum subjects, including moral education, rely on the textbook as a major pedagogical tool. For the quality of moral educ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pecifically how teachers, who are one of the main agent of the class, utilize the textbook in their class and which kind of teaching methods they employ. Hence,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experience of the usage of moral textbooks and their instruction style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with participation of 6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do not have any special interest in moral educati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eachers made optional use of moral textbooks in their class because there are too much contents in the textbook. In this process, the teachers felt lots of burdens to select adequate substances and lead a successful class, consider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hemselves. With regard to the way of teaching, there were various strategies to reduce instructors` pressure, such as ``read it at least once``, ``pass it naturally as daily promotion of students` consciousness``, ``choose interesting activities`` and ``move quickly to next content``; Which method teachers tak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urden they feel. To improve the quality of moral education class, it is required to diminish the contents of moral textbooks and reconstruct the textbooks with more refined substances. To do so, it is anticipated that more academic commitments will be made, based on the field of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