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대학교 교양수학 교수요목 선정을 위한 방향 탐색

        강지형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이 초등학교 교직수학으로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교양수학의 교수요목선정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전국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지도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교재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양수학 교재의 내용분석 결과를 2007년에 개정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quire into the direction for choosing the syllabu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materials of the curriculums in the al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And we analyzed the role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in relation to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Finally we compared them with the suggestions offered by other researches and the national curriculum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 고오든의 AMMA에 의한 음악심화과정

        함희주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1

        초등교사의 음악적성은 음악학습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연구의 목적에서 제 시한것과 같이 현재 초둥 교육제도에 의하면 한 교사가 거의 모든 교과를 담당하도록 하 고있다. 음악교과는 일반 교과와 다르기 때문에 음악에 대한 일정한 소질과 능력이 갖추 어져야 한다. 현재 초등교사 교육과정에 있는 각 교육대학교의 학생들의 음악적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없다. 본 연구 및 각 교육대학에서 사용한 연구도구인 AMMA 검사결과에 의하면 전체 평균 이 중하위로 나타났다. 즉 AMMA검사에 의하면 현재 각 교육대학교의 학생들의 음악적 성이 부족하다는 결과이다. 물론 음악적성은 한 검사에 의한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할 수 는 없지만 어느정도의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능력있는 초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의 예비교사들의 음악적성 및 소잘에 대한 비교연구를 하므로서 음악을 전담할수 있는 능력있는 교사로 양성하도록 해야한다. 효율적인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먼저 초등교육에서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자기전공 영역이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것은 또한 실제적으로 교육대학 입학제도에서 특정 한 기초능력을 필요로하는 교과에 대한 전공별 지원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음악 심화과정 학생들의 음악적성을 AMMA검사에 의해서 실시한 것이다. 결과에서 나타난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중간정도의 능력을 보이고 있다. 요 소별 능력은 각 학년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심화교과의 학습체 계와도 관계가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이 결과를 실례로 해서 앞으로는 음악심화과정 학생 들의 음악적성과 학년별 심화교과 학습과의 상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國民學校 體育科 保健敎育의 改善方案

        韓萬奎, 金壽均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4 公州敎大論叢 Vol.31 No.2

        지금까지 保健敎育을 둘러싸고 있는 諸 問題點과 일선학교의 保健敎育을 沮害하고 있는 要素들을 把握하기 위하여 國民學校 體育敎科 保健頜域의 敎育課程, 그리고 보건 교육을 擔當하고 있는 敎師들의 直前敎育이라고 할 수 있는 敎育大學의 保健關聯 敎育 課程, 一線 體育擔當敎師들의 設問內容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이들 내용을 分析한 結 果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었다. 첫째, 현행 보건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국민학교의 여러 敎科에 걸쳐 포함되어 있으나 엄밀한 意味의 보건교육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보건교육의 성격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 고 있는 體育敎科에서도 知識爲主의 敍述的으로 되어 있어 보건교육의 본래의 目的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건강지식을 실천하고 習慣化할 수 있는 내용으로 構成되어야 한다. 둘째,우리나라 保健敎育 교육과정 內容中 환경과 건강,정신건강,성교육,공중보건,도로안 전 둥에 관한 내용은 사회 문화적인 背景과 시대적인 必要에 의해 강조해야 할 분야이 다. 세째,국민학교 보건교육을 擔當하고 있는 일선 체육담당교사들의 直前敎育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내용중 보건교육과 관련된 講座는 일부 몇 敎育大學에서 만 開設되어 있고,거의 대부분의 교육대학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專門性 涵 養의 기회가 거의 없다. 각 교육대학에서는 이에 대한 깊은 認識과 實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와 關聯된 硏究에서도 一線敎師들이 학교보건이나 보건교육 에 관련된 강좌의 개설을 요구하고 있어 이의 개선이 必要함을 말해준다. 네째,국민학교의 養護敎師들의 직전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양호교사들은 大學在學中 많은 보건관련 講座를 履修하여 專門的인 能力은 갖추고 있으나, 아직은 양호교사의 配 置率이 일부 대도시에 集中되어 있고 지방의 배치율이 低調한 것으로 볼 때 양호교사들 을 활용한 전면적인 보건교육은 아직 시기상조이다. 따라서 양호교사의 配置를 沮害하 고 있는 關聯法規를 정비하여야 하겠으며 이들의 전문적인 지식을 언젠가는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할 때, 양호교사의 활용에 대한 年次的인 計劃과 施行이 있어야 할 것 이다. 다섯째,현행의 與件과 現況을 고려할 때 학교의 보건교육은 아직은 體育敎科를 통하여 보건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건교육을 擔當하고 있는 일선 체육담당교사들의 專門 性 涵養을 위한 硏修의 機會가 확대되어야겠으며,이들이 보다 정상적인 보건교육을 실 행하기 위한 視聽覺 補助資料의 개발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政府當局은 학교의 보건교육은 國家 敎育政策의 觀點에서 정책적인 배려와 계 획 그리고 주변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일곱째,일선 국민학교 體育擔當 교사들의 設問內容을 중심으로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일선 체육담당교사들은 체육교과 보건영역의 指導目的을 건강생활에 대한 바른 健康習 慣 形成에 두고 있다. 그리고 內容에 있어서 內容水準은 비교적 어렵게 느끼지는 않고 있으나 교사의 個人的 인 無關心으로 인하여 교과내용을 완전히 把握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과 보건영역의 내용중 가장 未洽한 部分은 내용체계가 실천능력의 배양이 아닌 知識爲主의 內容으로 構成되어 이의 시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학년별로 가장 중요하게 關心을 갖고 있는 內容은 3학년은 청결과 건강,4학년은 안전생활,5학년은 신체의 발달,6 학년은 성교육을 포함한 신체의 성장과정 單元을 들었다. 敎授-學習에 있어서는 거의 講義式에 의존하고 있고,1학기당 3-4時間 정도밖에 지도하 지 못하고 있으며,지도는 주로 雨天時등의 체육 실기지도를 할 수 없을 때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養護敎師들의 도움은 조금씩은 거의 받고 있으며 보건영역의 지도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理由로 時間確保 문제와 學習資料의 문제를 들 고 있어 이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關心과 관련기관의 학습자료 開發이 뒤따라야 한 다. 또 評價에 있어서는 知識爲主의 紙筆評價에 의존하고 있어 형식적인 보건교육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의 건강습관 실천과 태도 등 情意的 평가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리고 보건교육에 대한 硏修는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이 받은 적이 없으며 연수의 機 會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련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 고 一般硏修나 또는 보건교육에 대한 독립적인 敎科硏修 課程을 개설하여야 할 것이다.

      • 2007학년도 공주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한규정, 김주연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신입생들의 기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 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등 총 7개영역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로서 본교 신 입생 535명중 489명이 응답하였고 이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7 학년도 신입생의 연령분포는 만 21세 이상이 34.2%로 2006학년도에 비해 평균연령이 낮아졌으며, 과외를 받은 경험은 다소 높아졌다. 둘째, 신입생들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 적 그리고 종교적 배경 속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런 다양성이 대학교육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전년도와 비교해 볼 때, 신입생들이 지각하는 가정의 경제 형편은 부유해졌으며, 학비 조달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 없이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06학년도에 비해 신입생들은 본교 입학에 대한 만족감이 다소 낮아졌음 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신입생들은 진실한 대인관계를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 치로 또한 사회적 성공요인으로는 성실.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섯째, 혼전 성관계에 대해 신입생 응답자의 69.3%가 상관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캠퍼스 내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성희롱 및 성폭력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신입생들이 직 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들은 대학생활과 대인관계들이며 따라서 상담지원으로 진로 및 인간관계 개발과 대인 관계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freshmen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s, socio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ity, valu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the Research and Service Center for Students. Among 535 freshmen, 489 students replied to the survey. The result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34.2 % of replied freshmen were beyond 21 years or older, the average age of freshmen and private tutoring that they took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year 2006. Second, they came from variou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so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granted to guide and teach them. Third, as compared the results of the year 2006, the percentage are increased that most freshmen think their domestic economy a little better. Fourth, we found they were unhappier with entrance to this university but happier with Department than freshmen of the year 2006. Fifth, they think the great value in life is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primary factors of success are honesty and hard work. Sixth, 69.3 % of replied freshmen don't care a premarital sex, so the publicity toward sexual harassment should be released to prevent sexual assaults on and/or off campus. Seventh, the problems that are now being faced to freshmen ar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counseling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do the career orientation, development guidance and personal relationship.

      • 초등교사 실용지능 구성요인 확인을 통한 초등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강영햐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4 No.-

        이 연구는 초등교사 실용지능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교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 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9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교사 실용 지능 문항을 수집하고,24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문항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289명의 교사로 하여금 선정된 실용지능 평가 문항에 대 한 자기평가를 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요인분석 하였다. 초등교사 실용지능 요인으로 10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 로 선정된 요인은 추진능력,의사소통 능력,판단능력,대인관계 능력,지도능력, 풍부한 지식기반 그리고 탐구태도의 7요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교사 교육의 방향으로 전문성 발달을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추출된 실용지능 구성요인과 관련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과 직전교육의 교육실습과 워크샾 등을 통한 실용지능 요인과 관련된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제안되었다. 학생,학부모나 관련인사를 대상으로 초등교사 실용지능 요인을 밝히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intelligence and suggest the orientation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practical intelligence items were recruited from 46 elementary teachers and then the relevance of items were evaluated by 246. The final items, which were self rating scale, administered to 289 elementary teachers. The test results were factor-analysed. Push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judg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leadership, knowledge base, and exploring attitud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develop the abilities such as push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judg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leadership, knowledge base, and exploring attitudes. And the student-practices or workshops should be provided to practice these abilities. It was suggested that the studies of the elementary students, parents or other persons were need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elementary teachers.

      • 그람시(A. Gramsci)를 통해 본 지식인과 교육

        주진호(Ju Jinho)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교육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교육개혁에 대한 주체로서의 교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그람시의 사고를 통해 반성해 보고 어떤 방향의 교육개혁이 필요한가를 그의 헤게모니 개념 틀을 가지고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람시는 지식인을 사회현실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존재로 보았고 교육과 훈련을 통해 성장시킬 수 있다고 하였는데 학교교육에서 교사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았다. 교육개혁은 교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고 보통교육에 중점을 두고 자율적으로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교직문화를 활성화시키는 필요성 및 성공적인 교육개혁을 위한 ‘동의’를 통한 그람시의 유기적 지식인으로서의 교사의 모습은 현실 우리 상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has show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ho is intellectuals and many educational methods which are important matters such as schooling reforms and educational systems. Gramsci’s ideas must have known that the teachers what to do as a main core of educational reform, his counter hegemony has been a big suggestive. Gramsci’s intellectuals are in charge of functions in the social relations, and common people are be able to intellectual through education or exercise. Gramsci has thought the appearance of organic intellectuals achieved in the transformed environment, and he thought them to be given consent of laboring mass when they developed ideological, cultural struggle in the hegemony gradually. Gramsci thought that there are some common basic education need which make an offer well-educated of general, liberal and personal rights. Also he proposed, through common school, to make relation to preserve balance between spirit and physical work around life. He lookou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liberal school and vocational school. Gramsci argued that educational purpose gave awakening consciousness by understanding bourgeoisie ideological dominant concoction and he invested educational autonomy as emphasized the role of teachers than of economy to education. To Gramsci, the purpose of schooling was realizing to mental process, hence he was convinced the ability of conscious change and ideological leadership. In order to success of educational reforms, we have to guide educational autonomy by raised the role of teachers which was alienating, and must advance, should escape of pessimistic reproduction bounded in the structure. Whether our educational reform success or not, is rely to employ a policy on a firm basic of teachers.

      • 대학부설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실태 분석: ○○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대상으로

        감혜원(Heawon Kam),김현주(Hyunju Ki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이 연구는 2005년 제정 공포된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실태 분석과 한국어교육대상자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난 20여 년 동안의 한국어교육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보급한다는 측면과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린다는 문화관광적 차원에서 접근하였음에 비추어 이제는 질 높은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하여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학적 사고를 해야 할 시점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실태로서 ‘한국어교육 정책 추진과정’,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육과정’, ‘한국어 교원 양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어교육 수강생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단지 문화관광적 차원에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교육학적 차원에서 전반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에 대한 다양하고도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 피드백 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한국어교원 등 한국어 교육 담당자들이 모여서 한국어 교육경험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한국어 교육의 안정화 및 전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자료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which was enacted in 2005, and a satisfaction and demand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foreign students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because it is time to develop and provide high-qual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light of not the cultural but the educational aspects.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 Korean Language Curriculum ,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fication Requirement a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requiremen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irstly,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on the educational level, not just on the cultural s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Second, various and in-depth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nd feedback should be given to raising the quality level of education programs. Third, higher qualit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by help of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 near future.

      • 다문화 미술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

        박홍순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1

        다문화교육은 교과교육과정 속에 교육내용이 포함되어 다양한 인종, 민족, 계층, 문화 집단의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다문화 가정이 많은 학교에서 단순한 언어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한국 전통문화 체험을 위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글에서는 제7차 4학년 미술교육과정에 맞추어 다문화내용을 포함하는 다문화 미술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창의적인 미적 표현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교육과정에 적합한 다문화 관련요소를 추출하고 시각문화와 친근해지기 위한 다양한 활동, 다문화 미술 교수·학습 과정 전개를 통하여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나아가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 소외를 극복하고 세계화· 다원화에 접근할 수 있는 인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다.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Curriculum, aims to offer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to students from a variety of races, ethnic groups, classes and cultural groups. In this vein, this study identified multicultural elements appropriate to the 7th Art Curriculum for Year 4, developed multicultural art programs including multiculturalism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art teaching-learning processes and their progresses along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to expose students to visual culture, and applied them to students. The activities of taking active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visual culture improved students' ability of visual interpretation, while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including multiculturalism helped teachers to be active in art class management. They also helped students to make connection with artis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as well as with expression activities and to form an understanding of social phenomena and art. Besides,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multicultural art programs into class increased students'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abilities, promoted their understanding of cultural relativity and developed a deeper long-term perspective toward life with those from diverse cultures. It is desirabl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ducted even before elementary school so students can form their balanced world views in terms of country, region and school community. If given in incorporation with those subjects other than art, multicultural training will promot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elf-esteem and adaptability to new environment so they can developed positive identity.

      • 지방교육재정 개혁이 농촌 교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준렬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지방교육재정 개혁이 농촌학교의 재정변화와 통폐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방교육재정 개혁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 시 학생수 비중 강화, 소규모 학교 통폐합 시 인센티브 강화가 농촌교육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 시 학생수 비중이 강화됨으로써 농촌 소규모 학교는 학교운영비를 적게 배분받아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기 어렵고, 소규모 통폐합 시 인센티브를 강화함으로써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강하게 요청받게 된다. 지방교육재정 개혁에서 추진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학생수 비중 강화, 소규모 학교 통폐합 인센티브 강화의 두 정책 모두 농촌 소규모 학교 경영을 어렵게 하고 있다. 1982년부터 지금까지 3,300개교 이상이 폐교되었고 1,800개교 이상이 분교장으로 개편되었다. 농촌의 많은 학교들이 폐교되거나 분교장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폐교를 더 추진하는 일은 어려운 농촌교육을 더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제는 농촌의 소규모 학교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책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큰 때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ovincial education innovation on rural education.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novate provincial education innovation. The two major innovation influencing rural education are the increase of student’s ration when the government distributes educational fund to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strengthening an incentive fund for integrating small schools. As small schools have a few students the less fund com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f the innovation comes true. The more fund to integrate small schools has pushed small schools integrate. Two major innovation policies make rural small schools difficult to educate students. Since 1992 more than 3,300 small schools have closed and more than 1,800 small school have changed to the branch school. Those schools are one third of Korean schools. If the more number of school will be closed rural education will be very difficul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develop the supporting system for rural small schools instead of closing rural small schools.

      • 교육 거버넌스를 둘러싼 갈등 사례 연구: 서울형혁신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채희태(Hee Tae Chae)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거버넌스를 둘러싼 갈등 사례를 통해 한국사회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거버넌스를 진단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 거버넌스는 민과 관의 갈등과 더불어 민과 민, 관과 관 사이에서 빚어지는 주체 간 갈등과, 정책추진의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중앙과 지구 간 갈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관 갈등은 교육 거버넌스 외 여타의 보편적인 거버넌스 상황에서도 일반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갈등으로 주로 민과 관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민과 민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은 수직적 명령 체계로 이루어진 관과 달리, 집단인 동시에 다양한 개인의 수평적 합인 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그 원인이었다. 이로 인해 민·민 갈등은 주로 가치와 신념의 차이, 실천방식의 차이, 그리고 이해관계의 충돌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셋째, 관·관 갈등은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이 분리되어 있는 한국사회의 제도적 특수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으며, 서울에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경우 자치구청과 교육지원청 사이의 권한 비대칭과 관할 범위 차이 등이 갈등의 원인이었다. 넷째,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경우, 정책 중앙인 서울시·서울시교육청과 서울형혁신교육지구에 참여하고 있는 지구간에 발생하는 중앙-지구 간 갈등도 확인되었는데, 이는 하향식 정책추진이 관성화된 중앙과 지역의 특수성이 정책에 반영되기를 바라는 지구단위 거버넌스의 상향식 요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Governance’ through a case of conflict on educational governance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tasks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This article argue that conflicts in this governance arise from not only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but also between centre and district. Because the conflicts come from actors such as citizen vs. citizen or public vs. public on the subject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general conflict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also occurred in universal governance situation other than Educational Governance, mainly due to difference of identity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Second, a conflict among the actors of civil society sector wa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society sector which is a horizontal combination of various individuals, unlike the ‘public’ that consisted of vertical command system. As a result, a conflict among actors of civil society sector was mainly caused by difference in value and belief, difference in method of practice, and clash of interests. Third, a conflict aomng the actors of public sector was caused by institutional specificity of Korean society which separate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gener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in the Education Governanc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of Seoul, a conflict aomng local governments as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Office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caused by asymmetric authority and difference in the scope of jurisdiction. Finally, a conflict occurred amo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the policy centr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and other actors in the District, in other words a conflict between centre and district, was also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