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대학과 초등학교간 협력(PDS) 프로그램 운영의 쟁점에 관한 내부자 연구

        구원회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2010년에 이루어진 C교대 교육연구원과 S초교간의 PDS 협력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운영에서의 쟁점을 분석하고 향후의 협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운영 개선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C교대와 S초교의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 운영에서의 쟁점들과 프로그램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S수업 함께 보고 함께 읽기”, “우리 학교에서의 수업 이해하기”, “단위학교 기반의 PDS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운영에서의 쟁점이 발생한 원인으로 교사들의 낮은 참여, 연구자-교사간에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교사의 탐구지향적인 학습의 충실성 정도, PDS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분석되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의 초기에 PDS에 대해 충분한 오리엔테이션 제공, 연구자의 역할에 대한 융통성있는 조절, 지속적인 점검과 평가, 대안적인 교실 수업 개선 실천들의 연대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간 PDS(교사전문성개발체제) 협력에 관한 인식과 실태 조사: 교육대학교 교수를 중심으로

        이현명,심영택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faculty on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in term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It had been conducted for three week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from April 23 to May 11, 2011 throughout the count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875 and the returned responses were 273. With the returned response,this study analyzed 6 domains: mutual collabora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pen class, an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mutual benefits an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In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this study provided how university faculty perceived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and how a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could lea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At the same time,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oth university faculty and school staffs to articulate a new possibility for a school reform and to develop systemic thinking about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in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대학과-부설초등학교 간 PDS (전문성 개발체제) 협력에 관한 실태 조사를 통해대학교수들이 가지고 있는 두 기관간의 협력에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11개 교육대학교(제주 교육대학 포함)해서 2011년4월 23일부터 동년 5월 11일까지 총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대상자총 875명 273명의 응답을 중심으로 6개 영역(상호 협력, 예비교사 교육, 교사의 전문성과수업 공개, 전문성 개발체제 구축, 상호 협력을 통해서 얻게 될 이점과 인적사항)에 대한분석을 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는 대학교수들의 대학-학교간 협력에 대한 인식과 대학-학교간 협력을 통해서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전문성 개발체제 구축의 가능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더불어대학교수와 교사들이 학교개혁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속적인 교육문화 개선을 위한체계적인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교사문화 분석에 기초한 전문성신장체제(PDS) 구축에 관한 연구: S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구원회 ( Won Hoe Gu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C교육대학교와 협력하고 있는 S초등학교의 문화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체제(PDS,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연구문제는 S초교의 학교문화 특성과 초등학교 문화 분석에 기반한 교사전문성 신장체제(PDS) 구축 방안이다. 주된 연구방법은 면담(interview)과 관찰이며, 연구자는 2010년 4월부터 S초등학교의 교원(교장, 교감, 부장교사, 저경력 교사)들을 개별 또는 집단으로 면담하였다. 연구자는 각 대상별로 S초등학교 교원들과의 면담에서 나타난 초등학교의 문화와대학-학교간 협력의 과정에서 나타난 S초등학교의 문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문화분석을 기반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축 방안으로는 관리자-교사간 인식 차이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 교사간 이해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연구자-교사간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신뢰감과 유대 구축, 관리자-교사-연구자 간의 공동체의식 함양 등을 제안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ng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based on analysing S-elementary school teacher`s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s and method in constructing the school-unit centered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program by develop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 have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the limits in constructing PDS in a normal public elementary school in korea. I have analysed some research results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lture in Korea. And I have analysed the S-elementary school teacher`s culture by interview with principal, vice-principal, lead teacher, novice teachers in S-elementary school. In conclusion, I have proposed some points for better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단위학교 기반의 연구자-교사 협력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구원회,박영희,나귀수,권혁순,김미혜,김경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3

        This is a case study on the issues of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program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velopment process of school-based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program by develope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management process of school-based PDS program between C-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S-Elementary School. We examined the issues of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program management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on earlier researches. There were some issues such as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teachers' inquiry-oriented learning and systemic evaluation on PDS program. And we discussed critical issues rooted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ocess. We also sought out some critical aspects in terms of building better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partnership. In conclusion, we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better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본 연구는 2010년에 C교대 교육연구원과 S초교간의 PDS 협력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운영에서의 쟁점을 분석하고 앞으로 협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운영 개선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들은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분석을 위한 준거로 연구자와 교사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따른 상호 신뢰와 유대감 형성, PDS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 참여자들의 탐구지향적인 학습을 설정하였다. 연구자들은 C교대와 S초교의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 운영에서 어떤 쟁점이 나타났는지, 프로그램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S수업 함께 보고 함께 읽기”, “우리 학교에서의 수업 이해하기”, “단위학교 기반의 PDS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운영에서의 쟁점이 발생한 원인으로 교사들의 낮은 참여와 연구자-교사간의 의사소통 부족, 교사의 탐구지향적인 학습의 충실성 정도, 우수수업에 대한 관점 검토, PDS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등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협력의 초기에 PDS에 대해 충분한 오리엔테이션 제공, 연구자의 역할에 대한 융통성있는 조절, 명확한 협력 목표와 계획 설정, 대안적인 교실 수업 개선 실천들의 연대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