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 및 학생 인식 분석

        전영미(Jeon Young Mee),조진숙(Cho Ji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대학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267명과 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평균비교),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인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설문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등에서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이나 만족도에서는 교수들이 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중요도에 대해서는 강의개요나 목표, 내용 등은 교수가, 강의내용과 수업방법, 주차별 학습정보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대학 수업계획서가 교수 중심의 수업계획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 중심의 수업계획서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업계획서 양식이 수정되어야 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학생 중심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수 대상 워크숍 및 작성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을 갖출 것 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to improve the syllabus as a tool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Methods For this,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were analyzed. 267 professors and 334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a capital area, participated. The major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Results It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pecificity of syllabus,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syllabus usage, and satisfaction about the syllabu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found in every category. Professo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t the specificity of syllabus and satisfaction. As for the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professor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outline, goal, and content. But student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content, learning method, and weekly learning information. Conclusions For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urrent syllabus is a professor-centered one. To improve this into student-centered syllabu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syllabus form should be modified around the components helping student-centered learning. Second, the syllabus should be presented more concretely. Additionally a channel to interact with the students needs to be arranged more. Workshops for professors and a system for feedback on the syllabu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설계 실태 및개선방안 탐색

        강정찬(Kang Jung Chan),박한숙(Park Ha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의 수업계획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수업설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수업을 설계, 실행하기 위한 수업계획서 개선방안을 탐색 제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을 중심으로 5년간 이루어진 수업계획서 작성 사례와 함께 수업계획서 컨설팅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차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현장 기반의 활용 가능한 수업계획서 작성의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설계의 7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수업방법, 수업매체, 평가방법 요소에서 적합성이 다소 부족한 수업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해당 요소에 대한 수업설계 지원 및 교수자 역량 강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 학습 환경, 수업매체, 평가방법의 세부요소에 대한 체계적 설계가 이루어지고, 설계 결과를 기술할 수 있는 부분이 수업계획서 양식으로 추가되어 수업계획 및 준비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업설계의 7가지 구성 요소별 수업계획서의 개선방안 및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 및 실천 전략은 현재 대학에서 작성되고 있는 수업계획서 작성에서 발생하고 있는 수업설계의 오류나 문제점,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university s syllabus, and to explore and propose ways to improve syllabus to design and execute good instruction based on this. To this end, a cross-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syllabus consulting along with the case of planning a syllabus for five years centering on University A, and based on this, a practical strategy for planning a syllabus that can be utilized based on the field was proposed. As a result,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among the seven elements of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design, which is somewhat insufficient in suitability in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edium, and evaluation method element, is being made. 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support instructional design an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for the relevant elements. Second, systematic design of detailed elements of learner,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medium,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made, and a part that can describe the design result should be added in the form of a lesson plan so that lesson plans and preparations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Third, the improvement plan and practical strategy of syllabus for each of the 7 componen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were proposed. These improvement plans and strategies can be used as an improvement strategy that can solve the errors,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that occur in the preparation of instructional plan currently being prepared in universities.

      • KCI등재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교육전문가의 개념도 분석

        이용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교육 전문가들의 개념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 계획을 위하여 강의계획서가 어떠한 준거로 작성되어야 할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분석법(concept map analysis)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공학을 전공한 박사 15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개념도 분석법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 표상한 개념도를 양적, 질적 분석을 혼합한 구조화된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식의 틀을 탐색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Trochim, 1989). 연구 참여자들의 ‘좋은 강의계획서’에 대한 설문자료는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로 생성되었고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전문가 집단의 개념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강의계획서의 주요 구성요소에는 5개의 군집이 포함되었고 각 군집에 포함된 항목들은 질적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둘째, 강의계획서의 주요 구성요소 중에 목표의 제시와 평가 관련 정보는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 되었고, 특히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은 높은 중요도로 평가되었다. 개념도 분석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좋은 강의계획서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본적 요소와 준거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대학에서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설계의 도구로서 강의계획서의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used a concept-mapping approach to investigate experts’ perceptions of ‘good syllabi.’ Group concept mapping is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helps an expert group visually represent and organize its ideas on a topic of interest. This method integrates qualitative group tasks of idea generation, sorting, and rating with two quantitative analys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15 participants who have a doctoral degree on educational technology, developed a total of 164 idea statements related to the concept of ‘good syllabus,’ which were ultimately combined and edited into 88 stat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having the 15 experts classified the 88 statements, a concept map was formed, which was made up of 2 dimensions and 5 clusters: teaching and learning goals, content by schedule, course environment and management, learning tasks and performance, and learning evaluat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practic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good syllabi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