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초·중등학교와 대학의 국어교육의 동질성과 차별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o as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e need to consider following particulars. 1.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needs to be recognized again. Both aim at educating men of culture, but the latter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in that it uses Korean academically. 2. Native language education should aim to develope language ability required to well-educated class. Concerning developing language ability for academic research, college education should undertake the role. 3. Assignment division is necessar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Level of language ability to be attained in each should be agreed to avoid duplication in instruction and achieve excellence in education quality. 4. Overburdened contents in national curriculum for should be controlled. College education needs to apparently concentrate on specific fields such as essay writing and discussion speech. 5. To en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relevant policies should be examined critically and modified properly. 지난 60여년 간 한국의 초․중등학교의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의 연계와 그 구체적 실천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없었던 결과 각 단계의 교육이 그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이 동질성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이 실천되어야 한다. 1.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두 교육 모두 교양인의 형성을 지향하되, 대학의 경우 한국어를 학문의 언어로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2.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반복과 심화의 과정을 통해 교양인의 국어능력을 기르며, 학문 활동과 관련한 국어 능력을 대학에서 확장․심화한다. 3.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역할 분담을 해야 하며, 중등학교에서 달성해야 할 국어능력과 대학 교육이 추구해야 할 국어 능력에 대해 상호 합의하여 중복 교육을 피하고 질적 수월성을 달성해야 한다. 4. 초․중등 국어교육은 실현할 수 없는 과도한 교육 내용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정하게 조절해야 한다. 대학의 국어교육은 국어교육의 영역들 중에서 명시적으로 선택과 집중 교육을 하되, 다른 영역들은 잠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해야 한다. 예컨대 논술 중심의 작문 교육과 토론 중심의 화법 교육을 명시적으로 하되 듣기 교육, 읽기 교육 등은 대학 교육 전반에서 행해지도록 해야 한다. 5.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연계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재수립해야 한다.

      • KCI등재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전문대학의 읽기·쓰기·듣기·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

        송명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3

        The study observes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junior college curriculum based on the survey following 225 juni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onggi area. The survey found that most junior college students have poor Korean-language skill. Among others, they were found to lack active reading and construction of logical meaning. The biggest reason is that they have a poor basic learning skill. In particular, specialized high schools, many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graduated from, often offer an inappropriate curriculum for Korean-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ents easily confuse Korean-language education with literature education, which is only a part of the former. When language education is confused with literature education, its purpose is hard to be achieved. Junior colleges should establish sound Korean-language curriculum with the focus on its true purpose and the demands of the students for that. If it is provided with proper education methods, Korean-language curriculum at junior colleges will provide substantial results.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 결과에 기초하여, 전문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고찰했다. 전문대학 학생들은 대부분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와 같은 국어능력이 부족했다. 특히, 능동적 읽기와 논리적 의미 구성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문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부족한 기초학습 능력에서 기인한다. 특히, 전문대학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특성화고 출신 학생들은 고등학교 때 제대로 된 국어교육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문학을 중심으로 한 국어교육에 의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와 같은 국어능력이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우도 없지 않아 있었다. 그러나 많은 전문대학 학생들은 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문직업인이자 동시에 글로벌 민주시민을 양성해야 하는 변화된 전문대학의 교육 목적 역시 국어교육의 필요성을 높였다. 왜냐하면 국어교육은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와 같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창의력, 비판력, 문제해결력, 논리력 등과 같은 사유의 힘을 기르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문대학 학생들을 고려한 적절한 교수법만 갖추어진다면, 전문대학에서의 국어교육은 보다 의미 있는 교육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 : 교육과정,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창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ies, focusing on curriculum,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prospect to it’s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Thanks for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s success, Korean language in Japan brought to remarkable growth. Since the large-scale survey on the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had carried out in 2005 by THE JAPAN FORUM, no survey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time’s survey, ‘Korean as major course’ has been set up in 23 universities, ‘Korean as general course’ in over the 50% of universities. As for ‘Korean teachers’, more than half was occupied by the native teachers. As for ‘Major’ concerned, the teachers who majored in Japanese language or Japan studies occupied more than the ones majored Korean studies(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students’ motivation, they had extremely low motivation to learning Korean, along with the results of 10 years before. Here,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is not established systematically yet, is insufficient in teachers who majored KFL, and the students’ motivation to language learning is too low. SO I suggested here that more Korean researchers have to do a classroom-based research extensively, thoroughly, based on theory, and have to accumulate the results, and then to apply them to the field.

      • KCI등재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실제와 문제

        최우길(Choi Woogill)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4 No.-

        지난 20여 년간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급속히 성장하였다. 한중수교 당시 5개교에만 있던 한국어학과가 최근에는 250여개의 대학에 설치되었다. 중국대학의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한국어는 영어, 일본어 다음으로 세 번째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양적인 성장은 많은 문제를 낳기도 하였다. 자격 있는 교원의 부족, 알맞은 교재의 필요, 교육수준의 질적인 제고, 한국어 교육과 함께 한국학 또는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의 필요 등이 제기되었다. 이 글은 비교적 역사가 짧은 산동성S대학과 강소성C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학습동기, 한국문화의 매력, 학생들의 어려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어 전공 학생들은 어린 시절부터 한국의 대중문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한국어 전공을 자발적으로 선택한 학생은 전체의 반 정도이지만, 공부하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매력을 느끼게 된다. 이들은 졸업 후 한국계 기업 또는 한국과 거래하는 현지회사들에 취업할 예정이다. 산동성S대학의 4학년 학생 중 반정도의 학생이 한국에 유학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두 대학 공히 모두 자격 있는 교원부족의 문제, 알맞은 교재의 필요, 교육 내용의 다양화 문제 등을 지니고 있다.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양적으로는 조정기에 들어서고 있으며, 질적인 면에서 한층 제고되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Since more than twenty years,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universities in China have been increased in extremely rapid pace. In 1992 only five universities had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recently over 250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is ranked in the third place after English and Japanese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universities in China. The abrupt increase of quantity in Korean department have brought about many problems: the lack of qualified teachers and good textbook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in the content and level of Korean lanuage education, and the need of teaching Korean culture and Korean studies.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practice of Korean teaching in the case of S University in Shandong Province and C University in Jiangsu Province. Chinese youth have been influenced by Korean popular culture these days. About half of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tended to choose Korean as their first major. After having studied one or two years, they have begun to b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Most of graduates of Korean language may have opportunity to get jobs in Korean related companies or have intention to continue their graduate studies in Korea. The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needs quality enhancement in the aspect of teachers, textbooks, its contents, and so on. Korean public sectors and universities should do something to help Chinese universities in these domains.

      • KCI등재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의 현황과 실제

        김규진(Kim, Kyu-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한국어교육의 목표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길 중에 하나는 한국문학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학습자는 한국문학작품을 통해 한국의 사회·문화, 한 국인의 사고와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가 실제적인 의사 소통의 순간에 대화 맥락에 알맞게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 번째로 문학작품을 통해 학습자의 정서적 언어구사 능력과 지적인 사유능력을 함양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적인 성숙에 도달할 수 있다.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 현황 및 필자가 실제 강의한 《한국문학사》, 그리고 이 수업을 수강한 학습자에게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몇 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현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에서는 한국문학 관련 수업이 한국어 문법과 문형 중심의 수업에 비해 시수가 많지 않으며 반 인원 등의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문학 관련 교과목에 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문제와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의 실정에 적합한 교재가 없다는 사실 역시 문학교육을 형식적으로 치우치게 하는 원인이다.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사 스스로가 목표 언어와 문화 이해의 밀접한 상관성을 체득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한국문학 관련 수업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학습자에게 문학작품을 학습한다면 여러 가지 장점들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해 한국문학 관련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선입견을 없애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으로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에 개설된 한국문학 관련 수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중국대학 내 여러 상황을 고려한 교재 개발이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한국문학사》의 경우 중국대학의 한국어과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학기에 이수하도록 교과목이 짜여 있으며 그 수강인원 역시 적지 않다. 이러한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의 실정에 맞는 교재 개발이 절실하다. One of Korean educations that can reach the goal effectively is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Korea Literature. Foreign learners, through the Korea literary works, can understand both society and culture of Korea, and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Korean. Several problems can be found through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ctually my lectur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survey results of the learner taken this lecture.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s not well carried out because of practical problems at Korean department in Chinese universities. In addition, recognition shortage of teachers and students concerning courses related to Korea literature. To make teachers" recognitions change, teachers have to lear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arget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for learners, teachers should try to do away with learners" prejudice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Nex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suitable to Korean department in Chinese university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smooth the classes established at Korean department in China universities.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흐름,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허세립(XU, Shili),이인순(Li, Rensh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5 No.-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7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현시점에서 바라볼 때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학계의 일각에서는 한국어 관련 학과의 ‘과열 성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각 대학 한국어 관련 학과의 설립연도와 규모 및 발전수준 등에 입각하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흐름에 대하여 준비기, 발전기, 도약기 등 세 단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또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전문대 응용한국어학과의 현황,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현황, 대학원 교육의 현황, 한국학 연구의 현황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고 재학생 규모, 정원 충원율, 취업률 등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핵심부분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을 시도하였으며, 앞으로 한국어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특성화’, ‘포괄적인 우리 의식 강화’, ‘학과운영능력 강화’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흐름 및 발전 현황, 발전 대안에 대한 거시적인 파악과 더불어 한국어 관련 학과의 기획․운영에 있어서 일정한 참고가치가 있을 것이다.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history of over 70 years and has gained remarkable achievements. Some experts and scholars used to show their concerns or even question about the “extraordinary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founding time of majors relating to Korean and the development scale and level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elaborates the three stages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ncluding the preparation period, development period and soar period. Based on some existing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an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pplied Korean education in technical institute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ajors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in postgraduate education, and that of Korean studies. Using the data of scale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nd their admission and employment rate, this paper measures and judges the “health status” of majors relating to Korean education. This paper also bring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enhancing the regional features, strengthening the sense of professional community and reinforcing the managing and operating capability of Korean major as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e research outcomes of this paper will macroscopicall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history, status and strategy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Korean studies.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reference for planning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nd related majors.

      • KCI등재

        중국대학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전망

        허세립,이인순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8 No.-

        중한 수교 20주년을 맞은 이 시점에서 돌이켜 볼 때 중국대학의 한국어교육은 지난 20년간 양과 질 면에서 모두 급속한 발전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10년을 내다볼 때, 한국어 교육은 가치 재정립과 더불어 교수진의 구성, 교과과정의 개정과 보완, 교수방법의 효율화, 합 리적인 전공교재 집필, 산학연 협력 강화, 국제교류 활성화 등 면에 더욱 큰 발전 공간과 가능 성이 있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중국대학의 한국 어 교육 현황과 전망에 대하여 주로 아래와 같은 다섯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 째, 중국인을 위한 한국언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며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 둘째, 한국어교육과 관련 되는 핵심요소인 교수진 구성 문제, 그 중에서도 학과주임교 수의 행정업무 처리 능력, 학력, 현지 언어 구사 능력 등이 한국어교육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연구형 대학과 실용형 대학을 포함하여 한국어 교과과정 중에 어떠한 문제들 이 존재하는가.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넷째, 한국어교육의 바탕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모집과 취업, 어떤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가. 다섯째, 한국어교육의 미래 전망 과 관련하여 중국 사립대학 한국어교육 발전의 무한 가능성, 사립대학 한국어교육에 대한 대 폭 지지 필요성, 한국어교육의 “과속” 성장으로 인한 문제의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계에 서 갖추어야 할 필요한 자세 등에 관한 내용을 두루 다루었다. For 2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there has been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ainland China. Looking forward into the coming 10 years, it is believed that with the relocation of its valu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have more space for its development and more opportunities in the construction of teaching staffs, the revise and perfection of courses, optimizing teaching methods, compiling textbooks, integration of enterprises, universities and research and the reinforcement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above facts, this thesis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of mainland China and its prospects in five parts. In the first part, it discusse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Chinese. In the second part, one of the core factors conce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aching staffs, is talked about. This part covers the influenc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rought about by the director’s capability of handling administrative affairs, education background and his Chinese language skills. The third part is about the problems in courses of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and application-oriented universities and the solutions. Since the recruitment of students and their employment are of fundamental importa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roblems in these areas are discussed in part four. The last part is about the pro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brings about the general direction of constructing Korean major and explores great possibilities and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ivate universities in China, the necessities of increasing the suppor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ivate universities and the understanding of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caused by unconventional development in recent years.

      • KCI등재

        전문대학에서의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에 대한 고찰

        손혜진,안정호 한성어문학회 2024 漢城語文學 Vol.51 No.-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y Colleges, specifically focusing on how it can be defined within the framework of Korean for Specific Purposes. University Colleges aim to cultivate vocational expertise among their students.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foreign labor in Korean society due to societal shifts, University Colleges in Korea have also assumed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ng foreign students. Consequ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Colleges has become a crucial aspect of the competencies these individuals need to possess.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y Colleges differs in nature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Therefore, considering the social and policy demands of Korea,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Colleges, this study proposes a 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in University College. This involves combi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to meet the specific needs of University Colleges.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성격을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인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대학은 고등 직업 교육 기관으로서 직업 전문성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한국 국내에서 직업인으로서 외국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한국의 전문대학 역시 외국인 인재의 교육이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전문대학의 외국인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서 한국어교육 역시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문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기존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과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회적, 정책적 요구, 전문대학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과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이 결합된 형태의 ‘직업 전문 인재 육성’이라는 전문대학 고유의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 체제를 제안하고, 이러한 체제에 따라 구체적으로 한국어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학 교수 방안 - 헝가리 엘테대학교를 중심으로

        유홍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1

        Discussion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imated. Though, lots of researchers active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literature education, us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ttach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various. Generally, those are mainly how to use literature for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Most discussions about those are focused on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at th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Now, the students who wants to learn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increasing. Specially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e Korean department at oversea's universiti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spread Koreanology in the future. Therefore, there is a enough reason to include the discussion about oversea's Korean department 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hope to active discussion about various literature teaching method of oversea's Korean department, this article try to show the course of Korean literature, which the writer did at ELTE University of Hungary.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문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동의하는 편이지만, 문학교육을 한국어교육과 연관지어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더욱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문학작품을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국내의 언어연수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미래의 한국학 전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도 한국어교육의 범위 안으로 적극 포함해서 논의를 진행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헝가리 엘테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 필자가 담당했던 한국문학 강의의 실제를 보임으로써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으면 한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는 현지의 실정에 맞추어 문학 강의를 영어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고는 이러한 경우도 강의 언어보다는 강의 내용 전달에 중심을 두어 광의의 한국어교육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해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문학 강의의 의의를 문화교육과 문학을 위한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아보았다.

      • KCI등재

        변혁적 역량을 위한 교사교육 방안- 교육대학의 ‘국어과교육’ 과목을 중심으로 -

        천경록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9

        This study explored the strategies for reforming elementary pre-service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identified in OECD Education 2030, with a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courses in university of education. Current KLE courses belonged to the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paradigm, which is rooted in behavioral task analysis, and consist of a “theory and practice” system. However, the OECD’s transformative competencies emphasize “creating value” to respond creatively to an uncertain future. Hence, the value factor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changes. First, a humanistic teacher education paradigm should compensate for the competency-based paradigm. Second, KLE courses should be reorganized from the theory-practice framework to the content-method framework. Finally, teachers’ agency should be made a prerequisite to cultivate students’ agency. 이 연구에서는 OECD 교육2030에서 제안된 변혁적 역량을 교육대학의 초등국어 예비교사교육에서 준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교육대학에서는 초등국어 교사교육은 ‘국어과교육’ 과목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 과목은 역량기반 교사교육 패러다임에 기반하였으며, 초등국어 교육에 필요한 행동주의적 직무분석에 기초하여, ‘이론+실제’의 체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변혁적 역량이 불확실한 미래에 창조적으로 대응해 나가도록 ‘가치 창조하기’를 중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초등국어 교사교육에서도 가치 요소를 중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의 역량기반 교사교육에 더해 인본주의 교사교육 관점을 수용하고, ‘국어과교육’ 과목의 체제를 ‘이론+실제’ 틀에서 ‘내용+방법’ 틀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학생의 행위자주도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교사의 행위자주도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과 효율성과 함께 가치판단(철학성), 자율성, 능동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 교사교육을 기획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