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신방방(FangFang Shen),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적극적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에 2014년 4월부터 8월까지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400명에게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여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가지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경로계수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예언변수로 한 모형 중에 예언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와 예언변수가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직접경로를 모두 가정한 부분매개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판단을 위해 설정한 경합모형은 예언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간접경로만을 지정한 완전매개모형이다. 그리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예언변수로 한 연구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경합모형은 완전매개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고,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았다. 넷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요인 소망적인 사고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높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일부 측정변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았다. 셋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일부 측정변수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낮고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이 낮았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자기효능감을 경험할 때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잘 못하는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Four hundr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to August 2014 at C University of G city. The data of 362 students were collected by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scale,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adaptations to college life scale. Simple correlations between measured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appli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for each typ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e., th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The results of th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as fit bette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Fo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as fit bette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nd the low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lower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Fo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Chinese students experience self-efficacy, and are likely to show adaptations to college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udents who has adaptations to college life problems with interventions designed to raise their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 KCI등재

        대학의 지원과 자기결정성 요인이 신입생의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성연,김인수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support and sub 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on first-year student outcome. For this,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ested and revised.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79 first-year students in A university,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 support had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relatedness and competence, Secondly, relatedness and competence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rther expectation. Thirdly, student support and autonomou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rther expectation via relatedness and compet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student support to promote relatedness and competence will be effectiv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tuer expectation. In addition, student support to promote autonomous need to be provided systematically. 대학생들이 대학생답게 생활하도록 이끄는 내적동기인 자기결정성은 대학의 다양한 지원을 통해 강화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교육성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신입생에 대한 대학의 지원이 자기결정성 요인인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와 같은 대학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모형을 가정하고, 이를 총 379명의 신입생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지원은 관계성과 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관계성과 유능감은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관계성은 대학만족도에, 유능감은 학습성과에 .7이상의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대학지원과 자율성은 관계성과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학은 신입생의 관계성과 유능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자율성에 대한 지원은 심리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논의 부분에서 결과의 의미와 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가적으로 기술하였다.

      • KCI등재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 분석을 통한 대학창업발전방안 연구: D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이성호,김정음,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tatu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which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major project of recent university policy, and to present policy tasks for promoting university start-ups by analyzing problems. A survey on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about start-up was carried out from 800 students including those on leave of absence at D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about start-up was highly positive due to various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from universities, but it was survey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till low willingness to challenge start-up. Second, the biggest reason why university students avoid the start-up is 'the risk of start-up failure' at 40.8%, followed by ‘Prioritizing getting a job' at 24.9% and 'lack of knowledge on start-up' at 13.4%. Also, difficulty from those who have already started business was mainly financing at 26.9%. The second was 14.0% for securing manpower, and the third was 11.8%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ird,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was in the order of 'starting-up' > 'preparing to start-up' > 'no intention to start-up'.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was 'motivation for various career choices' with 24.8%, followed by 'acquisition of various knowledge and skills for start-up' with 23.9%. Finally, effort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for start-up policies in universities and figure out the problems of the start-up support scheme. The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scheme should reflect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ual policy consumers, by shifting away from the method provided by existing suppliers. 본 연구는 최근 대학정책의 주요 사업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교육 및 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인 D대학 재학생 및 휴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다양한 창업교육과 지원으로 인해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대학생들이 창업에 도전하려는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기피요인으로는 ‘창업실패의 위험성’이 4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취업 우선’(24.9%), ‘창업지식 부족’(13.4%)이며, 창업 시 애로사항으로는 1순위가 자금조달 26.9%, 2순위가 인력확보 14.0%, 3순위가 기술개발 11.8%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의 필요성은 ‘창업 중’>‘창업 준비 중’>‘창업의사 없음’순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필요이유로는 ‘다양한 진로 선택에 대한 동기부여’가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이 23.9%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 내 창업정책에 대한 홍보의 중요성 및 창업지원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기존 공급자 측면에서 제공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정책 수요자인 대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

      • KCI등재

        일반대학 유지충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설가인,선소정,박나경,정제영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3

        This study considers the ratio of new entrants and enrolled students to the institutional entrance quota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subsistence of universities. Furthermore, it examines the patterns of the academic and research environment and performances at high- to low-ranking universities for this ratio by analyzing trends in 2017-2020.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A (high), B (middle), and C (low) ranks according to their ratio of new entrants and enrolled students to the institutional entrance quota for 2021.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ean value of rankings for each university in 2017-2019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atio of new entrants and enrolled students to the institutional entrance quota. According to university trends by ranking, while all variables did not show consistent patterns, there were more national/public universities and capital area universities in the A rank than in the B or C ranks, and the size of these universities tended to be larger than in the other two rank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ratio of new entrants and enrolled students to the institutional entrance quota show that national/public universities, universities in the capital area, and larger universities te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atio, and the impact of the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was quite large. Conversely, the distinct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the academic and research environment was relatively small, but that of the variables of performance was relatively strong. This study verified that due to the great impacts of the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at are determined since the institutions’ establishment and the variables of academic and research performance among universities with fixed rankings, the ratio of new entrants and enrolled students to the institutional entrance quota could act as another factor that solidifies the standing of univers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close the gap between th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유지충원율을 대학 존속 여부를 가늠할 주요 지표로 간주하고, 유지충원율 상위~하위 대학이 교육·연구 여건 및 성과에서 어떤 양상을 보였는지 2017~2020년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기준 유지충원율에 따라 일반대학을 A(상), B(중), C(하)등급으로 구분하였고, 유지충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2017~2019년 대학별 평균치를 활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등급에 따른 대학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수가 동일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지만 A등급은 B, C등급에 비해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대학의 비중이 높았고, 대학의 규모가 큰 편이었다. 그리고 교사시설 확보율, 전임교원 확보율, 학생 1인당 교육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취업률,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학생 1인당 재정지원사업 수혜액이 가장 높았고, 특히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및 학생 1인당 재정지원사업 수혜액의 등급 간 격차가 매우 컸다. 한편, 유지충원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공립대학일수록, 수도권 대학일수록, 대학의 규모가 클수록 유지충원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학 특성 변수의 영향력이 상당하였다. 반면 교육·연구 여건 변수의 고유한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작았고, 전임교원 확보율이 높을수록, 학생 1인당 교육비가 낮을수록 유지충원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육·연구 성과 변수의 경우, 취업률과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이 높을수록, 학생 1인당 재정지원사업 수혜액이 많을수록 유지충원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성과 변수의 고유한 영향력은 비교적 컸다. 본 연구를 통해 비수도권 소규모 사립대학일수록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실증되었다. 그리고 대학 설립 당시부터 고정된 대학 특성 변수와 이미 상·하위 대학 간 격차가 고착화 된 교육·연구 성과 변수의 영향력이 커 유지충원율 또한 대학 서열화를 더욱 공고히 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 간 격차를 완화하고, 고등교육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공업 없는 공학 ― 1950-60년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지향과 현실

        강기천 ( Kang Kichun ),최형섭 ( Choi Hyungsub ) 한국사회사학회 2018 사회와 역사 Vol.0 No.119

        이 글은 본격적으로 국가 혁신 체계의 일부로 편입되기 이전 공학 교육의 사정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당시의 공과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은 한국전쟁 이후 전후 복구가 이루어지고 산업화가 진행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공대 졸업생이 한국 사회에서 담당해야 하는 역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표출했다. 특히 조선, 철강, 기계 등 아직 한국에 해당 분야 산업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분야를 전공한 공학도들은, 배후 산업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고뇌할 수밖에 없었다. 나아가 일부 공대 교수들은 자신들의 존재 근거인 공업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막연한 이상론으로 미래 비전을 구축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학보 『불암산』 및 각종 매체를 통해 드러난 공학 연구와 교육에 대한 담론은 한국의 공과대학이 기능 인력을 양성하는 직업훈련소와 과학기술 교육 및 연구 기관 사이에서 스스로의 자리를 모색하려는 모습을 드러내는 자료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공학도들은 한국전쟁 이후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규모의 원조를 받아 전후 복구 사업을 진행했고, 이를 계기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공과대학들이 차지하고 있었던 것과 유사한 역할을 맡게 되리라는 생각을 품었다. 하지만 서울공대 교수들의 미국화(Americanization) 구상은 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 후발 산업화를 막 시작한 한국의 맥락이 미국의 그것과 달랐을 뿐 아니라, 한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대학을 국가 개발 프로젝트의 파트너로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공과대학이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은 외부의 영향으로 특정한 방향으로 제한/굴절되었고, 한국 사회에서 공과대학의 역할이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것과 달라졌을 가능성도 있었다. 공과대학이 오늘날과 같은 형태가 된 것은 오히려 1960년대의 현실과 맞지 않는 지향점을 당시 공과대학이 좇았기 때문이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before it was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by focusing on the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in the 1950s and 60s. During this period, the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expressed various opinions on the role engineering graduates should assume with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undergoing postwar recovery and industrialization. In particular, students in fields lacking mature industry, such as naval architecture, metallurgy, and mechanical engineering, were bound in a dilemma. Moreover, some faculty member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with no industry to refer to, tried to construct a vision of the future of engineering based on foreign cas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The discourses on engineering research and education found in Bulam Mountain, the official magazine the SNU College of Engineering and other media show that colleges of engineering in Korea struggled to secure their place somewhere between a vocational school training technical experts for industry and an institute for research and education on “engineering science” training researchers. The SNU College of Engineering began to recover from the damage of the Korean War with U.S. aid, and constructed a vision that SNU will assume a role similar to that of American engineering schools within post-World War II United States. However, the South Korean vision of Americanization was inherently incomplete. Not only was its context of late industrialization vastly different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but also the South Korean political leaders during the 1950s and 60s refused to accept universities as partners in the project of nat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pursued an ideal that was markedly removed from the harsh realities of the South Korean industry of the time.

      • KCI등재

        대학선교, 길이 있다

        이상욱(Sangook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오늘날 한국의 대학선교는 총체적인 실패라고 말할 수 있다. 다음 세대에 신앙을 전수하기 위해서 한국교회는 반드시 대학선교를 새롭게 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대학선교 위기의 실태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본인이 사역하고 있는 경북대학교 선교사례 -특히 1955년에 있었던 경북대 기독학생회관 건립 사례- 를 통하여 대학선교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950년대 경북대신문을 살펴보면, 기독학생들의 활동이 자주 기사화 되었고 학우들은 기독학생들을 우호적으로 바라보았다. 당시 기독학생들의 핵심적인 활동이 경북대기독학생회관 건립이다. 이 기독학생회관은 기독센터라는 이름으로 현재까지 존재하며 경북대 캠퍼스 선교의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경북대기독학생회관 건립 정신을 재발견하고 오늘날 대학선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학과 기독인 모임을 만들어라. 둘째는 신앙인격을 함양하는 기독생활관을 세우라. 세 번째는 유학생과 함께 하라. 네 번째는 개 교회 개 단체가 아닌 연합적인 접근을 하라. 다섯 번째는 기독교 봉사단을 만들어라. 여섯 번째는 전담사역자와 대학교회를 세우라.’ 이다. 이 모든 일을 한꺼번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 생활에 맞게 가능한 일부터 시작할 때 한국대학선교에 새로운 부흥의 바람이 일어날 것이다. Today, South Korea’s university mission is a total failure. In order to transfer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the Korean Church must renew the university mission. In this paper, I will first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crisis of university mission and present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crisis through the example of activitie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KNU Christ Student Center in 1955. In the 1950s, if you look at the newspaper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activities of Christian students were often reported and their classmates looked friendly toward Christian student. At that time, the core activity of Christian student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Christian Student Center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Christian Student Center is still pres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issio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plans to rediscover the spiri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ristian Student Center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mission work today. First, set up a department christian group. Second, establish a Christian dormitory that promotes the christian character. Third, do with foreign students. Fourth, take a united approach. Fifth, make a Christian volunteer group. Sixth, establish dedicated missionary and campus church. There are a few campus which can do all this work at once. However, when it starts with what is possible, there will be a new wave of revival in the Korean campus mission.

      • KCI등재

        대학의 교육환경이 중도탈락률에 미치는 영향

        황영식,전하람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8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the dropout rate at university level,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related to education, research, service, and financial aid.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135 four-year universities using the 2020 university announcement indicators provided by the official website entitled ‘Higher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dropout rate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dropout rate was lower for universities that were large-sized and selected for national financial support projects. Second, among the university's educational indicators, the ratio of lectures by full-time faculty was found to be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ropout rate,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per full-time faculty and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were found to be in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ropout rate. Also, the higher the research expenditure per full-time faculty n the research and service indicators was shown, the lower the dropout rate was. Fourth, in relation to financial aid, the proportion of students using university student loan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ropout rat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through discussions on how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nvironment affects the dropout rate.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육환경이 중도탈락률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의기관특성, 교육⋅연구⋅서비스 및 재정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대학알리미에서 제공하는 2020년의 대학공시지표를 활용하여 135개 4년제 대학을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개별 변인들이 중도탈락률에끼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첫째, 대학의 기관 특성 변인 가운데 규모가 크고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일수록 중도탈락률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교육지표 중 전임교원의 강의 비율은 중도탈락률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반면, 전임교원1인당 학생 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중도탈락률과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및 서비스 지표에서는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가 높을수록 중도탈락률이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재정환경 변인과 관련하여 학자금 대출 이용 학생 비율은중도탈락률과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환경이 중도탈락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방향을 살펴본다.

      • KCI등재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이 본 박근혜 정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공과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

        변기용(Byun Ki yong),변수연(Byoun Su Youn),이석열(Lee Suk yeol),송경오(Song Kyoung oh),라은종(Ra Eun j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에서 시행된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 발전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합연구 방식을 채택하여 2016년 6월 전국 195개 4년제 대학의 평가 관련 보직자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네 개 대학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두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였을 때 대학들은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목표와 시행방식, 평가 지표의 적절성과 타당성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국·사립) 등 대학의 기본 여건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가 2017.3.9일 발표한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의 내용과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단기적, 중장기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rst-round institutional assessment for restructuring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second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case study, to identify what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success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that is scheduled to start in 2018. By and large, administrators and staff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valuated negatively various features of the first-round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 four- college- cas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Policy implications from a short-term as well as a long-term perspective were presented.

      • KCI등재

        지적장애 대학생의 장애 수용과 대학 생활 경험

        고선영 ( Ko Sun-young ),김진선 ( Kim Jin-se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대학생의 장애 수용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고, 지적장애 대학생의 대학 생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요구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시의 B대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지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 방법 중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적장애 대학생의 장애 수용의 경험은 ‘이질적인 두 현실 속의 다른 장애 경험’, ‘장애를 가진 나의 자유롭지 않은 경험’, ‘장애로 인한 원만하지 않은 또래 관계 경험‘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지적장애 대학생의 대학 생활의 경험에서는 ‘장애로 인해 경험하는 이중적인 대학 생활’, ‘전공에 대한 힘겨운 적응 경험’, ‘잘하고 싶은 욕심에 대한 기대 경험’, ‘미래에 대한 기대’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대학생도 삶을 살아가는 주체로서 교육의 당사자가 되어야 하고, 대학 생활에서도 그들이 가지는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유의미하고 효과적인 교육 및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프로그램과 스스로 장애에 대한 수용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당사자 입장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by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eek support plan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determine their needs. To achieve this goal,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thre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ree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nrolled in University B in A city, and analyzed by using an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experience of accepting disability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derived as 'experiences of different disabilities in two disparate realities', 'my unfree experience with disabilities', and 'experiences of unsatisfactory peer relationships due to disabilities'. Second, from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llege life, 'dual college life experienced by disability', 'hard adaptation experience to major', 'expectation experience for greed to do well', and 'expectation for the future' were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even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be involved in education as subjects of their lives, and meaningful and effective education and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in which they can demonstrate their potential in college life. To this en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who can change the university’s program and the perception of self-acceptance of disabilit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by the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the professor trust and the class concentration. Methods A survey was held to th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Chungcheong cities from June 10 to 21, 2021. 196 copies were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was used. Results As a result, the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the professor trust and the class concent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accounted for 41.6%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counseling and developing and activation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campus-life, to promot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to immerse in the clas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및 수업몰입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각 요인 간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좀 더 건설적으로 전공학문탐구와 연구에 흥미를 느끼고, 교수님과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며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21일까지로 총 196부의 자료를 통계프로그램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은 대학생활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85 p<.000, r=.496, p<.000, r=.536, p<.000)가 있었고, 대학생활만족도를 41.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와의 교류를 활성화시키고 수업몰입을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료로 활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