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권역 외상센터에 내원한 중증외상 환자에서 원위요골 골절의 역학적 특성

        김동희,곽상호,장효석,안성진,이광은,조윤재,이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20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5 No.3

        Purpose: Distal radius fractures (DRFs) are often observed in simple trauma in older women with osteoporosis, and severe trauma caused by traffic or fall accidents. In this study, we aim to classify the DRFs according to injury mechanism, and statistically compare epidemiologic factors,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scores. Methods: From 2013 to 2018, 112 cases of trauma in 104 patients (70 monotrauma and 42 severe traumas) diagnosed with DRFs were includ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low-energy monotrauma (ML), high-energy monotrauma (MH), and severe trauma (ST) groups and analyzed for differences in sex, Injury Severity Score (ISS), accompanying ipsilateral injuries, radiologic indices, AO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outcome score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and Modified Mayo Wrist Scor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x, age, ISS, and accompanying ipsilateral injury among three group (p < 0.001). Distribution of AO classif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Especially, sex, age, and accompanying ipsilateral inju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L and MH groups (p 목적: 원위요골 골절은 골밀도가 감소된 나이든 여성에서는 단순외상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나 추락 등으로 인한 중증외상에서도 많이 발생한다.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이러한 손상 에너지 차이에 의한 원위요골 골절을 분류하여 중증외상 환자에 동반된 원위요골 골절의 역학적 인자 및 방사선학적 특징, 기능적 수술 결과를 일반 외상 환자와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환자군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본원을 방문하였던 104명의 환자에서 112례의 원위요골 골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증외상이 동반되지 않아서 응급의료센터로 방문한 손상 중증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15 미만의 70례를 단순 외상(monotrauma)군으로 보고, 이를 다시 손상 기전에 의해서 단순 외상-저에너지 손상군(low-energy monotrauma, ML) 51례와, 단순외상-고에너지 손상군(high-energy monotrauma, MH) 19례로 분류하였다. ISS 점수가 15 이상으로 중증외상센터로 내원한 중증외상 동반 42례는 중증 외상군(severe trauma, ST)으로 구분하여 세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그룹을 성별, ISS 점수, 동측 동반 손상 여부, 방사선학적 지표, AO/OTA 분류, 그리고 기능적 결과 평가를 위한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와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성별, 연령, ISS 및 동측 손상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AO/OTA 분류의 분포는 MH군과 ST군에서 type C가 우세하였으나 세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ML군과 MH군 사이에서 성별, 연령 및 동측부 동반 손상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술 후 DASH 점수와 MMWS는 외상군과 ST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중증 외상에 의한 원위요골 골절 환자의 경우 젊은 연령대에 호발하고 동측 손상이 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높은 ISS 점수를 보였다. 또한 술 후의 기능적 결과가 중증외상 환자에서 단순외상에 비해 더 떨어졌다. 그러므로 중증외상을 동반한 원위요골 골절 환자의 경우 골절 및 그에 관련한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동반된 손상 그리고 이에 관련한 수술 치료 시기 및 술 후의 재활 등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개흉술이 필요했던 다발성 외상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성광,정성운,김병준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8

        배경: 다발성 외상환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우발적사고, 폭력 등의 증가로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다발성 외상은 심장, 폐, 대혈관 등의 흉부외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흉부외상은 보존적 치료와 흉관 삽관술과 같은 간단한 외과적 시술 만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적절한 시기에 개흉술을 시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그 적응증 이나 시기의 판단에 있어서 경험있는 흉부외과 의사의 역할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다발성 외상 후 흉부개흉술이 필요했던 70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5.6세 남녀비는 3.4:1이었다. 손상의 기전은 주로 교통사고, 추락사고, 자상이었다. 결과: 흉부손상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혈흉이며, 두 번째는 횡격막 파열이었다. 환자의 60%에서 골절을 동반 하고 42.9%에서 복부손상을 37.1%에서 두부손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개흉술을 시행한 이유로는 출혈교정 혹은 지혈이 48.6%, 횡격막손상의 복구가 35.7%였으며, 폐 열상 봉합이 25.7% 였으며, 흉부 손상으로 인한 수술외에도 비장적출술(14.3%), 간엽절제술(8.6%) 간 열상 복구(5.7%)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무기폐(8.6%), 창상감염(8.6%), 폐렴(4.3%)이었다. 수술후 6명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수술사망율은 8.6%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호흡부전증(2례), 급성 신기능부전증(2례), 패혈증(1례), 저혈량성 쇽(1례)이었다. Background: Multiple trauma patients have rapidly increased due to traffic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s, incidental accidents, and violence. Multiple trauma can involve injuries to the heart, lung, and great vessels and influence the lives, necessitate prompt diagnosis and treatment. Most of the thoracic injuries can be managed with conservative method and simple surgical procedures, such as closed thoracostomy, but in certain cases open thoracotomy is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 analyzed the surgical result of 70 cases of open thoracotomy after multiple organ injury including thoracic organ. Results: The most common type of thoracic lesion was hemothorax with or without pneumothorax and diaphragmatic rupture was the second. Sixty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bone fractures, 42.9% with abdominal injuries, and 37.1% with head injuries. The modes of operation were ligations of torn vessels for bleeding control(48.6%), repair of diaphragm(35.7%), and repair of lung laceration(25.7%) in this order of frequency and additional procedures were splenectomy(14.3%), hepatic lobectomy (8.6%) and repair of liver lacerations(5.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telectasis (8.6%), wound infection (8.6%), and pneumonia(4.3%). Postoperatively six patients died(The mortality rate was 8.6%) and the causes of death were respiratory failure(2), acute renal failure(2), sepsis(1), and hypovolemic shock(1).

      • KCI등재후보

        외상성 대동맥 손상 환자에서 시행한 혈관 내 치료의 중기결과

        김선희 ( Seon Hee Kim ),송승환 ( Seung Hwan Song ),김상필 ( Sang Pil Kim ),이충원 ( Chung Won Lee ),최정천 ( Jeong Cheon Choi ),안진희 ( Jin Hee Ahn ),이한철 ( Han Cheol Lee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2

        목적: 외상성 대동맥 손상은 그 빈도가 흔하지 않으며 다른 장기나 골격에 다발성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방법을 결정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The Society of Vascular Surgery(R)의 2010년 guideline에 따르면 외상성 대동맥 손상 환자에서 흉부 혈관내 대동맥 성형술(thoracic endovascular endovascular repair, TEVAR)를 우선적으로 시행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이루어진 시술 결과를 바탕으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8년 7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외상성 대동맥 손상으로 TEVAR를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동맥 손상의 형태와 위치, 손상부터 시술까지의 시간, 외상의 중증도 (injury severity score), 합병증 등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7명의 외상성 대동맥 손상 환자가 TEVAR를 시행 받았고 그들은 모두 하나 이상의 사지골절과 장기손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TEVAR는 모두 응급 상황에서 시행하였고 흉부대동맥 스텐트-도관(thoracic aortic stent graft)를 사용하였다. 이후 정해진 간격으로 컴퓨터 단층 촬영을 하여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는 grade III의 대동맥 손상이었으며, 동반된 골절로는 늑골골절이 가장 많았고 다양한 사지 골절과장기 손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TEVAR는 모든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완료대동맥혈관조영(completion angiography) 상 endoleak은 없었고 대동맥 아치혈관의 혈류도 원활하였다. 입원기간 내 사망은 없었으며 허혈성 척수 손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0.4 ± 23.9개월이었으며 정기적으로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상 대동맥 시술부위에 합병증이 관찰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본원에서 시행한 외상성 대동맥 손상의 혈관 내 성형술의 결과 및 예후는 우수하였다. 외상성 대동맥 손상 환자에서 다른 장기에 출혈과 손상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혈관 내 성형술은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raumatic aortic injury (TAI) is rarely seen clinically, but is highly fatal. In determining how to treat TAI, there are many factors to consider, due to the complexity of concomitant injuries. The Society of Vascular Surgery recommends that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 should be preferentially performed over open surgical repair.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TEVAR based on our experiences in TAI treatment. Methods: Between July 2008 and August 2011,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TEVAR following TAI and analyzed factors including TAI type and sites, time from injury to repair, Injury Severity Score, and complications. Seven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underwent TEVAR in the acute setting. Follow-up was accomplished regularly by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TA). Results: Type III aortic injury, rib fractures, and hemothorax were found in all patients. TEVAR was successfully performed. Completion angiography demonstrated complete exclusion of pseudoaneurysm without endoleakage, and perfusion of aortic arch vessels was maintained. There was no in-hospital mortality or evidence of spinal cord ischemia.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30.4 ± 23.9 months, and regular CTA revealed good durability of the stent-graft without late complications such as endoleakage, stent migration, or pseudoaneurysm formation.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good mid-term results of TEVAR in our hospital. TEVAR is thought to be a good modality with which to treat acute traumatic aortic injury, especially given the consideration of bleeding risk in trauma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 KCI등재

        다발성 외상의 치료

        김정재,김경환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1

        To optimize results for polytrauma patients, prompt evacuation and early management are critical. These patients also require a multidisciplinary team effort, involving multiple departments, as they are likely to have not only musculoskeletal injuries but also specific organ injuries or compromised general status. In the 1980s, the goal was definitive fracture fixation in the early stages after injury (early total care). Since the 1990s, however, the goal has shifted to temporary fixation, with a delay of several days prior to definitive fixation (damage control orthopedics). Recently, the timing and extent of treatment have been determined by the condition of patients based on objective indicators. Because surgery may result in secondary damag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potential tissue injury with either temporary fixation or a delay in definitive fixation.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빠른 후송 및 조기 적절한 치료는 환자의 좋은 결과를 위해 중요하다. 다발성 외상 환자는 정형외과 영역과 함께 다른 영역의 손상 및 전신 상태 악화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분과 간의 협력을 통한 팀 접근이 필요하다. 1980년대에는 초기 모든 골절에 대하여 확실한 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면, 1990년대로 오면서 조기 일시적 고정 후 시간 간격을두고 확실한 고정을 시행하는 방식이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의 시기와범위를 결정한다. 수술 자체가 2차적인 손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할 때에는 일시적 고정이든 확실한 고정이든 가능한 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외상성 혈관 손상의 치료

        장인석,최준영,김종우,이정은,이상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8

        배경: 혈관 손상은 외부 활동이 많아지기 때문에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혈관 손상에 대한 연구는 흔하지 않다. 혈관의 외상성 손상과 예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1992년에서 1999년까지 혈관외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전향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혈관 손상의 원인, 치료, 예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외상이 발생한 후 응급실로 내원한 시간은 평균 3.5 시간이었고, 수술 시작에 걸린 시간은 평균 8.8시간이었다. 5예에서는 사지의 절단을 필요로 하였으며, 절단을 필요로 한 모든 환자는 분쇄골절을 동반한 환자였다. 38명의 환자는 다른 손상과 동반되어 혈관손상이 발생하였고, 대부분의 동반 손상은 근육과 신경 손상이었다. 결론: 혈관 손상의 최선의 치료 계획은 손상 후 즉각적으로 진단하고 빨리 치료하여야 사지의 절단율을 낮추고, 외상 후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응급 상황에서 다발성 외상 환자를 평가할 때 조심하여 혈관 손상을 조기에 진단하고 빨리 수술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 KCI등재

        다발성 외상으로 유발된 급성호흡부전증후군 환자에서 정맥-정맥동맥 체외막 산화기(ECMO)의 적용 −1예 보고−

        이성준,지현근,황재준,김준석,이송암,김진식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1

        급성호흡부전증후군은 치료가 어렵고 치명율이 높다. 인공호흡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중증의 경우 체외막 산화기(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가 적용되고 있다. 교통사고로 다발성 외상을 받은 21세 여자가 흉부 방사선상 양측폐에 심한 침윤 소견과 동맥혈가스 검사상 급성호흡부전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으로 판단되어 정맥동맥 체외산화기(Veno- 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A ECMO) 치료를 시작하였다. ECMO 적용 2일째 흉부 방사선상 폐 침윤 소견 악화되면서 동맥혈 산소 포화도(Systemic oxygen saturation, SaO2)가 85% 미만으로 저하되었다. 이에 중추신경계와 폐의 산소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ECMO의 유출로에 곁회로를 이용하여 우측 경정맥에 연결하여 정맥-정맥동맥 ECMO (Veno-venoarterial ECMO, V-VA ECMO)로 전환하였고 이후 동맥혈 산소 분압(PaO2) 65 mmHg, SaO2 94%로 향상되었다. V-VA ECMO로의 전환은 전신에 산소 공급을 늘리기 위해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difficult to treat and it is often fatal. If the medical treatment for ARDS is not effective, then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 A 22-year-old female who suffered multiple traumatic injuries due to a car accident presented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Vein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A ECMO) was started to treat her respiratory failure. With the VA ECMO, the systemic oxygen saturation remained at only 84%, and so the ECMO system was switched to V-VA ECMO via an additional venous outflow through the right jugular vein to increase both the systemic and pulmonary oxygen saturation. After conversion to the V-VA type ECMO, the systemic oxygen saturation increased to 94% and the partial pressure of oxygen (PaO2) increased to 65 mmHg. We report here on a successful case of ECMO conversion from the VA type to the V-VA type in a patient with severely hypoxic respiratory failure.

      • KCI등재

        견봉 골절의 불유합으로 기인한 가관절증의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김용민(Yong-Min Kim),박경진(Kyoung-Jin Park),김동수(Dong-Soo Kim),최의성(Eui-Sung Choi),손현철(Hyun-Chul Shon),조병기(Byung-Ki Cho),박지강(Ji-Kang Park),금상욱(Sang-Wook Keum),정호승(Ho-Seung Jeo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견봉 골절의 진단 및 치료 지연으로 발생한 통증을 동반한 가관절증은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견봉은 두께가 얇은 편평골이므로 견고한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견봉에서 발생한 가관절증의 치료는 매우 어렵다. 52세 다발성 외상환자에서 발생한 전위가 없는 견봉 골절을 보행 재활을 시작하며 통증이 유발될 때까지 발견하지 못하였다. 원위 요골용 가변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및 자가 장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9개월째 극상건 부분 파열이 있어, 관절경하 극상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9개월째 방사선 검사상 완전한 골유합을 얻었다. 극상건 봉합술 3개월 후 통증이 완화되었으며, 견관절 기능이 정상화되었다. 견고한 고정이 어려운 견봉 불유합 및 가관절증 증례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보고한다. A painful pseudoarthrosis will develop due to a delay in diagnosis and treatment, and surgical care is required. Treatment of pseudoarthrosis is really difficult because the acromion is a thin flat bone that is difficult to be fixed firmly. A 52-year-old woman with multiple trauma had an acromial fracture that was not detected until it had caused pain after ambulat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variable angle locking compression plate for distal radius and autogenous iliac bone graft were performed. At nine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ere was partial tear in the supraspinatus tendon, and arthroscopic repair of the supraspinatus tendon was performed. At nine months after the operation, radiographs showed a complete union. At three months after tendon repair, the patient had excellent function of the shoulder. We have reported a case of a successful treatment of nonunion and pseudoarthrosis of acromial fracture that is difficult to be fixed.

      • KCI등재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간과된 골절에 대한 분석

        박기철 ( Ki Chul Park ),김현욱 ( Hyun Uk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4

        목적: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간과된 골절이 흔히 발생하며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쳐 만족스럽지 못한 치료 결과 및 의료분쟁으로 이어진다. 저자들은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골주사 검사를 통한 간과된 골절의 발생 빈도 및 치료 방침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injury severity score 16점 이상의 다발성 외상 환자 중 골주사검사(Tc-99m MDP whole body bone scan)를 시행받은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시기는 수상 후 평균 15.7일(7-25일)로 임상증상, 이학적,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절을 진단하였다. 이후 골절을 부위별로 구분하고 치료 방법을 조사하였다. 결과: 골주사 검사를 시행한 총 49명 중 14명(28.6%), 16예에서 간과된 골절이 발견되었고, 부위는 슬부가 3예로 가장 많았다. 잠재성 골절 7예, 비전위 골절 5예, 전위 골절 4예로 확인되었다. 16예의 간과된 골절 중 15예는 보존적 치료를, 1예(주상골 골절)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론: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간과된 골절이 높은 빈도에서 나타났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조기 골주사 검사를 통한 골절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missed fractures in severe multiple trauma patients and to analyze any differences in treatment plan, after whole body bone scan.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12 to December 2013, 49 patients were confirmed to have multiple trauma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 of 16 or higher. Whole body bone scan was performed at an average of 15.7 days (7-25) after injury. Missed fracture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physical examination and additional radiologic reports. Locations and patterns of missed fractures were analyzed. We evaluated any differences in treatment plan after the diagnosis of missed fractures. Results: Missed fractures were diagnosed in 14 patients (16 cases) on the whole body bone scan. The most frequent location was the knee (three cases), followed by rib, clavicle, carpal bone, and foot. Seven cases were occult fractures, five cases were undisplaced fractures and four cases were displaced fractures. Conservative treatment was administered in 15 patients and surgery was necessary in one patient. Conclusion: Delayed or missed diagnosis of fractures occurred frequently in patients of multiple trauma with a high ISS. Whole body bone scan appears to be effective in finding missed fractures in the whole body. Definitive assessment should be supplemented after initial trauma care in order to reduce the rate of missed fractures.

      • KCI등재

        Usefulness of Anterolateral Thigh Flap for Severe Trauma Patients at the Regional Trauma Center

        홍성민,김용진,곽상호,김동희,이희진,이승준,안태영,이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sult of using anterolateral thigh (ALT) flap to multiple trauma patients with open fracture accompanying soft tissue injuries.Methods: The subjects were 18 patients who visited the regional trauma center with open fracture and treated with the ALT flap from February 2013 to September 2017. According to the injured body regions, there were 7 cases of foot in-juries, 5 of lower extremity, 3 of ankle, 2 of hand, and 1 of forearm. The cause of injuries was car accidents in 10 cases including the pedestrian struck in 4 cases.Results: Except for one case that the patient’s flap was lost due to the artery thrombosis, the rest of cases showed that the flap was survived. Average healing time to a bone union was 8.1 months.Conclusion: During the surgery of the multiple trauma patients with open fracture, no change of patient position is re-quired and no pressure to abdomen or chest was applied. Also, the ALT flap with relatively long pedicle seems to be more useful than other flap surg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