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낯설게 하기’를 통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렘 오프 테라코타>(2022)를 중심으로-

        이새우,김홍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8

        애니메이션은 기존에 존재하는 여타 시각예술형태와 마찬가지로 종합적 사고로 이루어진다. 즉 객관적 현실에 주관적인 사상을 반영한 후, 이를 다시 시각적 감각으로 구현하는 예술적 단계를 지니고 있다. 그 중에서 익숙한 사물에 변화를 주고 소외시킴으로써 전통적인 경험과 인식에서 벗어나 풍부한 상상력을 구현하는 예술적 표현 방식은 러시아 형식주의자 슈클로프스키가 문학 창작 분야에서 제시한 ‘낯설게 하기’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 낯설게 하기는 일상적인 상식에서 탈피, 사물을 낯설게 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표현하여 다양한 미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는 기존의 규칙과 속박에서 벗어나 경이로운 감각과 거리감을 만들어내며 낯선 시각적 효과를 통해 관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 분야 특히 애니메이션에서 낯설게 하기의 미적 특징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슈클로프스키의 낯설게 하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문학 분야에서 수사적 기법 중 하나인 낯설게 하기는 과장, 변형, 무의식, 왜곡 등을 통해 자유롭고 다양한 미적 특징을 구현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예술 분야에서 초현실주의 회화, 사진, 영화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초현실주의의 표현장치인 데페이즈망과 낯설게 하기의 공통점을 발견하였고 사물의 전치, 프로타주, 콜라주, 충돌 몽타주 기법을 통해 초현실주의 예술 속 낯설게 하기의 미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대상으로는 중국 애니메이션 <렘 오프 테라코타>를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캐릭터의 낯설게 하기를 이루어낸 대표적인 사례로서 표현대상의 왜곡, 생명 형태로의 치환, 시공간의 혼재와 같은 낯설게 하기의 미적 특징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중국 애니메이션 감독들은 낯설게 하기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서양 문화의 융합, 시공간의 초월, 생명이 있는 물체와 생명이 없는 물체의 전환, 서로 다른 요소 간의 대립과 충돌 등 다양한 미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작품으로 슈클로프스키의 낯설게 하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 KCI등재

        문학 이론인 “낯설게 하기”의 설교학적 적용 : 설교전달을 중심으로

        이승우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7 복음과 실천신학 Vol.43 No.-

        설교학은 많은 부분에서 다른 학문 분야의 도움을 받아 발전해 왔다. 그 중 에서 문학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설교가 문학적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성경이 문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설교와 문학의 관계는 매우 밀접할 수밖 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문학 이론을 연구하는 것은 설교학의 발전을 위해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러시아 형식주의의 낯설게 하기 라는 개념을 소개하고 설교학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낯설게 하기는 인식의 자동화 혹은 습관화 현상으로 인해 어떤 대상이 너무 나 익숙해져서 더 이상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 시된 문학 이론이다. 필자는 이 개념을 익숙해진 설교, 지루해진 설교의 문제 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먼저 러시아 형식주의와 낯설게 하기 개념을 소개한 후 이 개념이 설교 안에서 어떻게 인식의 자동화, 습관화를 극복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설 교 상황은 인식의 자동화, 습관화를 가져오는 구조적이고 상황적 한계를 가지 고 있다. 설교는 장기적 사역으로 한 설교자가 같은 청중에게 한권의 텍스트인 성경을 가지고 오랜 시간 동안 설교하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서 설교행위와 그 설교 내용은 청중들에게 익숙해지기 마련이다. 특별히 성경 안에는 유사한 내용들이 많아 청중들이 설교 내용에 익숙해지는 것은 매우 자 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러한 설교 안에서의 인식의 자동화, 습관화는 설교에 대 한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루함을 유발하게 된다. 낯설게 하기 이론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매우 유용하다. 필자는 낯설게 하기의 핵심 방법으로 인식의 지연을 제시한다. 그리고 낯설게 하기를 위한 실 제적 방안으로 귀납적 설교와 내러티브 설교 형식의 적용, 설교 제목의 모호성 도입, 설교본문 읽기 순서 변경, 자세한 설명과 묘사, 다른 이름 혹은 표현 사 용하기, 새로운 관점 사용하기, 다양한 설교 형식 사용 등을 제시한다. Homiletics has been developed with support from other disciplines. In these disciplines, literature has been a good avenue for developing homiletics. Not only preaching, but also the Bible, has a literary character: this means that preaching and literature are very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study of literature can be very meaningful work for the development of homiletics. In this paper, the writer introduces the notion of defamiliarization, from Russian Formalism, and applies it to homiletics. Defamiliarization is a literary theory that aims to overcome the phenomenon of loss of interest in a subject to which one has become accustomed, owing to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The writer suggests defamiliarization as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of loss of attention to preaching that is familiar or boring. Frist, the writer introduces Russian Formalism and defamiliarization. Then he analyzes how defamiliarization can overcome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in preaching.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to bringing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into the preaching context. As a long-term ministry, preaching works as follows: one preacher delivers a sermon to the same congregation based on the Bible text-from just one textbook-for a long time. In this situation, the preaching and its content are generally familiar to the congregation. Moreover, it is very easy for that congregation to become familiar with the content of the preaching because the Bible has many similar stories. A result is automatization and habitualization of perception in preaching, causing disturbance of perception and boredom. Defamiliarization is very useful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writer suggests impeding perception as the main concept in effectuating defamiliarization. He also suggests specific ways to effect defamiliarization: using inductive preaching and narrative preaching, giving the sermon an ambiguous title, changing the order of the Bible text readings, giving a detailed explanation or description, renaming, using a new and different perspective, and using various preaching formats.

      • KCI등재

        유가의 관계 자아에서 타자와의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 - 유가적 가족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

        박연규 한국공자학회 2015 공자학 Vol.28 No.-

        In the classic tradition of Confucianism the relational self as being against the individual self is to conceive an individual relationally and situationally, namely, to do him as the totality of roles and as the co-author of his action.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self has surely received the philosophical merits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what the subject is, and to extend the domain of the ethical activities of the individual without much conflict. In order to specify the meaning of the relational self with others, we need the conceptions of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them. There is a limit only with the Chinese meanings of the ren and li which are supposed to deal nicely with such relation between people. Instead I borrow the concept of Jing(敬; mindfulness or reverence) which is needed. This approach should be positively set and managed practically and then the problem we pointed properly out can be solved. I here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the relational self, using two concepts,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hat I extracted from the Confucian and neo-Confucian tradition of jing. In this paper I choose and use the term reverence rather than mindfulness because it better illustrates the ethical relational situation between people, Jing originally means ‘focusing on oneself’ carefully though. I regard the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social practices as a proper way to realize the correct reverence amongst people, and when these become succeeded, the subjective effect of self can meaningfully be decreased. It is because the right reverence to others is ironically achieved when we treat familiar people unfamiliarly; caring and anxiety are often formed in this paradoxical condition. It is better to avoid seeing others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but to leave a deliberate conscious and social distance from them. I will interpret the jing thought of Confucianism and apply its concepts of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look at the family as the literal sense as well as the Confucian sense to confirm the possibility to get an appropriate relation. 유가 전통에서의 관계 자아는 개인 자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관계적이고 상황에 따라 이해되는 자아이다. 이는 한 개인의 윤리의식이 개인이 아닌 개인들의 관계의 합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하기도 한다. 관계 자아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철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며 윤리적 행위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에 대해서도 해결책을 제시하는 장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관계 자아의 특성을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나는 이 두 개념을 유가와 신유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요 개념어인 경(敬)에서 가져왔다. 경은 흔히 존경, 공경 또는 집중이라는 말로 이해되어 왔는데 여기서는 앞의 존경이나 공경의 의미를 선택한다. 이것이 사람들 사이의 윤리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더 유효하기 때문이다. 유가적 관계 자아를 논의할 때는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 유가에서는 전통적으로 관계 맺음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인이나 예를 강조했지만 이 글에서는 경(敬)의 특성을 제일 원리로 두었다. 관계의 문제를 경으로 접근할 때 관계 자아와 관련된 논의도 쉽게 풀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가 실현될 경우 그것은 사람들 사이에서의 존경이나 공경의 상황을 적절하고 올바르게 기술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친한 사람에게 거리를 두고 그를 의도적으로 낯설게 해서 윤리적이 된다는 것이 모순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윤리는 친함에서 만들어진다기보다는 일정 정도의 거리감이나 익숙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실제적으로 작동된다. 즉 신중하고 의식적인 관계의식이 윤리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유가의 경 사상을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로 이해할 때 말 그대로 유가적 가족의 관계로부터 만들어지는 다양한 덕목의 의미도 파악할 수 있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족 구성원의 관계 설정도 가능하리라 본다.

      • KCI등재

        논문 : 유가의 관계자아에서 타자와의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 ?유가적 가족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박연규 ( Yeoun Gyu Park ) 한국공자학회 2015 공자학 Vol.28 No.-

        유가 전통에서의 관계 자아는 개인 자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관계적이고 상황에 따라 이해되는 자아이다. 이는 한 개인의 윤리의식이 개인이 아닌 개인들의 관계의 합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하기도 한다. 관계 자아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철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며 윤리적 행위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에 대해서도 해결책을 제시하는 장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관계 자아의 특성을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나는 이 두 개념을 유가와 신유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요 개념어인 경(敬)에서 가져왔다. 경은 흔히 존경, 공경 또는 집중이라는 말로 이해되어 왔는데 여기서는 앞의 존경이나 공경의 의미를 선택한다. 이것이 사람들 사이의 윤리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더 유효하기 때문이다. 유가적 관계 자아를 논의할 때는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 유가에서는 전통적으로 관계 맺음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인이나 예를 강조했지만 이 글에서는 경(敬)의 특성을 제일 원리로 두었다. 관계의 문제를 경으로 접근할 때 관계 자아와 관련된 논의도 쉽게 풀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가 실현될 경우 그것은 사람들 사이에서의 존경이나 공경의 상황을 적절하고 올바르게 기술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친한 사람에게 거리를 두고 그를 의도적으로 낯설게 해서 윤리적이 된다는 것이 모순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윤리는 친함에서 만들어진다기보다는 일정 정도의 거리감이나 익숙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실제적으로 작동된다. 즉 신중하고 의식적인 관계의식이 윤리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유가의 경 사상을 거리두기와 낯설게 하기로 이해할 때 말 그대로 유가적 가족의 관계로부터 만들어지는 다양한 덕목의 의미도 파악할 수 있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족 구성원의 관계 설정도 가능하리라 본다. In the classic tradition of Confucianism the relational self as being against the individual self is to conceive an individual relationally and situationally, namely, to do him as the totality of roles and as the co-author of his action.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self has surely received the philosophical merits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what the subject is, and to extend the domain of the ethical activities of the individual without much conflict. In order to specify the meaning of the relational self with others, we need the conceptions of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them. There is a limit only with the Chinese meanings of the ren and li which are supposed to deal nicely with such relation between people. Instead I borrow the concept of Jing(敬; mindfulness or reverence) which is needed. This approach should be positively set and managed practically and then the problem we pointed properly out can be solved. I here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the relational self, using two concepts,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hat I extracted from the Confucian and neo-Confucian tradition of jing. In this paper I choose and use the term reverence rather than mindfulness because it better illustrates the ethical relational situation between people, Jing originally means ‘focusing on oneself’ carefully though. I regard the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social practices as a proper way to realize the correct reverence amongst people, and when these become succeeded, the subjective effect of self can meaningfully be decreased. It is because the right reverence to others is ironically achieved when we treat familiar people unfamiliarly; caring and anxiety are often formed in this paradoxical condition. It is better to avoid seeing others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but to leave a deliberate conscious and social distance from them. I will interpret the jing thought of Confucianism and apply its concepts of ‘distancing’ and ‘defamiliarizing’ to look at the family as the literal sense as well as the Confucian sense to confirm the possibility to get an appropriate relation.

      • KCI등재

        Study on Chinese Youth Film Expression through Defamiliarization :Taking Us and Them(后来的我们) as Example

        Zhang Lin(장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1

        중국 청년 영화는 2013-2017년의 빠른 발전을 거친 후 지속적인 발전에 일정한 난관에 부딪히게 되었다. 따라서 영화의 창작 이념과 방법의 혁신을 통한 관객들의 감상 취미에 대한 소환과 새로운 심미체험의 촉발은 중국 영화 시장에 관심을 가진 창작자들이 직면한 문제가 되었다. 영화 <먼 훗날 우리>는 2018년 큰 성공을 거둔 청년 영화이며, 그 창작실천의 낯설게 하기는 중국 청년 영화의 창작에 새로운 이론과 방법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중국 청년 영화 발전 상황을 토대로 영화 <먼 훗날 우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서사담론 와 서사내용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영화의 낯설게 하기 표현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화면, 인물, 플롯은 서사담론의 낯설게 하기를 구성해 영화가 현실 세계를 “돋보이게”하고, 그 다음 도시 콤플렉스, 정체성, 고향 정서 등이 서사내용의 낯설게 하기를 구성해 기존 패턴에서 영화를 “돋보이게”한다. 이러한 창작 방법은 당대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청년 영화 창작에 효과적인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시대가 변화되고 있지만 성공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낯설게 하기 요소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매우 필요한 부분이다. Chinese youth films fall into the dilemma of continuous development after experiencing rapid development from 2013 to 2017. How to update the creative ideas and methods of the films, arouse the audience’s interest in watching and stimulate a new aesthetic experience has become a focal point for the creators who concern about the Chinese film market. "Us and Them" is a successful youth film in 2018. Its creative practice proves that defamiliarization can provid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sis for the creation of Chinese youth films. Therefore, taking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youth film as the research background, treating "Us and Them" as the research object, the defamiliarization of narrative discourse and narrative content used in the film are analyzed. First, the defamiliarization of narrative discourse composed of scenes, characters and plots makes the film "stand out" from the real world. Second, the defamiliarization of narrative content composed of metropolis adoration, self-identity and hometown affection makes the film "stand out" from the existing context. These methods of creation not only meet the needs of the contemporary, but also provide an effective reference for the creation of other youth films. Research will be needed to utilize the elements of defamiliar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ccessful case in spite of the time change.

      • KCI등재

        낯설게 하기기법을 활용한 브랜드디자인의 의외성 표현 연구

        김병옥(Byeong Ok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마케팅 현장에서는 브랜드의 양적 팽창에 따른 제한된 소비자의 주의 용량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그것은 소비자들이 선택적 지각에 따라 대부분의 브랜드 정보들을 무시해 버리거나 차단해 버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케팅 상황에서 브랜드에 대한 주목과 기억효과의 측면에서의 ‘의외적 표현’은 매우 효과적이고 설득적인 방법이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브랜드 차별화 요소로서 독창적이며 신선한 표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브랜드디자인 표현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통해 의외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의외적 표현을 도출하는 ‘낯설게 하기’의 방법론으로는 두 가지의 접근 방법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 첫째가 사물의 내면에 깔려 있는 다양한 의미를 찾아내어, 습관화를 지향하는 디자인에 자극을 주는 ‘의미 지향적’인 낯설게 하기와 새로운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이라는 특질화된 대상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질서를 찾아내어 기존의 디자인 방식의 친숙함을 새롭게 관계 맺는 ‘의미 부재적’인 낯설게 하기이다. 또한 이러한 ‘낯설게 하기’를 통한 의외성 형태의 생성 매커니즘을 통해 디자이너들이 형태를 발전시킴을 청각적 의외성과 시각적 의외성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청각적 의외성 사례로는 현재의 시장 경쟁상황이 첨예한 통신관련 업종의 브랜드 네임을 제시하였고, 시각적 의외성의 사례로는 브랜드 차별화의 현장성이 강한 패키지디자인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의외적 표현의 매커니즘은 전형적 표현과 비교하여 볼 때 훨씬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와 의미를 발견하고 브랜드 마케팅 측면에서 브랜드 인지, 주목성, 기억성을 제고하고 브랜드 차별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제 브랜드 차별화를 위해서는 경쟁 브랜드와는 다른 방식으로 고유의 개성을 살리는 의외적 표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소비자는 자신의 독특한 내면적 가치, 즉 사회적으로 자신이 드러내고자 하는 가치와 개성에 부합하는 대상에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반응하기 때문이다.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brands, the field of marketing is overheated with competition for attracting consumers` limited attention. It is because most of brand information is ignored or blocked by consumers` selective perception. In such a marketing situation, ‘unexpected expression’ is a very effective and persuasive method for making consumers pay attention to and memorize a brand, and can be a new original expression that differentiates the brand through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unexpected expression method through ‘defamiliarization’ as a new approach to brand design expression. We suggest two approaches as the methodologies of ‘defamiliarization’ that derives unexpected expressions. One is ‘meaning?oriented’ defamiliarization that finds various meanings underlying the inside of things and stimulates designs pursuing habituation, and the other is ‘meaningless’ defamiliarization that finds various orders using characterized objects, which are substances created by new relations, and establishes a new relation with the familiarity of conventional ways of design. In addition, we found cases of auditory and visual unexpectedness showing that designers develop forms by the mechanism of generating unexpected forms through ‘defamiliarization.’ Brand names of communication?related businesses in the situation of sharp market competition were suggested as cases of auditory unexpectedness, and package designs with strong field contextuality as cases of visual unexpected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chanism of unexpected expression had a possibility of finding much more diverse fresh forms and meanings compared to conventional expressions, enhancing brand recognition, attention and memory, and making a positive contribution to brand differentiation. For brand differentiation, accordingly, we need unexpected expression that exposes the unique originality of a brand in a way different from competing brands. It is because consumers assume a positive attitude toward and respond to objects that agree with their unique internal value namely, the value and individuality that they intend to reveal socially.

      • KCI등재

        역사에 대한 ‘낯설게 하기’로서의 문학 서사 - 다닐로 키슈의 산문 시학 연구

        조준래(Cho, Jun R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이론을 자신의 창작적 도구로 적극 활용했던 유대계 세르비아인 작가 다닐로 키슈(Danilo Ki?, 1935~1989)는 자신의 역사소설 장르를 주로 실험적인 자서전 및 전기 형식으로 표현해 왔다. 키슈는 역사적 사실과 사료를 형식주의적 개념인 ‘파불라’로, 그 위에 덧입혀진 상상력의 재구성을 ‘슈제트’로 각각 이해했다. 이런 실험적 형식들은 넓은 의미에서 ‘낯설게 하기’의 목표, 즉, ‘세계에 대한 평범하고 속물적인 시각을 피하고 세계와 그 현상들을 총체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해법’의 모색을 지향한다. 『모래시계』에서 단순한 윤리적 메시지를 복잡하게 서술하는 방식은 예술에서 진부함에 빠지지 않고 홀로코스트와 같은 무거운 주제에 대해 설득력 있게 전달해야 한다는 예술적 신념 위에 세워져 있다. 『보리스 다비도비치의 무덤』이 그리고 있는 허구적 전기는 역사적 기록에 대한 회의를 작품의 핵심적 구성 요소로 포함하면서, 인과적 사실, ‘스토리’ 위에 예술적 가공을 덧입히려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역사에 대한 문학의 교정자적 역할을 강조한다. 『죽은 자들의 백과전서』는 선행하는 문헌을 개작하는 형태로 창작됐고, 삶에 대한 포괄적인 알레고리적 해석을 지향하면서 역사적 격랑 속에서 죽음을 맞이한 무수한 익명의 인간들을 망각으로부터 되살려 내려는 작가의 창작의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키슈는 문학이 역사에 대한 교정자적 위치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보편적이고 무심한 역사적 데이터에 개인적 특정성을 부여하고, 추상적인 역사를 구체화하는 것에 문학의 역할이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작가의 사명이 역사 속에서 유실된 텍스트를 찾아내고 그것을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다시 창조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했다. 키슈는 자신의 ‘팩션’이 선보이는 문학 기법의 다양성과 텍스트의 다방향적 분기 속에서 문학이 이데올로기와 현실로부터 노정하는 거리 및 문학의 효용성-역사적 진실의 성취-을 보았다. Drawing on a russian formalist literary theory, a jewish serbian writer Danilo Ki?(1935~1989) considered two principle of increasing difficulty in perception and defamiliarization as the pivotal axis of his own literary cre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narratological novelties being aimed at the effect of defamiliarization in his major three novels 〈Hourglass〉 〈A tomb for Boris Davidovich〉 〈The encyclopedia of the dead〉, wherein lies his artistic philosophy about disbelief of history and redemption through artistic imagination. Ki? expressed his historical fiction works in the form of experimental (auto) biographies. In this process he considered the historical fact and documents as the formalist concept of "fabula", raw material and the recreation through imagination of them as "sjuzhet". Citing a lot of historical documents, Ki? keeps on putting his question on the authentic truth in them, and instead foregrounds the ability to construct an alternative history through literary creation. The experimental forms that he showed in his novels aspire to embracing a wide range of world and its phenomena, and lastly to grasping historical truth with avoiding ordinary and banal viewpoint about reality.

      • KCI등재

        문학의 속성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의 교육 방안 연구 : '낯설게하기(defamiliarization)'를 중심으로

        조하연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변화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교육현장에서도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최근의 교육과정은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암기하고 있느냐를 가지고 학생을 평가하던 이전의 틀에서 벗어나 학생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사고를 얼마나 발달시키고, 그것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발현시킬 것인가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학습자 중심, 창의적 사고의 신장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사정은 분명히 드러난다. 이에 따르면, 국어과에서는 국어 사용 양상과 내용에 대해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창의적 사고가 무엇인지,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이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국어교육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라는 영역이 현실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는 것과 달리 그 구체적인 의미를 아직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문학의 속성과 사고력의 문제를 접목하려 했던 최근의 연구물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세계에 대한 주체적 관찰과 발견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학적 활동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사고력의 과정을 보여줄 뿐 아니라, 그 결과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학의 속성에 기댄 사고력의 계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된 논지로 하고 있다. 이 글 역시 이러한 전제에서 언어활동을 통한 사고력의 증진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렇게 증진된 사고력을 통해 인간의 언어활동을 어떻게 고양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과정의 교육적 설계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문학의 속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문학의 익숙한 원리 중의 하나인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동화된 일상으로부터 탈피하여 세계의 이면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동화된 일상의 의미를 바탕으로 대상이 가질 수 있는 다른 측면을 발견하는 데 창의적 사고의 핵심이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해 '낯설게 하기'의 형식적 기제들의 활용을 통해 창의적 사고에 도달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엉뚱함'과 '창의성'의 구별이 필요해 지는데, 이는 사회 구성체에 의한 용인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조회가 필요하다는 점을 아울러 지적하였다. Today requires more creativity to the people than the past. In this reason raising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 student is very important t o the education today. For example current curriculum emphasizes the ability of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about the various aspect of the creative thinking. We know that creative thinking is important for current student but we didn't answer the method of teaching. I gave attention to the former studies based on the attribute of literatur : literariness. We know that literature is creative activity of human beings. Because it always requires new inspection of the world with new viewpoint. I aimed at this literariness and thought this creative attribute can be used in the class. In particular I concentrated on the familiar principle of Literature - defamiliarization. I argue that defamiliarization can give student a chance to breaking the automized world and exploring the other side of the object. In doing so, I tried t o reconstruct the meaning of creative thinking and present a new model of creative thinking. But I am afraid this essay is not enough to be used in the class directly. To be used in the class room, this idea need more data for verification. In the followings I will try to give a more elaborate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엘리엇과 윌리엄스 비교 ―서한문의 차이와 「주검의 매장」, 「봄과 모든 것」의 “낯설게 하기”

        김양순 한국T.S.엘리엇학회 2021 T.S. 엘리엇 연구 Vol.31 No.3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의 『봄과 모든 것』은 실험적인 추동력으로 모더니스트 시의 새로운 출발을 보여준 작품이다. 혁신적인 시도라는 공통 기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윌리엄스는 후속 세대에 끼치는 엘리엇의 영향을 부패와 독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본 연구는 이 두 작가의 서한문을 읽고 엘리엇과 윌리엄스의 서로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며, 『황무지』의 제1부, 「주검의 매장」과 『봄과 모든 것』의 첫 번째 시작품, 「봄과 모든 것」을 비교한다. 특히 쉬클로프스키의 “낯설게 하기” 개념을 염두에 두고, 본고는 “삶의 감각을 회복”하기 위해 엘리엇과 윌리엄스가 어떻게 봄의 풍경을 제시하고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는지 면밀하게 분석한다. 「주검의 매장」은 여러 종류의 인유, 불명확한 화자들, 구절 간의 불안정한 관계 등으로 독자의 지각을 낯설게, 느리게, 어렵게 한다. 「봄과 모든 것」은 일상적인 풍경 가운데 세부적인 것들을 하나씩 하나씩 세심하게 보도록 독자를 천천히 이끌어가면서, 익숙한 대상들을 낯설게 느끼게 한다. 윌리엄스는 “낯설게 하기”의 방식으로 행갈이, 분리된 구문 등을 사용하여, 시행의 단위와 감각의 단위 간의 긴장을 꾀하는 것이다. 엘리엇과 윌리엄스가 종종 대척적인 작가로 간주되지만, 1920년대의 다양한 모더니즘을 회고해 볼 때, 문학의 맥락을 확장하고, 새로운 지각의 방식을 탐구한 점에서 그들은 유사한 도전적인 흐름의 핵심 인물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