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非外像性 謄주腹膜炎 8例에 對한 臨床治驗 및 文獻考察

        金弘均,咸泰元,鮮于鍈,孫鐘夏 최신의학사 1972 最新醫學 Vol.15 No.4

        A Series of 8 cases of bile peritonitis treated in the 3 year period, Mar. 1969 to Jan. 1972, is presented. In this group, half of the cases were of perforation of acute cholecystitis; other casees were of idio pathic and rupture of subcapsular cholangitic abscess. The chief pathology of the bile peritonitis is induced by a salt of Na. glycocholate and Na. tauro?cholate which irritate, weaken and destroy the peritoneum and serosa so that a serious stage of endotoxic shock may be induced, the diagnosis is difficult. The treatment of bile peritonitis is surgical. 2 deaths occured in this series.

      • KCI우수등재

        통합물관리를 위한 대응방안 ― 수리권법의 제정 ―

        김홍균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7 No.1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provided the good basis of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IWRM). IWRM changeovers the approach from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isolation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conflict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and focus on use and control of water resources, to efficient and balanced waste management, substantial integration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watershed management based 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nd environmentally-friend river management. It is easy to leave out the fact that the unification of water right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IWRM. That is because the streamlining of water right is directly related to the equitable and reasonable utilization of water. Under the existing law, regulations on water right are overly simple, vague and duplicate.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characteristics, contents, range, and effects of water right are the very causes of disputes related to water. The unification of water right i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such disputes and attain efficient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water right. This should involve the abolition of water right-related regulations that are scattered over separate laws and the integration of those regulations into one law. This paper roughly suggests the potential contents of so called Water Right Act in the form of a draft bill. The fact that this proposal only draws a general outline mainly comes from the lack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matter during the past. The reason why discussions related to water right failed to crystallize into a single, integrated bill partly has to do with doubt cast on whether the IWRM will actually work, and egoism among different departments. The delegation of all the work related to water management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MOE) is enough to reverse the atmosphere. The IWRM is essential to ending the dispute that had lasted for the past 20 years and attaining sustainabe development in the water management field. In this respect, we must start to seriously consider the integration of water right.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sphere must be determined. We must have the courage to endure some disadvantages the integration process that may entail. 「물관리기본법」의 제정으로 통합물관리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통합물관리는 수자원 개발 중심에서 효율적․균형적 물관리, 수량․수질 분절 관리에서 실질적 통합, 상․하류 갈등에서 참여․협력에 기반한 유역관리로의 전환, 이․치수 중심에서 환경친화적인 하천 관리 등을 내포하는 거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빠트리기 쉬운 것이 바로 수리권의 통합(일원화)이 통합물관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이다. 물의 공평하고 합리적인 이용, 배분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수리권법의 제정은 통합물관리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현행 법체제상 수리권은 여러 법에 산재해 있고 그 내용이 지나치게 단순하고, 모호하고, 중복․충돌되는 부분이 많다. 특히 수리권의 주체, 성격, 내용, 성립, 범위, 효력 등의 불명확은 물 분쟁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수리권을 둘러싼 분쟁을 예방하고, 수리권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권의 통합이 필요하다. 이는 근본적으로 개별 법에 산재해 있는 수리권 관련 규정을 폐지하고 새로운 법에서 통합하여 규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리권의 핵심은 물 사용에 대한 허가와 비용부담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물의 공공성과 수익자부담원칙에 크게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에 동법은 물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허가제(주체, 예외, 허가요건․기준, 제한, 절차, 소멸 등)와 비용부담문제(취수부담금 내지 사용료)를 분명하고 자세히 밝혀야 할 것이다. 수리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원칙과 기준을 담고, 분쟁해결기구의 창설, 신청인, 대상․범위, 효력 등에 대한 법적 근거를 두는 것도 중요한 입법 사항이다. 불필요한 분쟁을 막는 것이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수리권 통합의 일환으로 가칭, 수리권법에 담길 내용을 법안 구성형식으로 대략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대략적인 안만을 제시한 것은 시간적 제약도 있었지만 그 동안 이와 관련한 구체적 논의가 거의 없었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다. 그동안 수리권 관련 논의가 단일의 개별 법안을 만드는 데까지 이르지 못한 것은 통합물관리가 과연 이루어질 수 있을까하는 패배주의와 부처이기주의에 크게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물관리의 환경부로 일원화는 그 분위기를 반전시키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통합물관리는 20여 년간 이어져 온 부처간 해묵은 논쟁을 종식한다는 의미를 넘어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에 발맞추어 수리권의 통합에 대해서도 진지한 고민을 하여야 한다. 정부나 정치권은 결단을 하여야 한다. 우리는 수리권 통합으로 인해 받게 될 불이익을 감수하겠다는 용기가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종합환경대응책임법(CERCLA)상의 책임당사자와 토양환경보전법상의 오염원인자

        金泓均 한국환경법학회 2002 環境法 硏究 Vol.24 No.1

        The Soil Envimnmnt Gmsavation Act holds the one who caused the soil mtamination strictly liable by providing that "in a case where the damages cum, on account of soil contamination, the one who caused the contamination shall compensate for such damages and clean up the contaminatd soil. The Act resembles, in m y aspect, the comprehensive Enviro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CERCL4) of the united states. Above all tk Act specifies scope of pdlutgs Spmfmtirn of responsible patty m y slgrnficantly lessen the controvasy summhng the issue who is liable. However, a katd debate exists on the inhphtirn of the pvision and eventually . effectiveness arad efficiemy of the Act. For exarrple, the Act does not consides sharehollder, rlmnager, officer, dimtor, lenlder, parent mpm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as potential responsible party in US. ?he Act includes a pason who cmgdxnsively succeed as a respmsitde pa-&, houwa; it is mt dm w h is tk cuqxhmm smexr. Fbtkmxq tk dqect d mcatim is linited to d omtam-& . 'maradthus, the Act is not adxwite to handle water quality pollution such as surfax or gmmd water pollution stemming from soil contamination. In addition, tecause the subject is focused on the very limited facilities induung soil contamination, &cation is limited In addition, unlike to CERCLA, the Act 83es not incl& pascpl who arranged for disposal and transparter as and level of clean up, and thus m m v m y my still exist s m extent of liability. Meanwhile the issue which occur especially when the me who caused the contamination is laclang in funds, still remains to be solved a responsible party. Also the Act dos not provide mverable damages Above limits are overcome through legislative consickration in the near future. At this time, we must not forgot that too heavy liability likely to irduoe maral hamd and make responsible party to neglect his obhgations and thus reduce incentive to prevent frmn en-tal degradation. In this regard, we mst pay attention polluter's liability under the Soil h-t ConsesvaticPl Act not to beccary3 anybcdy's liability. For this, specification aml sLg3lmt of polluters, exclusion of di*a who produce gnaU ammt of pollutants and non-*s suhstanm from pdlutas, and dmission of non-retroactive effect are deserve psitive consihtion

      • 주식회사의 불균등 증자와 미실현이득에 대한 과세

        김홍균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총 Vol.20 No.1

        Generally a corporate issues the new stock with pro rata to stockholders in exchange for money or other properties. But, if one or more sharehoders relinquished his or their pre-emption right, and then the economic value of the other sharehoders" stock will increase or decrease. Appreciation in the value of the stock is unrealized gain. Unrealized gain is taxable income under the Haig-Simons concept of income with the accretion tax system but under the realization tax system, unrealized gain is not taxed untill realized. Because the Haig-Simons concept of income is the taxpayer"s net changes in wealth plus consumption over the taxable period. Under that concept, unrealized appreciation and depreciation is to be included in the tax base, In our tax system, fundamentally gain or loss should be not recognized until the property is sold because income or corporate income tax law require realization event. Therefore, mere increases in value do not result in tax. But under our gift tax system, unrealized gain, that is appreciation of the stock value in capital transaction would be taxed as gift tax. Its thought is that some sharehoders" appreciation in the value of the stock is transfered gratuitously from the other"s depreciation in the value of the stock. In the purpose of gift tax, the transfer of value is gift. Appreciation in the value of the stock in capital transaction is taxed under the accretion tax system. In this case, we have several problems since our income tax system adopt realization doctrin, whereas our gift tax system adopt accretion doctrine in taxing capital gain of the stock.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se problems. Consequently, the differences between accretion doctrine and realization doctrin results only timming of taxing. 일반적으로 회사는 금전과 다른 재산과 교환으로 지분과 비례하여 주주에게 신주를 발행한다. 그러나 일부 주주가 신주인수를 포기하면 다른 주주의 경제적인 주식가치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주식가치의 증가는 미실현이득으로서 발생주의에 따르는 Haig-Simons의 포괄적인 소득개념에 의하면 과세대상이나, 실현주의 세계에 의하면 미실현이득은 실현시까지 과세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Haig-Simons의 소득개념은 일정기간동안 납세자의 부의 순변화와 소비를 더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세제에서는 본질적으로 재산이 매각될 때까지는 손익이 인식되지 않는데, 이는 소득세법 또는 법인세법이 실현의 계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한 가치의 증가는 조세결과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증여세제에서는 자본거래에서 주식가치의 증가인 미실현이득은 증여세가 과세된다. 그러한 관점은 특정주주의 주식가치의 증가는 다른 주주의 주식가치의 감소로 인하여 무상으로 이전되었다는 것이다. 증여세목적으로 가치의 치전은 증여이고, 자본거래에서 주식가치의 증가는 발생주의하에서 과세되는 것이다. 한편, 주식의 자본이득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소득세제가 실현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증여세제는 발생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보면 발생주의와 실현주의는 과세시기의 문제일 뿐이다.

      • KCI등재후보

        국제환경법에서의 환경과 인권

        김홍균 대한변호사협회 200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85

        Although the Stockholm Declaration and the Rio Declaration implicit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to enjoy human rights, they do not recognize an environmental right separated from other human rights. At a global level, 1994 Draft of Principle on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genuinely discusses environmental right. However, the Draft is not a finally approved document. The status quo is much more disappointing when observing the legally-binding documents. An international treaty that specifically recognizes environmental right does not yet exist to this day. Thus, in real world, it is tremendously difficult to implement environmental right through a treaty. It is noteworthy some regional treaties recognize environmental right. However, even at this situation, there remains controversies. For example, what is exact meaning of the term 'environment' in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Is a possessor of such right a group or individual? Who shall be the one to hold responsibility in assuring the right? Such questions can not be explicitly answered yet. Not only that, there is no general standard when and how does the infringement to environmental right become human rights violation. Many international documents which accept right to enjoy a healthy environment, and nations' practices which recognize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in their constitution are strong evidence that environmental right has been attaining status of a rule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ome deny the environmental right itself based on that environmental right is yet very uncertain and nations' practice to support the right is very weak. In order to eradicate such argu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must lead to conclude a treaty that directly deals with the right to healthy environment. Meanwhile, it is also required for these organizations to establish specific and substantive standards as well as to create institution. A treaty that encompasses environmental right will work as a pressure for countries concerned to abide by the international duties based on rights-related provisions. The specific provisions related with rights mentioned in the treaty will become a international standard which will serve as a guide in the course of national implementation. 스톡홀름이나 리우선언 등이 깨끗한 환경이 다른 인권을 향유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지만 다른 인권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환경권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범세계적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환경권을 논의한 문서로 1994년 인권과 환경에 대한 원칙에 관한 선언 초안이 있지만 이는 최종적으로 승인된 문서가 아니다. 구속적 문서만을 살펴 볼 경우에는 더욱 초라하다. 환경권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범세계적 차원의 국제조약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아니한다. 결국 조약을 통하여 환경권을 실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환경권을 인정하고 있는 일부 지역협약은 구속적 문서임에도 환경권을 개인의 권리로써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환경권에서 말하는 ‘환경’이란 과연 무엇인가? 개인의 권리인가 아니면 그룹의 권리인가? 누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의무를 부담하는가? 등이 명쾌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고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환경침해가 인권침해에 이르는가 등 그 보편적인 기준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인권으로서의 환경권을 행사함에는 한계가 있다. 직ㆍ간접으로 건강한 환경을 향유할 권리 개념을 수용하고 있는 다수의 국제문서들과 환경권을 그들의 헌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대다수 국가들의 행위는 환경권이 국제관습법화 되어가고 있음을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환경권의 내용이 불확실하고 환경권을 지지하는 확고한 국가관행이 성립되지 않은 것이 환경권 개념을 부인하는 유력한 근거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불식하기 위해서는 유엔 등 국제기구의 주관으로 환경권을 정면으로 다루는 일반 조약을 만들거나1) 구체적ㆍ실체적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시행하는 관련 국제기구를 창출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환경권을 담은 일반 조약은 당사국에게 인권 규정에 따른 국제 의무를 준수토록 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조약에담긴 구체적 권리 규정은 국제기준이 되어 국가 차원의 이행 과정에서 큰 지침으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환경관련 R&D사업 운영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A Survey Study

        김홍균,임종수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2004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3 No.3

        환경 R&D 예산의 효율성 제고 방안의 연구를 위해 전주기방법에 입각하여 환경 R&D 사업의 운영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크게 네 가지 부문의 개선 노력이 요구되는 바, 첫째, 기술현황에 관한 기초자료를 축적·관리하는 전담조직의 운영, 둘째, 주기적 기술수요조사를 통한 과업선정체계의 강화, 셋째, 국가연구 개발사업으로 추진된 개발기술의 상용화 자금지원제도에 대한 홍보·알선 업무의 강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전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지원기관, 대상사업 및 재정지원의 확대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그러나 R&D 지원사업의 운영체계에만 국한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R&D 사업의 전반에 관한 포괄적인 추후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Environmental R&D management system has been analyzed with LCA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four elements were essential for improving effciency of environmental R&D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an information clearinghouse that collects and distribute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domestically owned environmental technology. Periodic survey of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demand to give guidance in selecting the environmental R&D project that are to be subsidize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ssistance program, and increased funding as well as the expansion of project categories eligible for R&D subsi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