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정팔난기』에 나타난 영웅성의 의미

        이희자 ( Hui Ja Lee )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조선 후기에는 소설의 여러 유형중 장편소설, 영웅소설, 애정소설, 가정소설, 판소리계 소설뿐만 아니라 중국의 연의소설, 신마소설 등 수많은 소설들이 유행했다. 이 유형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조선후기 소설사를 풍요롭게 하였다. 『남정팔난기』는 영웅의 이야기가 서사의 골간을 이루고 있다. 이는 영웅의 고난과 그 극복이 극대화되어 그려진다.『남정팔난기』의 구조의 특징은 장편에 상응하는 작품의 길이라는 점, 복수영웅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 군담이 반복 된다는 점에서는 반복적 구성의 특징과 유사하다. 그러나 『남정팔난기』는 ‘오호 쌍연’ 이라는 복수영웅들이 각기개성화 된다는 점, 개성화는 군담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삽화의 활용으로 개인별 역할과 위치가 지워진다는 점이 있다. 그래서 이들이 작품 안에서 이탈하여 개별적으로 존재하더라도 독립적인 영웅소설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은『남정팔난기』만의 특징이다. 그러므로『남정팔난기』는 반복적 구조을 탈피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동시에 복수(複數)영웅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황극을 중심으로 하는 일대기적 구조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남정팔난기』의 ‘영웅’들은 영웅소설의 영웅에서 보이는 영웅형상화 방식과 변별된다. 첫째, 다섯 명의 남성 영웅들이 등장하고 이들이 각각 영웅으로 형상화 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둘째, 여성영웅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두 명의 여성은 모사로서 그들의 영웅성을 발휘하고 있다.『남정팔난기』는 전장에서의 여성의 활약을 용인하고 그들을 긍정적으로 여성영웅으로 묘사하되 이들을 한 인물로 형상화하지 않고 분화시켜 두 여성영웅으로 형상화 했다. 요컨대,『남정팔난기』를 대상으로 그것이 지닌 영웅성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영웅성의 발현과 구조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이는 『남정팔난기』의 독자적 면모를 구명(究明)하는 동시에 향유층들의 미의식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남정팔난기』의 영웅성의 의미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many novels such as not only full-length novels, hero novels, romantic stories, family stories, pansori stories but also historical fictions and magician stories of China caught on. These stories mutually enriched the novelistic world of the late of Joseon Dynasty by mutually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In『Namjeongpalnangi』, the story of heroes forms the substance of narration. Also, the hardship and conquest of them is maximized in this story.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 『Namjeongpalnangi』are the way of this story corresponding to a full-length novel, the appearance of avenging heroes and the repetition of heroic exploits, also these are similar to the ones of repetitive structure. But, in this story, several heroes ``Oho Ssangyeon`` respectively individualize. This individualization takes away the role and position of an individual by using various illustrations based on heroin exploits. Though the characters make excursions from this story and are individually existing, they can become independent main characters in this hero novel. This is the characteristic in only『Namjeongpalnangi』. Therefore, this novel breaks from the repetitive structure. Also simultaneously, this novel is composed of stories about several heroes and supports the biographical structure based on Hwanggeuk(law books).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heroes`` of 『Namjeongpalnangi』, the methods forming as a hero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other hero novels. First, there are 5 heroes and they are given form to an individual hero. Second, the heroines have really stood out. These two women show their heroism as a schemer. In this story, the activities of women during the war are accepted and they are positively described as a heroine. Moreover, they are not given form to a character, but to two heroines as dividing. In conclusion,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structures in 『Namjeongpalnangi』and the manifestation of heroism for finding the meaning of heroism focused on『Namjeongpalnang i』. This has the purpose to state the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Namjeongpalnangi』, to make u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esthetic sense of class with power and to find the meaning of heroism in『Namjeongpalnangi』.

      • KCI등재

        <남정가>의 창작 의도와 작품 세계

        김용찬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3 南道文化硏究 Vol.- No.50

        <남정가(南征歌)>는 ‘을묘왜변(1555)’이 발생했을 때, 작자가 영암 전투에서 승전했던 기억을 서술한 가사 작품이다. ‘남정’은 적대 세력을 정벌하기 위해 남쪽으로 떠나는것을 의미한다. 정벌의 대상은 구체적으로 전라도 남해안에 침략했던 왜구들이었다. 을묘왜변은 왜구의 규모와 약탈의 양상이 매우 조직적이었다는 점에서 ‘전무후무한 군사적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왜구들은 대규모의 선단을 이끌고 육지로 상륙하여 양민을살해하고, 조선의 관군이 지키던 성을 빼앗으면서 초기부터 거센 공격을 퍼부었다.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한 조선의 조정에서는 토벌군을 편성하여 이들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당시 왜구 토벌에 참여했던 양사준(1519~1579)에 의해 지어진 가사가 바로 <남정가>이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작자가 참전했던 영암에서의 승전에 대한 기억과 감상을형상화한 것이다.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작품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파악되었지만, 여전히 몇몇 구절들에 대한 정밀한 해독과 해석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 있다. 또한 작품의 창작 시기에 대해서도 따져봐야만 하며, 작품의 내용을 당시의 전투 상황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작품이 수록된 문헌의 성격을 파악하여, 작자가 잘못 기재된 상황과 작품의 창작 의도에 대한 해명도 요구된다. <남정가>의 성격과 형상화의 면모를 온전하게 살피기 위해서는 ‘을묘왜변’ 전개 과정과 성격에 대한 검토가 전제되어야만 한다. <남정가>는 남판윤유사에 수록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작품의 작자를 양사언으로 표기하였다. 작품이 수록된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작자의 이름이 잘못 기재된 이유에 대해서 논할 필요가 있다. 이 문헌의 성격을 파악함으로써, 작자의 이름이 잘못 기재된 까닭과 함께 작품의 창작 의도를 추정할 단서를찾을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최근 양사언의 ‘묘지석’이 발굴되었다는 점도 작품의 창작의도와 작품론을 펼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양사준은 왜구 토벌의 기억을 토대로 가사 <남정가>를 창작했는데, 그 배경에는 분명어떤 동기가 작용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작품을 분석하면서, 작자와수록 문헌의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작품 창작의 동기에 대해서 추론하고자 한다. 작품이수록된 문헌의 성격을 탐구함으로써, <남정가>가 수록된 이유와 작자의 이름이 잘못 기록된 의미를 따져보도록 하겠다. 작품의 해석과 관련해서 ‘을묘왜변’의 전개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기에, 이 주제를 다룬 연구 성과를 작품의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해석의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품 세계를 면밀하게 따져보고, 양사준이<남정가>를 창작한 의도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남정팔난기』에 나타난 영웅성의 의미

        이희자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조선 후기에는 소설의 여러 유형중 장편소설, 영웅소설, 애정소설, 가정소설, 판소리계 소설뿐만 아니라 중국의 연의소설, 신마소설 등수많은 소설들이 유행했다. 이 유형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조선후기 소설사를 풍요롭게 하였다. 『남정팔난기』는 영웅의 이야기가 서사의 골간을 이루고 있다. 이는 영웅의 고난과 그 극복이 극대화되어 그려진다.『남정팔난기』의 구조의 특징은 장편에 상응하는 작품의 길이라는 점, 복수영웅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 군담이 반복 된다는 점에서는 반복적 구성의 특징과 유사하다. 그러나 『남정팔난기』는 ‘오호 쌍연’ 이라는 복수영웅들이 각기 개성화 된다는 점, 개성화는 군담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삽화의 활용으로 개인별 역할과 위치가 지워진다는 점이 있다. 그래서 이들이 작품 안에서 이탈하여 개별적으로 존재하더라도 독립적인 영웅소설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은『남정팔난기』만의 특징이다. 그러므로『남정팔난기』는 반복적 구조을 탈피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동시에 복수(複數)영웅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황극을 중심으로 하는 일대기적 구조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남정팔난기』의 ‘영웅’들은 영웅소설의 영웅에서 보이는 영웅형상화 방식과 변별된다. 첫째, 다섯 명의 남성 영웅들이 등장하고 이들이 각각 영웅으로 형상화 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둘째, 여성영웅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두 명의 여성은 모사로서 그들의 영웅성을 발휘하고 있다.『남정팔난기』는 전장에서의 여성의 활약을 용인하고 그들을 긍정적으로 여성영웅으로 묘사하되 이들을 한 인물로 형상화하지 않고 분화시켜 두 여성영웅으로 형상화 했다. 요컨대,『남정팔난기』를 대상으로 그것이 지닌 영웅성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영웅성의 발현과 구조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이는 『남정팔난기』의 독자적 면모를 구명(究明)하는 동시에 향유층들의 미의식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남정팔난기』의 영웅성의 의미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many novels such as not only full-length novels, hero novels, romantic stories, family stories, pansori stories but also historical fictions and magician stories of China caught on. These stories mutually enriched the novelistic world of the late of Joseon Dynasty by mutually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In『Namjeongpalnangi』, the story of heroes forms the substance of narration. Also, the hardship and conquest of them is maximized in this story.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Namjeongpalnangi』are the way of this story corresponding to a full-length novel, the appearance of avenging heroes and the repetition of heroic exploits, also these are similar to the ones of repetitive structure. But, in this story, several heroes 'Oho Ssangyeon' respectively individualize. This individualization takes away the role and position of an individual by using various illustrations based on heroin exploits. Though the characters make excursions from this story and are individually existing, they can become independent main characters in this hero novel. This is the characteristic in only『Namjeongpalnangi』. Therefore, this novel breaks from the repetitive structure. Also simultaneously, this novel is composed of stories about several heroes and supports the biographical structure based on Hwanggeuk(law books).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heroes' of『Namjeongpalnangi』, the methods forming as a hero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other hero novels. First, there are 5 heroes and they are given form to an individual hero. Second, the heroines have really stood out. These two women show their heroism as a schemer. In this story, the activities of women during the war are accepted and they are positively described as a heroine. Moreover, they are not given form to a character, but to two heroines as dividing. In conclusion,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structures in『Namjeongpalnangi』and the manifestation of heroism for finding the meaning of heroism focused on『Namjeongpalnangi』. This has the purpose to state the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Namjeongpalnangi』, to make u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esthetic sense of class with power and to find the meaning of heroism in『Namjeongpalnangi』.

      • KCI등재

        양사준(楊士俊)의 생애와 시문학

        홍순석(Hong Soon seuk) 동양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7 No.-

        양사언·사준·사기 삼형제는 시문과 서예로 이름을 떨쳐 중국의 ‘미산삼소(眉山三蘇)’에 비견되는 인물이다. 그 가운데 양사준은 전쟁가사인 「남정가」를 지어 우리 문학사에서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되었다. 양사준의 시문에 대하여는 “문장을 지을 땐 기력을 숭상하고 세속을 따르지 않았으며, 처음에는 간혹 다듬은 흔적이 남아 있었으나 종당에는 더욱 치밀하고 단련되었고, 시에 더욱 공교하였다.”는 평을 받았다. 정사룡이 양사준의 시문을 인정하였음에도 세상에 문명을 떨치지 못한 것은 그의 시문이 당시의 세속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양사준은 그동안 양사언의 동생이며, 을묘왜변 때 참가하여 「남정가」를 지었다는 사실 정도로 소개되었을 뿐 생몰연대조차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에 그의 묘지석이 출토되면서 처음으로 본고에서 구체적인 전기적 사실을 다루게 된 것이다. 양사언의『봉래시집』 권말에 부록된『풍고시』 17제 21수도 처음으로 다룬 것이다. 양사준의 한시는 전쟁시·황화시·교유시·송별시·영물시 등으로 분류된다. 전쟁시 「정왜대첩」은 가사작품 「남정가」와 함께 을묘왜변 당시에 지은 작품이다. 백광훈의 「달량행」과도 대비되는 작품이다. 황화시는 원접사 제술관으로 참여하던 당시에 중국의 사신 한세능과 창화한 시작품이다. 기자 사당을 참배하며 지은 시와 한강루 송별연에서 지은 작품인데 원접사의 책무를 엿볼 수 있다. 교유시는 양사준의 교유관계를 살피는데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물시는 국화를 소재로 작품 4제뿐이다. 한시에선 매화가 더 많이 형상화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특별한 경우이다. 국화는 한시에서 절서의 변화, 은일한 선비의 절개, 귀거래에의 지향, 교유와의 취흥 등을 형상화하는 소재로 쓰인다. 이점은 양사준의 한시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주목되는 작품은 산국(山菊)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양사준은 국화의 품성 가운데 ‘중정(中正)’을 예찬하였다. 국화는 짙은 향기에서 ‘혼진(混眞)’이 쉽게 구별된다는 점 때문에 유독 사랑했던 것 같다. 을묘왜변 때 전공을 세우고도 소외되었던 자신의 참담한 심정을 투영한 대상이 바로 국화인 셈이다. Three brothers, Yang-sa eon(楊士彦), Yang-sa jun(楊士俊), and Yang-sa gi(楊士奇), have made a name for themselves as poetry, prose, and calligraphy, and are comparable with the Misan s three So si of China (眉山三蘇). Among them, Yang-sa jun has rated high in that he opened doors to a new worl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Namjeongga(南征歌)」 which is War Gasa(戰爭歌辭). The prose and poetry of Yang-sa jun has been reputed as follows: When he writes a sentence, he respect vigor and do not follow the worldly-life. Even though the sentence has sometimes a few trace polished at first, it gradually has been elaborated further and much more skillful on the poem at the end. One thing that Yang-sa Jun was not well-known in the world even if Jeong-sa ryong(鄭士龍) acknowledged his prose and poetry is that the prose and poetry did not follow the common customs of the day. The only thing that Yang-sa jun is just known for the fact that he was Yang-sa eon’s brother and he wrote 「Namjeongga(南征歌)」 in the Eulmyo Invasion(乙卯倭變). It is not even known when he was born or died. As the his tombstone has been excavated recently, this paper has furthermore been dealt with specific biographical facts for the first time. The 21 poems of Punggo(楓皐詩) is covered first in an appendix added at Bongrae s book of poetry written by Yang-sa eon. Chinese poems of Yang-sa jun are classified as ‘War-poetry(戰爭詩)’·‘poems of envoy(皇華詩)’· ‘friendship poems(交遊詩)· ‘farewell poetry(送別詩)’· ‘poems about natural creatures(詠物詩)’. 「The Battle of Jungwae(征倭大捷)」, War-poetry, is works that are written in Eulmyo Invasion(乙卯倭變) with Namjeongga(南征歌) which is a lyric work. That work is contrasted with Baek-kwang hun(白光勳) s 「Dallyanghaeng(達梁行)」. Poems of envoy is a work joined with Hang-se neung(韓世能), a Chinese diplomat, when Yang-sa jun was an official entourage. The poem which is written paying tribute to Gi-za’s Shrine(箕子祠堂) and the other is written in a farewell dinner at Han river(漢江). Those poems show the official s responsibility. Friendship poems is meaningful in that it led to take a look at Yang-sa jun s friendship. Poems about natural creatures are only 4 works based on chrysanthemums, which is a special occasion considering apricot flowers is much more shaped in Chinese poems. The chrysanthemums are used as shaping materials such as change of solar term, solitary scholar s fidelity, orientation of homecoming after resignation, and conviviality with friendship and so on. This point is not much different in Yang-sa jun s chinese poems. Remarkable works are based on Sanguk, a type of the chrysanthemums. Yang=sa jun admired impartiality(中正) among the chrysanthemums s natures. He seems to have loved the chrysanthemums because ‘False truth and truth(混眞)’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its heavy scent. He was ostracized even though he distinguished himself in battle in Eulmyo Invasion, and he reflected the devastating feeling in the chrysanthemums.

      • KCI등재

        베트남 참전 시기 영화에 나타난 병영국가적 정체성: 「남정임 여군에 가다」와 「예비군 팔도 사나이」를 중심으로

        백태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Military National Identity in the Vietnam War Film:Focused on Nam Jeong-im Goes to Women’s Army Corpsand Men of the Reserve TroopsTaehyun Bae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pattern in which films were used as a device for propaganda during the Vietnam War. The ideology in the film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reproduction properties of Nam Jeong-im Goes to Women’s Army Corps, Men of the Reserve Troops. The Former is about an exemplary female figure demanded by Korean society at the time, and women should be able to reproduce their families and convert them into soldiers at any time when the country or society is in crisis. The latter says whole of society should be prepared to immediately switch to military service under the command of a man with excellent military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reparation for threats from North Korea. These films suggest a pattern in which militaryism and the conditions of the garrison state. Key Words: Nam Jeong-im Goes to Women’s Army Corps, Men of the Reserve Troops, Vietnam War, Militarism, The Garrison State 베트남 참전 시기 영화에 나타난 병영국가적 정체성:「남정임 여군에 가다」와 「예비군 팔도 사나이」를 중심으로백 태 현** 연구 목적: 본 논문은 베트남전쟁 시기의 영화가 국민동원 장치로 사용된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남정임 여군에 가다」와 「예비군 팔도 사나이」의 재현 속성을 분석하여 영화 속 이데올로기를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남정임 여군에 가다」는 당시 한국사회가 요구한 모범적인 여성상에 관한 것으로, 여성은 가족 재생산을 수행하는 동시에 국가나 사회가 위기에 처하면 언제든지 군인으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예비군 팔도 사나이」는 북한의 위협에 대비해 사회구성원 모두가 군사적 지식과 경험이 뛰어난 남성의 지휘 아래 군대식 준비태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결론 및 제언: 파시즘 수사학으로 무장한 이 영화들은 군사주의가 사회를 지배하는 양상, 즉 병영국가의 조건을 시사한다. 핵심어: 「남정임 여군에 가다」, 「예비군 팔도 사나이」, 베트남전쟁, 군사주의, 병영국가 □ 접수일: 2022년 8월 16일, 수정일: 2022년 8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8일*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94153). **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강사(Lecturer, Dongguk Univ., Email: ziegk@naver.com)

      • KCI등재

        <남정팔난기>의 인물 관계와 그 의미

        최윤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9 고전과 해석 Vol.7 No.-

        본고는 <남정팔난기>의 인물 관계와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남정팔난기>의 5명 복수 주인공들은 각각 오행을 형상화하고 있다. 황극은 토, 주봉진은 화, 용진천은 목, 호성태는 금, 현덕무는 수를 상징한다. 이들의 외모, 복색은 오행을 형상화하고 있는데, 인물 상호 관계에 있어서도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원리가 적용되고 있다. 이들의 만남과 전투 장면을 통해 오행의과 상생과 상극이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남정팔난기>의 복수주인공 사이에는 무한한 신뢰와 화합이 존재하기도 하고, 인물 간의 미묘한 긴장과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유발되기도 한다. 이는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원리에 기반한 것으로 인물 관계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이들의 인물 관계가 실제성에 근거한 인물 관계가 아니라 오행의 원리라고 하는 관념적 사고의 틀에 근거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인물 관계가 도식성을 띠게된 이유는 허구적 상상력이 확대되고 오락성을 극대화하고자 한 결과이다. 이는 <남정팔난기>가 소설 창작이 관습화되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상황을 의미하는것인 동시에 대중성을 고려한 중하층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작품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s in <Nam-Jeong's Eight Adversities> and its meaning. The five main characters in the work were formed as real figures representing the Five Elements, respectively; Hwang Geuk meaning as the soil, Joo Bong Jin representing as the fire, Ywong Jin Chun meaning as the tree, Ho Song Tae representing as the gold, Hyun Deok Moo representing as the water. <Nam Jeong's Eight Adversities> applies the principles of coexistence and conflict in Five Elements to the interactions among the characters as well as their external appearances and clothes. In this study, the principles in Five Eleme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meetings of main characters and their combat scenes. For instance, there were infinite trust and unity among several, main characters, while various problems happened because of subtle friction and tension among persons. That was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existence and conflict in Five Element, and then we can appropriat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figures in the work. This study found the fact that their relationship was based on the frame of conceptional thought, the principles of Five Elements, not on the reality. The reason why the relationship became a stereo-type pattern was the intention to maximize the effects of fictional imagination and entertain -ment. This means that <Nam Jeong's Eight Adversities> is the work not only indicating the situation when writing novels became a routine custom and they repeatedly created, (but) also targeting the readers in middle and lower classes in consideration of the popularity.

      • KCI등재

        「분지」를 읽는 몇 가지 독법 - 남정현의 소설 「분지」와 1960년대 중반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하여

        김건우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1 No.-

        Nam Jung-Hyun's Bun-Ji, published in 1965, was the first case of writing-trouble affairs(i.e. being prosecuted for one's writing) in which Anti-Communist Law was applied to literary works. Although Bun-ji was a sort of allegorical novel, it also contained exceedingly realistic touch points as his novels mostly did. And Bun-Ji's interpreting code did exist in the intellectual discourses of those days. It was no other than new nationalism which was the international matter of concern then. Cheong-Maek and Han-Yang(published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were the representaive magazines producing various discourses based on new nationalism. In the context of new nationalism, the Korean nationalism campaign led to Anti-America movement. The idea that U.S practically ‘dominates’ the Korean peninsula, was found everywhere in the progressive nationalistic discourses of those days in Korea. Therefore, Bun-Ji was the fitting text which was supposed to be read in the context of progressive nationalistic discourses of those days. Meanwhile, we should not miss the way by which the critical liberalist poet Kim Su-Yung read Bun-Ji. To conjecture Kim's reading of Bun-Ji, is to investigate the way how the critical liberalism recognized the progressive nationalism as the other of two major resistance discourses(of course, critical liberalism is the one, progressive nationalism is the other) and to examine how these two resistance discourse axes made their positions in Korean intellectual discourse. For Kim, natioalism was rather ‘unscientific’ and therefore ‘dangerous’ ideology. He could not help but watch for the blindness implied in nationalism. To sum up; The interpreting instance or code of Nam's Bun-Ji did exist in the discourse of new nationalism or anti-imperialist natioalism. So, though it sounds ironical, we can conclude that the prosecutor, i.e the anti-communist state apparatus, and North Korea were those which made the most ‘accurate’ reading of Bun-Ji. And the most ‘radical’ liberalist Kim was also the one who appreciated and perceived the writing-trouble affair fully, in spite of being removed from the core of the affair. In the middle of 1960s, Bun-Ji was a sort of coordinate system in the topography of intellectual discourses. 1965년 남정현의 소설 「분지(糞地)」 사건은 문학작품에 반공법이 적용된 최초의 필화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분지」는 일종의 알레고리 소설이지만, 대개의 남정현의 소설들이 그렇듯이 대단히 현실적인 접점들을 내장하고 있었다. 「분지」의 해석 코드는 지식 담론 상에서 뚜렷이 존재했다. 그 해석의 코드란 바로 당시 전 세계적인 관심사였던 제3세계 신민족주의였다. 매체 상으로 [청맥]과 재일교포 잡지 [한양]이 이 기반에서 담론을 생산하고 있었다. 신민족주의의 맥락에서 한국 민족주의 운동은 자연스럽게 ‘반미’의 과제로 연결되었다. 미국이 한국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다는 생각은 이 시기의 진보 민족담론 진영의 글들 도처에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남정현의 「분지」를 당시 진보 민족담론의 맥락에서 읽는 것은 너무도 당연했던 것이다. 한편 비판적 자유주의자였던 김수영이 「분지」를 읽었던 방식을 놓쳐서는 안된다. 김수영의 독법을 추측하는 것은, 한국사회에서 비판적 자유주의가 저항담론의 다른 축인 진보적 민족주의를 어떻게 대타화하고 인식했는가를 살피는 작업이며 동시에 이 두 축이 어떻게 자기 위치를 잡아나가는가를 살피는 작업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김수영에게 있어 민족주의는 다소 ‘비과학적인’, 그래서 ‘위험한’ 것이었다. 그는 민족주의에 내장된 맹목성을 경계할 수밖에 없었다. 요약해 본다. 남정현의 「분지」를 해석하는 심급은 확실히 신민족주의 혹은 반제 민족주의 담론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분지」를 가장 ‘정확하게’ 읽은 쪽은 역설적으로 말해 반공국가권력의 장치였던 검찰과 그리고 ‘북’이었다. 가장 ‘급진적인’ 자유주의자였던 김수영 역시 사태의 중심에서 한 발 비켜서 있긴 했지만 실상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었다. 1960년대 중반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들의 지형도에 있어 「분지」는 좌표계에 해당했던 것이다.

      • KCI등재

        1960년대 한국과 오키나와 소설에 나타난 미국 패권주의의 인식과 비판 : 남정현의 「분지」와 오시로 다쓰히로(大城立裕)의 「칵테일 파티」를 중심으로

        이명원(Lee, Myoung-Won)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이 논문은 남정현과 오시로 다쓰히로의 소설에서 미국의 군사적 패권주의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논의하고 있다. 남정현은 「분지」에서 주한미군의 특권적 지위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1960년대 중반의 한국에서 ‘미국의 본질’에 대해 묻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미군은 한국에서 특권적 지위를 갖고 있었고, 한국의 박정희 정권은 그것을 자신의 반대세력을 탄압하기 위한 정치적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었다. 1960년대의 한국은 한일협정 체결과 베트남파병 문제로 시민저항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한국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던 이러한 사태의 배후에는 미국이 있었다는 것이 남정현의 생각이다. 그는 「분지」에서 홍만수의 발언과 행동을 미국의 군사적 패권주의의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그러나 설사 소설일지라도 미국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반공법 하의 한국에서 거대한 정치적 금기였다. 「분지」에서 홍만수가 미군의 부인을 강간한 결과, 펜타곤에 의한 핵공격에 직면하게 된다는 알레고리적 서사가 출현하는 것은 이러한 정치적 금기 때문이었다. 오시로 다쓰히로는 「칵테일 파티」를 통해 미군점령체제 아래의 오키나와의 정치적 상황을 조명하고 있다. 남정현과 달리 오시로 다쓰히로의 소설은 리얼리즘의 기법으로 쓰여졌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오키나와인, 일본인, 중국인, 미국인들 모두는 아시아 태평양 전쟁의 각기 다른 기억을 갖고 있다. 그 기억들은 지배와 종속, 침략과 희생, 점령과 복종과 같은 대립되는 가치로 인물들의 내면을 혼돈에 빠지게 만든다. 특히 주인공인 ‘나’는 중국침략의 ‘가해자’이면서, 미군 점령의 ‘피해자’로서의 내면적 분열에 시달리고 있다. 소설에서 주인공의 딸은 미군에 의해 강간당하지만, 그것을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오키나와의 현실이 날카롭게 드러난다. 주권도 시민권도 없는 오키나와의 현실이 첨예하게 부각되면서, 이 소설은 오키나와를 점령하고 있는 미국의 식민주의적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U.S. military hegemony is perceived in the fictions of Nam Jung-hyun and Oshiro Tatsuhiro. Nam Jung-hyun is asking about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U.S. Forces Korea in “Land of Excrement”. It was very difficult to ask about the nature of America in Korea in the mid-1960s. After the Korean War, the U.S. military had a privileged position in Korea, an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in Korea was using it as a political leverage to oppress its opponents. In the mid-1960s, South Korea reached its peak due to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Nam Jung-hyun believes that the U.S. was behind the ongoing situation regardless of the will of Koreans. He asks Hong Man-soo s remarks and actions in Land of Excellence about the nature of American military hegemony. However, even if it was a fiction, it was a huge political taboo in Korea under anti-communist law to ask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e United States. In “Land of Excrement”, Hong Man-soo s rape of the wife of the U.S. military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an allegorical narrative that he would face a nuclear attack by the Pentagon because of this political taboo. Oshiro Tatsuhiro is explori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Okinawa under the U.S. military occupation system through “Cocktail Party”. Unlike Nam Jung-hyun, Oshiro Tatsuhiro s fiction was written as a method of realism. The Okinawans,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s in the novel all have different memories of the Asia-Pacific War. Those memories confuse the characters with conflicting values such as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invasion and sacrifice, occupation and obedience. In particular, the main character, “I” is the perpetrator of the Chinese invasion and suffers from internal divisions as a “victim” of the occupation of the U.S. military. In the fiction, the main character s daughter is raped by the U.S. military, but the reality of Okinawa, which is not legally authorized to punish it, is sharply revealed. With Okinawa s lack of sovereignty and citizenship sharply highlighted, the novel asks about the nature of the colonialism of the United States occupying Okinawa.

      • KCI등재후보

        남정호 작품의 특징 연구 -<유희Ⅰ>(1984), <풍선심장>(1986), <자화상>(1988)을 중심으로 -

        조영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이 연구는 남정호의 현대무용 작품을 관통하며 발견되는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1980년대 안무작 <유희Ⅰ>(1984)와 <풍선심장>(1986) 그리고 <자화상>(1988)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모든 이야기는 그의 어릴 적 기억 속에 있는 동심의 세계에서 출발한다. 두 번째, 작품 속에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오브제는 동심이자 가족이자 동료이자 주변인이기도 하며, 때로는 놀이 그 자체이기도 했다. 세 번째, 안무 구조에 나타나는 규칙성과 반복적인 동작의 발전 과정은 ‘무아지경’의 세계로 이끄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남정호는 놀이하는 인간과 놀이를 통해 인간의 삶을 즐거운 것으로 표현하는 것이 동질의 것이라 보고 ‘유희하는 인간’이라는 작가정신을 춤을 통해 드러내었다. 이번 연구는 1980년대 작품 세 편을 통해 남정호 작품의 특징을 연구한 것으로 1980년대 한국 현대무용의 경향과 당시 주 활동 지역이었던 부산의 현대무용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며, 나아가 현대무용 안무의 다양성과 가치 확산을 모색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features found through Nam Jung-ho's dance works. For this study, three works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analysis: <JEUX I> (1984), <Balloon Heart> (1986) and <Self Portrait> (1988). As a result, three characteristics were discovered. First, all stories start from his childhood memory, a world of concentricity. Second, the objects that appear in the work are children's hearts, family members, colleagues, people around them, and objects of play. Third, the regularity and repetition of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become a process that leads to the world of ‘self-consciousness’, and acts as a catalyst for the playful expression. As such, it was found that Nam Jung-ho sees the same thing as expressing human life as joyful through play with the playing human.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resource in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Nam Jung-ho's choreography work and the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dance in the 1980s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contemporary dance in Busan, which was the main active area at the time.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in seeking the future direction of modern danc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남정팔난기〉의 인물 형상화와 특징

        김도환(Kim Do-hw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27 No.-

        본고는 〈남정팔난기〉에 등장하는 다수의 주요 인물들 중 몇몇 인물에 한정하여 이들의 인물형상화 방식과 기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미 작품 분석이나 소설사적 문제 등 많은 부분에서 연구의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인물형상의 방식이나 의미에 있어 아직 미진한 부분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먼저 작품의 주인공인 황극의 두 가지 자질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연관되는 지 살폈다. 황극은 뛰어난 군담수행능력의 소유자이면서 인덕을 갖춘 인물이다. 그는 자신이 직접 전투를 수행할 때는 과인한 무력과 지략을 선보인다. 그러나 용맹한 장수들과 지혜로운 모사들이 모였을 때는 인덕이나 포용력을 바탕으로 전장의 흐름을 판단하고 영웅들을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요컨대 기본적으로 문무겸전의 영웅인 황극이 많은 영웅들의 중심에 위치하기 위해 필요한 또 하나의 덕목이 바로 인덕이었던 셈이다. 다음으로 용진천과 호성태, 초운흥과 벽해선의 차이점을 대칭적 구도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용진천과 호성태는 전혀 다른 기질의 소유자라는 점에서 대칭적이다. 용진천은 대의를 먼저 고려하는 인물이다. 그가 보이는 대의는 효도, 의리, 명분 등 매우 다양하다. 이로 인해 죽을 고비를 맞기도 하지만, 결론적으로 이러한 대의는 그의 대장부적인 면모를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준다. 반대로 호성태는 욕망에 충실한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거친 성품이나 야심을 숨기지 않는다. 때문에 그는 무뢰배적인 기질과 노련한 야심가의 양면적인 면모를 보이는데, 이로 인해 호성태는 역동적이고 입체적인 인물로 그려질 수 있었다. 초운흥과 벽해선은 행동방식이나 서술의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여 각각의 개성을 부각시킨다. 작가는 초운흥은 자신의 존재감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방향으로, 벽해선은 자신의 존재감을 감추는 방향으로 서술한다. 때문에 초운흥은 여성영웅으로서의 면모가 보다 확실하게 부각되고, 반대로 벽해선은 신비로운 인물로 형상화된다. 한편 〈남정팔난기〉는 수많은 영웅들이 군담을 통해 지닌 바 영웅성을 발현하는 작품이다. 많은 인물들이 서로 비슷한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작가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들의 개성적인 면모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첫 번째는 인물을 순차적으로 등장시키는 것인데, 주로 기존의 인물이 새로운 인물을 포섭하거나 흡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두 번째는 이렇게 새롭게 등장한 인물들에게 기존 인물들의 역할을 일정정도 분담시키는 것이다. 역할 분담된 영웅들은 기존의 영웅과 비슷한 방식으로 전투를 벌이거나, 아예 군담을 독자적으로 수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법적 노력은 〈남정팔난기〉의 인물이 개성적으로 형상화된 중요한 이유라고 생각된다. The pw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embodiment methods and techniques for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Namjeongpalnangl: First of all, the hero Hwang Geuk possesses an incredible level of military skills and great humanity. When fighting in a battle himself, he demonstrates extraordinary warrior skills and resourcefulness. But when surrounded with brave generals and wise strategists, he resorts to his humanity and tolerance to read the flows of the battlefields and lead the heroes. In a nutshell, he's a hero equipped with civil and military arts. Since he'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many heroes, he needs an extra virtue that is humanity. Next, there are Yong Jin-cheon and Ho Seong-tae, who are symmetrical with their completely different temperaments. Yong Jin-cheon thinks high of a great cause, which often puts him in danger but ultimately works as a driving force to guarantee his success. On the contrary, Ho Seong-tae is loyal to his individual desires. He never tries to hide his rough personality and ambitions, which embodies him as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with diverse aspects. And Cho Woon-heung and Byeok Hae-seon distinguish themselves for their personalities with different actions and narrations. While Cho Woon-heung is depicted to demonstrate his presence clearly, Byeok Hae-seon is described to hide his presence. Thus the former is highlighted for the aspects as a heroine, and the latter is embodied as a mysterious figure. There are a good number of heroes appearing in Namjeongpalnangi. The distinctive aspects of those characters are manifested in two ways; first, the characters appear in a sequential manner with the old characters winning new ones over to their sides. And secondly, the roles of the old characters are allocated to the new ones. Those efforts on the technique par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consistency of character embodiments in Namjeongpalnan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