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래한량춤의 문장원 생애와 업적

        정신혜 영남춤학회 2015 영남춤학회誌 Vol.3 No.2

        본 연구는 부산 동래지역 전통춤의 명인 故 문장원의 춤 세계와 정신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장원은 일제 강점기의 민속예술에 대한 탄압으로 명맥이 끊겼던 동래지역의 전통춤을 되살리고 전승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춤에 대한 연구는 더러 있었으나 그의 춤 정신과 업적에 대한연구는 부족했다. 문장원은 체계적으로 춤을 배운 적은 없으나 일생을 오롯이 동래의 전통춤과함께 했다. 춤에 대한 열정 하나로 일제에 의해 중단됐던 동래의 전통춤을 되살렸다. 동래야류를 중요무형문화재로,동래 학춤,동래지신밟기,동래고무,동래한량춤을 각각 부산시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받게 하여 체계적으로 보존 전승할수 있게 한 중심에 문장원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그가 되살려 다듬은 동래한량춤은 온전히 그의 춤이다. 그는 춤을 틀에 가두지 않으려 했다. 기본을 강조하되 즉흥성과 창조성을 누르지 않았다. 그의 동래한량춤은 전통의 멋과 기품과 예술성이 있으면서 즉흥성과 호방함과 창조력까지 겸비하는 흔치 않은 춤이다. 따라서 슬로라이프를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에 맞춰 세계화할 수 있는 요소를 두루 가진 한국전통춤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late dancing master Mun Jang Won's realm of dancing and his spirit. Mun Jang Wo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the Dongnae area of Busan. The traditional dancing in the Dangnae area was vanished by Japanese oppress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evertheless, Mo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viving the traditional dance in the Dongnae area and handing it down to the next generation. Despite his accomplishmen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in-depth researches on his dancing spirit and achievements are still lacking. Although Mun had never learnt dancing in a systematical way in his early days, he devoted himself to the traditional dance of Dongnae area for his whole life. Mun revitalized the traditional Dongnae dance with his lone passion for dancing. Mun played a pivotal role in designating the Dongnae Yaryu (Field Play)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lso Mun was at the center of making Dongnae crane dance, Dongnae Jisinbalgi, Dongnae Drum dance, Dongnae Hanryang(prodigal) dance into Busan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ence these can be efficiently preserved and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Among these cultural assets, Dongnae Hanryang(prodigal) dance is his own dancing that he restored and polished with his passion for dancing. Mun did not confined his dancing into frames, rather he emphasized the very basics of dancing and let spontaneity and creativity to be freed. The extraordinary value of Mun's Dongnae Hanryang(prodigal) dance lies within the traditional grace and artistry that are distinctively seen in its indeterminacy and ingenuity. Therefore, Dongnae Hanryang(prodigal) dance is a gre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the globalization to keep pace with the global trend of slow life.

      • 한국 진주·삼천포 농악의 설장고춤과 중국 요족 장고춤의 비교연구

        오도경,김미숙 영남춤학회 2013 영남춤학회誌 Vol.1 No.1

        This study with focusing on the Korea Janggo dance emerging as a leading brand in the world of dance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ese Janggo dance among the dances consisting of Ak(music)· Ga(song)· Mu(dance). I felt the need to study to difference about Janggo chumsawi in the two countries' Janggo dance with common background of the farming community beyond the capabilities of the instrument as the development of dance. Analysis was focused on Jinju-Samcheonpo Nong-ak's Seoljanggo dance in Korea and Yao Zu's Janggo dance in China. Thus, I conclude it with explaining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two countries' Janggo dance. 이 연구는 무용에 있어 악·가·무로 어우러진 춤 중에서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떠오르고 있는 장고춤에 주목하여 한국과 중국의 장고춤에 대해 비교 연구 하였다. 경제, 정치, 문화, 예술 등의 여러 분야의 연구가 서양에서 동양으로 관심이 향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동북아시아의 각 나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발굴되어져야 할 문화예술은 많다.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의 장고 춤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장고가 건너왔으며, 농경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악기로 써의 기능을 넘어 춤으로 발전했다는 공통점을 알게 되었다. 양국의 장고 모양을 보았을 때 춤사위의 차이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을 느 꼈다. 다만, 한국에서는 장고를 가지고 춤을 추는 종류가 많았으나 중국의 경우 요족과 조선족이라는 소수민족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그래서 농경사회의 공통 점을 가지고 있는 진주·삼천포 농악 설장고춤과 중국의 요족 장고춤을 선택하여 집 중적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두 나라의 장고춤의 복식, 소도구, 장단, 춤 사위를 비교 연구하였으며, 춤의 유사성과 차이성과 그 미적 특성을 밝혀 결론을 내렸다.

      • 김진홍류 지전춤의 예술적 특징 연구

        박미경 영남춤학회 2017 영남춤학회誌 Vol.5 No.2

        The Study of Artistic Characteristics on Kim Jin Hong Style, Ji Jeon Dance Park, Mi-Kyou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Kim Jinhong ’ s artistic value, which appears in his style of Jijeon Dance. In addition, it is to promote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art by studying distinct regional dances.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dance could be drawn through the study on Kim Jinhong and his style of Jijeon Danc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studying Kim Jinhong ’ s life based on literature and conversation with him, this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what kind of influence he was under and the kind of artistic value that he had formed. Seco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 when Kim Jinhong-style Jijeon Dance was made and the background behind the occurrence of the dance were investigated. Third, by studying the movements that appear in Kim Jinhong-style Jijeon Dance,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role of jijeon were understood. Lastly, in Chapter 4, which is the essence of this study, the 3 characteristics in Kim Jinhong-style Jijeon Dance - symbolism, beauty of simplicity, nonpossession, philosophy of nonpossession - were obtained through previously mentioned study process. Symbolism, beauty of simplicity and the philosophy of artless in harmony, along with the diversity of dance, Kim Jinhong ’ s unique roughness and the dance brought from within combined with the simplicity of shaman dance appeared in the form of the dance with much higher artistic value. In conclusion, this dance, which was reconstituted according to the stage form by Kim Jinhong, is based on the dance of East Sea region and artistic value of Kim Jinhong, and shows more powerfu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through traditional techniques with his uniqueness combined in it. 김진흥은 약 60여 년 동안 부산 지역 춤 문화의 발전을 이끌었던 예술가로서 근대 부산지역 춤의 산 증인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부산예술계의 중추적인 인물이다. 이 연구는 김진홍류 지전춤에 대한 문헌자료를 토대로 하여본 연구자가 직접 학습하면서 체득한 객관적인 사실과 김진흥과의 면담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김진흥 지전춤의 형성과 예술적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같이 논의되었다. 김진흥은 김석출의 사촌여동생 김계향에게서 지전춤을 처음으로 배워 전통적인 무속 춤사위에다 그 만의 경험과 철학, 예술성을 접목하여 무대화를 했다. 따라서 지전춤의 형성 과정과 춤을 구성하고 있는 음악과 복식, 춤사위를통해 춤의 예술적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진흥류 지전춤의 예술적 양상은상징성과 질박미, 무기교의 춤을 근저로 하고 있다. 상징성은 김진흥류 지전춤에 나타난 춤사위에 따라 지전의 쓰임이나 용도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말한다. 질박미는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적인 것으로써 김진흥의 실제의 생활 그 자체를 드러내고 있었다. 그리고 무기교의 춤은 김진흥의 춤 철학으로, 기교가 아닌 마음으로 춰야 좋은 춤이 추어진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춤은 김진흥 자신만의 독창적인 춤사위를 엿볼 수 있는 춤으로 여타의작품과 다르게 새로운 춤형식과 표현기법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김진흥의 예술세계와 영남춤의 실상을 알아볼 수 있었다.

      • 한량무의 지역별 비교 연구 - 부산 • 서울 경기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배라영 영남춤학회 2018 영남춤학회誌 Vol.6 No.2

        A Local Comparative Study on Hallyangmoo -focusing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Seoul, and Gyeonggi areaBae, Ra-Yo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anryangdance and the meaning of dance steps, thereby clarifying the traditional awareness of its era and new artistic values. Hanryans안anc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hole dance form of DongraeHanryang쑈公ncQ in Busan, Yeongnam and the theater form of Hanryangdance in Seoul/Gyeonggi areas.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wo Hanryang^ance types, this study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the context of traditional dance and project the value of artistic transmission. To meet these objective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folklore literature materials of Dongrae dance in Busan and of Gyeonggi areas. Next, it explored the theatrical process of dance through onsite survey and looked performance views and dance videos to compare them. Third, the study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dance steps in Dongrae dance and Hanryangdance from Seoul/Gyeonggi region within a historical context, and interviewed Kim Jin-hongand Cho Heung-dong, who are the current dance practitioners. Finally, the study classified important keywords after transcribing the interview and re-reviewed areas of uncertainties through phone interview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DongraeHanryang^xizeconsist of free and easy dance steps with big motions in a ddeotbaegidanceform,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Hanryang쑈ance from Seoul and Gyeonggiareas were they progress with mime elements in a story, highlighting artistic meanings of a dance drama that indirectly expresses spatial changes on stage. Such Hanryang^nce is expected to provide an important foundation to explore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dance, and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spread of cultural assets, as a dance with traditional and artistic values. Furthermore, ways to spread Hanryang^ncQ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programs must be sought for any non-dance majors to experience it easily rather than being exclusive to professional dancers. This will help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as well as promote the globalization oftraditionalculture and art. 본 연구는 한량무에 관한 역사적 배경과 춤사위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시대적으로 전통적 의식과 더불어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량무는대표적으로 홀춤 형태인 영남의 부산 동래 한량무와 극 형태인 서울 경기지역 한량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한량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서 전통춤의 맥락을 재조명하고 예술적 전승 가치를 전망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1차적으로 부산 동래지방 춤의 민속학적 문헌자료 및 경기지역 춤의 문헌자료를 검토하였다 2차적으로 춤의 연희 과정을 현장 답사를 통해 살펴보고 비교 자료로써 공연 관람 및 춤의 영상 자료를 검토하여 기록하였다 3차적으로 동래 한량춤과 서울 경기지역 한량무에 나타나는 춤사위 특징 및 변형을 역사적 상황에서 추론함과 더불어 현재예능보유자인 김진홍 선생과 조흥동 선생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을 전사한 후 중요 키워드를 분류하여 의구심이 드는 부분은 유선 통화를 통해 재검증을 받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동래 한량춤은 덧배기춤 형식의소탈한 춤사위로 동작의 몸짓이 큰 것이 특징이며,이에 비해 서울 경기 한량무는 마임적 요소의 몸짓과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되어 무대 위에서 공간적 변화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무용극 형태의 예술적 의미가 돋보이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한량무는 전통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춤으로써 전통 춤의 대중화 탐구와 문화재적 보존 및 발전 보급 중요성에 밑거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전문무용가들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비전공자인 일반인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창조를 통해 확산시켜나가는 시스템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이를 통해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전통 문화예술이 국제화로 도약할■ 수 있는발판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생성론적 관점으로 보는 한국춤의 역사적 전개: 최한기의 기론(氣論)을 중심으로

        강주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study to approach the history of Korean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ve theory. The generative perspective is to think from a fundamental perspective on what has created and transformed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dance. A Silhak scholar Choi Han-gi's 'Gi' theory can be a major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Korean dance as resonance. When looking at dance as a generative theory, Korean dance is the desire of 'resonance'. There is a desire for natural unity to harmonize with the world. Originally, Korean dance was a resonating dance with ‘living’. From the stylistic beauty of 'Dengsil Dengsil' and'Nerul Nerul', which appear in Korean dance movements, we can feel the unique worldview of Korea such as 'vertical-horizontal resonance' and'vertical resonance'. Korean dance was developed while maintaining a'tilt balance' due to the entangl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sonance. This aspect can be well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Cheo Yong Mu”. Then, in the period of the modern dance, the resonance declined and it was narrowed down to 'dance to see'. As with the change in the history of art style, if the resonance of Korean dance is also experiencing repeated ups and downs, the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ra of nature-friendly stability and the dance of sensational impulse will come back again. 통상적으로 한국춤의 분류는 연행 주체, 연행장소, 연행의미 등으로 구획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춤의 본성을 담지하는 미적 초점화에 따른 운화론적 분류를 시도하고자 하는데, 춤은 고착된 사건이 아니라 ‘변화’와 ‘과정’이라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being)’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한국춤에 내재한 감응의 성질이다. 따라서 ‘춤이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을 넘어 춤은 어떻게 추어져야 하는가에 관한 실존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이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의 ‘생성론적 관점’이며 그 해답으로서 ‘감응 원리로서의 춤’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한국춤의 역사를 생성론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이다. 실학자 최한기의 기론은 감응으로서의 한국춤을 이해하는 주요한 방법론이다. 춤의 생성론적 입장에서 볼 때 한국춤은 ‘감응’의 욕구이며 세계와 함께 어우러지려는 자연합일의 욕구가 내포된, ‘생기’가 살아 있던 감응의 춤이었다. 이 글은 ‘감응지향성’이 한국춤의 형태미와 어떻게 닿아 있는지에 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춤사위의 미학을 나타내는 채희완의 개념인 ‘덩실덩실’, ‘너울너울’ 등의 양식적 형태미로부터 ‘수직-수평감응’, ‘수직감응’ 등 감응지향성을 안고 있는 우리 고유의 감응적 세계관을 논의한다. 한국춤은 ‘감응지향성’의 얽힘 현상을 유지하면서 나아왔다. 이러한 양상은 처용무의 변천 과정을 통해 특히 잘 드러난다. 그러나 근대 춤 시기에 이르러 감응이 위축되어 ‘보여주는 춤’으로 전화되었다. 최한기는 경험(經驗)의 변통(變通)을 통해 추측(推測)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글은 감응의 한국춤 역사가 안겨준 경험의 흐름을 통해 미래 시대의 춤 양상을 추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고한다. 만약 보링거가 말하는 예술의 양식사적 변천처럼 한국춤의 감응 역시 반복적 부침을 겪는 것이라면, 이후에는 다시 자연 친화적인 안정의 시대, 감응 충동의 춤 시대가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부산의 춤꾼 양정화 생애와 춤 정신

        김미숙 영남춤학회 2019 영남춤학회誌 Vol.7 No.2

        Life and Dance Spirit of Yang Jeong-hwa, a Dancer in Busan after the Korean War This study is aimed at uncovering the current status of our past local dance by searching for hidden figures who have spent their lives as a dance expert but have not been well-known to the world.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thesis data, pamphlets, newspapers, and internet materials were utilized. Also based on oral research, which is a direct interview, applying a methodology on humanities Yang Jeong-hwa was born in 1936, started learning dance at the age of seven, opened the Goryeo Dance Academy in 1956, and has been devoted to dance art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more than 60 years so far. Yang made her debut as a second-generation dancer in Busan and devoted herself to dance education as a leader in New Dance field. As a Busan-born dancer who is in the generation suffered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as an artist who has walked on the path straightly despite her turbulent life, and at the same time as a woman full of Korean’s strong will, Yang is a practitioner who produces numerous students in our dance community and embodies a beautiful world through dance. Even in the age of chaos and in the wave of modernization, she devoted herself for a long time only with a passion for dance. Yang is credited with preserving our dance, undergo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She expresses the dance in her own colors. Her dance shows the unity of nature that no one can have. 이 연구는 춤 전문가로서 전 생애를 보냈으나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았던 숨어있는 인물, 양정화를 찾아 그의 예술 인생과 춤교육 정신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과거 우리 지역 춤의 현주소를 밝혀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논문자료 및 팸플릿, 신문,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하였으며, 직접면담인 구술연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적인 방법을 준용했다. 양정화는 1936년생으로 7세 때부터 춤을 배우기 시작하여 1956년에 고려무용학원을 개원하였고 지금까지 약 60여 년 이상 춤예술 활동과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즈음, 기녀들에게만 전승해 왔던 우리의 춤이 일반인들에게 열려서 춤이 예술로 정착하는 혼란의 시대, 그리고 근·현대화의 물결 속에서도 오직 춤에 대한 열정으로 긴 세월을 헌신했다. 일제강점기에 이어 혼란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꿋꿋이 우리춤의 지킴이로 씨를 뿌린 그의 공로는 지대하다. 그의 춤 세계는 본인만의 경지를 구축하여 자기 색깔로 표출해 내고 있으며, 그 누구도 가질 수 없는 비인위적인 자연 합일적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양정화는 부산의 2세대 무용가로 데뷔하여 신무용 계열의 선두주자로서 춤교육에 헌신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친 세대의 부산 태생 무용인으로서, 그의 정신은 수많은 삶의 굴곡을 겪으면서도 올곧게 한 길을 걸어 온 예술가인 동시에 한국인의 강한 의지로 뭉친 여인으로, 우리 무용계에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시키며 춤을 통해 아름다운 세상을 구현하는 실천가이다.

      • 진주지역 전통춤 전승 연구 : 정행금을 중심으로

        김미숙,남선희 영남춤학회 2014 영남춤학회誌 Vol.2 No.1

        이 연구는 근대이후 진주지역 춤의 맥을 지켜온 인물을 통해 이루어졌다. 진주춤은 근대이후 많은 기녀들에 의해 전승되었지만 거의 작고하였고, 지금은 경남무형문화재 제3호 진주한량무 색시역 예능보유자인 정행금에 의해 연연히 이어가고 있다. 기녀출신이 아닌 그는 진주권번 출신의 기녀들에게 춤을 배워 현재까지 진주 춤의 맥을 이어온 인물로, 그의 무용사적 의의를 재조명하여 진주춤의전통성을 검토하며, 진주지역 무용사를 고찰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여러차례에 걸친 구술면담 및 실기학습 등의 직접적인 체득과 함께 문헌을 중심으로연구하였으며, 교방을 중심으로 전통춤을 전승한 정행금의 춤 연구로 연구의 제한점을 두었다. 정행금은 진주지역만의 전통성을 지닌 춤을 계승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창작하여 그 춤이 오늘날 진주의 전통춤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한 전승의 주체자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논문의 의의는 정행금이 문화재종목 춤의 전승자로서, 진주춤 복원자로서, 교육자로서 역할과 함께 그의 춤이 진주지역 춤의 미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밝히는데 있다. 또한 진주지역 춤이 기방춤에서 무형문화재로 변화·발전되는 과정에서 전통예술사의 산증인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Jeong Haeng-geum who is the holder of Jinju Hanryangmu,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3 in Gyeongnam-do, She learned dances from several teachers in Jinju Gwonbeon and has kept the spirit of Jinju dance up to now, so I would research the ginyeos in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be to illuminate Jeong Haeng-geum’s the artic world. With the acquirement directly such as the several rounds of oral interviews and practical learning, the study centered of dances and document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Jinju was needed, I placed limitations to research focused on Jung Haeng-geum’s dancing life. Only lives for the dancing artic world could establish itself as today’s Jeong Haeng-geum and today's dance in Jinju area. Jeong Haeng-geum is very important person as a living witness to the traditional art of artic history in Jinju. So multi-faceted efforts and cares persistently to evolve and develop the traditional dance in Jinju are required in the policy.

      • KCI등재후보

        산조춤의 유형과 변천

        배민지,김미숙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1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Sanjo dance and looked at the structural features of Sanjo dance in the 1950s and 1970s, when it was most actively performed, and tried to reveal the overall value of the types and changes. The research method took the method of the study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and utilized the literature, video and photographic data of each mountain dance. Sanjo dance has undergone many changes over the past century, predicting that it has been performed since the 1920s. The dance began to become active in the 1950s, and a variety of yuppa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stage. Until now, many Yuppa, including Kim Jin-gul, Song Bum, Kim Baek-bong, Hwangmu-bong have been preserved. These dances developed into freewheeling expressions and infinite forms of creativity. In addition, Honam Mountainjo Dance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Jeollabuk-do in recognition of its traditional dance as a dance that has been performed by a giraffe from Kwon Boon. In addition, Han Young-sook's Sanjo Dance is a new form of Sanjo 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and has developed into a dance to a unique rhythm. Now is a time when more and more mountain-eating dances are being formed, derived from one tribe. This free form of dance, such as this free form of mountain chopsticks, was characterized by its variety in the structure of music, costume, dance etc. depending on the creator. It has also been concluded that dance creative dance is worth playing a bridging role in developing. 이 연구는 산조춤의 역사적 흐름에 따라 시대별로 유형을 분류하고, 가장 활발히 추어졌던 1950년대~1980년대 산조춤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본 후 유형과 변화과정에 따른 전승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인문자연과학적 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각 산조춤의 문헌 자료와 동영상 및 사진 자료를 활용하였다. 산조춤은 1920년대부터 추어진 것으로 예측하며 1세기 동안 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이 춤은 1950년대에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했고, 무대화를 거쳐 다양한 유파들로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까지도 김진걸, 송범, 한영숙, 김백봉, 황무봉 등 많은 유파들이 전승·보존되어 왔다. 이러한 춤들은 자유분방한 표현력과 무한한 창작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 외에도 호남 산조춤은 권번 출신의 기녀로부터 이어져 온 춤사위로서 인정받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또한, 한영숙 산조춤은 음악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산조춤의 형태로서 독특한 장단에 맞춰 춤으로 발전된 형태를 보인다. 현재는 더 나아가 한 유파에서 파생되어 또 다른 산조춤으로 더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자유로운 산조 가락의 형식과 같이 춤의 형식도 자유로운 것이 특징으로써 창작자에 따라 산조 음악, 의상, 춤사위 등의 구조에서 다양하게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현대 창작춤이 발전하는데 가교적인 역할을 한데에 가치가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동래한량춤 춤사위 특성 연구

        김해성 영남춤학회 2022 영남춤학회誌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oves in Dongraehanryang-chum which forms the basis of male dance in Yeongnam as Single dance Hanryang-chum. As analyzing the characteris tics of dance moves in Dongraehanryang-chum can produce crucial material for research on male dance in Yeongnam region, this author an alyzed Dongraehanryang-chum comparativel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oves in Dongraehak-chum as well as Wonyangban-chum of Dongraeyaryu.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Deotbaegi chumsawi in Dongraehanryang-chum are found in Pyeongsawi, Doneuns awi, Sokurisawi, Hwalgaeheundeuneunsawi, or Baegimsawi. The types of Baegimsawi in Dongraehanryang-chum include Baegimsawi (front-baeg im), Gyeodeurangbaegimsawi, Gyeopbaegimsawi, and Single-baegimsawi, and compared to Wonyangban-chum or Dongraehak-chum, it tends to eith er reduce or omit Purisawi. Baegimsawi in Dongraehanryang-chum has no big moves. It is because those dance moves should have been arranged as Hanryang (rakes) did baegimsawi creating their own style freely within the small space of either Gibang or Sarang-bang mostly. The elements of Gibang-chum in Dongraehanryang-chum distinguished from Dongraey aryu or Dongraehak-chum include Naedeurimsawi and Gyeodeurangsawi, Somaegeoteumsawi, Hanpaleoggaemaeneunsawi, Buchaemegoeoruneunsawi, Buchaepyeogoeoruneunsawi, Dopojaraknolrineunsawi, and Anjeumsawi. As shown above, most dance moves in Dongraehanryang-chum are grounded on Deotbaegi-chum. But as Gibang art had influence on such Deotbae gi-chum by Hanryang, some of the dance moves became more sophisti cated and polished. We can conclude that in this way, it came to be male dance representing Yeongnam with the addition of artistic value and impro visation as male dance internalizing the beauty of fun with grace and style. 이 연구는 홀춤 한량춤으로서 영남지역 남성춤의 근간이 되고 있는 동래한량춤의 춤사위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래한량춤의 춤사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영남지역 남성춤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동래야류의 원양반춤과 동래학춤의 춤사위 특성을 동래한량춤과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연구와 인터뷰 및 영상자료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음을 밝힌다. 그 결과 동래한량춤의 덧배기춤사위적 특성은 평사위, 도는사위, 소쿠리사위, 활개흔드는사위, 배김사위 등에서 나타났다. 동래한량춤의 배김사위 종류에는 배김사위(앞배김)와 겨드랑배김사위, 겹배김사위 그리고 홀배김사위가 있으며 동래야류의 원양반춤이나 동래학춤에 비해 풀이사위가 축소 또는 생략되는 특성이 있었다. 동래한량춤의 배김사위는 동작의 폭이 크지 않았다. 이러한 춤사위는 주로 기방이나 사랑방의 협소한 공간에서 한량들이 자유롭게 멋을 내며 배김사위를 한데서부터 춤사위가 다듬어 졌으리라고 보기 때문이다. 동래야류나 동래학춤과 구분되는 동래한량춤의 기방춤적 요소에는 내들임사위와 겨드랑사위, 소매걷움사위, 한팔어깨매는사위, 부채메고어루는사위나 부채펴고어루는사위, 도포자락놀리는사위, 앉음사위 등에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래한량춤의 대부분의 춤사위들은 덧배기춤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덧배기춤이 한량들에 의해 기방예술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춤사위들 중 일부는 세련되어 지고 다듬어져 풍류미와 멋이 내재된 남성춤으로서 예술성과 즉흥성이 가미된 영남을 대표하는 남성춤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뮤지컬 춤의 극적 기능 연구 - 캣츠를 중심으로 -

        김은주,조영미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Musical refers to a performance style in which song, dance, and acting harmonize. In addition, dancing in musicals visualizes dramatic situations that can not be expressed in lines or music so that the audience can quickly and easily understand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dance func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ppearing in the characters based on ⟨Cats⟩ for the study of dance functi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in ⟨Cats⟩ a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dance types in this work are contemporary dance, ballet, jazz dance, tap dance, acrobatics, and gestures. In order to convey the theme of the play,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the dance function was an important strength by expressing the dramatic situation through dance that can not be expressed through speech or music through language. Therefore, in order to accept and develop many musicals in the future, choreographers must educate various dance languag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communicate with directing and scripts, composition and dialogue, and dance languages ​​are required, and by expanding the musical viewing culture, the choreographer has a view. Should expand. 뮤지컬은 노래와 춤, 연기가 어우러지는 공연양식을 말한다. 또한 뮤지컬에서 춤은 대사나 음악으로 표현될 수 없는 극적 상황을 관객들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다. 본 논문은 춤 기능 연구를 위하여 ⟨Cats〉를 기반으로 등장인물에 나타난 움직임의 특성을 통해 춤 기능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Cats〉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작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춤의 유형은 현대무용, 발레, 재즈댄스, 탭댄스, 아크로바틱 그리고 제스처다. 극의 주제 전달을 위하여 언어로써 대사나 음악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극적 상황을 춤으로 표현하여 춤 기능의 역할이 중요한 강점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많은 뮤지컬을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안무자는 다양한 춤 언어를 교육해야 하며, 연출과 대본, 작곡과 대사, 춤 언어와 소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뮤지컬 관람 문화를 확대시켜 안무자로서 안목을 넓혀나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