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방자치단체 조직설계에 관한 연구: -기능연계모형(BRM)에 의한 적합성을 중심으로-

        고경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08 No.-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정부조직 개편은 새로운 정부의 국정철학을 실천에 옮기고 국민들로 하여금 지지를 이끌어내면서, 정통성을 강화하는 정치적 목적과 더불어 이러한 국정철학을 실천에 옮기기 위한 정책적 목적을 다 같이 추구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도 해당된다. 그러나 조직개편 과정에서 자치단체의 현실 및 행정환경을 반영하는 조직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각 자치단체마다 획일화된 기구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총액인건비제 실시 이후 나타난 일부 자치단체의 방만한 조직운영이 문제되고 있는 시점에서 꼭 필요한 일을 수행하면서 기능의 중복에 따른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대부처로 개편된 중앙정부의 기구개편에 대응하기 위한 자치단체 조직의 정비가 요구된다. 그러나 자치단체의 조직운영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간과해서는 안될 점은 구조중심의 일방적 감축보다는 기능중심의 조직설계가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자치단체 각 조직부서가 담당하는 기능은 해당 자치단체의 행정수요 및 행정환경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조직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고객접점의 일선기관인 기초자치 단체의 조직설계를 기능 중심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먼저 자치단체의 효과적인 조직설계를 위한 유형별 기능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7개의 자치단체 유형별로 시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기능과 이에 상응하는 담당조직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행정수요를 대리하는 인구와 행정공급능력을 대리하는 재정력지수를 중심으로 자치단체별 담당조직의 수를 분석함으로써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직설계에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자치단체를 분류하였다. 셋째, 자치단체유형별로 시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기능과 이에 상응하는 담당조직의 수가 연계되는지를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넷째, 위의 기본적인 분석을 전제로 행정수요, 행정공급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기능에 상응하는 적적 담당조직 수는 어느 정도인지를 각 자치단체유형별로 추정모형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와 재정력지수를 기준으로 담당조직의 수를 분석한 결과, 행정수요와 공급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담당조직 수를 가지고 있어 조직구조가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자치단체가 일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능과 조직의 연계를 분석한 결과 자치단체 유형별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시형 광역단체는 도시분야, 경제발전분야, 복지환경분야에 연계된 담당조직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형 광역단체는 복지환경분야에 연계된 담당조직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형 기초단체는 경제발전분야, 복지환경분야에 상응하는 담당조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형 기초단체는 상위 기능과 조직설계간의 연계가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특히 도시분야가 가장 잘 설계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한도시형 기초단체는 경제발전분야에 상응하는 담당조직설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농형 기초단체는 도시분야에 연계된 담당조직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농촌형 기초단체는 경제발전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기획행정분야, 도시분야, 복지환경분야와 연계된 담당 조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추정결과 자치단체유형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기획행정분야에 상응하는 행정관리 담당조직과 도시분야에 상응하는 도시관리 담당조직은 기능과 조직이 잘 연계되어 설계되어 있으나, 그 외의 기능과 조직은 잘 연계되었다고 일반화하기는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치단체 유형별로는 도시형광역단체가 다른 유형에 비해 행정관리, 도시관리, 경제산업, 삶의 질에 상응하는 담당조직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컸고, 중소도시형기초단체, 제한도시형 기초단체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경제산업과 관련된 담당조직의 수가 다른 유형에 비해 작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도농형기초단체의 경우는 다른 유형에 비해서 행정관리와 관련된 담당조직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행정은 종합행정, 고객접점행정, 서비스 전달, 정책집행 및 사업추진 중심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은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이 다양하고 이질적인 업무를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일선현장에서 주민이라는 고객을 대하면서 이들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조직의 대응성이 중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곧 단체장이 자치단체의 비전과 미션을 명확히 제시해야 하며 이 또한 일방적 제시가 아닌 조직 구성원들과 외부 전문가 그리고 주민들과의 공동의 노력에 의해 제시되어야 한다. 이렇게 제시된 비전과 미션을 실천하기 위한 전략은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마련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 때 필요한 작업이 자치단체 각 부서별로 조직이 담당하는 기능이 자치단체의 비전과 미션에 어느 정도 부합하느냐이다. 즉, 자치단체의 비전과 미션이 Cascading을 통해 상/하위 조직의 기능과 연계되어야 되며 조직의 설계도 이러한 원칙을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치단체 조직이 기능중심의 조직(Function Focused Organization)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FFO가 되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하위목표들을 발견하며 이 하위목표들을 현실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의 일련의 하위목표들의 수행체계(비전 달성을 위한 전략목표와 성과목표들)를 전략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전략들이 실행되는 것이 더 중요한데 전략들의 실행은 결국 전술이라 불리는 전략적 과제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전략적 과제를 중심으로 해서 조직의 능률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략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전략관리는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의 장기적 목적 달성을 위한 기획, 집행, 점검, 및 평가의 유기적이고 일관된 과정을 의미한다. 즉, 전략관리는 조직의 운영체계를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의 목적 달성과 통합시킴으로써 예기치 못한 환경변화와 미래의 불확실성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의 핵심이 바로 기능중심 조직설계이다. 조직의 기능을 중심으로 전략적 과제와 목적 그리고 조직을 연계시켜 전략의 실행가능성을 높이는 과정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기능중심의 조직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성과관리와의 연계이다. 실행된 전략은 평가과정을 통해 그 성과가 규명되고, 여기서 도출된 문제점들이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한다. 조직의 진정한 성과 창출은 각 부서와 구성원들 간 경쟁과 협력의 적절히 균형과 조화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경쟁(Competition)과 협력(Cooperation)의 합성어인 코피티션(Co-Petition)이란 개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조직이 타 조직과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수행할 때 보다 많은 성과를 발휘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자치단체 내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즉, 각 부서 간 경쟁과 협력을 균형 있게 추구한다면 더 많은 부서가 성과를 내고 결국 자치단체 전체의 성과도 더 좋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1. The Purpose of the Study To secure the desirability in managing local government, it may be more valid to approach organization design based on function-centered perspective rather than one-sided reduction based on structure- centered perspective. Especially for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design should be able to respond to the administrative circumstances and needs surrounding it, which are reflected in the functions each departments performs.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shed a light on the organization design of local government that contacts customer agency from the function- centered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unctional- fitness for each organizational types for effective organization design of local government. Firstly, we compared the initially assigned functions by policy with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s assuming the respective functions in actual. Second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organizations of each local government by population to substitute for demands and financial capacity index for supply in public administration, we categorized the local governments that have tentative problems in organization design from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Thirdly, we confirm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organizations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is finished with establishing models that reflects the ideal numbers of organizations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function for the respective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local governments, with controlled the administrative capability of supply and demand. 2.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like these. Firstly,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organizations based on the population and financial capacity index indicates that some local governments revels inefficiency in organization design in that their numbers of organizations exceed the administrative capability of supply and demand. Secondly,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s and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s shows that; as for metropolitan city, there were relatively few organization design in the filed of city, economic growth and welfare environment; as for province, there were few organization design in the field of welfare environment; as for large city government, there were few organization design in the field of economic growth and welfare environment; as for medium and small city government, there was a relatively well-interwined linkage between the higher-functions and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design, especially in the field of city; it seems to be required to strengthen organization design in the field of economic growth as for ward, in the field of city as for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government and in the field of planning, city and welfare environment. Thirdly, even though there was deviation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multi regression presents that the functions and the corresponding organization designs are well associated in the field of planning and city, which is not in the other fields. On average, large city government has a large scale of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planning, city and economic growth compared to the othe types of local government. In the case of medium and small city government, ward, the scale of organizations appears relatively low in the field of economic growth. As for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government, there seems to have large number of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3. Policy Recommendation Public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 is characterized as the administration of synthesized service, face to face contacts with clients on the spot, service delivery, policy implementation. These characteristics implies the heterogeneous and various roles of local governments. It also highlights th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responsiveness to the demands of clients on the spot of public administration. Accordingly, the mayor should play a key role in clarifying the goals and missions of local government, not one directionally but jointly with the internal members, external professionals and community inhabitants. The strategies for realizing the visions and missions should be practical and specific. Therefore, it is noteworthy if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organizations are adequate for those visions and missions of local governments. That is to say, those should be interwined with the functions of organizations through cascading as well as organization design. In this aspect, it is necessary to take the ‘Funcion Focused Organization' approach in designing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Designing FFO is related to the discovery of visions and its lower-level goals of local government and implementing them in practice. A series of the specific lower level goals - goals in strategies and performance - is referred as strategy, which can be realized by carrying out strategic assignments. As a means of facilitat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efficacy, strategic management has come to be emphasized than before.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strategic management means a series of consistent and organic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In other words, by integrating operation system of organization and goal achievement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strategic management functions as the strategic selection process to deal with the unpredicted changes and uncertainties in the future. Designing ‘Function Focused Organization' is the essential part of the process, which includes the process of raising the practicability of strategies by associating strategic assignments, goals and organizations. It is related to performance management as well. After executed strategies are evaluated by its performance, the problems abstracted from the assessment should be corrected and complemented. Authentic performance of organization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balance and harmony in the competitions and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 members, which can be constructed as a new concept, Co-petition. This concepts suggests that the mor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n organization performs, the more chance to produce performance it has. This logic may work in the local government as well. In conclusion, the more cooperations and competitions among departments in balance, the more performance not only departments but also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expect.

      • 노인의 운전 관련 기능, 운전행동 및 차량 적합성 평가 사례 보고

        김미정,신수정 한국운전재활학회 2021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운전 관련 기능 및 차량 적합성을 평가한 사례를 보고하고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에 필요한 중재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 남부 지역의 지역사회 거주 중인 노인 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노인운 전자의 신체기능(인지, 운동. 감각 기능)을 평가하고 운전행동에 대한 자기 보고, 차량조절 프로그램(Carfit)을 이 용한 운전자-차량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7명의 대상자 중 3명에서 최근 1년 내 범칙금 부과와 교통사고 경험이 보고되었다. 신체기능에서는 MMSE-DS 검사와 관절가동범위 검사 결과가 모두 정상이었다. 반면 시계그리기 검사(CDT)에서 2명(28.6%), 선 로잇기 검사(TMT-B)에서 4명(57.1%)의 대상자가 어려움을 보였다. 시야검사 결과 7명의 대상자(100%) 모두 정상 보다 저하된 시야범위를 갖고 있었으며, 차량적합성 평가(Carfit)에서도 모든 대상자(100%)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 적합성 문제가 나타났다. 결론 : 운전은 지역사회 참여의 수단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저하된 운전 관련 신체기능, 부적절한 운전행동 및 차량 적합성은 노인의 안전운전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행동 및 차량 조절에 관련된 운전 중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평가 사례는 노인의 안전운전 중재 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노인운전자와 이들의 운전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한 확대 연구 및 중재 실천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evaluation of driving-related functions and vehicle suitability for elderly drivers and to identify direction for safe driving of elderly drivers. Method : The subjects is 7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southern of Gyeonggi Province.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subjects were evaluated and self-report on driving behaviors and driver-vehicle suitability evaluation( Carfit program) were conducted. Results : 3 out of 7 subjects reported violations and experiences of accident, respectively. All is normal in MMSE-DS and ROM. On the other hand, 2 subjects(28.6%) in Clock Drawing Test and 4 subjects(57.1%) in the Trail Making test-B showed difficulties. Additionally 6 subjects(85.7%) showed a decrease in horizontal visual field, and all(100%) represented at least one problem in the driver-vehicle suitability of Carfit. Conclusion : Driving has important implications as a means of community participation. Decreased driving- related physical functions, inappropriate driving behavior, and bad vehicle suitability may threaten the safe driving of the elderly. Therefore, driving interventions related to driving behavior and vehicle adjustments are required,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afe driving strategy in the elderly. In the future, expansion studies and intervention studies on elderly drivers are needed.

      • KCI등재

        멘토링 기능과 교사의 직무태도간의 관계

        이상진,이규만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최근 들어 인적자원관리프로그램으로 조직내에서 성인기의 사회화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조직이 구성원의 조직사회화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인적자원의 개인수행 능력이 조직내 사회적 자본의 핵심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교육환경도 급속하게 변화함에 따라 교직사회화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화된 교직사회화 전략으로서 멘토링 기능이 교사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 3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적 교직사회화 전략으로서 비공식적인 멘토링의 경력관련 기능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의 심리사회적 기능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적합성은 심리사회적 기능과 조직몰입간에 조절변수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times, the interest and concerns regarding the socialization of adults as an HRM program has increased drastically. This increasing concern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their members can b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core of social capital of organizations. Due to a rapidly shift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ravity of teachers' socialization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at any other time, but the experimental resear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informal mentoring functions (psychosocial functions/ career functions) as a individualized teachers' socialization tactic may affect the teachers' job attitude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given to a sample of 500 teachers teaching in Gyeonggi provinc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functions of informal mentoring as a individualized teachers' socialization tactic ha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sychosocial functions of informal mentoring had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un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oderated by person-job fit. Implications for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촌 공동시설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천 ( Kim¸ Jong-cheon ),김지웅 ( Kim¸ Ji-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어촌 사회는 인구 감소, 고령화 현상, 어업환경 변화 등 변화에 직면함에 따라 어촌에서 요구되는 공공서비스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시대적인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공동시설물은 기능과 활용도가 낮아져 유휴시설이 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촌사회가 요구하는 공공서비스의 기능과 필요 공동시설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어촌 사회의 공공서비스 향상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어촌 공동시설은 회관 유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관 보유어촌계는 전체 87.3%로 나타났으며, 어촌 사회에서 가장 중심적인 커뮤니티 시설로 자리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공동창고(보유율 40.8%), 사무실(보유율 37.2%), 수산물 냉동·냉장창고(보유율 24.9%) 시설의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공동시설은 어촌계의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한 커뮤니티 기능과 어업활동에 직결된 지원시설로서 자리해온 것으로 분석된다. 어촌 공동시설은 2000년 전후로 회관, 사무실과 같은 기본적인 어촌사회를 위한 공동시설에서 소득, 관광, 유통, 가공 등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시설물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2010년이후부터는 어촌체험시설, 어촌계 숙박시설, 수산물 가공시설, 바다낚시터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공동시설이 많이 건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어촌은 공공서비스 측면에서 소득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어획량 감소와 인구 감소, 그리고 고령화 등 어촌사회가 마주하는 사회적 위기속에서 어촌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어업활동 이외에 새로운 공동 수익창출원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기본적인 공공서비스 측면에서 어촌계의 공동체 유지를 위한 커뮤니티 기능과 삶의 질과 관련한 복지·위락 또한 중요한 공공서비스 기능으로서 인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어촌 공동시설의 필요도와 운영적합도 측면에서 어촌 사회에 요구되는 공동시설로는 회관, 사무실, 공동창고가 최우선 시설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시설물은 어촌 사회에 필수적인 시 설물로서 높은 적합도와 활용도를 가진 시설물이라 할 수 있다. 소득형 공동시설은 상대적으로 어촌계에서 운영하기에 높은 난이도를 가진 시설물로 인지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 소득형 공동시설은 수산물 냉동냉장창고, 어촌복합다용도시설, 어촌체험시설, 어촌계 숙박시설로 분석되었다. 향후 어촌 공공서비스는 어촌 공동체 유지를 위한 커뮤니티와 고령화에 대응한 복지·위락, 어획량 감소로 인한 소득 기능 강화에 중점적인 향상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공공서비스적 수요를 바탕으로 어촌 사회에 적합한 공동시설이 기능할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어촌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ctions of public services required by the fishing villages and the necessary public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un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public facilities in fishing villages were meeting halls which are owned by 87.3%, basic warehouses(40.8%), offices(37.2%), and seafood freezing warehouses (24.9%) were other common types. This means that the community func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In this study, public facilities in fishing villages have been diversified into more functional facilities. Around 2000, basic facilities such as halls and offices were established for community functions. After 2010, more functional facilities such as multipurpose complexes, processing facilities, tourism amenities,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restaurant facilities have been built. It means that the public function of facilities have been expanded into income, tourism, distribution, and processing based on demand for public services. In terms of public service needs in fishing village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income function is increasing. This means that there is growing demand for a new source of common revenue to maintain the fishing village. It is related with the phenomenon that fishing communities are facing crises such as decrease in catches/yield, dwindling populations, and the aging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it has also been analyzed that the community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societies of the fishing villages and welfare function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re also recognized as important public service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ositioning of the public facilities showed that offices, meeting halls, and basic warehouses were the highest priority of public facilities in fishing villages. These public facilities have both high demand and suitability in fishing villages. In the case of income type facilities, the most prioritized type of facilities were seafood cold storage warehouses, multipurpose complexes, fishing village tourism facilities, and fishing village accommodation facilities.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장은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의 적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직 국어교사 104명에게 중학교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내용 타당성, 진술 명료성, 수준 위계성 측면에서 적합성 정도를 5점 척도에 따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성취기준을 지도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년과 수업 차시도 작성하도록 하였다. 국어교사들은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이 대체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하위 범주별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질’ 범주에서는 진술의 명료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담화/글 유형, 매체’ 범주의 성취기준은 다른 범주보다 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구성요소, 과정, 전략/방법’ 범주에서 신설된 성취기준 중에는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가 있었다. 즉, 국어교사들에게 낯선 개념 혹은 수업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을 다루고 있거나 교수․학습과 평가로 구현하기 어려워 보이는 경우에는 적합도가 낮게 나타났다. ‘태도’ 범주는 ‘본질’ 범주에 비해 적합도가 높은 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andards of language art section of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oing so, 104 Korean teachers evaluated the standard under three heads; the content validity, the clarity of expression, the hierarchy of the contents standards. Then, the result were analyzed into system of content of 2015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 ⑴ Nature, ⑵Discourse / Text type, & Media, ⑶ Element, Process, & Strategy, ⑷ Attitude. However some newly-organized standards were under 'valid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First, the standard of Nature category showed under the clarity of expression. Second, the standard of Discourse/Text type were appropriate than other category. Third, the newly-standard of Element, Process, & Strategy category were under appropriateness. Lastly, the standard of Attitude category were appropriate than Nature category.

      • KCI등재

        연구논문 : 호텔의 브랜드 확장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컨셉 & 사고방식

        김귀곤,도현옥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서비스기업인 호텔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 컨셉(상징적<신라> vs. 기능적<롯데>)에 따른 레스토랑으로의 확장성 평가의 차이, 그리고 그 차이가 소비자의 사고방식의 차이(종합적 vs. 분석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구·부산권 소재 4개 호텔의 내방객을 대상으로 한 207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부적절한 설문지 19부(상징적 브랜드: 11부, 기능적 브랜드: 8부)를 제외한 188부(상징적 브랜드: 94부, 기능적 브랜드: 94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1) 브랜드 컨셉에 따른 적합성 판단은 기능적 브랜드보다 상징적 브랜드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확장평가의 경우에는 기능적 브랜드보다 상징적 브랜드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사고유형에 따라서는 종합적 사고자가 분석적 사고자보다 브랜드 확장의 적합성 판단 및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3) 상징적 브랜드의 경우에는 사고방식에 따라 적합성 판단의 차이가 없었으며, 기능적 브랜드의 경우에는 분석적 사고자가 종합적 사고자보다 적합성을 더 낮게 판단하였다, 그러나 확장평가의 경우에는 브랜드 컨셉에 관계없이 종합적 사고자가 분석적 사고자보다 브랜드확장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적합성 판단의 경우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가설 모두가 지지되었지만, 확장평가의 경우에는 사고방식의 차이에 따른 가설만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프리테스트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스토랑이 호텔이라는 모 브랜드로부터 범주적으로 거리가 먼 확장제품으로 인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적합성판단이 브랜드확장평가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모 브랜드와 확장제품간의 범주적 유사성이 인식되지 않는 거리가 먼 확장제품으로의 브랜드확장(예를 들면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의 브랜드확장)을 통해 이를 증명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마케팅 연구자뿐만 아니라 글로벌 환경 하에서의 기업의 다각화 전략 및 마케팅전략을 담당하는 실무자들 에게도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differences in brand expansion evaluation to a restaurant according to the brand concepts of the hotel service company(symbolic<Shilla> vs. functional<Lotte>). We also try to verify that such differences will be able to be moderated by the consumers' thinking styles(holistic vs. analytic). Although total 207 people, the visitors at four hotels located in Daegu and Busan, participated in this test, we just utilized reliable questionnaires from 188 respondents (symbolic brand: 94, functional brand: 94) except inappropriate or insincere 19(symbolic brand: 11, functional brand: 8) respons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i) Fit judgement based on brand concepts was higher in symbolic brand than functional brand. Unfortunately, expansion evaluation was higher in symbolic brand than functional brand, but the differenc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i) Fit judgement and expansion evaluation by the types of thinking were shown as expected. The holistic thinkers were higher in fit judgement and expansion evaluation than the analytic ones. (iii) In case of symbolic brand, there was no differences in fit judgement and expansion evaluation between holistic thinkers and analytic thinkers. In functional brand, analytic thinkers judged the fit lower than holistic ones. However, holistic thinkers evaluated the brand expansion higher than analytic thinkers regardless of brand concept. These results was because a restaurant was not recognized as a dissimilar extension product from its parent brand category as you know pretest. In addition, fit judgement is required conditions for the brand expansion evaluation but not sufficient conditions. Consequently, hereinafter, it is necessary to test the fit and the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 using the dissimilar extension product far from parent brand category(for example, brand expansion from service industry to manufacturing). We can expect this research result to be helpful in working out diverse and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existing brand concepts in the global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기업·비영리기구 연계사회공헌활동의 효과 ― 소비자-기업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은경,윤여선 한국비영리학회 2012 한국비영리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사회공헌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기업과 비영리기구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업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미치는 효과를 다루었던 기존 연구들은 소비자들이 기업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와 사회공헌활동 간의 기능적인 특성들이 얼마나 적합한지를 바탕으로 평가를 내릴 것이라고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단순히 기능적인 적합성 정보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핵심 가치 등 개념적 차원의 적합성 또한 평가에 반영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소비자들이 기업과 자신을 얼마나 동일시하느냐에 따라 소비자들이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적합성 정보의 종류가 달라짐을 보임으로써 사회공헌활동의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신과 기업을 동일시하는 정도가 낮은 사람들의 경우 사회공헌활동에 한 평가를 내림에 있어서 기능적인 차원의 적합성 정보를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반면 자신과 기업을 동일시하는 정도가 높은 사람들의 경우 브랜드 개념 차원에서의 적합성을 더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는 기업 및 비정부기구에 대한 평가로 이어졌다.

      • KCI등재

        Rasch 모형을 활용한 U-19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기능적 움직임 능력 검증

        최용석 ( Yong Suk Choi ),최수지 ( Su Ji Choi ),강윤중 ( Yun Jung Kang ),장동규 ( Dong Kyu Jang ),정다움 ( Da Um Jung ),박미나 ( Mi Na Park ),강성우 ( Sung Woo Kang ),전지현 ( Ji Hyun Chun ),이미영 ( Mi Young Lee ),홍정기 ( Jung Gi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기능적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의 결과를 통해 U-19 축구선수 집단에 적용된 FMS 측정항목들의 적합성과 난이도를 분석하여 U-19 축구선수들의 기능적 움직임 특성 및 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파주 NFC U-19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 30명(19.3±0.66세)의 FMS 7개 항목(Deep Squat: DS, Hurdle Step: HS, In-line Lunge: IL, Shoulder Mobility: SM,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Trunk Stability Push-Up: TSPU & Rotary Stability: R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Rasch 모형을 사용하여 선수들에 대한 측정항목의 적합성(goodness-of-fit)과 난이도(item difficulty)를 분석하였다. FMS측정 결과, 총 점수 평균은 10.02±1.79점이였으며, HS, SM, TSPU를 제외한 DS, RS, IL, ASLR가 적합한 측정항목으로 나타났다(0.5< x <1.5). 또한, 적합한 측정항목인 DS, IL, ASLR, RS의 난이도는 2.08, .26, -3.16, .83(logit)으로 나타났으며, 순서대로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U-19 축구선수들의 기능적 움직임의 수준이 성인 선수들 보다 낮으며, FMS 측정항목들이 종목의 특성과 선수들의 연령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youth soccer players’ functional movements. The secondary purpose was to examine whether certain tests of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meaningfully achieve goodness-of-fit for the soccer-specific movements. Korean national youth soccer players (30 male players, 18.37 ± 0.67 yrs, 178.7±7.09 cm, 70.2±6.46 kg), performed FMS tests [deep squat (DS), hurdle step (HS), in-line lunge (IL), shoulder mobility (SM),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trunk stability push-up (TSP), and rotary stability (RS)]. The mean (±SD) FMS composite score and each test score were calculated. Rasch analysis, which was used to determine the goodness-of-fit for the tests, was applied to examine the item difficulty of the FMS tests. The mean FMS composite score was 10.2± 1.79; the mean DS, HS, IL, SM, ASLR, TSP, and RS score were 1.13±0.35, 1.27±0.45, 1.4±0.56, 1.6±0.77, 2.07±0.69, 1.43±0.82, and 1.3±0.47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asch analysis, 4 tests (DS, IL, ASLR, and RS) were shown to b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infit & outfit > 0.5 ~ < 1.5). The other 3 tests (HS, SM, and TSP) were shown to be out of acceptable range. The additional analysis revealed the DS (logit = 2.08) as the most difficult test and ASLR (logit = -3.16) the lea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layers’ FMS composite score was lower (< 14) than the cut-off points used by previous studies for different athletes. The further study is warran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cores of the tests appeared to be soccer-specific in the present study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variables.

      • KCI등재
      • KCI등재

        유럽연합안전규격(EN)을 통과한 복합기능 원단을 활용한 다목적 안전작업복 개발 - 119구조대원복, 주유복 및 건설·중공업복 중심으로 -

        이규진 ( Kyu-ji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국내외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각종 안전 작업복들은 안전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보장은 물론 분류와 기준도 명확하지 못한 상태에서 산업별 용도와 기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디자인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기업인 ㈜케이엠, HSTG와 협업하여 유럽연합안전규격(EN)을 통과하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적합한 복합기능 원단제작기술 개발과 이를 활용한 사용자 중심의 다목적 안전작업복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최적화된 다목적 안전작업복 개발을 위해 국내외 안전작업복 개발 시장조사와 선행사례를 연구하며 산업현장의 작업환경 분류에 따른 현장평가를 통한 작업 활동성과 개선 니즈(Needs)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사용자의 안전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유럽연합안전규격(EN)에 적합한 복합기능 원단개발을 하여 이를 활용한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적합한 활동성과 동작적합성, 착의편의성을 고려한 기능적인 측면과 동시에 작업복 색채의 배색, 소재의 질감, 의복의 선, 디테일, 변화된 체형조건을 고려한 작업복별 디자인 다양화로 국내외 안전작업복 시장 마케팅전략 수립을 통한 전문성과 실용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총 21종의 안전작업복 착장 아이템 제작과 보급을 통해 기존의 안전작업복이 산업현장에서 보편화 되지 못하였던 부분을 최대한 보완하여 안전보호가 필요한 각종 산업 및 작업, 재난 현장, 관공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용 스포츠레저 의류로서도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 하도록 차별화 하였다. 이는 현장에서의 안전작업복의 착용률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른 재해의 감소와 사회 복지의 증대로 연결 될 것으로 전망한다. Background Designs are being applied uniformly to various kinds of safety workwear at domestic and foreign industrial fields, failing in considering use and functionality by industry without guarantee for a safe environment and also definite classification and standar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nufacturing technique for multi-functional fabric fitting for a work environment of a worker and satisfying the European Union safety standard(EN) and multi-purpose safety workwear centered on a user under collaboration with KM Corporation and HSTG CO. Methods This study analyzes needs for improving working performance through the site evaluation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fields along with market research and precedent case study for domestic safety workwear to develop optimized multi-purpose safety workwear. Result This study developed the multi-functional fabric fitting for the European Union safety standard(EN)) that improved safety of a wearer. Besides, popular safety workwear was developed design diversification by workwear considering functional aspects including the mobility test and wear convenience, and workwear coloration, material texture, clothing line and detail, and a changed body type. As a result, planning for mass production was done through patent application for the fabric and design and specification standardization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domestic and foreign safety workwear markets. Conclusion This study complemented lack of the existing safety wear in generalization to an industrial field through producing and spreading 21 kinds of safety workwear items to be used as everyday sports/leisure clothing beyond industrial and working fields, disaster sites and government/public offices needing safety protection. It is expected to reduce disasters and enhance social welfare with increase of the wearing rate of a safety workw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