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인의 운전 관련 기능, 운전행동 및 차량 적합성 평가 사례 보고
김미정,신수정 한국운전재활학회 2021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운전 관련 기능 및 차량 적합성을 평가한 사례를 보고하고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에 필요한 중재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 남부 지역의 지역사회 거주 중인 노인 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노인운 전자의 신체기능(인지, 운동. 감각 기능)을 평가하고 운전행동에 대한 자기 보고, 차량조절 프로그램(Carfit)을 이 용한 운전자-차량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7명의 대상자 중 3명에서 최근 1년 내 범칙금 부과와 교통사고 경험이 보고되었다. 신체기능에서는 MMSE-DS 검사와 관절가동범위 검사 결과가 모두 정상이었다. 반면 시계그리기 검사(CDT)에서 2명(28.6%), 선 로잇기 검사(TMT-B)에서 4명(57.1%)의 대상자가 어려움을 보였다. 시야검사 결과 7명의 대상자(100%) 모두 정상 보다 저하된 시야범위를 갖고 있었으며, 차량적합성 평가(Carfit)에서도 모든 대상자(100%)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 적합성 문제가 나타났다. 결론 : 운전은 지역사회 참여의 수단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저하된 운전 관련 신체기능, 부적절한 운전행동 및 차량 적합성은 노인의 안전운전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행동 및 차량 조절에 관련된 운전 중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평가 사례는 노인의 안전운전 중재 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노인운전자와 이들의 운전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한 확대 연구 및 중재 실천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evaluation of driving-related functions and vehicle suitability for elderly drivers and to identify direction for safe driving of elderly drivers. Method : The subjects is 7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southern of Gyeonggi Province.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subjects were evaluated and self-report on driving behaviors and driver-vehicle suitability evaluation( Carfit program) were conducted. Results : 3 out of 7 subjects reported violations and experiences of accident, respectively. All is normal in MMSE-DS and ROM. On the other hand, 2 subjects(28.6%) in Clock Drawing Test and 4 subjects(57.1%) in the Trail Making test-B showed difficulties. Additionally 6 subjects(85.7%) showed a decrease in horizontal visual field, and all(100%) represented at least one problem in the driver-vehicle suitability of Carfit. Conclusion : Driving has important implications as a means of community participation. Decreased driving- related physical functions, inappropriate driving behavior, and bad vehicle suitability may threaten the safe driving of the elderly. Therefore, driving interventions related to driving behavior and vehicle adjustments are required,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afe driving strategy in the elderly. In the future, expansion studies and intervention studies on elderly drivers are needed.
이상진,이규만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최근 들어 인적자원관리프로그램으로 조직내에서 성인기의 사회화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조직이 구성원의 조직사회화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인적자원의 개인수행 능력이 조직내 사회적 자본의 핵심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교육환경도 급속하게 변화함에 따라 교직사회화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화된 교직사회화 전략으로서 멘토링 기능이 교사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 3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적 교직사회화 전략으로서 비공식적인 멘토링의 경력관련 기능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의 심리사회적 기능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적합성은 심리사회적 기능과 조직몰입간에 조절변수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times, the interest and concerns regarding the socialization of adults as an HRM program has increased drastically. This increasing concern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their members can b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core of social capital of organizations. Due to a rapidly shift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ravity of teachers' socialization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at any other time, but the experimental resear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informal mentoring functions (psychosocial functions/ career functions) as a individualized teachers' socialization tactic may affect the teachers' job attitude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given to a sample of 500 teachers teaching in Gyeonggi provinc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functions of informal mentoring as a individualized teachers' socialization tactic ha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sychosocial functions of informal mentoring had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un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oderated by person-job fit. Implications for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were discussed.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장은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의 적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직 국어교사 104명에게 중학교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내용 타당성, 진술 명료성, 수준 위계성 측면에서 적합성 정도를 5점 척도에 따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성취기준을 지도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년과 수업 차시도 작성하도록 하였다. 국어교사들은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이 대체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하위 범주별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질’ 범주에서는 진술의 명료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담화/글 유형, 매체’ 범주의 성취기준은 다른 범주보다 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구성요소, 과정, 전략/방법’ 범주에서 신설된 성취기준 중에는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가 있었다. 즉, 국어교사들에게 낯선 개념 혹은 수업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을 다루고 있거나 교수․학습과 평가로 구현하기 어려워 보이는 경우에는 적합도가 낮게 나타났다. ‘태도’ 범주는 ‘본질’ 범주에 비해 적합도가 높은 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andards of language art section of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oing so, 104 Korean teachers evaluated the standard under three heads; the content validity, the clarity of expression, the hierarchy of the contents standards. Then, the result were analyzed into system of content of 2015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 ⑴ Nature, ⑵Discourse / Text type, & Media, ⑶ Element, Process, & Strategy, ⑷ Attitude. However some newly-organized standards were under 'valid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First, the standard of Nature category showed under the clarity of expression. Second, the standard of Discourse/Text type were appropriate than other category. Third, the newly-standard of Element, Process, & Strategy category were under appropriateness. Lastly, the standard of Attitude category were appropriate than Nature category.
기업·비영리기구 연계사회공헌활동의 효과 ― 소비자-기업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은경,윤여선 한국비영리학회 2012 한국비영리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사회공헌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기업과 비영리기구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업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미치는 효과를 다루었던 기존 연구들은 소비자들이 기업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와 사회공헌활동 간의 기능적인 특성들이 얼마나 적합한지를 바탕으로 평가를 내릴 것이라고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단순히 기능적인 적합성 정보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핵심 가치 등 개념적 차원의 적합성 또한 평가에 반영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소비자들이 기업과 자신을 얼마나 동일시하느냐에 따라 소비자들이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적합성 정보의 종류가 달라짐을 보임으로써 사회공헌활동의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신과 기업을 동일시하는 정도가 낮은 사람들의 경우 사회공헌활동에 한 평가를 내림에 있어서 기능적인 차원의 적합성 정보를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반면 자신과 기업을 동일시하는 정도가 높은 사람들의 경우 브랜드 개념 차원에서의 적합성을 더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는 기업 및 비정부기구에 대한 평가로 이어졌다.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적합성에 관한 연구: BRM(Business Reference Model)모형을 중심으로
고경훈,임채홍 한국행정학회 2009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
본 연구는 자치단체 유형별로 추진하고자 하는 주요 정책영역에 대한 담당 조직과의 연계성을 파악하여 자치단체 조직설계의 적합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① 조직설계가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자치단체가 일부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② 기능과 조직의 연계를 분석한 결과 자치단체 유형별로 각 기능과 조직의 공동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상대적인 연계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③ 기획행정분야에 상응하는 행정관리 담당조직과 도시분야에 상응하는 도시관리 담당조직은 기능과 조직이 잘 연계되어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기능중심 조직(Function Focused Organization)의 유용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뒤르케임(E. Durkheim) 직업집단론의 현실적합성 연구
백승대,안태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2
This study reviewed the relevancy of Durkheim’s theory on occupational associations in today’s society critically. He proposed the reconstruction of the occupational associations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anomic state of modern society. Occupational associations were considered as specific social groups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providing moral norms which were necessary to cope with the anomic state. His proposal was based on the functions of historical guild. His discussion on the relevancy of occupational associations was not sufficient. Especially, He did not discuss their moral aspect enough. The moral aspect or functions of any social organization may be associated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social relations of its members. He did not deal with the issue adequately. Historically, guild had clearly the moral functions. But they were not the original feature of guild. They emerged as a means to achieve guild’s main objective, that is, the strong solidarity or integration among its members. In order to maintain the strong solidarity, guild had to guarantee its members’ rights. They were significantly equal. This situation enhanced the interdependence among them. Their interdependence was a basis to achieve their common goal with strong solidarity. Thus, the moral functions of guild did not emerged naturally, but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ial circumstance to which guild members faced and their interdependence. 본 연구에서는 뒤르케임(Durkheim) 직업집단론의 현실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는 현대사회의 아노미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직업집단의 재구성을 주장했다. 직업집단은 도덕적 규범을 실행할 구체적 실체로 여겨졌다. 이러한 주장은 길드에서 차용한 것이다. 하지만 그는 직업집단 재구성의 현실성을 소홀히 다루었다. 직 업집단은 자연스럽게 존재하게 될 것이며, 도덕적 기능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어떤 조직의 구성은 역사적 상황이나 구성원 간의 관계에 의해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덕적 기능도 마찬가지다. 역사적으로 길드에는 도덕적 기능이 분명히 존재했다. 하지만 그것은 뒤르케임(Durkheim)이 주장했던 것처럼 길드의 고유한 기능이 아니었다. 길드의 도덕적 기능은 길드의 주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등장했다. 그들의 목적 달성은 강한 단결력을 필요로 했다. 그런 단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개개인의 권리를 보장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그들은 상당히 평등한 존재였다. 이러한 조건이 그들의 상호의존성을 더욱 더 강화했다. 강력한 단결력으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토대가 되었다. 길드의 도덕적 기능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나타났던 것이다.
초등통합교과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민보선,정광순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과서 기능과 그에 따라 초등통합교과 교과서를 읽는 특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교과서의 변천을 통시사적으로 연구한 문헌에서 교과서관의 변화를 검토하고, 각 교과서관이 초점화하는 교과서 기능을 범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을 범주로 분류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기능을 내용 전달로 보는 관점에서(범주1), 교사는 초등통합교과 교과서에서 삽화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인식하였고, 이에 삽화 등 내용을 제시하는 텍스트가 정확한지, 적절한지를 중심으로 교과서를 읽는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과서의 기능을 교수학습 자료 제공으로 보는 관점에서(범주2), 교사는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활동과 부록을 교수학습 자료로 인식하였고, 교과서를 사용하는 맥락에서 교수학습 자료가 적절한지, 사용 가능한지를 중심으로 교과서를 읽는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의 기능을 교실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도구로 보는 관점(범주3)에서, 교사는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배움 지도 등 장치를 교실교육과정 개발 도구로 인식하고, 교실교육과정 개발 방법을 탐색하고 실행하는 방향에서 교과서를 읽었다. This study explores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functions of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and how these perceptions influence the way they read the textbook.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paper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extbook perspectives. The textbook functions emphasized in these perspective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Then, the field review opinions on the 2022 Revised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were classified into these three categories,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categ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textbook as a means of content delivery (category 1), teachers recognized the content in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mainly through illustrations. Teachers focused on whether the texts presenting the content, such as illustrations, were accurate and appropriate when reading the textbook.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textbook as a provider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ategory 2), teachers perceived the activities and appendices in the textbook as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They read the textbook with a focus on whether these resources were appropriate and usable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textbook as a tool for developing classroom-level curriculum (category 3), teachers viewed tools such as the “learning map” as tools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They read the textbook in a way that explored methods for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 the classroom.
김상진,신호영 한국세법학회 2024 조세법연구 Vol.30 No.1
조세정의(租稅正義)는 국가 과세권 행사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원리이자 동시에 그 행사의 헌법상 한계로 기능하는 조세법질서의 지도원리가 된다. 그러므로 국가의 조세법체계나 조세제도가 아무리 효율적이고 정교하더라도 그 지향점이 부정의(不正義)하여 해당 구성원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하면 개정되거나 폐기될 수밖에 없다. 법외적(法外的) 개념인 조세정의는 헌법을 매개로 실정법 체계로 편입되어 그 실효성을 담보 받으면서, “조세의 규범적합성(規範適合性)”을 지향한다. 여기서 규범(規範)이란 실정법(Gesetz) 을 넘어서는 근본규범(Grundnorm)으로서 위상을 가지는 법(Recht)을 의미한다. 조세의 규범적합성 이념은 납세자의 조세회피행위뿐만 아니라 과세관청의 규범에 어긋나는 과세처분에도 유효적절한 대응을 공평하게 요구한다. 적확한 법규의 흠결(loophole)에 의해 야기되는, 개별 납세자에게 있어 도저히 수인할 수 없는 비합리적인과세가 있는 경우, 그 징수된 조세를 통한 국가의 재원조달은 정당성을 담보하고 있다고보기 어렵다. 이러한 과세권의 행사로부터 납세자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제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조세분쟁해결절차를 담당하는 국가기관의 의무이다. 다만, 조세법률관계의 독립적 주체로서 납세자를 보호하고 그 법적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취지를 벗어나서, 해당 분쟁의 판단주체가 일방 당사자인 납세자의 권익구제만을 강조하겠다는 사고는 자제되어야 한다. 납세자 보호 관점과 권리구제기능 관점은 준별(峻 別)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전제에서 사고하면, 권리구제기능이 아니라 자율통제기능에 운영의 중심축을 두고 행정의 자율성과 재고 기회가 최대한 보장되도록 진행하여야 할 당위성이 생긴다. 그렇다면, 소송 전 조세분쟁해결제도는 절차에서 과세처분의 적법성뿐만 아니라 부당성(不當性) 통제까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그 하자를 스스로 넓게치유할 수 있는 데에서 제도의 존재의의를 찾아야 한다. “부당한 과세처분에 대한 심사권”은 우리 실정법 하에서 사법(司法)이 적절하게 대답할 수 없는 ‘특정한 과세영역’에 대한 행정(行政)의 자율교정장치(自律矯正裝置)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국세기본법에서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과세처분에 대한 부당성 심사는 거의 사문화(死文化)되어 왔다. 이는 전형적 기속행위로 평가되는 과세처분과 재량행위를 전제하는 부당성이 개념 논리적으로 과연 결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강한의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세분쟁해결절차는 일반행정심판을 통해서는해당 처분의 당부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을 만큼 사안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세기본법상 부당이 행정심판법상 부당과 반드시 동일한 의미가 아닐 수 있고, 양자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는 사고에까지 이르게 한다. 법률용어의 작용 국면을 도외시하고 행정심판법상 부당과 외견상 같은 문언이라는 사유만으로 그와 연계하여 이해할수밖에 없다는 논리는 설득력이 약하다. 국세기본법상 부당은 ‘재량권 행사의 당부’라는심사척도와는 분리(分離)되어야 한다. 이렇게 조세법 고유의 시각에서 조망하면, 기속행위인 과세처분에 대해서도 조세분쟁해결절차에서 부당성 통제 가능성을 설시한 대법원의 취지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법외적 가치판단과 밀접하게 결부된 법적 ...
이나현(Lee, Na-hyun)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2
본고는 중국어 담화표지 ‘我问你’의 담화 기능을 분석했다. 담화표지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명제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담화를 결속하거나 화자의 심리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담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인간의 인지는 적합성을 최대화하려는 쪽으로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는 적합성 이론을 적용해 분석을 시도했다. 적합성 이론에서는 추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이 추론 모형에서 전달자는 어떤 의미를 전달하려는 자신의 의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고, 그러면 청자는 제시된 증거를 바탕으로 그 의미를 추론한다. 담화표지는 화자의 의도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단서로 작용해, 청자는 길고 복잡한 추론 과정이 아니라 단순하고 즉각적인 추론을 통해 가장 적합한 화자의 의도를 쉽게 인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我问你’의 담화 기능은 크게 담화 결속과 화자의 심리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담화 결속 측면에서는 화제 시작, 화제 전환, 화제 심화의 기능을 하며, 화자의 심리 표현 측면에서는 화자의 불만을 표출하거나 화자의 관점을 청자가 수용하도록 촉구해 자신의 의도대로 의사소통을 이끌고 가고자 할 때 사용한다. 또한, 동일한 명제 의미를 나타내는 담화표지 ‘你告诉我’와의 대조를 통해서 ‘我问你’가 ‘你告诉我’와는 달리 화자의 심리를 나타내는데 주로 사용되는 화자 중심적인 담화표지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볼 때, ‘我问你’나 ‘你告诉我’와 같은 담화표지는 화자의 발화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잉여 표현이 아니라 화자의 의도를 즉각적으로 추론하는데 기여하는 경제적인 표지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pplies the theory of relevance, also known as the theory of minimal communication, to examine the discourse marker ‘Wo wen ni’ in Modern Chinese and explore its discourse fun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a drama script that provides both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scourse functions of ‘Wo wen ni’. These function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discourse cohesion and the speakers psychological expression. From a discourse cohesion perspective, ‘Wo wen ni’ contributes to initiating, transitioning, or deepening a topic. In terms of the speakers psychological expression, it prompts the listener to accept the speakers perspective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peakers intention. Additionally, by contrasting it with the discourse marker ‘Ni gao su wo’, which conveys the same propositional meaning, the study confirms that ‘Wo wen ni’ is primarily used as a speaker-oriented discourse marker, indicative of the speakers psychological state. Consequently, discourse markers such as ‘Wo wen ni’ and ‘Ni gao su wo’ can be regarded as economically efficient markers that promptly contribute to inferring the speakers intention, rather than mere surplus expressions that have no bearing on the speakers utte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