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시사점

        김현정 ( Kim Hyeonjeong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9

        이 연구는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브라운대·예일대·듀크대·프린스턴대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미국 4개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미국 대학들은 글쓰기센터에서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 대학의 경우, 글쓰기센터 기능이 글쓰기 상담이나 1회성 특강 형식의 프로그램만을 운영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미국 우수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로 다양한 공동체 지원을 통한 글쓰기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로 글쓰기 교수자 양성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로 글쓰기 가치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는 글쓰기 관련 교과목을 필수교양으로 지정하는 것 이외에도 체계적인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내실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s at Brown University, Yale University, Duke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excellent writing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a survey on writing education programs at four universities in the U.S., American universities were operating various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professors at the writing center. Contrastingly, in the ca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writing center function only operated programs in the form of writing counseling or one-time special lectures. The three main implications of this writing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riting cooperation system through community support. Second, a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for cultivating writing instructors. Third, various programs should be operated to spread the value of writing. Through these implications, Korean universities need to establish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programs beyond designating writing subjects as essential educ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versificat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university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과커리큘럼 개선 방안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

        박영식 ( Young Sik Park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학사행정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뀐 것처럼 대학 수업 역시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글쓰기 강좌 역시 1990년대까지 통합교과서로 운영하다가 2000년대 이후부터 각 계열별 맞춤형 교과서로 바뀌고 있다. 즉 각 계열별전공 영역과 실생활에 필요한 글쓰기에 초점에 맞춰 글쓰기 교재도 전문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보면 여전히 교수자 중심의 이론 수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학습자중심의 참여 수업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좀 더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 하였다.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학습자는 여러 가지 글쓰기 교과 항목 중 ``이론 - 실습 - 피드백``을 동시에 수행하는 항목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그리고 ``이론-실습-피드백``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 이론만 수행한 글쓰기 교과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감을 보였다. 즉 학습자는 교수자로부터 많은 내용을 새로 배우는 것보다 적은 내용이라도 학습자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터득한 지식을 더 의미 있게 생각한다. 따라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에 있는 다양한 글쓰기 교과 항목 중 몇 개를 줄임으로써 학습자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 경북대학교 글쓰기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 글쓰기 교과목 역시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론 - 실습 -피드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개선하자는 것이다. Just like the academic administr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supplier-centered to the consumer-centered as the number of students entering universities is decreased, the university courses are also changing from the teacher-centered to the learner-centered. The writing course wa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textbook till the 1990s while it has been changing to the customized-textbook for each department since the 2000s. In other words, the writing textbooks also place emphasis on the professional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necessary to the actual life and the major area of each department. However,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still spends lots of time on the teacher-centered theory lesson while spending relatively less time on the learner-centered participation lesson. Thus, this paper aimed to suggest measures for learners to more dominantly participate in classes, focusing on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ocial Science Writing> Curriculu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arners showed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item of performing ``theory-practice-feedback`` at the same time among numerous writing course items. They also showed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with the item of performing theory only without the process of ``theory-practicefeedback``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learners consider the knowledge learnt through participation as more valuable than much more contents newly learnt from teacher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o give some rooms for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es, by reducing several things from various writing course items in the <Social Science Writing> Curriculu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n top of the writing cours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ny other writing courses of other universities also have to improve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so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can smoothly perform the ``theory-practice-feedback``.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실제와 발전 방안 <상명대학교 글쓰기 강의를 중심으로>

        김현주(Kim Hy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최근 대학교의 교육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변화의 주 요인은 창의적 인재의 필요성에 대한 시대적 공감대에 기인한다. 대학의 글쓰 기는 이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인식과 글쓰기의 현실은 양극단에 놓여있다. 글을 잘 쓰고자 하는 욕망과 함께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실제 글쓰기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대학 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사전 평가와 글쓰기 강의를 수강한 다음의 사후평가를 통해 그들에게 필요한 글쓰기 강의안을 만들고자 한다. 사전 평가와 실제 글쓰기를 통해 판단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은 이공계열과 문과계열 간의 차이가 상당했다. 이는 고등학교 시기 대학입학을 위한 논술쓰기가 문과계열에만 실시된 것에 연유한다. 따라서 이공계열과 문과계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강의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글쓰기 과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강의가 필요하다. 즉 이공계열 학생들에게는 설명적 글쓰기가 필요한 반면에 문과계열 학생들에게는 논증적 글쓰기가 요구되었다. 또한 문과계열과 이공계열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글쓰기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였다. 이를 통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동시에 스스로의 미래를 개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아쉬움은 있었지만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대학생 활은 물론 사회생활에까지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Recently, university education has shifted from the supplier to the consumer. The main reason for this change is the shared consensus about the necessity of creative talent. University writing is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However, the reality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and writing lies at the extremes. The desire to write well, the vague fear of writing, and the problem of actual writing. This article starts from this awareness. I would like to make a writing lecture for them through pre-research of writing by university students and post-research after taking a writing lecture. The ability of students to write through pre-research and actual wri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cience and mathematic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essay writing for college admissions in high school was conducted only in the curriculum. Also trained how to improve a variety of skills in order to enrich the content of the writings. The writings’ content of students becomes rich. Therefore, the professors who actively mend their posts several times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this lecture. In addition, university should be active support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 KCI등재후보

        글쓰기의 필요성에 대한 통시적 고찰

        황병익(Hwang, Byeong-I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논총 Vol.46 No.-

        흔히 기술이 발전하면서 글쓰기의 필요성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글을 써야 할 필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보고서, 편지글, e메일, 제안서 등, 책임 있는 자리로 갈수록 훨씬 더 많은 글을 쓰게 된다. 글쓰기는 의사전달, 소통 등 작은 효용성부터 “글쓰기가 깊이 있는 생각을 바탕으로, 지식과 지식 간의 결합을 이루어내고, 그로써 완전히 새로운 생산물을 산생”하는 큰 쓰임까지 다양한 가치를 가진다. 이 글은 우리에게 글쓰기가 어떤 효용성을 가져왔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펴, 그간의 변화 과정을 거쳐 더 필요해지거나 덜 필요해진 쓰임새는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글쓰기나 글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가늠해보았다. 현대에 와서는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문예 취향의 글쓰기가 현저하게 줄고, 주장과 설득, 심병의 치유, 소통과 공감, 비즈니스 글쓰기는 여전히 그 필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문예 취향의 글쓰기는 SNS상 소통과 공감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통시적으로 글쓰기는 비슷한 효용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대의 글쓰기가 더욱 다양화·다변화한 것은 사실이지만, 급속도로 발전한 소통 문명사회에서 도리어 과거의 글쓰기 전례를 거울삼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We ordinary thought that the necessity of writing would continue to decline as technology advanced, But looking around us, it is on the rise. Taking on a position of responsibility, we should write a lot more including report, letter, e-mail, memorandum etc. Writing has various values from little usefulness including opinion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the like to a lot of use "which unites different knowledge based on thoughtful thinking and produces entirely new products,"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for us to study diachronically what utility writing brought and know which one is more useful or not in the process of change so far. This will help us weigh up direction writing or writing education should aim at from now on. Nowadays, writing as intention for arts that expresses feeling and emotion are noticeably diminishing but writing for opinion and persuasion, anxiety cure, communication, sympathy and business is keeping their necessity. Writing as intention for arts has a strong tendency to be used as tools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online. It was confirmed that writing has had similar utility diachronically. Though it is true that writing of our time is diversified, there are many cases of taking lessons from the writing of past in the rapidly advanced civilized society of communication. As this is a field of study needed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writing, know real value and establish writing attitude for future, continuous research is demanded.

      • KCI등재

        체화된 인지와 마음의 글쓰기 -나탈리 골드버그의 ‘글쓰기 연습’론을 중심으로-

        우미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new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writing training method of Natalie Goldberg (born 1948): Instead of specific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is central to practical writing education, Goldberg emphasized the primary attitude hidden under the cover of practicality. This brings the problem of subdued attitudes to a natural level to the center of writing,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writing education beyond the level of information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bove all, Goldberg’s writing method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unthought” when writing. This rejects the view that thinking comes first and writing is the produc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ceptual relevance of writing and thinking and cognition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nking in “unthought”. In Chapter 2, this was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as an idea that focuses on the “act” of writing. As consciousness and body are connected to one through hands, it is one’s “mind” that the writer should meet through writing as an act of thought. At this time, the mind is connected with perception in cognitive science. The concept of writ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mind were summarized together by examin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Goldberg’s writing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mind, is not a reproduction of what has been decided or given, but rather a creation and creation of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rather than the product of writing itself, we want to move toward creating new experiences and worlds based on the writer’s body/mind, life and experience. Through these embodied mind or mind-writing, new goals or directions in writing education can be found. This is also one direction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pursue in an environment of cognitive operation beyond conscious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gard, Goldberg’s practice/performance theory,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of writing and oriented toward the embodied mind, which is mind-writing has room for further discussion in the future. This article is a consideration for this. 본 논문의 목적은 나탈리 골드버그(Natalie Goldberg, 1948∼)의 글쓰기 교육 방법을 통해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있다. 골드버그는 실용 글쓰기 교육에서 중심을 차지하는 구체적 정보나 지식 대신 실용이라는 표피 아래 가려진 1차적인 태도를 강조한다. 이는 당연의 차원으로 가라앉은 태도의 문제를 글쓰기의 중심으로 가져오면서 과학기술 시대 정보의 차원을 넘어선 새로운글쓰기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골드버그의 글쓰기 연습에서는 글을 쓸 때 생각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이는 생각이 먼저 있고 글쓰기는 그 산물이라는 통념을 거부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각하려 들지 말라’에서 ‘생각’의 함의를 통해 글쓰기와 생각 및 인지의 개념적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글쓰기의 행위에 초점을 맞춘 생각 ‘하기’로서의 글쓰기라는 주제 아래 살펴보았다. 의식과 신체가 손을 통해 하나로 연결되면서 사고 행위로서의 글쓰기를 통해 글 쓰는 이가 만나야 하는 것은 자신의 ‘마음’(mind)이다. 이때의 마음은 인지과학에서의 인지와 통한다. 이런 이유로 인지 과학의 관점에서 글쓰기 개념과 인지 혹은 마음과의 관계를 함께 정리하였다. 골드버그의 글쓰기 방법론을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보면 인지 혹은 마음으로서의 글쓰기는 결정된 바 혹은 주어진 것의 재현이 아니라 세계의 생성과 창출 행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진행되는 글쓰기는 글이라는 산물 자체보다 글 쓰는 이의 몸/마음, 삶과 경험에 토대하여 새로운 경험과 세계의 창출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체화된 인지 혹은 마음의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목표 혹은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의식을 넘어선 인지 작동의 환경에서 글쓰기 교육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방향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글쓰기의 기본에 충실하면서 체화된 마음 곧 인지의 글쓰기를 향하는 골드버그의 연습/수행론은 앞으로 좀 더 논의될 여지가 있다. 이 글은 이를 위한 하나의 고찰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추적조사 연구 -M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박대아 ( Park Dea-ah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과 수강 이후 인식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019년 1학기 전라남도 소재의 M대학교에서 진행된 <글쓰기의 기초> 강의를 수강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두 차례의 연속적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1차 설문조사는 <글쓰기의 기초> 강의가 진행되던 1학기 초반에 이루어졌고, 2차 설문조사는 8개월 뒤인 2학기 후반에 이루어졌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와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2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 수업 이후 변화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특정한 글쓰기 환경과 경험에 노출되어 매우 제한적인 글쓰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글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족도에 대한 긍정 응답의 이유로는 교육 방식, 교육 내용, 담당교수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으며 부정 응답의 이유로는 과제, 학점, 교육 방식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현실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과목을 희망하고 있었다. 글쓰기 강의의 체제에 대해서는 1학점에서 2학점으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수 학기의 확대나 수업시간의 확대는 희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글쓰기 효능감 강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차례의 설문조사는 글쓰기 효능감과 관련되는 글쓰기 선호도와 글쓰기 용이성, 글쓰기 만족도 등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perception of writing by students who take writing classes at university and the changing pattern of perception change. The study is based on two surveys of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Basics of Writing" at M University in Mokpo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when the "Basics of Writing" lecture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eight months later in the second semester. The first survey confirmed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and writing classes, and the second survey confirmed the chang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irst survey. First, we could find that students' basic perceptions of writing tend to expand from a personal level to a social level. Second, students were experiencing very limited writing, exposed to a limited writing environment and experience. Third, students' satisfaction with writing courses was found to be high. Among the reasons for the response to satisfaction were education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professors in charge, whil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response were tasks, credits, and education methods. Fourth, students were hoping for writing subjects that could be used directly in real life. As for the writing lecture system, it calls for an expansion to two credits, bu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hope for an expansion of the completion semester or an expansion of class hours. Fifth, the survey confirme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writing classes had a strong writing efficacy. The two surveys specifically show that writing preferences, ease of writing, and satisfaction with writing, related to the writing efficacy, are rising sharply.

      • KCI등재

        식민지 말기 김남천과 글쓰기의 문제 -<등불>을 중심으로-

        이진형 ( Jin Hyoung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이 논문의 목적은 김남천의 <등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 말기 김남천의 문학 관념을 파악하는 한편 동시대 조선 문학자들의 ‘글쓰기’ 문제를 해명하는 데 있다. 김남천의 <등불>은 다섯 편의 편지로 구성된 서간문 소설처럼 보이지만, ‘나’의 에피소드와 ‘장유성’의 에피소드들로 이루어진 중층적 구조의 소설이다. 이 작품에서 김남천은 ‘나’를 장유성의 이야기를 쓴 소설가로 설정함으로써 ‘나’의 유사 리얼리티 차원과 ‘장유성’의 허구적 차원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다. 이는 ‘장유성’의 네 에피소드를 ‘나’의 에피소드와 관련해서 이해할 때만 <등불>에 대한 이해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작품은 다섯 에피소드가 모두 ‘글쓰기’라는 테마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글쓰기에 대한 소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장유성의 에피소드들에서 전업(轉業) 문학자가 생활을 옹호하기 위해 제시한 ‘숙련(熟練)의 아름다움’과 이를 통한 ‘생명의 충실함’은 생활(감시, 피로, 희생, 책임감의 영역)의 재생산에 기여하는 이데올로기로 판명되고, 실재하는 다양한 글쓰기 방식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된 구원의 문학은 누구도 구원할 능력이 없으며 단지 생활의 희생만 요구할 뿐인 문학의 이데올로기로 드러난다. 여기서 문제는 생활에서 생명의 충실함을 경험하는 것과 생활의 구원을 위한 문학을 모색하는 것이 되는데, 이는 ‘여가’의 글쓰기를 통해서 성취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다. 여가의 글쓰기는 생활의 시간이 종료된 후 실천된다는 점에서 생활의 희생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그치지 않고, 생활이 결여하고 있는 ‘생명의 충실감’을 생활에 보충해줄 수 있다. 여가의 글쓰기는 생활인이 ‘포근한 느낌’을 경험하게 해주고, 이를 통해 ‘한기에 떠는 자신의 삶을 데울 수 있다는 희망’ 역시 갖게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글쓰기는 생활의 시간을 멈출 수 있다는 희망, 즉 생활의 구원에 대한 희망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식민지 말기 조선 문학자들에게 유력한 글쓰기 방법이 될 수 있다. 김남천은 장유성의 에피소드들을 통해서 여가의 글쓰기를 식민지 말기 글쓰기 문제에 대한 일종의 결론으로서 도출해냈지만, 여기에 ‘나’의 차원을 덧붙임으로써 그 결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식민지 말기 문학자(=생활인)의 상황을 고려할 때, 여가의 글쓰기는 생활의 시간에 중층적으로 구속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생활의 시간이 종료된 후에만 실천될 수 있는 것이며, 실천된다고 하더라도 생명의 충실감을 생활 속에서가 아니라 주관적 경험 속에서만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김남천은 글쓰기가 주관 속에서만이라도 생활의 구원에 대한 희망을 간직하게 해준다는 데서 글쓰기의 의의를 찾았다.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book titled “Lamp” authored by Kim, Nam-cheon and understand his ideas on literature in Late Colonial Era and find out the “Writing” issue of the contemporary Joseon authors. “Lamp” authored by Kim, Nam-cheon may look like the letter type novel made with 5 letters. But it is a novel made with two episodes with “my” episode and “Jang Yu-song`s” episodes. In the book, author Kim, Nam-cheon set “me” as an author who wrote the story of “Jang Yu-seong” and clearly differentiated “my” similar reality dimension from fictional dimension of “Jang Yu-song”. It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four episodes of Jang Yu-song or the book titled “Lamp” can be made only when they are related to “my” episode. As five episodes of the book all deal with the “writing” as their topics, the book can be said as “novel on writing”. In Jang Yu-seong`s episodes, the author with no other job suggested the “beauty of expertise” and the resulting “a sense of fulfillment of life” to make a living. But they are found to be just an ideology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life (in terms of monitoring, fatigue, sacrifice and responsibility). Instead, it is found out that the literature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to various kinds of writing methods is just the literary ideology which is not capable of redempting anyone but just asks for the sacrifice of life. Now, the issue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a sense of fulfillment of life” in the life and the search of literature for redempting of the life. It is suggested here that they can be accomplished with writing. As the writing in spare time is done after the work of the day, it does not ask for sacrifice of life but supplements “a sense of fulfillment of life” to our life. The writing in spare time not only helps people to experience the comfort of life but also gives people the hope in which we can warm our heart in cold environment. As this writing can give the litterateur the hope, or the hope of redemption of life, it was the good way to spend time for the litterateur. Though Kim Nam-cheon derived a certain conclusion(“writing in spare time”) on the issue of writing in Late Colonial Era using Jang Yu-seong`s episodes, he added “my” dimension here to make people not accept the conclusion as it i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litterateur in Late Colonial Era, the writing in spare time was shown to be binding the litterateur. It can be practiced only after the time of life is finished. Even in practices, “a sense of fulfillment of life” of life cannot be offered in the life but in the subjective perspective. But, Kim Nam-cheon found the implication of writing because it helped people to get the hope of being redempted from life even in subjective view.

      • KCI등재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사례와 교육 효과

        강연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This paper examines writing class examples and educational effects in connection with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A writing class using a nonsubject program was designed, and the operating case of the writing class according to the design was empirically considered. Then, the effect of writing classes connecting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were presented from several perspectiv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writing class examples and educational effects in connection with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were confirmed. In advance, the class was designed to naturally assimilate into writing by changing the perception that writing is interesting and necessary by subject-extra curricular activities connecting. The class of one semester consists three stages, with an emphasis on friendly writing in the int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part designed to learn the essential contents of writing step by step, and in the final stage, it was intended to complete and evaluate one's thoughts in one piece of writing. Second, the reality of writing classes using subject- extra curricular activities were considered. The main point of writing classes is to understand information and express new ideas processed through understanding. Accordingly, the focus was on education that first acquires and understands information and organizes and expresses thoughts. The writing class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1-4 weeks),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In the second stage(5-12 weeks), the basic theory of writing as well as the practice was studied, and at the final stage(13-15 weeks), a non subject program was operated to complete and evaluate a piece of writing. Third, An extra curricular program was opera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nsidering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images rather than writing and untact classes caused by COVID-19.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writing was more common than special, and it was possible to increase self-efficacy by completing a piece of writing and being evaluated. In addition, it was useful not only to enabl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an easy approach to writing, but also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writing classes. 이 논문은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사례와 교육 효과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른 글쓰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교육 효과를 몇 가지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요즘 학생들은 쓰는 행위에서 멀어지다 보니,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적을 뿐만 아니라 문해력도 낮아지는 경우가 없지 않다. 이를 감안하여 글쓰기가 재미있으면서도 필요한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글쓰기에 자연스럽게 동화되도록 교과 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했다. 글쓰기 수업은 3단계로 구성했는데, 도입에서는 일상생활과 글쓰기의 연관성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꾀하고, 전개부에서는 글쓰기의 필수적인 내용을 단계적으로 익히도록 구안했으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한 편의 글로 완성·평가하여 글 쓰는 행위의 효능성을 인지하도록 의도했다. 둘째,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실제를 고찰하였다. 글쓰기 수업은 정보를 이해하고, 이해를 통해 가공된 새로운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맞추어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하였다. 먼저 정보를 습득·이해하고 생각을 정리·표현하는 교육에 역점을 두었다. 인풋과 아웃풋을 전제하여 정보의 파악과 이해, 그리고 생각의 정리와 표출을 큰 줄기로 삼았다. 구체적인 수업 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인 1-4주의 도입에서는 정보의 습득·이해에 역점을 두었다. 정보를 얻는 방법을 다각화해서 메모, 문자, 카톡, 그림, 영상, 텍스트 등 일상생활에 기반을 둔 사례를 활용하였다. 2단계인 5-12주의 전개에서는 글쓰기의 기초적인 이론을 단계별로 학습하며 실습 활동과 연동하였고, 마지막 13-15주의 마무리에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학생들이 그동안 익혔던 것을 총괄하여 한 편의 글로 완성함으로써 한 학기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얻도록 했다. 셋째,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코로나로 인한 장기간의 비대면 수업과 문자 텍스트보다 그림이나 영상에 익숙한 학생들을 생각하여 글쓰기의 효과를 제고하고자 교과-비교과 활동을 연계하여 수업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 글쓰기가 특별한 무엇이 아니라 일상적인 일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가능했거니와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며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글쓰기에 대한 쉬운 접근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했음은 물론 글쓰기 수업의 외연을 확장하면서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실과 미래

        임선애(Seon-Ae Lim)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18 지식융합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살피고, 극복 방안을 제시해 보는 데 있다. 한국 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은 2000년을 기점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글쓰기 교과목을 필수로 지정하고, 글쓰기 전담 교수를 채용해서 교재개발 및 글쓰기 교육 전반의 운영을 맡기고 있다. 대학에 따라서는 책임교수를 지정해서 교육의 전반을 책임감 있게 운영하도록 하는 대학들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글쓰기센터를 설치하는 대학들이 늘어남으로써 짧은 역사를 지닌 대학 글쓰기 교육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필수 교과에서 선택 교과로 바꾸는가 하면, 학점을 줄이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한국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차이의 요소는 글쓰기 교과목 전담 교수 유무, 글쓰기 책임 교수 유무, 글쓰기 교과목을 도우는 튜터 유무, 글쓰기 교과목 수강 정원, 글쓰기 교육 시수 및 기간, 글쓰기 관련 교과목 수, 글쓰기 교수자 처우, 글쓰기 교수자의 연구력, 글쓰기 교과목 운영 관련 지원 등이다. 이런 요소들의 차이는 글쓰기 교육의 질과 연결된다. 대학 당국들의 세심한 관심과 노력, 교과목 담당교수들의 전문성 강화 등이 이런 차이를 극복하게 할 수 있고, 글쓰기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writing Korean university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overcome it. The Korean university s writing curriculum is becoming diversified in 2000. In most universities, the curriculum is dedicated to writing and writing a curriculum dedicated to writing and writing the entire curriculum.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responsible for assigning responsibility for the overall education of universities by designating professors responsible for education. With the growing popularity of writing centers in recent years, universities with short history are showing rapid growth in college writing. However, the Korean university s writing education program has a huge gap in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e elements of the writing include professors specializing in writing arts, writers, writers, tutors, writing curriculum, writing classes, writing courses, writing classes, writing instruction in writing of writers, writing courses related to writing instruction, and writing support for writers. The meticulous attention and effort of university authorities is the best way to overcome these differenc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Le coeur et l’écriture - À partir du mythe du Phèdre

        이규현 한국불어불문학회 2014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7

        글쓰기는 마음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마음과 글쓰기 사이의 공간은 무엇일까? 반드시 글을 써야만 할까? 올바른 글쓰기란 무엇일까? 이 물음들에 대한 설득력 있는 대답을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데리다의 「플라톤 약국」 (『산종』의 전반부), 리쾨르의 『기억, 역사, 망각』에 대한 독서를 통해 구하고자 한 것이 바로 이 논문이다. 출발점의 가설은 올바른 글쓰기라면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 자기완성, 마음의 평화에 도움이 되리라는 데 있다. 그러므로 전반적인 내용은 이를 위한 가능 조건의 탐색으로 채워질 것이다. 세 단계로 구성될 이 탐색 과정의 끝에 이르면 글쓰기의 정당성을 일정부분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세 철학자의 각 텍스트는 문자 또는 글쓰기가 약이냐 독이냐 하는 ‘파르마콘’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플라톤은 문자-파르마콘이 기억에 오히려 독이 된다는 입장에서 고대 아테네의 젊은 엘리트를 이를테면 신의 경지로까지 끌어올릴 ‘반시대적’ 교육론, 즉 대화에 의거한 ‘영혼 인도의 기술’을 제안한다. 데리다는 플라톤 대화편들에 감춰져 있는 논리를 들추어냄으로써 이 입장을 그 감춰진 논리 자체에 의해 해체되게 할 뿐만 아니라, ‘대체물’과 ‘차연’ 그리고 ‘나머지’와 ‘남음’ 등의 개념 도구에 의거하여 글쓰기의 공간이 ‘므네메’와 ‘이포므네시스’ 사이의 필연적인 차이에서 비롯되고 글쓰기의 에너지원이 이 차이에 있다는 것을 정교하게 입증해내기에 이른다. 리쾨르는 문자-파르마콘의 문제를 역사-글쓰기에 적용함으로써, 데리다에 의해 확립되는 글쓰기의 불가피성을 넘어, 올바른 기억에 이바지할 역사, 즉 기억의 과잉이나 망각의 과잉을 앓고 있는 사회에 약이 될 역사의 조건을 ‘대리’, ‘재현’, ‘대표’ 그리고 ‘매장’과 ‘재인’ 등의 방법론적 개념에 기대어 제시한다. 무엇이 글쓰기의 정당성을 보장할 수 있을까? 달리 말해 글쓰기란 무엇이어야 할까? 세 철학자의 텍스트에 대한 순차적인 검토에 힘입어 우리는 글쓰기란 기억에 필연적으로 따라붙는 가장 인간적인 고뇌의 작업으로서, 정신분석에 기원이 있는 두 가지 작업, 즉 ‘기억 작업’과 ‘애도 작업’을 구현할 때에야 비로소 정당화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무릇 글쓰기란 무엇인가에 관한 생각도 어느 정도 확정되었는데, 그것은 마음의 극장에서, 달리 말해서 인상과 표현 사이의 심연을 가로질러, 과거의 유령들인 타자와 함께 연출하는 기억 및 애도 작업의 드라마, 데리다 식으로 말하자면 기억 및 애도 작업의 ‘스펙트라클’이 바로 글쓰기라는 명제로 요약된다. 그러나 기억 매체들이 고도로 발달한 오늘날의 문명에서 문자-파르마콘 또는 글쓰기가 약이냐 독이냐 하는 플라톤적인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또한 올바른 글쓰기란 동시에 지속 가능한 글쓰기일 것이 분명한데, 이 지속 가능성은 글쓰기 자체의 자기 부정에 의해 마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바로 여기에 글쓰기의 역설, 아포리아, 허영이 놓여 있다. 요컨대, 올바른 글쓰기를 구성하는 세 가지 특성, 즉 시련을 통해서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의식, 비싼 대가를 (나중의 성과를 기대해서가 아니라 과정 자체가 치유일 수 있기 때문에) 치르면서 인상과 표현 사이의 심연을 가로지르는 기억 작업과 애도 작업, 침묵에 의해 뒷받침되는 지속 가능성을 절대적으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