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과 연구 과제 =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Research Tasks : To Expand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0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 소통과 토론의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미국의 글쓰기 연구를 보면 글쓰기 교육과 연구의 발달은 수많은 논쟁과 토론을 통해 이루어...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 소통과 토론의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미국의 글쓰기 연구를 보면 글쓰기 교육과 연구의 발달은 수많은 논쟁과 토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우리가 잘 아는 ‘형식적 접근-과정 중심적 접근-사회 중심적 접근’과 같은 글쓰기 교육의 관점 역시 수많은 논쟁과 토론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학술적인 담론은 논쟁과 필연적인 관계를 가진다. 논쟁은 대립을 통해 형성되지만, 소통을 통해 유지되기도 한다. 소통과 대립은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담론은 새로운 학술적 진보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한국의 글쓰기 교육 현장은 생산적인 소통과 토론이 부족하다. 글쓰기 교수자와 연구자들은 글쓰기 교육과 이론에 관한 소통과 토론을 기피한다. 각자 자신의 영역에 안주하거나, 아니면 교육과 연구를 분리하여 생각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소통 부재는 과정 중심 방법에 대한 검증이 없다는 점과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 관한 토론이 부재했다는 점을 통해 잘 나타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큰 이론보다 작은 이론에 관한 논쟁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수정(revision)이나 독자(audience), 교수학습방법(teaching methods),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 평가(assessment), 장르(genre), 읽기와 쓰기(reading and writing), 글쓰기와 컴퓨터(writing and computer) 등 좁고 세밀한 분야들은 매우 실제적이고 유용한, 그리고 학술적인 논쟁이 가능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은 이론에 관한 소통으로 담화 분석과 글쓰기 평가 영역을 살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in the field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research. According to U.S studies of college writing, the development of writing in education and research were carried out ...

      This paper is written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in the field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research. According to U.S studies of college writing, the development of writing in education and research were carried out by number of debates and discussions. As we know,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writing education such as formal central approach, process central approach and social central approach is also made as a result of lots of debates and discussions. Academic discourse and debates has an inevitable relationship. The debate will be formed by conflict and will be kept b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nd conflict creates a new discourse and it brings a new academic progress.
      On the contrary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Korea has a lack of productive communication and debates. Writing instructors and researchers don’t want to communicate and discuss writing education and theories. They only study their fields and they should think about separating education and research. Like this the lack of communication shows that they don’t discuss process central and academic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argues for focusing on the smaller rather than the larger theoretical debates. For example revision, audience, teaching method, discourse analysis and writing and computer as narrowed and detail fields are practical and useful. They can be seen as a possible area that is an academic debate. This paper shows writing assessment areas and discourse analysis that belong to the small theory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글쓰기 이론의 역사: 대립과 소통
      • 2. 소통 부재의 현실: 과정 중심 방법과 학술적 글쓰기
      • 3. 산적한 연구 과제들: 소통의 확산을 위하여
      • 4. 소통과 토론의 확대를 위하여
      • 1. 글쓰기 이론의 역사: 대립과 소통
      • 2. 소통 부재의 현실: 과정 중심 방법과 학술적 글쓰기
      • 3. 산적한 연구 과제들: 소통의 확산을 위하여
      • 4. 소통과 토론의 확대를 위하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