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각그리드 IL-SOM을 이용한 개체 시각화

        조인경,송주원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자기조직화지도(SOM)는 고차원 다변량 자료를 저차원 그리드 공간에 축약하여 시각화하는 비지도 학습 신경망 모형의 일종이다(Kohonen, 1998). SOM은 개체를 각 승자노드의 중심에 할당하는데 개체의 연속성을 보존한다는 관점에서는 그리드 공간에 승자노드를 중심으로 개체들이 적절히 퍼지도록 분포시키는 게 바람직하다. Um(2003)은 개체벡터의 승자노드와 그 인접노드의 중량벡터에 대한 가능도를 이용하여 그리드 공간상에 개체벡터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현하도록 SOM을 확장한 IL-SOM을 제안하였다. SOM에서는 사각형 또는 육각형 그리드를 주로 사용하는데 Um(2003)은 이차원 그리드 공간에 사각그리드와 가상노드를 통해 확장한 확장형 사각그리드를 구현하였고 개체표현지수(Um, 2003)가 최소화되는 그리드의 크기를 선택하면 개체를 가장 잘 시각화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원 그리드 공간에 육각그리드와 가상노드를 통해 확장한 확장형 육각그리드를 사용하는 IL-SOM을 구현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사각그리드, 확장형 사각그리드, 육각그리드와 확장형 육각그리드의 개체표현지수 및 자료의 시각화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 방법들을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된 게 자료에 적용하여 개체표현지수를 최소화하는 그리드의 종류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료를 시각화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각그리드와 육각그리드 모두 가상노드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가 개체표현지수가 작아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육각그리드가 사각그리드보다 대체로 나은 결과를 보였다. Self-organizing maps (SOM) is an unsupervised learning neural network model to visualize high dimensional data using a low dimensional grid space (Kohonen, 1990). SOM assigns objects to the center of the winning node, but it would be better to spread them all over the grid space to preserve continuity of the objects. Um (2003) proposed IL-SOM (interpolating using likelihood for SOM) to express relative locations of object vectors in a grid space using the likelihood of weight vectors of the winning node and its neighbor nodes. SOM usually uses the rectangular or the hexagonal grid. In a 2-dimensional rectangular grid, Um (2003) derived IL-SOM and extended it using a virtual nodes. In this study, IL-SOM is derived in a 2-dimensional hexagonal grid and extended using virtual nodes. A simulation i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IL-SOM in the rectangular, the extended rectangular, the hexagonal and the extended hexagonal grid. These four methods are also compared with the crab data. In both rectangular and hexagonal grid, the extension using virtual nodes performed better. Performance of the hexagonal grid is usually better than the one of the rectangular grid.

      • KCI등재

        그리드(Grid)의 유형에 따른 레이아웃 활용에 관한 연구

        홍영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그리드의 유형에 따른 레이아웃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블록 그리드는 행폭이 넓으므로 내용전달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유형의 그리드보다 많은 여백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칼럼 그리드의 펼친 페이지 작업 시에는 바깥쪽 부분의 여백을 안쪽보다 넓게 하여 오디언스의 시선을 텍스트에 집중시킬 수 있다. 셋째, 모듈 그리드는 모듈의 크기를 정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모듈이 작으면 정교함을 제공하지만 시각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모듈이 크면 심플해 보이지만 정교함이 결여될 수 있다. 넷째, 계층 그리드의 활용 시에는 오디언스의 시선이 어느 부분으로 집중되느냐에 따라 계층적 영역의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혼합 그리드의 펼친 페이지 작업 시 2단 또는 3단 그리드의 위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한쪽 페이지에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각기 다른 칼럼으로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여섯째, 플렉서블 그리드는 실험적인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창의력과 예술성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효과적 방법이 됨과 동시에 디자이너들에게는 많은 과제를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그리드 이론의 외연 확장과 더불어 편집디자인회사와 웹에이전시 등에서 그리드를 활용한 레이아웃 작업 시,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실무적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he excellent case of layout according to grid types, suggesting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seeking efficient application plan. First, block grid is desirable to have more white space than other grid types to easily deliver contents due to its wide line length. Second, when working on the spread page of column grid, making the outside space wider than the inside can attract audience's attention on text. Third, in case of module grid, it is very significant to decide module size, because small module provides sophistication but it can cause visual confusion whereas large module looks simple but it is lack of sophistication. Fourth, special caution is needed when apply hierarchical grid because importance of hierarchical realm can change according to the attentions of audience. Fifth, when working on the spread page of complex grid, location of two-column or three-column can be applied differently and also can give variety through diverse columns in divided space of one page up and down. Sixth, flexible grid can be an effective way to show both creativity and artistry in experimental design project and give designers lots of assignments at the same tim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operational implication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theoretical extension, but also to the enhancement of design competitiveness when working on layout utilizing grid in editorial design company or web agency.

      • KCI등재

        현대장신구에서의 그리드와 모듈 구성연구

        이상미(Lee, Sang Mi)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4

        본 연구는 장신구 디자인의 형태표현에서 다양하게 시각화되고 있는 그리드를 본 논문의 핵심적 키워드로 설정하고, 그리드의 근간이 되는 모듈 구성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서론부터 결론까지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과정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로, 그리드의 개념과 원리를 고찰하고, 그리드가 활발하게 나타났던 미니멀 아트에서의 그리드 표현을 평면과 입체 작품에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로, 장신구에서 기하 형태로 나타나는 모듈과 반복유형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보고, 3차원적 그리드의 기본형태인 입방체의 형태와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세 번째 단계로, 그리드 구조를 활용한 동시대 현대장신구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리드의 표현을 크게 3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다양한 시각적 효과의 조형적 특성들을 분석하여, 장신구에서의 그리드와 모듈 구성 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그리드는 심미적 영향요소로서 단순성과 관련이 있으며, 질서와 통일 속에서 반복을 동반하는 배열구성과의 연관성이 매우 높은 조형표현의 수단으로, 그리드에 따른 모듈 구성에는 시각적 통일성이 존재하고, 반복해서 형태를 구축해나가는 데 있어 반복성, 연속성, 모듈성, 순차성, 확장성의 조형특성을 나타낸다. 현대장신구에서의 그리드는 지속해서 표현될 하나의 표현양식으로 앞으로의 다양한 장신구 디자인의 형태와 미의 창출을 기대해본다.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composition underlying the grid by setting the grid, which is being visualized in various way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shape of the jewelry design, as a keyword of this paper. This paper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chapters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conclusion, and the research process was largely conducted in three stages. As a first step,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grid were considered,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grid in minimal art, where the grid was actively exhibited, was examined in flat and three-dimensional works. The second step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ule and repetition type that appear in geometry in jewelry, and to examin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ube, which is the basic form of the three-dimensional grid. In the third step, the expression of the grid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rough the works of contemporary decorative artists using the grid structure,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various visual effect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grid and module design in jewelry. As a result, the grid is related to simplicity as an aesthetic influencing factor, and is a means of formative expression that is highly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repetition in order and unity. There is visual unity in the modul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grid, and it represent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peatability, continuity, modularity, sequentiality, and scalability in repeatedly constructing the form. The grid in modern jewelry is a form of expression that will be continuously expressed, and I look forward to the creation of the shape and beauty of various jewelry designs in the future.

      • KCI등재

        SF드라마 <그리드>의 외삽적 가설과 극적 리얼리티

        박미경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80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cience fiction drama Grid reproduces the real world and reflects the absurdity of reality, thereby reinforcing dramatic reality. Accordingly, the main factors that strengthen dramatic reality in Grid were analyzed. First, we looked at the fact that the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present era allows us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the virtual world of science fiction, accompanied by scientific probability, ‘can happen in the real world.’ In Grid, the scientific plausibility of grid (artificial magnetic field) and time machine, which are science and technology materials, is examin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disaster situation of solar wind, a natural phenomenon, and based on this, it is established that Grid's extrapolative hypothesis is persuasive. The fact that Grid uses visual techniques to create a sense of reality was also taken as a subject of analysi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grid installed to protect humanity from the threat of solar wind in Grid and the time machine device that made the installation of the grid possible give persuasiveness to the extrapolative hypothesis of Grid due to scientific probability. there was. The dramatic imagination that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ices such as the grid and time machine that protect humanity function dually by the power that seeks to control humans by taking over them reproduced reality and reflected the negativity of reality. In this proces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ense of reality was being strengthened through visual production. In conclusion, Grid showed that it differentiates itself as science fiction by creating a sense of reality and ensuring dramatic reality based on extrapolated hypotheses with scientific probability about a future society that has not yet arrived. 이 논문은 SF드라마 <그리드>가 실제 세계를 재현하고 현실의 부조리를 반영하여 극적 리얼리티를 강화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그리드>에서 극적 리얼리티를 강화하는 주요인을 분석하였다. 먼저 현시대의 고도화된 과학 기술이 과학적 개연성을 수반한 SF의 가상 세계에 ‘실제 세계에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식하게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그리드>에서 자연 현상인 태양풍의 재난 상황을 배경으로 과학 기술 소재인 그리드(인공자기장)와 타임머신의 과학적 개연성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그리드>의 외삽적 가설이 설득력을 발휘하게 됨을 구명하였다. <그리드>가 현실감을 형성하기 위해 시각적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점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그리드>에서 태양풍의 위협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그리드와 그리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 타임머신 장치가 과학적 개연성으로 인해 <그리드>의 외삽적 가설에 설득력을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류를 보호하는 그리드와 타임머신이라는 과학 기술 장치가 이를 장악하여 인간을 통제하려는 권력에 의해 이중적으로 기능한다는 극적 상상력은 현실을 재현하고 현실의 부정성을 반영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각적 연출을 통해 현실감을 강화하고 있는 점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그리드>는 도래하지 않은 미래 사회에 대해 과학적 개연성이 있는 외삽적 가설을 바탕으로 현실감을 형성하고 극적 리얼리티를 강화하여 SF로서 차별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CAD / CAM : 논-그리드와 그리드 혼합 방식을 이용한 PCB 자동 배선 시스템 개발

        최영규(Choi Young Gyu),이천희(Yi Cheon Hee) 한국정보처리학회 199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2 No.4

        자동 배선 시스템의 배선영역 모델링 방법은 논-그리드(non-grid)와 그리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우팅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논-그리드와 그리드 방식을 혼합하여 자동 배선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그리드방식은 PCB 상에 전기적, 물리적 요소들이 적다 할지라도 보드와 그리드의 크기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메모리가 많아지게 되어 자동 배선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논-그리드 방식은 shape-based 방식의 영역 처리방식을 사용하므로 메모리를 상당히 적게 소요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논-그리드 방식과 그리드 방식을 적용하여 초기 배선시에는 전자를 적용해 속도를 개선시켰고, 초기 배선시 연결되지 않은 배선은 후자를 적용해서 완전한 배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IBM 486DX2-66 컴퓨터의 Windows NT 환경하에서 Borland C++로 개발하였다. Non-grid and grid method are used for modeling the routing region of the automatic routing system. In this study, we develop the automatic routing system by mixing the methods of non-grid and grid to improve the speed of routing. Grid method has a demerit which decreases the automatic routing speed because it is required a lot of memory by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board and grid, although the electrical and physical elements are insufficient on the PCB, But non-grid is spent gurite less memory than grid method by using a shape-based patterns. Therefore, we used the methods of non-grid and grid altogether in this paper. In the former method, it is at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peed, the latter one is applied only the connection of the failed routing in the former one, and it performs the complete automatic routing. This system was developed with C language under the Windows NT environment of IBM 486DX2-66 Computer.

      • KCI등재

        스마트 파크 그리드 개발을 위한 측정방법으로써 생태 그리드의 탐색연구

        윤지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스마트 파크는 인간과 생태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한다. 이를 위해 인간을 중심으로 생태환경을 총체적 유기적으로 측정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생태환경 측정모델인 스마트 파크 그리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측정방법인 생태그리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측정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격자 그리드의 거시적 측면의 한계점(도심 내의 공원, 시설, 서비스 부족에 대한 생태환경요소와의 통합적 이해 부족, 이용자 비 고려)을 분석하고, 미시적 측면의 생태 그리드를 제시하였다. 생태그리드는 측정요소와 측정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생태환경의 개념 정립 및 생태환경요소를 물리적 요소(공원녹피율,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공급적정성), 심리적요소(이용가능한 거주민수, 공원접근성, 시설접근성), 사회적 요소(서비스접근성)로 총 8개의 측정요소를 도출하였다. 측정방법은 육각형 그리드 형태로 3단계의 프로세스를 통해 측정한다. 1단계는 8개의 생태환경요소를 측정한다. 2단계는 거주밀집지역을 분석한다. 3단계는 거주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육각형 그리드에 따라 생태환경요소를 분석한다. 측정 프로세스를 마포구 상암동과 성산2동에 적용하여 생태그리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거주지를 중심으로 3가지 생태환경요소가 미시적으로 파악 및 총체적 파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생태 그리드는 스마트 파크 그리드의 개발에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mart parks evolve through interactions with people and ecologic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is capable of measuring ecological environment in a general and organic way focusing on people.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a smart park grid as a measuring model of urban park ecologic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a possibility of ecological grid as a measuring method. In terms of problems with the preexisting measuring system, limitations of lattice grids in a macroscopic aspect(lack of overall understanding of ecological elements for the lack of urban parks, facilities and services, inconsideration of users) were analyzed to propose an ecological grid in a microscopic aspect. Ecological grids were proposed in measuring elements and measuring methods. Literary investigation produced a total of eight measuring elements of establishing ecological environment concepts and ecological elements such as physical elements(green coverage ratio of parks, ratio of parks, park area per each individual, propriety of supply), psychological elements(a potential number of resident-users, accessibility to parks, accessibility to facilities) and social elements(accessibility to service). The measuring methods are in a form of hexagon grid through a 3-step process. The first step measures the eight ecological elements. The second step analyzes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s. The third step analyzes the ecological elements according to a hexagon grid focusing on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s. The measuring process was applied to Sangam- dong and Seongsan 2-dong to explore a possibility of ecological grids. The three ecological elements surrounding the residential areas proved to be capable of presenting microscopic and general findings. As a result, the ecological grid is likely to develop into a smart park grid.

      • KCI등재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정임영,정은진,염헌영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10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가볍고 솔기없는 통합 자원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한 e-Science는 고가의 과학 실험 장비를 포함하는 그리드 자원을 원격조정하고 이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처리하는 총체적인 도메인을 구성하여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그리드 자원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소속된 e-Science 그리드에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원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자원이용을 포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보상 하에 타 그리드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자원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e-Science 그리드는 개개 그리드 단위로 특정 과학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용편의를 위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VO)에 특화된 자원 접근정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공유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사용자가 복수 개 타 그리드의 공유자원을 이용할 때, 전체 그리드 차원의 자원접근정책 통합을 위한 선협정(Service Level Agreement-SLA)이 필요없어 가볍고, 사용자가 소속 그리드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추가적인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솔기없는 새로운 통합 자원 접근 제어를 제안한다.

      • KCI등재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정임영(Im Y. Jung),정은진(Eunjin Jung),염헌영(Heon Y.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9·10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가볍고 솔기없는 통합 자원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한 e-Science는 고가의 과학 실험 장비를 포함하는 그리드 자원을 원격조정하고 이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처리하는 총체적인 도메인을 구성하여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그리드 자원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소속된 e-Science 그리드에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원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자원이용을 포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보상 하에 타 그리드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자원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e-Science 그리드는 개개 그리드 단위로 특정 과학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용편의를 위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VO)에 특화된 자원 접근정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공유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사용자가 복수 개 타 그리드의 공유자원을 이용할 때, 전체 그리드 차원의 자원접근정책 통합을 위한 선협정(Service Level Agreement-SLA)이 필요없어 가볍고, 사용자가 소속 그리드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추가적인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솔기없는 새로운 통합 자원 접근 제어를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 KCI등재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정임영,정은진,염헌영,Jung, Im-Y.,Jung, Eun-Jin,Yeom, Heon-Y.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9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가볍고 솔기없는 통합 자원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한 e-Science는 고가의 과학 실험 장비를 포함하는 그리드 자원을 원격조정하고 이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처리하는 총체적인 도메인을 구성하여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그리드 자원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소속된 e-Science 그리드에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원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자원이용을 포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보상 하에 타 그리드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자원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e-Science 그리드는 개개 그리드 단위로 특정 과학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용편의를 위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VO)에 특화된 자원 접근정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공유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사용자가 복수 개 타 그리드의 공유자원을 이용할 때, 전체 그리드 차원의 자원접근정책 통합을 위한 선협정(Service Level Agreement-SLA)이 필요 없어 가볍고, 사용자가 소속 그리드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추가적인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솔기없는 새로운 통합 자원 접근 제어를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 KCI등재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자연요소 균열해석을 위한 균열선단 그리드 세분화기법

        조진래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2 No.3

        본 논문은 균열선단 그리드 세분화기법을 소개하고 자연요소법을 이용한 균열해석에 이 기법을 적용함으로서 그 유효성을 고찰하였다. 유한요소법에 있어서의 국부적 h-세분화와 같이 높은 응력 특이성을 보이는 균열선단 주위를 따라 자연요소법 그리드를 국부적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그리드 세분화기법은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는 그리드 점들이 추가되고 2단계에서는 균열선단 절점을 공유하는 델라우니 삼각형들이 나뉘게 된다. 제안하는 그리드 세분화기법의 타당성과 균열해석에서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대칭 엣지 균열을 갖는 평면 변형률 상태의 사각 평판을 해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의 상대비교를 위해 균일한 자연요소 그리드를 이용한 균열해석도 수행하였으며, 균열선단이 세분화된 그리드는 균일한 그리드와는 달리 이론해와 조밀한 그리드와 유사한 균열선단 응력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그리드 절점수에 대한 해석결과의 전역 상대오차에서도 세분화된 그리드가 균일한 그리드에 비해 높은 수렴율 나타내었다. This paper introduces a near-tip grid refinement and explores its usefulness in the crack analysis by the natural element method(NEM). As a sort of local h-refinement in finite element method(FEM), a NEM grid is locally refined around the crack tip showing high stress singularity. This local grid refinement is completed in two steps in which grid points are added and Delaunay triangles sharing the crack tip node are divided. A plane strain rectangular plate with symmetric edge cracks is simulated to validate the proposed local grid refinement and to examine its usefulness in the crack analysis. The crack analysis is also simulated using a uniform NEM grid for comparison. Unlike the uniform grid, the refined grid provides near-tip stress distributions similar to the analytic solutions and the fine grid. In addition, the refined grid shows higher convergence than the uniform grid, the global relative error to the total number of grid 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