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질 평가

        신현석,주영효,정수현,윤혜원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quality evaluation domain, criteria, and detailed standards were devised. Four types of journals were selected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mixed methods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the quality evaluation of 77 paper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are drawn by dividing them into four research stages. First, at the plann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do not reveal the nature of mixed method research. Second, in the undertak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overlook the importance of research design types. Third, in the interpret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do not guarantee the strictness of interpretation. Fourth, in the stage of the disseminating and application of results,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mixed method studies, reporting the results or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suggested the need for mixed method researchers to change their thinking about mixed method research, and the need to consider and understand the unique research method procedur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xed method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질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혼합방법연구 질 평가 관련 선행연구 고찰 후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질 평가 영역, 준거, 세부 기준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교육행정학연구』,『교육학연구』,『한국교육』,『한국교원교육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고, 학회지별 창간호부터 2022년 8월까지 발행된 77편의 혼합방법연구 활용 논문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네 가지 연구 단계별로 구분하여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의 대다수가 혼합방법연구의 성격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둘째, 수행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의 대다수가 연구 설계 유형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셋째, 해석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 대다수가 해석의 엄격성을 담보하지 않고 있다. 넷째, 결과 확산 및 적용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 대다수는 결과 보고, 정책적·실천적 시사점 제시에 있어서 혼합방법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의 의의를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론에 기초하여 혼합방법연구자의 사고 전환 필요, 혼합방법연구 고유의 연구 방법 절차와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려 및 이해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로스쿨에서의 行政法判例敎育

        金重權(Kim, Jung-Kwon) 한국행정법학회 2011 행정법학 Vol.1 No.1

        판례중심교육방법과 문답식교육방법은 일찍이 미국 하버드 로스쿨의 Christopher Langdell이 처음으로 개발하고 적용한 이래, 다소간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국 전 로스쿨의 보편화된 교육방법이다. 우리의 로스쿨에 이들 교육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와 어떻게 적용하느냐가 관건이다. 대륙법계국가의 판례중심교육방법이 미국 로스쿨에서의 그것과는 당연히 매우 다르지만, 법교육의 방법이란 그것이 촉진시킬 법교육의 목표와 괴리될 수 없다. 로스쿨체제가 이론과 실무의 접목을 지향하기에 행정법판례교육은 일단 판례중심교육방법을 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더군다나 행정법의 경우 총칙에 해당하는 법전이 없어서 미국식의 교육방법이 수용될 수 있는 일단의 여건은 마련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와 학생의 創發性을 고무시키기 위해선 문답식교육방법의 채용 역시 필연적이다. 다만 우리 네 현실의 여건에서 접목가능한 수준과 범위를 강구하여야 한다. 대륙법계국가인 우리와 미국은 법원의 개념정의와 법문화에서 근 본적인 차이점을 갖기에, 여기서 미스매치(부정합성)를 어떻게 해소시킬 것인지가 관건이다. 이미 법의 원리와 원칙은 물론 법리가 고도의 법전화되어 있는 우리와 같은 시민법국가의 경우 당연히 미국에서의 그것과는 달라야 한다. 따라서 판례중 심교육방법의 기능은, 판례에서의 법리와 원칙의 대부분을 발견하기보다는 개념법학의 엄밀성을 확고히 하는 데 두어야 한다. 대륙법계국가의 “판례중심교육방법”의 기조가 그대로 동원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행방법과 관련해서 보자면, 판례교 육수업의 초입단계에서 주제를 확고히 한다는 의미에서 교수는 주제와 연관된 법원칙과 법리를 먼저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식의 연역적 방식이 아닌 귀납적방식으로 先 적용규범(법원칙, 법리 법규정)의 문제, 後 적용의 문제로 접근한다. 그런데 항상 강조할 사항은 판례읽기의 생활화이다. 판례읽기는 학생에게 단지 법리를 배우는 것만이 아니라 이들 법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게 한다. 지속적인 판례읽기를 통해 학생들은 사실관계가 어떠한지, 법적 쟁점과 근거법령은 무엇 이며, 소송당사자의 주장과 그 논거는 무엇인지, 법원의 판단은 어떠한지를 자연스럽게 깨닫게 된다. 교수의 역할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상의 사항에 대해 좀더 쉽게, 체계적으로 그리고 심화시켜 접근하게 하는 것이다. 판례중심교육방법에서 문 답식교육방법의 병행은 필연적이다. 문답식교육은 먼저 학생들에게 대상판례에 대한 숙제를 과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리하여 수강생의 예습을 바탕으로 판례중심 교육방법에서의 언급한 대로 수업을 진행한다. 교수와 학생간의 문답식진행에 그 쳐선 아니 되고, 학생으로 하여금 원고와 피고의 소송당사자로서의 입장에서 사안을 접근하게 하여 상호간에 설득력있는 논증을 전개하게 한다(role-playing) Christopher Langdell, the Dean of Harvard Law School, instituted the case method and the Socratic method as the law school s educational model. Despite the disadvantage of more or less, they have come into wide use. Whether and how can these teaching methods be applied in our law education? The case method(case-oriented teaching method) in Civil law system differs naturally from it in the United States. Legal teaching methode is inseparable from the goal of legal teaching promoted by itself. The new Law School System aims at the convergence of theory and practice. Precedent-teaching in administrative law should be by the way of the case method. Furthermore, because of no general provision of administrative law, the case method can be more easily and usefully applied. And in order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creactivity, the Socratic method as teaching methods is also inevitable. We naturally have to consider applications range and level under our real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solve fundamental mismatches in legal culture between Civil law and the United States as Common law. Contrary to the deductive method in american law school, the inductive method should be adopted: first applicable law(legal principles, legal dogma, rules), second the application of law. Students cannot read cases too much. They can know without any difficulty not only applicable law but also the it s application by reading cases. The role of the professor is to lead students more easier and systematically to deepen their approach. In the Socratic method professors have to the role-playing beyond mere question-and- answer.

      • KCI등재

        교육사상의 연구 방법에 관한 한 시론

        팽영일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2

        사상 연구는 아직 독립적인 학문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여 연구 방법이나 대상이 다양하고, 접근 방법 또한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아 정치사상, 경제사상, 사회사상, 예술사상, 종교사상, 윤리사상, 문학사상, 교육사상 등 여러 종류의 사상들이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교육사상은 인간상, 다음 세대에 대한 기대, 자연적, 사회적 조건의 변화가 인간의 성장 발달에 초래한 영향에 대한 생각,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제도에 관한 종합적인 관념 등을 토대로 하여 성립된다. 이 연구는 교육사상의 연구 방법에 관한 한 시도로서 여기에서 말하는 교육사상이란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체계적인 인식으로서 교육관, 교육철학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교육현상에 관한 관념적인 대안으로서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원리들을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상의 연구 방법을 역사적인 접근과 철학적인 접근으로 대별하고, 구체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문헌적인 접근법에서부터 변증법적, 비판이론적 접근법까지 여러 연구 방법들을 개관한 후 교육사상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교육사상의 연구는 연구 대상과 연구자의 접근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 철학적인 접근 방법은 서로 협력하고 서로 보완하고 통합되어야 교육사상의 전체적인 온전한 파악이 가능해 질 것이다. Research of thought of education is not yet an established field of study, which leads to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regarding this field. Also, the approach to this field of study is not clearly established making these studies become a research approached through a variety of thoughts such as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rtistic, spiritual, literary, and educational thoughts. Thought of educatio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expectations on the next generation, thoughts of the influences of the changing environmental and social conditions on the development of mankind, and the overall idea of the purpose, text, method, and system of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an essay of research methods of thought of education. The thought of education mentioned here means not only a systematic view of education regarding theory and practice, but it also includes an alternative view in educational practices, which describes the principles in fulfilling the purpose of education.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earch methods of educational thought according to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The specific approach to these methods were to use literary, dialectic, and critical ways, which are overviewed in this essay. Research of educational thought can be stud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the researcher and subject of study. However, both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should be used in cooperation, and supplement and integrate each other in order to fully comprehend thought of education.

      • KCI등재

        발레정신 지도에 있어서 간접교수방법의 유형과 역할

        최의창 ( Eui Chang Choi ),임수진 ( Su Jin L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0 No.-

        발레의 핵심을 가장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수방법은 무엇인가? 모든 발레교육자들이 알고 싶어하는 대답일 것이다. 예술로서 발레는 기술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기술의 지도방법에 대한 합의는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이다. 반면, 정신을 교육시키는 방법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발레정신의 구성요소에 대한 1차 연구를 바탕으로 발레의 교육내용으로서 발레정신을 가르치기 위한 교수방법 중 간접교수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발레정신 지도에서의 간접교수방법의 유형 및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 그 역할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간접교수방법이란 교수행동(교수자의 열정, 사랑, 유머, 말투, 표정, 태도 등)과 간접전달(개인의 사상과 삶이 일치되도록 하려는 교육방법)을 사용하는 교수방법을 의미한다. 질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헌분석, 예비조사,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개방형 설문지, 전문가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80)의 문화연구 분석방법, 개별코딩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삼각검증법, 참여자브리핑, 구성원간체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레정신을 지도하는데 사용되는 간접교수방법은 체험권유, 음악감지, 성찰자극, 환경조성, 인성전이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둘째, 발레교육에서 간접교수방법의 사용은 신체와 움직임에 대한 이해 향상 및 학습내용의 내면화를 통해 학습자에게 자기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성을 함양시키는 교육적 효과를 지닌다. 셋째, 교수자의 간접교수행동은 전인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술교육으로서 발레교육을 실행할 때에는 발레정신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발레교육자가 간접교수방법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받아야 한다는 점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teacher`s indirect teaching method in the field of ballet education, find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direct teaching method and exploring the role of it. The study period in the planning stages of research includ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during December, 2010 to August, 2011.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data collection included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open questionnaires. Triangulation, members checking, and expert meeting were used by sharing data dur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assure trustworthiness and credibility of results.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indirect teaching methods that ballet teachers used were categorized as: (a) experience recommendation, (b) musical sensation, (c) reflective stimulation, (d) milieu creation, and (e) character transference. Second, using indirect teaching method in ballet education has educational effects: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body and movement, encouraging students to reflect themselves, developing students into the whole person. Lastly, the indirect teaching method has a significant role as a latent curriculum approaching the whole-person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mphasis on ballet spirit including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ballet teachers should learn how to use effectively indirect teaching method in ballet education.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 후 출판 연도,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도 명시 유무, 연구 영역, 연구 유형,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참여자 수 및 표집 방법, 신뢰도 검증 방법, 자료수집 기간 등 아홉 가지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교육행정학 분야 연구가 게재되고 있는 학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이 제공하고 있는 영향력 지수 1.00 이상을 기준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한국교육행정학회의 『교육행정학연구』, 한국교육 학회의 『교육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의 『한국교원교육 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였다. 이들 학회지에서 1980년 이후 발행된 질적 연구는 318편이 며, 이 가운데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식별한 분석 대상 논문은 190편이 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 분류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적으로 양적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한 후 양적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연구 유형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 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① 사례 연구, 기타 질적 연구, 문화기술지 연구 순으로 연구 접근 빈도가 높고, ②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면담, 참여관찰+면담+문서자료 및 면담+문서자료, 문서 자료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③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으로는 특수 표집 방법, 편의 표 집 방법, 전형적 표집 방법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료수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질적 연구가 분석 대상 논문의 34.2%를 차지하였고,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과 신뢰도 검증 방법에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비율은 각각 분석 대상 논 문의 15.3%, 31.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시사점 및 발전 과제를 도출 및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and prospective resear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nine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academic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318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lastly chose a total of 190 qualitative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papers and the researchers performed peer review about the result. Fourth,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data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data was interview (31.1%), 17.9% were participant observation+interview+documentation and interview+documentation, 2)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28.4% and 34.2% did not present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period, 3) that 31.5% of qualitative studies did not present a method to examine qualitative data, and that 4) 15.3% did not show concrete information to choos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교육방법 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연구

        권지우(Ji Woo Kwon),박윤서(Yoon Suh Park),김대권(Dae Kw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방법 전국 9개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육방법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6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업의 주요 특성인 철학적 성격, 수업 방향, 교수방법, 수업 운영, 교수자 태도 및 성향의 5개 영역과 영역별 세부 항목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고, 분석을 토대로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특성 사이의 우선순위와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수행되어야 할 요구를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교육방법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는 철학적 성격, 교수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운영이 가장 낮았다. 각 영역의 실행도는 교수자 태도 및 성향, 철학적 성격 영역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수방법에서의 실행도 인식이 가장 낮았다. 둘째, 모든 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평균 간 차이는 교수방법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철학적 성격, 수업 방향, 수업 운영, 교수자 태도 및 성향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영역별로는 철학적 성격의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방법과 수업방향은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업 운영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았고, 교수자 태도 및 성향은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수업에서 교수자는 교수방법과 수업운영 측면에서 명확한 설명에 기반한 수업을 계획하고 실현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대학원생들이 수업에 대한 지적 영감 및 흥미, 만족감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개설된 교육대학원 수업에 대한 ‘철학적 성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교육방법 전공 대학원생이 효율적으로 느끼는 수업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고 ‘수업운영’ 영역의 중요성을 발견해가도록 유도해야 한다. 넷째,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사용되는 다양한 강좌를 더 많이 개설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유연한 소통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recognized by students studying Educational Method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thod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62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al methods from nine universities. We asked the respondents to rat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of five major categories determining good instruction: philosophy, direction, method, course management and the instructor’s attitude and style. They were also asked to rate the performance of the factors based on their perception of how well those factors are actually manifested in courses. Results First,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philosophy and metho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course management was recognized as the least important. The performance level was perceived as high in instructor’s attitude and style and philosophy, while low in method.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of perceived importance and their performance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reas. Specifically, method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Third, philosophy showed a high level of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method and direction was perceived to be low, while the performance of those factors was perceived to be high. The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both low in course management, and instructor’s attitude and style show a low importance level but was demonstrated to have high performance level. Conclusion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offer courses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course objectives.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the courses should be maintained to pique students’ intellectual interests, inspiration and satisfaction. Moreover, graduate schools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discover the importance of course management. Finally, we need a more diverse array of courses using practical and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분석

        배희정 ( Hee Jeong B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 영역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실제를 보여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전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와 어휘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와 어휘 영역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한자와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명칭이 ‘~학습법’에서 ‘~하기’로 변화되었다. 이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상당 부분은 ‘방법’보다는 ‘기법’에 편중되어 있음을 반영한 명칭 변화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 중에서 자료 및 도구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중에서 두루 많이 활용되는 것만 남기고 나머지를 삭제하였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을 이전보다 명료하게 정리하였다. 이전 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설명이 다르던 구조 분석법과 조어 분석법의 명칭을 각각 한자 구조 분석하기와 단어의 구조 분석하기로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또 영역과합치되지 않는 교수·학습 방법은 과감하게 삭제하였다. 다음으로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영역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을 단독 또는 몇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수업하는 절차나 혹은 그 사례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제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상의 교수·학습 방법의 실현 가능성을 보였다. 교수·학습방법 절차 제시의 마지막에는 수업에서 학생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표의 평가 지표가 한자와 어휘의 개수에 치우쳐 있다는 점은 본고의 미흡한 점이다. 반면 수업과 평가가 일체가 되는 평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요즘학교 현장의 평가가 지향하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고의 내용은 학교 현장의 교사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이러한 도움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을 더욱 불러일으켜 개정된 교육과정은 현장 적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for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nd it examines to point out characteristics of the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by comparing with that of earlier curriculums. First, this article covers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itle was changed from ``Learning method`` to ``Doing``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e change of title reflects new thought that Classical Chinese cannot to be learned memorizing but by to be learned practically using it. Second, it is indicates that much unnecessary materials was eliminated from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ird, it was more clearly used the terms on structures and coinage of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an that of earlier. Based on these critical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this article suggests practical procedures, examples, and works of students that was applie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nd this article argues that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earlier. Furthermore,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in classes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is proposed in this article. These criteria will be function to judge results of works of students in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lthough these criteria biased on the numbers of Classical Chinese, they have strong point in that practical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re mixed to one dimension, which is reflects new demands from school.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for Understanding Sentences-Alphabets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15.`` And applying of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based on this article will be expected to change practices of Teaching-Learning of Classical Chinese classes.

      • KCI등재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이준,방선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o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7 textbooks of the『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ourses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widely used textbooks fit to the purpose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fter that, we surveyed 1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 lesson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are evaluating own self and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Overall results are students assessed their own professionalism level as higher than the ordinar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core about effects of『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which are help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lower than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alism level. I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ne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s form of practically apply. Several sugg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First, we need to teach by『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need to teach by practical case, real example in『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class for promote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students need to get opportunity for practice and actual implementation when they take a class. Finally,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of K-12 schools.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직이론 과목은 교원의 전문성 함양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직이론 과목 중『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은 특히 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따라서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있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배양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지식이 습득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위한 기본 이수 과목인『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과목 개설 취지에 보다 내실 있게 부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양성과정에서의 교직과목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목을 이수하고 현장학교에서 수업실습을 마친 예비교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재들은 교원양성과정에 요구되는 교수요목을 적절히 반영하고는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방법이나 창의적인 수업방법의 개발, 국내 공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장 적용 방안 등은 미흡하게 다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 교직과목『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수강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주는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예비교원 스스로 평가한 본인의 수업전문성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교원들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내용이 실제 교실 수업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현장 중심의 실용적이고 적용 가능한 수업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개입을 위한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교육훈련방법에 관한 연구

        정은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organize and develop educational training method that needs to be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n service workers at 44 child protection agencies in Korea. The surve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major issues: to figure out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training method using actual training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to also figure out which educational training method was the most effective to the service workers and checked whether each agencies had difference in their educational training method’s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most of agencies carried out small group discussions, feedback in educating, plan-making at their agencies, but didn’t do gameㆍsimulation, microteaching, video or movie, role plays, assignments, follow-up phone call.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training programs were modeling, feedback in process of training, whereas the least effective training programs were filling out surveys and follow-up material things. Lastly, as the result for the mulit level analysis to know gap in educational training menthod for each of agencies, each agencie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nd their variance proportion was about 8.5% which means they were comparatively low. Therefore all agencies should utilize small group discussion and use the system of giving feedbacks when carrying out the education. Also, should provide multi-medias and activities’ training methods that are not practically utilized such as role play, game/ simulation or movies for successful infant and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학대 및 방임 등으로 장애위험 상황에 놓인 영유아의 효과적인 조기개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동보호기관들의 효과성이 입증된 교육훈련방법을 조사하고 기관별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훈련방법들을 마련하여 아동전문가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을 대상으로 교육훈련방법들의 실태를 살펴보고 개입시 상담원들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교육훈련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아동보호전문기관별로 상담원의 인지된 교육훈련방법의 효과성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부분의 상담원들은 소그룹토론, 교육 중 피드백주기, 개입에 관한 계획세우기를 가장 많이 훈련받는 교육방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ㆍ모의훈련, 마이크로티칭, 비디오 또는 영화보기, 역할극, 숙제, 교육 후 전화로 확인하기와 같은 훈련방법은 거의 교육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원들이 인식하기에 조기개입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훈련방법으로는 역할극, 모델링, 교육 중 피드백주기 순이었으며, 상대적으로 효과성이 낮다고 인식한 훈련방식으로는 설문지 등에 답하기, 교육 후 인쇄자료 제공이었다. 마지막으로 아동보호전문기관별 상담원의 인지된 교육훈련방법의 효과성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기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관별 차이에 대한 분산비율은 8.5% 정도로 기관 차이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효과적인 영유아 조기개입 서비스 전달을 위하여 효과성이 입증된 역할극, 모델링과 교육 중 피드백주기 등의 훈련방법을 적극 활용하고, 아직까지는 훈련방식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지 못한 마이크로티칭, 게임 ㆍ모의훈련, 비디오 또는 영화 등과 같은 능동적이며 멀티미디어방식의 훈련방법들을 개발하여 이를 적극 상담원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