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대학의 후기교양교육 실태조사 연구-도쿄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In the midst of the tremendous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that of A.I. (Artifical Intelligence), a crisis in theory is now emerging within universities. As seen by the changes and reforms undertaken in education by universities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the future societ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organize the education system, especially within the liberal arts. Moreover, the importance of the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s receiving new attention.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and contemplate the liberal arts oriented curriculum found at the University of Tokyo.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Late Generalizaton’ curriculum and its completion course will be investigated and reported on. The University of Tokyo made the liberal arts oriented education take a lead role in its reforms based on the liberal arts ideology and has been reinforcing its general education faculty to meet its goal of raising talented people to solve global issues in a rapidly changing world. In particular, by practicing ‘The Late Generalization’ not just for entry level students, but also for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nd in fact even for graduate course students), the needs for liberal arts education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way of thinking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Also, by implementing an organic integration of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a new model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being suggested. With such emphases being placed on liberal arts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even in the case of higher level students, liberal education has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y education. Referring to organic fusion education, which crosses the liberal arts with the natural sciences, I will attempt to identify issues on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will also try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Late Generalization (high level liberal arts educ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s of our liberal arts education. 인공지능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가져올 급격한 사회적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대학의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대학교육의 변화와 개혁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일본의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체계를 개편하는 시도가 있어 대학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쿄대학이 실천하고 있는 교양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도쿄대학의 교양교육 모델인 ‘후기 교양교육’ 과정을 추진하게 된 배경과 커리큘럼 및 이수 과정을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도쿄대학은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세계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육성을 목표로 리버럴 아츠⋅ 교육 이념을 기반으로 한 교양교육 중심의 개혁을 주도하여 교양학부를 강화해 가고 있다. 특히, 후기교양 교육의 실천을 통해 대학의 교양교육이 1, 2학년의 저학년에 끝나는 것이 아닌 학제적인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부 고학년인 3, 4학년 및 대학원 과정에서 교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양교육과 전공교육과의 유기적인 통합 방식을 실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양교육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 대학의 교양교육 중시와 고학년 교양교육의 사례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문리⋅이과를 횡단하는 유기적인 융복합의 교육 프로그램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교육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질적 제고를 위한 후기교양교육(고학년 교양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형성 과정 분석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4

        The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n higher education was established during a 10 year period from 1945 to 1954. This article analyzes this 10 year period, focusing on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its structure and contents and the issue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Korean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reforming a single ladder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he need for an efficient academic system for a large number of students. The legal status of general education was recognized, allowing the education structure of gene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ystem to be settled. Korean general education curricula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rigidity, uniformity, instrumentalism, lack of difference with high school curriculum, preparatory courses for major courses, adoption of comprehensive education model and the absence of interdisciplinary subjects. Its operational issues are: a limited number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courses for junior students, courses opened by individual departments, absence of faculty teaching exclusively general education and neglige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ew way to reconstruct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21st century and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overcome the distort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inherited from the 1950s.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은 1945년부터 1954년까지 10년간에 걸쳐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 과정을 교육과정의 목표, 구조적·내용적 특징그리고 운영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국의 교양교육은 단선형 고등교육 체제 재편과 대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사 효율화 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형성되었다. ‘교양교육 법정주의’를 채택함으로써 구조적으로는 대학 단계에서 교양교육을 이수하는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경직성, 획일성, 도구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차별성 부족, 전공 예비 교육적 성격, 복합형 모델 적용 그리고 학제적 과목의 부재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운영상으로는 교양과목의 제한, 저학년 대상, 학과 주도형 교양과목 설강, 교양교육 전담교원 부재 그리고 교양교육의 경시화 등을 특징으로 찾을 수 있다. 교양교육과정 형성기에 나타난 왜곡된 교양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 21세기의 전망을 담아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새로운 지평을 모색하여야 할 때다.

      • KCI등재

        대학교양교육에서 본 교양문학교육의 위상과 방향

        정연희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thesis will rethink the status and the way of liberal education and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having worry about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crisis at the university. This thesis's main significance is that university have to provide opportunity to the student, which is that the subject reconsiders the his status in the social relation network and communicates with the hole world, if not of strengthen technical education.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traditional branch of liberal education. Literature in general go through difficulty in various way in the contemporariness, nevertheless paradoxically traditional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has to come true faithfully. Literature appreciation is the time and space of imagination, of which lecture have been connected self-regulating and practical level, and then empathic understanding and moral motivation are formed. And the space of generality which literary enjoyment have generated becomes the base of common sense. A fit opportunity to appreciate literature would be possible to bright education of general literature, that is the other conclusion. Professor should lead student to enjoy the literature through excluding literature theory and being contrary to their expectation to learn. 이 논문은 대학교양교육이 현실적합성과 교양교육의 사이에서 자기 위상을 모색해야 한다는 관점을 견지하되 대학교육에서 교양문학교육이 위기에 처해했다는 우려를 가지고 대학교양교육과 교양문학교육의 위상과 방향에 관해 재고해보았다. 대학이 취업중심의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교육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면 광활한 자연과 인간 사회라는 세계 전체의 관계망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생각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인문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교양문학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재고해야 한다는 것이 논문의 주지이다. 교양문학교육은 교양교육의 전통적인 영역이다. 현대사회에서 여러모로 문학전반이 곤란을 겪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전통적인 교양문학교육의 충실한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상상력의 장소인 문학 감상 수업은 타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기르고 내적인 윤리적 동기를 가지게 하며 자율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을 열어주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의 향유가 만들어내는 보편성의 공간은 공통감각의 기초가 된다. 사회관계가 전제되어 있는 공통감각은 언제나 새롭게 변하는 상황에 대해 언제나 새로운 조정이 필요한 지속적 과제로서 합리적 진리와 감성적 진리의 바탕이 된다. 자신의 이야기이면서 타인의 이야기이고 또한 타인의 이야기이면서 자신의 이야기인 소설을 통해, 독자는 낯설고 이해하기 어려운 삶의 다양한 사태를 경험함으로써 자신과 타자와 세계와 또 그것들의 관계들을 분리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거치고 공통감각을 길러나간다. 설문조사 결과 적절한 기회가 주어진다면 교양문학교육의 가능성이 그다지 어둡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적절한 기회란 문학작품을 즐기는 문학수업의 지속성이다. 이론이나 지식 같은 메타적 문학언어가 최대한 배제되고 교수자는 학생들의 ‘배우려’는 요구를 합당하게 배반해가며 작품의 향유로 이끌 필요가 있다. 소설의 세계와 소설의 언어에 깊이 들어가도록 유도하고 가능한 감각을 동원하여 화답하게 하는 것이 다시 강조되어야 할 교양문학교육이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손종현(Son, Jonghy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교육적 타당성 물음'을 통한 접근과 '人材교육적 관점'에서 대학 교양교육을 재개념화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타당성 물음', 즉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면 교양이 되는가'를 묻는 방식으로 교양교육에 대해 질문해야 한다. 또 대학 교양교육이 소수 전문가(specialist) 人才가 아닌 다수 보편적 지식인(generalist) 人材를 양성하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이 관점에서 볼 때, 교양은 앎을 갈무리하는 일상의 삶, 삶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앎에 대한 것이며, 교양교육은 '앎이 행을 통제하는 삶의 방식' 변혁을 이끄는 교육에 대한 것이다. 이런 개념의 교양과 교양교육이 성립할 때 학생들로 하여금 앎을 체득하여 스스로 삶을 통제하는 '자유로운 정신을 가진 교양인'으로 살도록 안내한다. 셋째, 교양은 인간임의 조건이며, 인간의 열정에 대한 믿음이며,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삶의 태도이다. 교양은 가르칠 수 있으되, 그 교육내용은 제도 운영의 경험, 지식 형식의 경험, 고전읽기가 대상이다. 교육방법은 공동창작활동을 이끌고, 대상세계(인간, 자연, 사회, 역사, 예술 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 등이다. 교양교육의 효과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교양교육 시스템'인데, 교양교육을 기획하는 교수의 성찰과 인간다움을 쟁점화하는 교수의 불굴의 정신이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perspective on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question, "what and how should we teach in pursuit of genuinely cultured persons?" has critical importance. This question concerns with 'the validity of education'. Here, liberal education intends to develop general intellectual abilities for the majority of our society, not for a few numbers of specialists. Secondly, based upon this perspective, 'being cultured' as the aim of liberal education implies both living which utilizes knowledge fully, and knowing which leads everyday lives in the right direction. This idea of liberal education promises that each student grows up as a refined person with a free soul, who initiates his or her own life creatively. Lastly, 'being cultured' involves the critical human condition, the belief in human passion and the pursuit to be a human in its proper sense. It can be taught, but only when it deals with experiences of knowledge acquiring, such as appreciation of classics, or experiences of making and operating various institutions. The method of education includes co-creation activities and detailed explanation for humanities, sciences, and the arts. The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f this liberal education is nothing more than the system of which faculty members who continuously innovate and reflect upon its curriculum take charge.

      • KCI등재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보건업을 중심으로

        김은주,성명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ustrial workers’ perceptions of overall general education and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of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36 industrial workers to analyze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verall general education and the states and conditions of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of t-tests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n additio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industrial workers in the core competencies of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ption scores vari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backgrounds of the industrial workers, however the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the ranks of the required core competencies were as follows: 1. Foreign language ability in global core competence. 2. Cultivation of personality and self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humanistic core competence. 3. Debating and mediating abilities i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ore competence. 4. Creative idea generating abilities in creative convergence core competence. 5. Communication skills in communication core competence. 6. Listening and understanding abilities. 본 연구는 산업체가 인식하고 있는 대학의 교양교육 전반과 교양교육의 여건 및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 산업체 종사자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산업체 종사자 1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양교육 전반과 교양교육의 여건 및 환경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대학 교양교육 핵심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업체 종사자의 배경변인별 대학 교양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과 교양교육의 여건 및 환경에 대한 인식 점수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체 종사자의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교육요구 순위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교육요구도를 보인 교양 핵심역량은 글로벌 역량의 외국어 능력이었고, 인문학적 소양의 인성함양과 자아탐구 및 계발, 소통협업역량의 토론과 조정능력, 창의융합역량의 아이디어 발상능력, 소통협업역량의 의사표현능력, 경청과 이해능력의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신행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A de-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being accelerated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the three-year bachelor's degree, five years of Bachelor-Master as linked courses. Als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s improved because undergraduate colleges, liberal arts have been introduced and need to strengthe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However, many universities try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ttempt to improve and to develop quickly, so they trend to emphasize operational aspects and to neglect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alyzed the liberal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status of those liberal education courses. I reflected the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tep to build rat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In other words, first, it should stat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econd, it should organize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lated to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Third, it should configure contents should be lear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ctivities. During curriculum to build, it should explicitly state objectives for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based on Bloom’s objectives, those objectives should match competences across such as higher order cognitive thinking skills,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and psychomotor skills. In addition, I proposed to run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uch that discussion, observation, demonstration etc. that is reasonable assessment because of connection with its objective.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attain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re faithful to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빠르게 생성되는 지식들을 끊임없이 학습해야하는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국내 대학에서는 전문대학의 3년제 학사과정, 4년제 대학의 5년 학·석사 연계과정 등 교육체제의 탈규격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학부대학, 교양학부 등이 도입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와 융·복합 교육 도입 필요성으로 교양교육과정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을 조속히 개선·발전시키려고 하려다 보니 운영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교양교육 자체의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양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와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고찰한 대학 교양교육 본질을 반영하여 선행 연구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단계를 제시하였다. 즉, 교양교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명시적으로 진술하고, 그 연관성을 기술한다. 목표 달성 수단이 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교양교육과정 구축시 교과목과 비교과활동 프로그램들의 학습목표는 고차의 인지적 사고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 경험을 통해 성취되는 정의적 태도와 가치, 그리고 심동적 기술들을 아우르는 본질적인 교양교육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Bloom의 교육목표 진술법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제언하였다. 또 그 목표와 연계된 타당한 평가를 위해 토론, 관찰, 실험·실습, 시연 등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하도록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체제는 교양교육 본질에 충실한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EBS 맥락에서 ‘교육’과 ‘교양’의 개념 탐색에 관한 연구

        강영숙(Kang Young So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교육적 양상을 내재한 의사소통과정으로서 교육방송의 사태를 분석하기 위해 EBS라는 환경에서 1) ‘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방송이라는 시스템과 결합되어 있는가 2) 그 교육이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그램 차원에서 ‘교양’은 어떻게 개념화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 연구를 택했으며 교양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 5명과 편성지침을 결정하는 CEO를 비롯한 부서장급 간부 3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EBS 맥락에서 교육은 학교교육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며 강제적이고 재미없는 것으로 인식된다. 동시에 학교교육 밖으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EBS는 교육적이다’라는 신념에 터해 구성원들의 일과 삶을 구성해내는 집단적 기억으로 작동한다. EBS 맥락에서 교양은 교육 개념과 교묘하게 중첩되어 있다. 전사적(全社的) 차원에서는 교육과 같은 의미로, 프로그램 차원에서는 ‘교육은 아닌 것’으로 인식에 있어 그 틈이 벌어진다. 방송 교양이라는 지적 영역, 달리 말하면 콘텐츠의 영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방송 교양’은 방송이라는 특수하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된’ 교양이다. 방송 교양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방송이라는 특정한 맥락에 존재하는 교양의 또 다른 본성(nature)를 찾는 일이다. 이제껏 독립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던 ‘방송 교양’의 독자적 정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BS which relate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explore the following subjects within such context. First, how education is interrelated with the broadcasting system. Second, how the notion of culture is defined in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a case study research, the study di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roducers and three administrators, including the CEO at EBS, who are in charge of program planning. The image of ‘education’ at EBS is similar to most schools where education is mandatory and boring. It is simply an expansion of school education and a collective memory in which the work and life of EBS’ members are composed along with the company’s belief ‘EBS is educational’. The notion of culture is subtly intertwined with that of education. Clearly, there is a gap between the way the company perceives these two words and the way that producers do. The former sees culture as education, but the latter doesn’t interpret it as such. This leads us to a question: how ought we define the intellectual content of culture in the context of broadcasting? ‘culture in broadcasting’ is reconcepted culture which is selectively created in broadcasting context. The challenge to define culture in broadcasting is to develop another form of culture which exists in the special context of broadcasting. An independent definition for ‘culture in broadcasting’ is needed, which doesn’t separate it from other parts of broadcasting.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연구 및 교육 지원 방안 연구- 학술연구 분야 분류표 개선 제안을 중심으로

        손승남,조혜경,이정금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2

        A Study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Korean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proposal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Son, Seung Nam(Sun chon University) Cho, Hye Kyung(Dae gu University) Lee, Jung Gum(Sun chon University) So far, we have analyzed the contents of e-mail questionnaires for liberal arts educators, and found out the problems of the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char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looked for ways to improve them. In the new section of the Korea Foundation for Research on Liberal Arts education, they are responding in the order of "Convergence studies in Liberal Education", "Humanities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 Overall, it is time to consider the loc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Scheme. The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on liberal arts and gener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more broadly and deeply,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in university. In Korea, we should actively nurture and support 'Korean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and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as 'think tank' of Korean liberal educatio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establish the "Liberal Arts Education Promotion Act (tentative name)" as soon as possible. 대학 교양교육 연구 및 교육 지원 방안 연구 - 학술연구 분야 분류표 개선 제안을 중심으로손승남(순천대학교) 조혜경(대구대학교) 이정금(순천대학교) 지금까지 우리는 교양교육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교양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이 메일 설문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류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한국연구재단 교양교육지원 사업 신설 부분에서 ‘융복합 관련 교양’, ‘인문교양’, ‘기초교육’ 순으로 응답하고 있어, 향후 지원 분야에서 융복합 관련 교양 부문과 인문교양 및 기초교육에 비중을 두고 개편을 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류표 상 교양기초교육의 위치에 대해 숙고가 필요한 시점이며, 향후 분류표 개선 작업과 교양교육지원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정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정책 개발은 더욱 폭 넓고, 깊이 있게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대학 현장에서 구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국가에서는 우리나라 교양기초교육의 싱크 탱크 로서 ‘한국교양교육기초교육원’과 ‘한국교양교육학회’를 적극 육성, 지원해 주어야 한다. 국회에서 는 하루 빨리 “교양기초교육진흥법(가칭)”을 제정하여, “인성교육진흥법”의 사례에서와 같이, 국가 와 사회, 대학과 학교에 교양기초교육이 두루 널리 퍼질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공기업과 기업 등에서 신입사원을 선발하는 인력 충원 과정에서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충실히 받았는지 여 부를 충분히 점검하여 이를 평가에 반영해 나가는 방안도 관계부처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 아가 장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고등교육발전방향을 설정하고, 튼실한 교양교육을 근간으로 하는 방향으로 대학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고등교육의 정상화를 기하고, 결 국 교양과 전공이 잘 조화된‘대학다운 대학’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 KCI등재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교양교육 사례연구

        신동은,윤영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nalyse the policy of general education of community college in USA which has emphasized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of vocational program in order to obtain for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delivery of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college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ur related to the general education policy of community college, the purpose and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e delivery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 for us.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at community college has dwelt on general education program for satisfying industry needs and students’ longterm pathways. Two case colleges – Stella and Charles Guttman Community College(NY) and Cascadia Community College(WA) – set institutional learning outcomes including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problem solving skills, cognitive skills etc. in addition to job skill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amounts to more than 25% of whole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in relation to learning outcomes. and coursed are delivered in according to the learning outcomes. In many cases, courses are implemented based on the student-centered and capstone experience. The findings drew the three implications of general education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in Korea as follows. Firstly,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college needs to be covered broad competencies to respond to this ever-changing job environment. Secondly,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e of learning outcomes rather than shortterm practicality. Thirdly, general education should include student-centered activity such as capstone experience, service learning and so on. The researchers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is kind reorganization of general education can be available on the basis of whole innovation of the institution and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e individual university college level should be provided by the nationwide professional agency. 본 연구는 짧은 수업연한과 직업교육기관의 특성을 갖는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목적 및 운영 방 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미국 커뮤니티 칼라지의 교양교육 정책과 교양교육의 운영 사례 를 분석하였다. 미국은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들면서 폭넓은 역량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가 많아지 고, 직업교육 분야 졸업생들의 계속교육 참여 비율이 높아지면서 커뮤니티 칼리지의 직업준비 전 문학사 과정은 취업뿐 아니라 장기적인 경력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을 강화하였다. 사례로 살펴본 거트만 대학과 캐스캐디아 대학은 모든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서 문제해결능력, 평생학습능력, 지식의 연계 능력 등을 포함하는 학습성과를 정의하고 있다. 대 학의 교양교육과정은 최소한 25% 이상 편성되며, 학습성과와 밀접히 연계하여 개발·운영됨으로 써 학습자들의 학습성과 성취를 보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의 교 양교육 목표는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폭넓은 학습성과를 포함해야 한다. 둘째, 교양교육과정은 단기적인 실용성에 주력하기보다는 역량 달성에 정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되어 야 한다. 셋째, 교양 교과는 학생들이 지식을 다양한 맥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캡스톤 경험을 기 반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재정립은 대학 전체의 교육 혁신을 통하여 이루 어질 수 있으며, 교양교육 혁신의 물적 토대가 마련되지 않은 개별 전문대학에 필요한 지원을 제 공해 줄 수 있는 전문대학 차원의 지원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의 융합적 접근

        이정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is study is to present as several exemplary cases an integratedcurriculum approach to liberal art education developed in Christianuniversities and colleges.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and individualdemands on university necessitate integrated approaches to existingliberal arts education. Integrated curriculum refers to fusing knowledgeand values of more than two different disciples into one course andproviding a systematic array of such fused courses. Much advance isexpected in academic learning and teaching through the integratedliberal arts education. The fused curriculum means a curriculum integrated with groupingseveral curriculums that are constructed by the fusion of knowledge andvalues out of more than two disciplinary fields. It reflects efforts to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education offusion or integration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Since thesechanges, the value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has beenbeing recognized with much appreciation. It is because the morepracticality and specialization are strengthened and deepened, the moreliberal art education is emphasized. Such need of the approach to fusedcurriculum has been changing the ideal image of human resourcerequired by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era of disciplinaryintegration. Liberal art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should notonly administrate conventional general education, but try to find variousways for strengthening students’ capacity.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curriculum is a case of such trials to promote required changes inliberal arts education. 오늘날 기독교 고등교육의 전환기에 교양교육을 어떻게 전개해 나갈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대학교육의 과제이다.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으며 21세기 국제화, 지식정보화시대에 대학은 교양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창의적이고혁신적인 교육을 요구받고 있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개인과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교육하기 위하여 대학에서 가르치는 전공 자체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공이 아닌 것과 통합되고 학문이 융합된 학제간 접근이 요청되고 이를 위해 전공교육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다양한 형태의 융합적 교양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대학교육에서 핵심은 균형 있는 교육과정이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편성⋅운영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이 교육과정에서의 균형(balance)과 불균형(imbalance)의 문제이다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위치를 현실적으로 진단해보고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서의 수준 높은 대학교육 제공 차원에서 교양교육 변화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교육에서의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균형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으며 교양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위한 접근으로써 융합적 교양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독교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본질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에서의 변화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융합교육의 개념정리, 융합교과목 개발의 필요성과 국내 대학에서 일부 편성⋅운영하고있는 융합교육과정의 사례들을 소개하고 융합교양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