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영경,최선녀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peer inter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icipants were 1,017 preschooler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Major fic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efficacy showed direct effect on peer interaction. That was the more teachers have teaching efficacy, child showed the more positive play interaction, less play disconnection and disturbance. Second, Teaching efficacy showed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at was the more teacher have teaching efficacy, teacher and child showed the more positive interaction. Thild,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direct effect on peer interaction. That was the more teacher and child showed positive interaction, child showed the more positive play interaction less play disconnection and disturbance. Forth,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Peer interaction. This research suggest the importance of teaching efficacy and need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기관에 다니는 유아들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된 교사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PSKC) 5차년도(2012) 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SPSS 18.0과 Amos 16.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상호작용이 교사와 유아에게 의미 있는 행동임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문명화(Moon, Myunghw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Mplus 6.0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유능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은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유치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놀이상호작용과 같은 대인관계 변인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ren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this,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were us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plus 6.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a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s a direct effect on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has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mpetenc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directly affect social compet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it was found tha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educational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maximize the expression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by promoting the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권성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8 평생교육 · HRD연구 Vol.1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satisfaction to prevent dropout and improve level of satisfaction in college. As a results of analysis for 1,258 college students in C province,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instructional quality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a college life satisfactio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influenced instructional quality,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interaction with professor. Additionally, instructional qualit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interaction with professor and satisfaction. Particularly, indirect effect of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was more powerful than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erefore, to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as well as both peers and professor in cla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Especial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had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the instructional quality on satisfaction, and their indirect effect size were greater than direct effect. So, the impotance of instructional quality should be highlighted to enhanc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 제공을 위해 대학생활만족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하였다. C시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25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수업의 질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 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적으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각각에서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수업의질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수업의질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과 함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학생 상호 간,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 만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효과보다 더 높은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대학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생 및 동료학생간의 상호작용 유형 변화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분석

        최보금,조성희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7~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교수 및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 유형 및 변화를 살펴보고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의 차이에 대 해 분석하였다. 7차년도와 8차년도 대학생 설문을 모두 완료한 총 2,677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대학 내 구 성원간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군집분석을, 분류된 상호작용 집단에 따라 자기결 정성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7차년도 교수 및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대학생 집단은 3개의 군집으로 분류 되어 대학 1학년 학생이 주요 구성원과 동일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8차년도 동일 학생들의 교수 및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집단을 분류한 결과 2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이 전에 교수 또는 동료 학생에 치우친 상호작용이 사라지고 교수와 동료학생 모두와 전체적으로 높거나 낮은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 교 수 및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이 높아진 학생들의 외적 조절 동기 2, 부과된 조절 동기, 확인된 조절 동기, 내재된 조절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1학년 때 교수 및 동료학생 모두와 균 형 잡힌 상호작용을 경험한 학생들이 한 집단에 편중되어 상호작용을 한 학생들보다 내재적 동기가 높고 무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이 대학생의 교수-학생 및 동료학생간의 상 호작용 변화와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계를 토대로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수효능감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은숙 ( Eun Suk Han ),허혜경 ( Hae Gyeoung Hu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에서 수집한 5차 년도(2012)자료 중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는 만 4세 유아 1,017명과 그의 선생님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및 또래 상호작용,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등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성별과 기관유형별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수효능감, 또래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더미변수를 활용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징 중 성별에 따른 또래상호작용(놀이단절,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아들이 여아들보다 부정적 상호작용인 놀이단절과 놀이방해가 더 많았으며, 여아들은 남아들보다 긍정적 상호작용인 놀이상호작용이 더 높았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또래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래상호작용 중 부정적 상호작용인 놀이단절과 놀이방해를 감소시켰으며, 긍정적 상호작용인 놀이상호작용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은 또래상호작용 중 긍정적 상호작용인 놀이상호작용에만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s on 1,017 four-year-old children who attend nursery schools and their teachers among 5th year’s data(2012) collected by Korean Children’s Panel, a longitudinal study done by children’s policy institute, in order to figure out teacher’s own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peer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in order to know the subjects’ demographic backgrounds, peer interaction, teacher’s efficacy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gender, and differences i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teacher’s efficacy and peer interaction by institution were analyzed with t-test,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variables. Then, in order to figure out influences of teacher’s efficacy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on peer inter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zed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ere differences in peer-interaction according to gender(play disconnection, play interaction, play interruption). Boys showed higher negative interactions such as play disconnection and play interruption while girls showed higher positive interaction of play interaction. Seco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eer interactions. It reduced negative interactions of play disconnection and play interruption and increased positive interaction of play interaction. Third, teacher’s 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ositive one, play interaction only among peer interactions.

      • KCI등재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전영미 ( Young-mee Jeon ),조진숙 ( Jin-suk Ch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규모 대학의 이러닝 강좌 중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과 없었던 수업에 참여한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에서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도 많이 있었고, 상호작용과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수업만족도에는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그 다음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학습자들은 이러닝에서 학습을 혼자 콘텐츠를 이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질 좋은 교육콘텐츠의 개발지원 및 수업에서의 제공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자 대상의 워크숍 및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셋째, 본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학습자간 상호작용도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매우 중요한 상호작용 유형으로,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one course with and another course withou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184 student-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ccordingly, more learner-content and learning-system interactions were noted in the course with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Moreover, a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teraction,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indicated the highest effect on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followed by learner-system interactions on class satisfaction, and b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Recommendations were then formulated based on the foregoing findings. First, workshops or training focusing on content development and on how to present the course should be provided to the instructors. Seco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should be activated in the course through various means . In this study, although learner-learner interactions was not given focus, future studied should delve into how learner-learner interaction should be activated and consider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창의인성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 ( Lee Sun-mi ),전정민 ( Jun Jung M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창의인성,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56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창의인성을 알아보기 위해 Gough의 CPS(Creative Personality Scale)를 바탕으로 김혜숙(1999)이 개발하고, 조은명(2010)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가 제작한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이분려(1998)와 장미정(2011)이 번역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숙(2003)이 개발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적 변인간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보면, 창의인성에서는 급여에서 나타났고, 교수효능감에서는 교사연령과 급여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서는 담당유아연령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교수효능감 그리고 창의인성 변인간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교수효능감, 창의인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유아의 상호작용 하위영역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모든 변인에서도 역시 교수효능감이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창의인성 변인도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ing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ere 567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3- to 5-year-old children at day 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used 5-likert self-reported survey questionnaire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 anyalize the dat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학습자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페이스북 활용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최정아,권성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3 평생학습사회 Vol.9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teach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nteraction of learners through analysis of learning with Facebook.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8 students and one professor in the undergraduate course of University that are used as learning space of Facebook. As a result of the study, to increase learner's social interaction, instructor as the motivation-facilitator has to create the environment where you can express your opinion without any restraint and where your interest and motivation keeps growing. Instructor needs to link lectures and learning with Facebook, to let them know the operation and what to be aware of, and to focus more on producing positive feedback realtime as well as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sharing to form a sense of followership and closeness among learners. To improve learner's cognitive interaction, instructor as a provider of exact information makes announcement on regular class, uses a variety of materials, and offer information relative to the sessions. Instructor gives tasks and materials that are applicable to the individual. Teaching strategy for better metacognitive interaction is that instructor as a learning-manager has to encourage learners to reflect themselves by keeping records and share them with fellow learners, and lead learners to more learning activities and self-check on their activity by making more inquiries. For improving the learner’s interaction, they are not to simply use the new media but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with strategies which consider the types of learner's interaction and the roles of the instructor. 본 연구의 목적은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유형과 교수자의 역할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페이스북 활용 학습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보조적인 학습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H 대학교의 학부 강좌에서 교수자 1명과 수강생 1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 반성일지, 문서자료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적 상호작용, 성찰적 상호작용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페이스북 활용 학습에서의 교수자 역할은 학습자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동기촉진자, 인지적 상호작용을 위한 정보제공자, 성찰적 상호작용을 위한 학습활동 관리자로 구분할 수 있었다. 페이스북 활용 학습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강의식 수업과 연계와 일상생활의 공유, 칭찬 및 ‘좋아요’ 클릭을 통한 공감 등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페이스북 환경을 조성하여 흥미와 동기를 유지시키고, 둘째 다양한 학습자원을 페이스북 그룹과 연결하여 풍부한 수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적인 과제를 제시하며, 셋째 성찰일지 공유 및 실시간 질문하기 통해 자가 점검 및 추가적 학습활동을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은 페이스북 뿐만 아니라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백영숙,강병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in the effect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eer pla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92 childcare teachers and 1168 5-year-old young child in charge of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Gwangju, and Jeollanam-do. The study schedule was 3 weeks for the preliminary survey, and 4 months for this survey, including the suspension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additional acquisition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teaching creativity, and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teaching creativity was added to th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us a more meaningful effect on the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parameter affec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f a childcare teacher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explains the young child peer play interaction of infants, but the influence of th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on the child’s peer-to-young child interaction when teaching creativity is added to the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is better explain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ariabl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it is implied that teacher educat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young child interaction as well as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is necessar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경기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역에서 어린이집 만 5세 담당 보육교사 292명과 만 5세 유아 116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일정은 예비조사 3주, 본 조사는 코비드 19 상황으로 인한 참여 중단과 추가확보 기간을 포함하여 4개월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창의성,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되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교수창의성이 더하여져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보다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교수창의성이 더해질 때 유아의 또래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잘 설명하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 뿐 아니라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병렬다중매개효과

        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릿이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Model 4번)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4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 그릿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그 중 언어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적 상호작용을 제외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그릿,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증진을 위한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f grit on teaching efficacy was mediated by various variabl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namely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25.0. Furthermor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4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gri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dian points. Second, teachers’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teacher efficacy. Results from testing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indicated that linguistic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eacher efficacy; linguistic interaction had the largest indirect effect, while emotional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nclus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esent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