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D 광질이 차나무 기내배양묘의 생육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임현정,나채선,송치현,원창오,송기선,황정규,김도현,김상근,김현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6

        The influences of light generated by LEDs on shoot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Tea plant(Camellia sinensis L.) wer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fter 45 days of culture under four different light qualities: fluorescent lamp, red LED, blue LED, red+blue+white LED. Shoot growth was promoted by red light, especially root length and area were further promoted under the red+blue+white LED. Also, T/R ratio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highest in red+blue+white. Fluor Cam was used to measure the fluorescence images of the plants, inhibition of photochemical efficiency(Fv/Fm) were not changed in all treatment. However, non-photochemical quenching(NPQ) were found rapidly increasing in blue LED, these results were that blue LED were inhibit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must be considered for efficiently in vitro cultivation of the tea plant.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light qualities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to foster in vitro growth of the species. Also, In order to produce healthy plants, it is effective to using light qualities of red+blue+white LED on in vitro culture of the tea plan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mass propagating shoot and produce of healthy seedling. 차나무의 기내배양 과정 중 증식배양 단계에서 LED 광질 조건에 따른 기내배양묘의 생육 특성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질은 적색광(R), 청색광(B), 혼합광(R+B+W)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형광등(F)을 대조구로 하였다. 초장 생육은 적색광에서 가장 좋았으며, 특히 뿌리 생육에 있어서 혼합광은 길이와 표면적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R율, 엽록소 함량은 혼합광 처리에서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형광반응 이미지 촬영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광질에 따른 Fv/Fm의값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묘의 NPQ는 청색광 처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여, 다른 광질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광합성 효율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차나무 기내배양은 배양목적에 따라 광질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차나무 기내배양 시 건실한 식물 생산을위해서는 혼합광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나무 대량증식 및 우량묘 생산 등에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Effects of Supplementary LED Lighting on Growth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Dieffenbachia amoena ‘Camella’ and Ficus elastica ‘Melany’

        Jeong Wook Heo(허정욱),Yong Beum Lee(이용범),Dong Eok Kim(김동억),Yu Seob Chang(장유섭),Changhoo Chun(전창후)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1

        본 실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관엽 식물 온실 재배시 보광 광원으로서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색 및 적색 단일 광질 및 청색과 적색의 혼합 광질 보광이 디펜바키아 ‘카멜라’와 피커스 ‘멜라니’ 분화 식물의 생장 및 발육, 체내 당, 전분, 엽록체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식물 반응은 단일 광질 및 혼합 광질 등 처리파장역과 조사 식물에 따라 달랐다. 두 조사 식물 모두에서 단일의 적색광과 청/적 혼합광 처리는 초장과 전개엽수를 증가시켰으며, 청/적 혼합광 처리는 피커스 식물체내 질소 흡수 및 이용을 증대시켰다. 단일의 적색 및 청+ 적 혼합광 처리는 디펜바키아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인도고무나무의 보광광질에 따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인도고무나무의 건물중 및 체내 전분 함량 및 디펜바키아의 분지수는 청/적 혼합 광질 보광 처리구에서 증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LED 광원은 관엽식물의 보광용 광원으로 적합하며 특히 청/적 혼합광질에 의한 보광처리는 식물체내 생장 및 성분변화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인도고무나무와 디펜바키아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광질임을 알 수 있었다.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LEDs as supplementary lighting sources for greenhouse production of foliage plants, growth and development, sugar content, starch content, and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of potted Dieffenbachia amoena ‘Camella’ and Ficus elastica ‘Melany’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plant response varied by monochromatic or mixture of blue and red LEDs and by species. In both species, monochromatic red and supplementation with blue plus red LEDs increased plant height and number of unfolded leaves, while the blue plus red LED treatment promoted the uptake and utilization of nitrogen in Ficus plant. Supplementation with any LEDs did not cause any changes in contents of chlorophyll a and b and total carotenoids. Dry weight and starch content of Dieffenbachia and Ficus and the number of branches in Dieffenbachia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with mixture of blue and red LEDs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mixture of blue and red LEDs, compared to other light treatments, is beneficial for promo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Dieffenbachia and Ficus.

      • KCI등재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Far-red Light Reduction on the Growth of Laurus nobilis in Indoor

        후지와라 케이스케,토다 히로토,최동수,Fujiwara, Keisuke,Toda, Hiroto,Choi, Dong-Su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5

        실내 광환경은 자연 상태와 달라 실내 조경 식물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광질(光質)이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월계수 묘목은 4개의 다른 광원 처리구(control, +UV, -FR, +UV-FR 처리구)에서 180일 동안 생육시켰다. 자외선 추가 처리구(+UV)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건중량 및 잎 면적이 감소되었지만, 잎 두께 및 잎내 자외선 흡수 물질의 함유량은 증가했다. 반면,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자외선 추가 및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UV-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신장생장 및 광합성 속도가 유의적으로 저하했다(P<0.05).이상의 결과, 광질이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를 관리할 때 광질을 이용한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aurus nobilis plants growing indoors, the L. nobilis seedlings were grown under four types of lighting for 180 days. The seedlings were grown under 4 different treatments((n=9 seedlings per treatment): control, control supplemental UV-B irradiated(+UV), FR reduced(-FR) and simultaneously supplemental UV-B irradiated and FR reduced(+UV-FR)). It was found that UV-B irradiation(+UV) reduced dry weight and leaf area, and increased leaf thickness and the amount of UV-absorbing compounds per unit leaf area. In contrast, a reduction in far-red(FR) light did not affect any of these parameters. Interestingly, however, the elongation growth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the L. nobilis seedlings grown under simultaneous UV-B irradiation and FR reduction(+UV-F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control treat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light quality has a large effect on the indoor growth of L. nobilis. This study can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managed in the L. nobilis in indoor using light quality.

      • KCI등재

        적색/청색광의 비율 및 수확 전 광질변환이 어린잎상추의 생육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준구(Jun Gu Lee),오상석(Sang Seok Oh),차선화(Seon Hwa Cha),장윤아(Yoon Ah Jang),김승유(Seung Yu Kim),엄영철(Young Chul Um),정승룡(Seung Ryong Ch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9 No.4

        식물공장 내 생육과 안토시아닌 함량을 동반 제고시킬 수 있는 최적 광조사 방법을 구명하고자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 및 단기간 광질변화 조건을 달리하여 어린잎 상추의 생육 및 안토시아닌 색소발현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적색광 단일파장에서 어린잎 상추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혼합광, 청색광 및 형광등의 순으로 생육이 억제되었다. 어린잎 상추의 엽내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청색광과 적색광의 혼합광(R57-B43) 처리에 의해 적색광 단일광원 조건에 비해 4.1배, 형광등(FL) 조건에 비해 6.9배 각각 증가되었다. 청색광의 혼합비율이 43%까지 순차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생육은 억제되었으나 상대 엽록소 함량과 적색도의 발현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확전 9일간 적색 단일광으로의 광질변환시 생육은 크게 증진된 반면 색소는 급격하게 소실되었으며 반대로 혼합광으로의 광질변환시에는 생육속도는 감소한 대신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은 형광등과 적색광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따라서 수확 전의 단기간 광질변환 시 적색광의 비율이 높은 광원조건에서 생육을 촉진시킨 후 적색과 청색의 동등 혼합광원으로 변환할 경우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고색도 상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establish the optimum artificial light illumination method for baby leaf lettuce in closed plant factory system, the effects of red/blue light quality and short-term light quality conversion on growth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Hongha' lettuce was most favorable under red single wavelength LED light after 23 days of treatment, sequentially followed by the growth under red/blue mixed light, blue light, and fluorescent light. Total anthocyanin content in the mixed red/blue light (R57-B43) was 4.1-fold and 6.9-fold increased compared to the red LED and fluorescent light,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the blue light ratio to 43%, the growth of lettu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relative chlorophyll content and Hunter's a* value wa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red/blue light ratio inversely affects on growth and anthocyanin pigment development. By changing light quality from red to red/blue mixed light source (R57-B43) for 9 days before harvest, the growth rat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inuous red light illumination, while the anthocyanin content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either red LED or fluorescent light. Whereas, when the light source was changed to red light, the growth rate was increased but anthocyanin content was reversely decreased.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both growth and anthocyanin expression could be effectively regulated by shifting of light quality between red and red/blue mixed light source at a specific growth stage of lettuce in a plant factory.

      • KCI등재

        몇가지 LED가 아마란서스의 종자발아, 새싹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조자용(Ja Yong Cho),손동모(Dong Mo Son),김종만(Jong Man Kim),서범석(Beom Seok Seo),양승렬(Seung Yul Yang),김병운(Byoung Woon Kim),허북구(Buk Gu Heo) 한국원예학회 2008 원예과학기술지 Vol.26 No.2

        아마란서스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황색,적색+청색광을 발광14시간,암조건10시간,주간 25℃,야간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광질에 관계없이 3일만에 100% 발아되었고, 파종 후 6일째의 신선중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광질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 함량에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새싹의 총페놀함량은 청색광과 청색+적색광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적색+청색 광처리구에서 21.2㎎·L<SUP>-1</SUP>로 대조구보다2배 높았다.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L<SUP>-1</SUP>일 때 청색과 적색+청색 광처리구에서 34% 이상으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황색광을 제외한 모든 광질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청색과 청색+적색광에서 오히려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마란서스 새싹의 생리활성은 LED 광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적용시는 이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for the light quality on the germin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maranth (Amaranthus spp.) sprouts. We have germinated and grown the amaranth sprouts with blue, green, red, white, yellow, red+blue color lights for 14 hours and the dark condition for 10 hour, at the temperature of 25℃ (daytime) / 18℃ (nighttime). We have also made amaranth sprout extracts by methanol and examined into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All seed germination of amaranth sprouts were completed within 3 days after seeding irrespective of light sources. The fresh weight of total sprout has been increased in amaranth sprouts, which showed no significant meaning among the different treatments. However,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indicated a significance meaning among the different light quality treatments. The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s were extremely increased in amaranth sprouts grown under the blue color light and the mixed light of blue and red color.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the red+blue light by 21.2 ㎎·L<SUP>-1</SUP> which increased twice compared with the contro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000 ㎎·L<SUP>-1</SUP> were increased over 34% which were sprouted and grown under the blue or mixed light of red and blue color compared with the control.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prouts were most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n grown under all lights except yellow light.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amaranth sprouts was much lower than the control under the blue and mixed light of blue and red color.

      • KCI등재

        산림군락 내부의 광환경 해석 (1)

        김동학,손성원,서강욱,정지영,이재천,김판기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5

        This study was aimed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anopy density and light conditions in forest stands. For this purpose, the light intensity and the light quality of the stands with different canopy density were investigat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were compar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nopy density and light conditions, the parameters of canopy density, relative light intensity (RLI) and appearance frequency of sunfleck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leaf area index (LAI)(R2=0.95) was most correlated with RLI of forest floor.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RLI and the frequency of sunfleck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in which the frequency of sunflecks was increased as RLI was increased (R2=0.85). As the RLI decreased, the R/FR ratios of the diffused light and the sunflecks were decreased by 82% and 31%, respectively. RLI and R/FR ratio of light qua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2=0.91). From these results, we could quantitatively confirm the light conditions of forest stands for different canopy density, and the indicator of the canopy density reflecting the light condition of the forest floor was determined as the LAI. 본 연구는 임관밀도와 임분 내 빛 조건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임관밀도가 서로 다른 임분의 광도 및 광질을 측정하고, 서로 간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임관밀도와 빛 조건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임상의 빛 조건을 반영하는 임관밀도의 변수와 상대광도 및 광반의 출현빈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임관밀도의 변수 중에서 엽면적지수(R2=0.95)가 임상의 상대광도와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대광도와 광반의 출현빈도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상대광도가 증가할수록 광반의 출현빈도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2=0.85). 상대광도와 광질 간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상대광도가 낮아지면서 산란광과 광반의 R/FR 비율은 각각 82%, 31%의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상대광도와 광질의 R/FR 비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0.91). 이러한 결과로부터 서로 다른 임관밀도에 대한 임상의 빛 조건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임상의 빛 조건을 반영하는 임관밀도의 지표는 엽면적지수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과채류 접목 시 균일한 접수와 대목 생산을 위한 백색 LED의 적용

        황현승(Hyunseung Hwang),전창후(Changhoo Chu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1 No.1

        광질은 묘의 형태를 조절하는 중요한 환경 요인 중 하나이다. warm-white와 cool-white LED의 칩에 비율이 다른 bar type를 제작하여, 백색 LED의 광질에 따른 묘의 생육을 조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이, 토마토 및 수박의 접수와 대목의 종자를 파종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식물공장에서 재배하였다. 처리구는 W1C0(warm-white 단독), W1C1 (warmwhite: cool-white=1:1), W3C1 (warm-white:cool-white=3:1), W5C2 (warm-white:cool-white=5:2)이다. 모든 처리구에서 W1C1 처리구에서 재배한 묘목의 배축장이 가장 짧았으며, W1C0에서 재배된 묘목의 배축장이 가장 길었다. 수박 접수, 수박 대목, 그리고 토마토 대목의 배축장은 W1C1, W3C1, W5C2, W1C0 순이었으며, 이는 cool-white의 비율이 높은 순서와 같았다. 토마토 접수는 각각 W1C0과 W3C1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로 배축이 길었고 W5C2와 W1C1에서 가장 짧았으며,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경경은 토마토 접수, 토마토 대목 및 수박 대목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 토마토 접수, 토마토 대목 및 수박 대목의 줄기 직경은 W1C0에서 가장 굵었다. 오이, 수박의 접수와 대목의 지상부 생체중과 오이 접수의 지하부 생체중은 W1C1에서 가장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해 LED 광원의 다양한 비율은 묘목의 배축 신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Uniform scions and rootstocks should be produced to ensure grafting success. Light quality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that regulates seedling growth. The effects of warm- and cool-white light emitting diode (LED) ratios on seedling growth were investigated. Scions and rootstocks of cucumber, tomato, and watermelon were grown in a closed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using LED as the sole lighting source. The LED treatments were W1C0 (only warm-white), W1C1 (warm-white: cool-white = 1:1), W3C1 (warm-white: cool-white = 3:1), and W5C2 (warm-white: cool-white = 5:2). The seedlings grown in W1C1 had the shortest hypocotyls, and the seedlings grown in W1C0 had the longest hypocotyls among the three tested vegetables. The hypocotyls of watermelon scions, watermelon rootstocks, and tomato rootstocks were shortest in W1C1, followed by those in W3C1, W5C2, and W1C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3C1 and W5C2, which remained the same as the ratio of cool-white LEDs increased. In addition, tomato scions had the first and second longest hypocotyls in W1C0 and W3C1, respectively, and the shortest hypocotyls in W5C2 and W1C1, along with W5C2 and W1C1,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stem diameter was highest in W1C0 except for tomato seedlings and rootstocks of watermelon. The shoot fresh weight of scions and rootstocks of cucumber and watermelon and the root fresh weight of cucumber scions were lowest in W1C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ratios of LED lighting sources had a strong effect on the hypocotyl elongation of seedlings.

      • Hydropriming 처리와 광질이 박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안종길,손병구,조동,최영환,강점순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1

        Hydropriming 처리중인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처리직후 수분홉수가 급속하게 이루어져 처리후 12시간부터 최종처리 기간인 48 시간 42%의 함수율을 보였다. Hydropriming 처리과정중 용액을 1회 교환한 처리와 처리후 종피에 부착되어 있는 점액물질을 제거한 처리에서는 발아력이 향상되었다. 발아배지상에 공급되는 수분량에 따라 발아율과 750이 달랐으며, 수분공급량이 증가할수록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적정 수분공급량은 57이 좋았다. 박종자의 발아는 산소공급이 용이하도록 주공을 위로 향하게 한 종자는 조기발아를 하였으나, 주공 담수시켜 산소공급을 부분적으로 차단한 종자는 hydropriming 처리된 종자라 할지라도 15%의 미만의 저조한 발아율과 T50이 8.5일이나 소요되었다. 광질은 적색광에서 조기발아 하였으며, 유근신장생 장도 좋았다 Water absorption of seeds was rapidly commenced soon after the treatment of hydropriming, and water absorption concentration was 42% when the treatment time was passed between 12 and 48hrs. Germinability Water absorption of seeds was rapidly commenced soon after the treatment of hydropriming, and water was improved when the solution was exchanged during the hydropriming, and mucilage substance adhered to seed coat was removed after the hydroprim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cent germination and T50 according to the water volume supplying into the medium, the percent germination was reduced along with the increment of water volume supplied, and volume of optimal water supply was 5ml. Gourd seeds of which micropyle was upward to improve oxygen supply were germinated early. However, seeds of which was soaked in water showed low germination less than 15% due to the inhibition oxygen even though those were treated with hydropriming, and also T50 took 8.5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ight quality, seeds were early germinated with the red light, and the growth of radical length was also improved.

      • KCI등재

        유색차광망을 통한 광환경 변화가 꽃도라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허은주,이영란,구대회,권오근,이광식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7 화훼연구 Vol.15 No.3

        유색차광망을 통한 광환경 변화가 꽃도라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광환경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화가 빠른 ‘Pink Fresh’는 청색과 적색 차광망에서 무차광과 흑 색 차광망에 비해 초장과 측지수가 증가하였으나, 개화 가 다소 느린 ‘Rose Pink‘은 청색과 적색 차광망에서 는 무차광과 비슷한 초장을 보였고 오히려 무차광에서 분지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꽃수는 광량이 적은 흑색 차광망에서 감소하였고, 개화시기는 광량이 많은 무차 광에 가장 빨라 광질보다는 광량의 영향이 큰 것 나 타났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분홍색인 ‘Pink Fresh’ 품 종에서 무차광과 청색 차광망에서 가장 낮아 광량과 광질 모두 안토시아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light quant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was evaluated using 30% colored shade nets. Two cultivars, ‘Pink Fresh’ and ‘Rose Pink’, showed different growth responses to colored shade nets. Plant height and axillary branches increased in ‘Pink Fresh’ grown under blue and red shade nets as compared to black or no shade nets. However, the axillary branches decreased under three shade nets against no shade nets in ‘Rose Pink’. Black shade nets, providing the greatest shade of 38%, reduced flower number and delayed flowering in both cultivars. Flowering also delayed as light quantity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of ‘Pink Fresh’ was the lowest in the blue shade net and no shade treatments, and it seems that both light quality and quantity affected anthocyanin synthesis.

      • KCI등재

        식물공장에서 적색과 청색 LED의 비율이 물냉이의 생장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최재윤,복권정,이현주,도현민,박종석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4

        Watercress (Nasturtium officinale) is a perennial aquatic plant of the Brassicacea that contains a large amount of glucosinolates, which act as a natural antioxidant in the human body with anticancer activity and an ability to reduce active oxygen that attacks DN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blue light with red backlight conditions on growth and glucosinolates contents of watercress. Watercress seeds were sown on soil and seedling were grown for 2 weeks. Two weeks after sowing, watercress was transplanted to a hydroponic system with the following light conditions: R10 (Red:Blue = 10:0), R9B1 (Red:Blue = 9:1), R8B2 (Red:Blue = 8:2), R7B3 (Red:Blue = 7:3), R6B4 (Red:Blue = 6:4), and R1B1G1 (control, Red:Blue:Green = 1:1:1) and cultivated for 2 weeks. The stem length, shoot fresh weight, shoot dry weight, SPAD valu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Fv/Fm) analysis of watercress were the highest in R7B3 and the lowest in R1B1G1. The photosynthesis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showed the same tendency as watercress growth. Glucosinolate contents in watercress were the lowest at R9B1 and the highest at R7B3. R1B1G1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watercress, but played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the functional component. 물냉이는 십자화과에 속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지닌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한 다년생 수생 식물이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항암 및 천연 산화 방지제로 DNA를 공격하는 활성산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광질에 따른 물냉이의 생장 및 클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물냉이 종자를 토양에 파종하여 2주간 육묘하였다. 파종 2주 후 식물체를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여 R10(R:B:G = 10:0:0), R9B1(R:B:G = 9:1:0), R8B2(R:B:G = 8:2:0), R7B3(R:B:G = 7:3:0), R6B4(R:B:G = 6:4:0), R1B1G1(R:B:G = 1:1:1)의 6가지의 광질 하에서 2주간 재배하였다. 물냉이의 초장, 생체중, 건물중 및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형광 분석 결과 R7B3 처리구에서 물냉이의 생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R1B1G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물냉이의 광합성 및 기공전도도 분석 결과 물냉이의 생육과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물냉이 체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R9B1에서 가장 낮았으며, R7B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R1B1G1의 경우 물냉이의 생육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기능성 물질 증대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