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數種의 植物生長促進 根圈細菌이 '녹광' 고추 幼苗의 初期生長에 미치는 影響

        조자용,정순주,Cho, Ja-Yong,Chung, Soon-Ju 한국유기농업학회 1998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7 No.1

        수종의 근권세균류를 시설토양에서 분리한 후 육묘용토에 혼입처리하여 식물생장촉진효과를 측정하였다. 시설토양에서 총 125주의 단일균구를 1차적으로 순수분리하였으며, 고추에서 발생하는 위조병원균, 입고병원균, 및 묘잘록병원균 등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4주의 근권세균을 최종적으로 분리하였다. 항균작용이 가장 높았던 균주로는 RB 109로서 위조병원균에 대해서는 66.0%, 입고병원균에 대해서는 65.0%, 묘잘록병원균에 대해서는 66.1% 정도의 항균작용을 나타내 전반적으로 60% 이상의 길항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였다. 길항성 균주 RB 109의 배양액을 육묘용토에 혼입처리시 고추 유묘의 초기생장이 촉진되었다. 길항성 세균 RB 109를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와 82% 정도 유사한 균주로 동정되어 Pseudomonas sp. RB 109로 명명하였다. Various rhizobacteria was isolated, and was bacterialized into the substrates to clarify the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s of rhizobacteria on the early growth of red peper seedlings. Total 125 bacterial isolates were primarily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soils in greenhouse. And four strains were finally screened, based on th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Fusarium sp., Pythium sp. and Rhizoctonia sp. of red pepper plants. The strongest antifungal strain RB 109 has a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Fusarium sp., Pythium sp. and Rhizoctonia sp. in terms of 66.0%, 65.0% and 66.1%. Early growth of red pepper seedlings was promoted, when cultured solution of rhizobacteria RB 109 was bacterialized into the substrates. Antifungal rhizobacteria RB 109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related strains, which has a similarity of 82% to the Pseudomonas sp.

      • KCI등재
      • KCI등재

        배지종류가 추식 수경재배 질경이의 생장과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조자용(Ja Yong Cho),김홍기(Hong Gi Kim),유성오(Sung Oh Yu),양승렬(Seung Yul Yang),양원모(Won Mo Yang),김병운(Byoung Woon Kim),허북구(Buk Gu H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1

        질경이를 공시하여 펄라이트,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1 : 1 혼합, 입상암면 및 피트모스 등 4종의 고형배지경에서 배지에 따른 생장반응과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배지종류별 생육반응은 초장, 경경, 엽수, 최대근장,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전반적인 초기생장이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피트모스 배지>입상암면 배지>펄라이트 배지 처리구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내 Ca와 Mg 함량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Mg와 Na 함량은 입상암면 배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내 P₂O? 함량은 식물 생장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1:1 혼합 배지 처리구와 피트모스 배지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substrates in terms of perlite (100%), peat moss (100%), granular rock wool (100%) and mixing perlite (50%) with peat moss (50%) on the growth responses and mineral contents of hydroponically grown Plantago asiatic in aggregate culture Overall early plant growth such as plant height,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that mixed perlite and peat moss (50%: 50%, v/v) > peat moss (l00%) > granular rock wool (100%) > perlite (100%). Ca and Mg contents in plants became highest in the plants grown in the peat moss, however, Mg and Na in the granular rock wool. P₂O? content in plants were mos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lant growth increment in the peat moss (100%) and the mixing substrates of perlite and peat moss (50: 50, v/v).

      • SCIESCOPUSKCI등재
      • 관광자원 측면에서 담양 대숲 김치에 관한 지역민의 의식 연구

        조자용(Ja Yong Cho),송채은(Chae Eun Song),허북구(Buk Gu Heo)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21 농어촌관광연구 Vol.24 No.1

        담양의 전통자원인 대나무와 대나무숲 김치의 개발 및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측면에서 50대 이상 102명(담양군 거주자 91명, 군외 거주자 1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김치 제조와 보관 시에 대나무를 활용한 경험은 70.58%였다. 과거에 김치 제조시 대나무 줄기나 댓잎을 사용한 것을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78.4%였다. 김칫독을 대나무 아래에 묻었던 시기는 1961-1970년 55.6%, 1960년 이전은 22.2%, 1971-1990년과 1991-2010년은 각각 11.1% 순이었다. 김치 제조 시 대나무 줄기나 잎을 사용해 제조한 김치의 식용경험이 있다는 응답자 수는 22명(27.50%)이었다. 대숲김치의 식용결과 맛에 대한 평가는 ‘맛이 좋다’와 ‘매우 좋다’라는 응답자 비율이 각각 50.0%, 36.36%로 높게 나타났다. 대숲에서 숙성시킨 묵은지를 담양군의 관광상품으로 개발 여부에 관해 조사한 결과 찬성과 매우 찬성은 각각 32.4%, 21.6%를 나타냈으며, 보통이다는 27.5%, 반대는 9.8%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담양 대숲김치는 과거에 이용되었던 전통이 있었으며, 관광상품으로서의 개발 가치가 높다라는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따라서 담양 대숲 김치를 관광상품으로 개발하면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We conducted a survey considering target of one hundred and two respondents over 50s or older, ninety one residents in Damyang-gun and eleven outsiders. We have also examined into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bamboo kimchi as a tourism resources. 70.58% respondents had an experience related to kimchi ripening after adding bamboo stems or leaves in the upper part of kimchi jar. The last time when kimchi jars were buried under bamboo forest was in 1961-1970 by 55.6%, before 1960 by 22.2%, and both in 1971-1990 and 1991-2010 by 11.1%, respectively. Twenty two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an experience in eating bamboo kimchi manufactured stored after adding bamboo stems or leaves in the upper part of kimchi jar by 27.50%. The taste of kimchi stored in the bamboo grove were evaluated as ‘good’ and ‘very good’ by 50.0% and 36.36%. For the use of bamboo kimchi as a tourism product in Damyang-gun, 32.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over goo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bamboo kimchi in Damyang-gun as a tourism resources and product would be helpful in the promotion of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몇가지 LED가 아마란서스의 종자발아, 새싹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조자용(Ja Yong Cho),손동모(Dong Mo Son),김종만(Jong Man Kim),서범석(Beom Seok Seo),양승렬(Seung Yul Yang),김병운(Byoung Woon Kim),허북구(Buk Gu Heo) 한국원예학회 2008 원예과학기술지 Vol.26 No.2

        아마란서스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황색,적색+청색광을 발광14시간,암조건10시간,주간 25℃,야간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광질에 관계없이 3일만에 100% 발아되었고, 파종 후 6일째의 신선중도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광질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 함량에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새싹의 총페놀함량은 청색광과 청색+적색광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적색+청색 광처리구에서 21.2㎎·L<SUP>-1</SUP>로 대조구보다2배 높았다.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L<SUP>-1</SUP>일 때 청색과 적색+청색 광처리구에서 34% 이상으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황색광을 제외한 모든 광질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청색과 청색+적색광에서 오히려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마란서스 새싹의 생리활성은 LED 광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적용시는 이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for the light quality on the germin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maranth (Amaranthus spp.) sprouts. We have germinated and grown the amaranth sprouts with blue, green, red, white, yellow, red+blue color lights for 14 hours and the dark condition for 10 hour, at the temperature of 25℃ (daytime) / 18℃ (nighttime). We have also made amaranth sprout extracts by methanol and examined into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All seed germination of amaranth sprouts were completed within 3 days after seeding irrespective of light sources. The fresh weight of total sprout has been increased in amaranth sprouts, which showed no significant meaning among the different treatments. However,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indicated a significance meaning among the different light quality treatments. The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s were extremely increased in amaranth sprouts grown under the blue color light and the mixed light of blue and red color.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the red+blue light by 21.2 ㎎·L<SUP>-1</SUP> which increased twice compared with the contro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000 ㎎·L<SUP>-1</SUP> were increased over 34% which were sprouted and grown under the blue or mixed light of red and blue color compared with the control.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prouts were most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n grown under all lights except yellow light.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amaranth sprouts was much lower than the control under the blue and mixed light of blue and red color.

      • 배초향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조자용 ( Ja Yong Cho ),김영선 ( Young Seon Kim ),박윤점 ( Yun Jum Park ),배종향 ( Jong Hyang Bae ),오대민 ( Dea Min Oh ),박수민 ( Su Min Park ),허북구 ( Buk Gu Heo )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2011 생명자원과학연구 Vol.3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useful data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Baechohyang extract (Agastache rugosa). We have also examined into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aechohyang.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1,000 mg·L-1 Agastache rugosa hot water extract were 51.4-80.5 mg·L-1, and those ethanol extract were 62.1-97.2 mg·L-1. In the concentration of 1,000 mg·L-1 extracting solution, total flavonoid contents in flower hot water extract increased most by 99.3 mg·L-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C50 values of leaves hot water extract decreased most by 107.5 mg·L-1, however, that of flower ethanol extract increased highest by 549.0 mg·L-1. In the concentration of 1,000 mg·L-1 extracting solution,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aechohyang leaves hot water extract were 86.0%, and flower hot water and flower ethanol extract were 84.5% and 64.3%.

      • KCI등재후보

        전남 서남부 지역 5일장에서 채소묘의 유통실태

        조자용(Ja Yong Cho),유성오(Sung Oh Yu),박윤점(Yun Jum Park),배종향(Jong Hyang Bae),양승렬(Seung Yul Yang),김병운(Byoung Woon Kim),장홍기(Hong Gi Jang),허북구(Buk Gu Heo) 한국원예학회 2005 원예과학기술지 Vol.23 No.4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채소묘의 유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2005년 4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전남 서남부 지역의 5일장을 중심으로 3회에 걸쳐 채소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각 지역의 5일장에서 채소묘를 판매하는 곳은 9~39개소 였다. 판매처별 판매량은 751-1,250개의 묘를 판매하는 곳이 29.9%, 1,251개 이상을 판매하는 곳이 34.4%였다. 5일장에서 판매된 채소묘는 20종류 이상이었다. 판매처 비율이 높은 묘는 고추류(89.2%), 가지(60.5%), 토마토류(59.8%), 호박류(33.7%), 참외(33.1%), 오이(32.5%), 그리고 수박(26.1%) 등이었다. 채소묘의 1주당 가격은 품목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트레이묘는 200~250원, 포트묘는 400~500원 정도였다. 채소묘 판매자들은 92.3%가 여성이었으며, 50대 이상이 83.9%였다. 채소판매자중 90% 이상이 판매품목과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ffective marketing of vegetable seedlings on the five-day traditional markets of south-western Jeonnam districts from April to June, 2005. Nine to thirty nine street stalls in the local traditional markets sell the vegetable seedlings. About 29.9% of the street stalls in the traditional markets sold more than seven hundred and fifty-one vegetable seedlings, and 34.4% of street stalls sold more than one thousand and two hundred and fifty one seedlings. Over twenty kinds of vegetable seedlings were marketed in the five-day traditional markets. Higher rates of selling places for vegetable seedlings were in the order of the kind of peppers (89.2%), egg plant (60.5%), the kind of tomatoes (59.8%), the kind of pumpkins (33.7%), oriental melon (33.1%), cucumber (32.5%), and water melon (26.1%). There were differences of selling prices per vegetable seedling among the list of items and districts. Prices of one vegetable seedling with tray and pot were two hundred to two hundred and fifty won, and four hundred to five hundred won, respectively. Sellers about 92.3% for vegetable seedlings were women, and sellers about 83.9% were over fifty years old. Over 90% of sellers for vegetable seedlings did not offer the informations of selling items and sellers to the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