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악성 흑색종의 치료와 예후에 대한 분석

        권영호,김정렬,이영구,김재도,Kwon, Young-Ho,Kim, Jeong-Ryoul,Lee, Young-Gu,Kim, Jae-D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악성 흑색종의 치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외과적 전절제술이며, 수술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다. 저자 등은 광범위절제와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을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 받았던 35명(남자 17명, 여자 18명)을 대상으로 광범위절제술과 면역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추시 관찰하였다. 절제술은 종양의 크기나 피부층의 침범정도와 상관없이 종양의 변연으로부터 2 cm으로 하였고, 절제술 후 덮이지 않는 피부 결손부는 피판 이식술이나 전층 피부 이식술을 이용하였다, 면역화학요법으로는 dacarbazine (DTIC) 400 mg과 인터페론-${\alpha}$ 300만 IU를 병용 투여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면역화학요법은 III기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하였고, 병기는 2002년 개정된 AJCC 병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또 이들 환자들에 대해 국소재발과 국소전이, 그리고 원격전이여부를 조사하였고,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발생부위는 족부가 15명(42.8%)으로 가장 많았고, 족관절부 5명(14.2%), 하퇴부 2명(5.7%), 대퇴부 2명(5.7%), 수부에 5명(14.2%)이었다. 병기별 발생빈도는 IA 8명(22.8%), IB 9명(25.7%), IIA 4명(11.4%), IIB 2명(5.7%), IIIA 1명(2.8%), IIIB 2명(5.7%), IIIC 2명(5.7%) 그리고 IV기는 7명(20.0%) 이었다.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기에서 94.1%, II기에서 66.8%, III기에서 40%, IV기에서 14.3%로 나타났다. 결론: 악성 흑색종은 III기 이상에서는 5년 생존율이 낮았다. 악성 흑색종의 치료는 초기에 진단하여 병기에 따라 치료의 방법을 달리하므로 수술전 병기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광범위 절제연에 대해서는 종양 두께에 따라 1~3 cm의 절제연으로 광범위 절제를 권유한다. Purpos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uring Malignant melanoma is surgical excision, operating method is wide excision. The author et al. studied 5-year survival rate of each stage and appropriate surgical margin after operating wide excision and immuno-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5 to August 2003, wide excision and immunochemotherapy were operated to 35 patients (17 males and 18 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malignant melanoma and followed up. Excision was done around 2 cm from edge of tumor regardless of the size or effected degree of the skin, and flap or full thickness skin graft was used for skin deficit that was not covered after excision. As for immuno-chemotherapy, method that prescribes 400 mg of dacarbazine (DTIC) and 3 million IU of interferone-${\alpha}$ in combination was used. Immuno-chemotherapy was operated to patients in over stage III. We used AJCC stage that was revised in 2002. Local recurrence, local metastasis and distant metastasis were investigated for these patients as well as the 5-year survival rate of each stage. Results: Most frequently 15 cases(42.8%) occurred in foot, 5 cases(14.2%) occured in ankle, 2 cases(5.7%) in leg, 2 cases(5.7%) in thigh and 5 cases(14.2%) in hand. The incidence of each stage were 8 cases(22.8%) in IA, 9 cases(25.7 %) in IB, 4 cases(11.4%) in IIA, 2 cases(5.7%) in IIB, 1 cases(2.8%) in IIIA, 2 cases(5.7%) in IIIB, 2 cases(5.7%) in IIIC and 7 cases(20.0%) in stage IV. 5-year survival rate of each stage were 94.1% in stage I, 66.8% in stage II, 40% in stage III and 14.3% in stage IV. Conclusion: 5-year survival rate of stage IV was low in malignant melanoma. In treatment of malignant melanoma, staging before operation is important as operation methods are different from each stage. We recommend wide excision which remove around 1~3 cm from margin of tumor up to each thickness.

      • 악성 연부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 후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박종혁,이형석,김정렬,Park, Jong-Hyuk,Lee, Hyung-Seok,Kim, Jung-Ry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서론: 악성 연부 조직의 광범위 절제술 후 발생한 연부 조직 결손에 대해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 이식술로 재건술을 시행한 7예에 대해서 치료 결과 및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연부조직 악성 종양으로 광범위 절제술 후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 받은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임상 기록의 검토를 통해 후향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종양의 종류, 크기, 종양의 절제연, 종양 절제 후 연부 조직 결손의 크기, 피판의 성공여부, 수술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은 활막 육종이 3예,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이 2예, 평활근 육종이 1예, 섬유육종이 1예였다. 종양의 크기는 $3{\times}5\;cm$부터 $7{\times}8\;cm$로 다양하였고, 모든 예에서 광범위 절제연을 얻을 수 있었다. 종양 절제 후 피부 연부 조직 결손의 크기는 $6{\times}8\;cm$부터 $15{\times}10\;cm$였고, 평균 수술 시간은 3.6시간이었다. 모든 예에서 이식된 피판은 생존하였다. 결론: 악성 연부 조직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술은 종양의 광범위한 절제술 후에도 적절한 크기와 길이의 혈관경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여부의 합병증을 최소화하며, 미용적으로 우수하여 종양 절제 후 연부조직의 재건에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present our experience with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of 2003 and June of 2007, we treated 7 patients with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wide resection for soft tissue sarcoma.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ype and size of tumors, resection margin, size of defect after resection, time of operation, flap survival and complication. Results: The type of sarcoma was 3 synovial sarcoma, 2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1 leimyosarcoma and 1 fibrosarcoma. The size of tumor varied from $3{\times}5\;cm$ to $7{\times}8\;cm$. The resection margins of tumors were negative in all cases. The size of soft tissue defect after resection varied from $6{\times}8\;cm$ to $15{\times}10\;cm$. The mean time of operation was 3.6 hours. All flaps were survived. Conclusion: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ppear to be ideal for reconstruction after wide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 많은 내성약제가 있는 다제내성 및 광범위약제 내성 결핵에서의 베다퀼린의 치료결과

        서해숙,김종경,홍재락,서정은,조영수,김부연,권오우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베다퀼린이 국내 결핵치료에 도입된 지도 4년이 도래하면서, 이 약제가 포함된 다제내성 및 광범위약제 내성결핵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세균학적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베타퀼린이 투여된 다제내성 결핵 및 광범위약제내성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고, 베다퀼린 투여 24주째의 배양음전 여부와 120주째의 치료결과와 부작용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성적: 최종 대상자인 41명 중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고(73.2% vs. 26.8%), 연령은 51.3±13.0세였다. 다제내성 결핵은 26명(MDR 1, pre-XDR 25), 광범위약제내성 결핵은 15명, 내성약제 수가 8.8±2.3로 치료가 매우 어려운 환자군으로 구성되었다. 평균 6.4제(범위, 4-10)가 병합투여되었는데, PZA는 43.9%, 리네졸리드는 80.5%, 퀴놀론제와 주사제가 각각 75.6%에서 동시 투여되었다. 당뇨가 34.2%에서 동반되었다. 투여 24주째 배양음전율은 88.3%였고, 소요기간은 63일이었다. 투여 120주째 치료결과는 70.7%의 치료성공률(cured 25, treatment completed 4, failed 4, reverted 2, died 3, transferred out 1, loss to follow up 1, still on treatment 1)을 보였다. 배양 음전 기간이 연령이 높을수록 낮은 연령보다 0.9배 짧아지고, 흉부 엑스선상 양측성 병소가 일측성보다 4.4배, 공동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14배, 간질환이 있을 때가 없을 때보다 9.7배 더 기간이 소요되었다. 총 4명(9.8%) 환자에서 QTc-F 간격이 증가하였지만, 그외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평균 8.8개의 내성약제가 있는 다제내성 및 광범위약제 내성 결핵환자 41명에게 베다퀼린을 병합처방한 결과, 투여 24주째에 88.3%의 배양 음전율과 투여 120주째 70.7%의 치료성공률을 보여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제임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지주 동종골 이식술 및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이용한 고관절 재치환술

        이경재 ( Kyung Jae Lee ),민병우 ( Byung Woo Min ),배기철 ( Ki Cheor Bae ),조철현 ( Chul Hyun Cho ),김동후 ( Dong Hu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3

        목적: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시 다량의 대퇴골 골결손 부위에 대해 지주 동종골 이식술 및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재치환술 시 근위 대퇴골 골결손으로 지주 동종골 이식술 및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사용하고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4.6년이었다. 재치환술의 원인은 광범위한 골용해 및 이로 인한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이 5예, 무균성 해리 7예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전 평균 40.8점에서 최종 추시시 85.1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대퇴 삽입물의 고정도는 11예(92%)에서 골성 안정 소견을 보였으며 1예(8%)에서 섬유성 안정 소견을 보였다. 응력 방패 현상은 1예에서 중등도의 소견을 보였으나 최종 추시 시 진행되는 소견은 없었다. 최종 추시시 심한 마모나 골용해를 보인 예는 없었으며 심부감염 1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이식골의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다량의 대퇴골 골결손이 동반된 환자에서 지주 동종골 이식술 및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이용한 재치환술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나 응력방패 현상 및 이식골로 인한 합병증 등에 대해서는 장기간의 추시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report on the outcomes of using a strut allograft and extensively porous-coated femoral stems in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that was performed due to extensive femoral bone los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8 and 2005, we performed 167 consecutive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ies. Among them, twelve cementless femoral revision surgeries with a strut allograft and extensively porous-coated stem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verage follow up was 4.6 years.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the index revision was 55.9 years. The reasons for the revisions were periprosthetic fracture due to extensive osteolysis in 5 hips and aseptic loosening in 7 hips. Results: The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a mean of 40.8 points before revision surgery to a mean of 85.1 points at the latest follow up. Radiographic evidence of bony stable stems were present in 11 hips and a fibrous stable stem was present in 1 hip. Moderate stress-shielding was noticed in one hip. Nonunion of the allograft was observed in 1 hip due to deep infection. To date, no significant wear or osteolysis has been observed. Conclusion: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with a strut allograft and an extensively porous-coated femoral stem for treating cases of extensive femoral bone loss seems to be a reasonable choice. However, the concerns related to stress shielding, the difficulties in re-revisions and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n allograft will require longer term follow up.

      • KCI등재

        인도에 반하는 죄의 상황적 구성요건

        김상걸(KIM Sangkul) 대한국제법학회 2016 國際法學會論叢 Vol.61 No.1

        핵심국제범죄 중 하나인 인도에 반하는 죄가 성립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그 상황적 구성요건이다. 이 상황적 구성요건은 인도에 반하는 죄의 범죄정의의 핵심으로서 ‘민간인집단에 대한 광범위하거나 조직적인 공격’을 말한다 이러한 공격은 인도에 반하는 죄를 구성할 수 있는 살해, 멸절, 노예화, 고문 등의 구체적 행위 유형들을 둘러싸고 있는 민간인집단을 향한 전반적 폭력상황을 뜻한다. 즉 인도에 반하는 죄는 ‘개인적 행위의 층’에서의 기본행위와 ‘집단적 상황의 층’에서의 민간인집단에 대한 공격이라는 관념적 중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두 개의 층은 연결요건을 통해서 반드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 연결요건은 실체법적으로는 기본행위가 민간인집단에 대한 공격의 일부를 이룰 것을 요구한다. 국제형사법은 민간인집단을 향한 전반적 폭력상황이 ‘광범위하거나 조직적인 공격’이라는 외향으로 징표되는 객관적 위험성의 수준에 이르렀을 때 인도에 반하는 죄의 상황적 구성요건이 충족되었다고 선언하며, 그 본격적인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상황적 구성요건은 인도에 반하는 죄가 저질러졌다고 의심되는 어떤 사태에 대한 수사개시여부 결정과정에 있어서 주도적 고려사항이 되며 따라서 ‘관할권 요건’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이후 관련 형사절차가 진행되고 본안에 대한 판단을 할 때에는 이 상황적 구성요건은 인도에 반하는 죄에 대한 실체법적 구성요건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인도에 반하는 죄의 상황적 구성요건은 ‘관할권 요건’과 범죄구성요건의 두 가지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인도에 반하는 죄의 상황적 구성요건의 성립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가장 민감한 고려사항은 ‘광범위하거나 조직적인’이라는 요건과 ‘국가 또는 단체의 정책’이라는 요건이다. 이 두 가지 요건들은 민간인집단에 대한 공격이라는 전반적 폭력상항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동떨어져 있거나 무작위적인 어떤 개인의 개별행위를 인도에 반하는 죄의 적용범위에서 배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국제형사법은 인도에 반하는 죄와 관련하여 ‘국가 또는 단체의 정책’에 따른 ‘광범위하거나 조직적인’ 어떤 폭력적 상황에 이름을 부여하고 자기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데, 상황적 구성요건이라 이름 붙여진 사실은 국제형사법이 그 규범적 작동을 위하여 법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모’를 뜻한다. The most crucial issue to be considered in deciding whether a set of fact constitutes crimes against humanity is the contextual element thereof. This contextual ele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means a widespread or systematic attack against a civilian population. This attack signifies an overall circumstance of violence, surrounding the underlying acts of crimes against humanity such as murder, persecution, enslavement and torture and so forth. It thus follows that the concept of crimes against humanity has a two-layered structure composed of the ‘conduct level’ and the ‘context level.’ Through the nexus requirement, an underlying act at the ‘conduct level’ is required to form part of the attack against a civilian population at the ‘context level.’ Judicial opera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begins with a proclamation that the contextual ele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has been met. Such a proclamation can be made only when an overall circumstance of violence against a civilian population reaches the level of concrete threat signified by the ‘widespread or systematic attack.’ In this sense, the contextual element is the main issue to be examined in determining whether to initiate an investigation into a situation in which crimes against humanity has been allegedly committed. According, the contextual ele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has the nature of ‘jurisdictional element.’ Furthermore, when the relevant procedure reaches the stage of deciding on the merit and substantive law, the contextual element functions as an ‘element of crime.’ To sum up, the contextual ele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jurisdictional element’ and ‘element of crime.’ The tricky part of tackling the contextual ele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lies in the requirements of ‘widespread or systematic’ and ‘State or organizational policy.’ The rationale behind these two requirements is to exclude isolated or random acts from the notion of crimes against humanity. The contextual ele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signifies the minimum scale of violence for the activa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 KCI등재

        PMS의 광범위성이 동기부여, 역할명료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태종 한국회계정책학회 2023 회계와 정책연구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MS broadness on motivation, role clarity, and job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way the use of PMS broadness affects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Method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22 were collect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amovi v2.3.16 and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using Smart PLS v2.0 M3. [Findings] The breadth of PM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breadth of PMS has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and role clarity, and motivation and role clar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readth of PM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through the increas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role clarity of memb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the membe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financial/non-financial and results/input indicators containing information on organizational goals and activities, and indicators that can provide balanced perspectives and diverse perspectives to the members when organizing measuremen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MS의 광범위성이 동기부여, 역할명료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폭넓은 PMS의 이용이 개인 수준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한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122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jamovi v2.3.16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하고, Smart PLS v2.0 M3를 사용하여 가설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PMS의 광범위성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PMS의 광범위성이 동기부여와 역할명료성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동기부여와 역할명료성이 직무성과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PMS를 폭넓게 사용하는 것이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와 역할명료성 증가를 통해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성과측정지표를 구성할 때 조직목표와 활동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는 재무/비재무 지표와 결과/투입 지표를 포함하고, 구성원에게 균형 잡힌 시각과 다양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지표를 포함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이두형,신규호,이수현,한수봉,Lee, Doo-Hyung,Shin, Kyoo-Ho,Lee, Soo-Hyun,Hahn, Soo-B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화상흔, 만성골수염 등의 고위험인자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예후가 서구에 비해 나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2년 9월 사이에 본원에 내원당시 원격전이가 없었고, 치료 후 36개월 이상 외래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광범위 절제술 및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는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57.2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16명과 4명이었다. 병기는 TMN Stage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절제한 병변의 조직학적 분화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48.3개월(36~84개월)간의 외래 추적 결과 총 6예(30%)에서 전이가 있었다. 근접 림프절로의 전이가 3예, 원격전이가 3예였으며 원격 전이 장소로는 폐가 3예, 흉추가 1예였다. 최종 추시 상 생존은 18예였고 5년 생존률은 50%였다. 국소재발이 3예에서 있었으며 재발된 평균 시간은 11개월(4~18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광범위 절제술 시행 후 이식 피부의 부분적인 착상 실패가 2예가 있었다.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9번의 수술을 받았고, 절단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3번의 수술을 받았다. 결론: 우리나라에 상대적으로 흔한 사지에 생긴 화상 반흔이나 만성 골수염에 속발한 편평 세포 상피암은 높은 전이율을 보였으며, 광범위한 절제연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절단술과 비슷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know the treatment resul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had poor prognosis with risk factor including burn scar and chronic osteomyelitis.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Octorber 1993 and September 2002, 20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had no distant metastasis was got operation and followed over 36 months. Amputation was done when it was hard to get enough wide margin or neurovascular structure was involved instead of wide excision. Mean age of patients was 57.2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was 16 to 4. TMN staging and histologic grading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6 metastasis (30%) in 20 cases for mean 48.3 months (36-84 months). 3 metastasis to local lymph node and 3 distant metastasis were happened at lung (in 3 cases) and thorasic vertebra (in 1 case). Survival was 18 cases at last look. 5-year survival rate was 50%. 3 local recurrence was developed at average 11 months (4-18 months). Complication was focal skin defect after wide excision and skin graft in 2 cases. The patients by wide excision got average 1.9 time operation and by amputation got average 1.3 time. Conclusion: Squamous cell carcinoma at extremity in Korea had high metastasis rate due to burn scar and chronic osteomyelitis, and it showed equal treatment result which treated by wide excision compared with amputation.

      • KCI등재후보

        다분절 요추관 협착증에서 시행한 선택적 광범위 감압술 및 연성 고정술 - 단기 추시 결과-

        김기택,이상훈,석경수,이정희,서은민,곽윤호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3

        Study Design: A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of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with selective wide decompression for treating multilevel lumbar stenosis in old ag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Deciding on the segments to be operated on is challenging problem for old age patients with multilevel lumbar stenosis.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with selective wide decompression for treating multilevel lumbar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18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with selective decompression for multilevel disc degeneration and spinal stenosis. The mean age was 70.2 years and mean follow-up was 15.1 months. We evaluated the segmental angle, the range of motion (ROM) and pedicle screw loosening.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operative time, blood loss,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the back pain and leg pain and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ults: The mean number of operated segments was 2.16. The lordosis of the lumbar and operated seg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ROM of the total lumbar spine and the operation seg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6.8 to 24.3 and 22.9 to 13.1, respectively. The ROM for the adjacent seg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 radiolucent line around the pedicle screw appeared at 22 screws (19.3%) out of a total 114 screws. The VAS for back and leg pain were improved from 7.5 and 8.6 to 2.3 and 2.1, respectively. The ODI was improved from 41.5 to 13.4. Conclusions: The initial clinical outcomes were favorable after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with selective decompression. This procedure could be considered to be a useful option for treating multilevel stenosis in old age patients. 연구계획: 다분절의 심한 퇴행성 변화가 동반되어 있는 척추관 협착증의 수술 분절 결정은 쉽게 결론 내리기 어려운 문제로 선택적 광범위 감압술 및 후방연성 고정술에 대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고령의 다분절 협착증 환자에서 선택적 광범위 감압술 및 후방연성 고정술을 시행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 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분절 이상의 추간판 퇴행성 변화와 척추관 협착증을 동반한 환자에서 주 증상을 유발할 것으로 판단 되는 분절에 본 술식을 시행한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70.2세, 추시 기간은 15.1개월이었다. 방사선 학적으로 전만각과 분절간 운동범위, 척추경나사못 이완여부를 분석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수술 시간 및 실혈량, 요통 및 하지 통증의 Visual analogue scale (VAS)과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분절은 2.16분절이었으며 요추 전만각과 수술 분절의 전만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전 체요추의 운동범위 및 수술 분절의 운동범위는 수술 전 36.8도와 22.9도에서 추시 시 24.3도와 13.1도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수술 분절당 운동범위는 술 전 10.8도에서 5.8도로 감소되었으며 수술 부위 인접분절의 운동범위는 유의한 변 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척추경 나사못 주위의 방사선 투과성 음영은 전체 나사못 114개 중 22개(19.3%)에서 나타났다. 술 전 요통과 하지 통증은 VAS 7.5와 8.6에서 2.3과 2.1로 호전되었으며 ODI는 41.5에서 13.4로 호전되었다. 결론: 고령의 다분절 퇴행성 질환에서 증상을 유발하는 분절 만을 광범위하게 감압한 후 보조적인 고정을 시행하여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으며 장기적인 추시 결과는 아직 알 수 없으나 유합술에 따르는 다양한 합병증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선택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증례 : CD5- 소포림프종의 CD5+ 광범위큰B세포림프종으로 전환된 1예

        김형국 ( Hyeong Kug Kim ),조인성 ( In Sung Cho ),이혜경 ( Hye Kyung Lee ),최용훈 ( Yong Hun Choi ),조성민 ( Seong Min Cho ),문현진 ( Hyun Jin Moon ),이진아 ( Jin A Lee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2

        이차적인 CD5 양성 광범위큰B세포림프종에서의 적절한 임상적 치료에 대한 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증례는 장기간의 치료 기간 동안 잦은 재발을 보이는 소포림프종에서 좀 더 나쁜 예후를 보이는 CD5 양성 광범위큰B세포림프종으로 전환된 환자에서 기존에 알려진 치료와는 다른 구제요법을 통해 성공적인 치료성적을 보였고 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is the most frequent subtype of aggressive lymphomas. Approximately 10% of DLBCL cases express CD5 as a surface antigen. CD5-positive DLBCL can occur as the de novo or secondary type, De novo CD5-positive DLBCL arises without previous lymphoproliferative disease, and secondary CD5-positive DLBCL may or may not manifest as Richter syndrome. The transformation of follicular lymphoma (FL) into DLBCL occurs in approximately one-third of all cases. The transformation of CD5-negative low-grade B-cell lymphoma to CD5-positive DLBCL is extremely rare. We report the clinical features of a rare case that presented with a transformation from CD5-negative FL to CD5-positive DLBL over 11 years. This is the second such case published in the English literature.

      •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의 치료 및 예후

        이수용,박종훈,전대근,이종석,김석준,Lee, Soo-Yong,Park, Jong-Hoon,Jeon, Dae-Geun,Lee, Jong-Seok,Kim, Sug-J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목적 :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은 피부에 생기는 드문 종양으로서 부적절한 절제가 잦은 재발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이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와 예후의 관계를 연구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3월부터 본원 정형외과에서 치료한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환자중 추시 기간이 최소 12개월 이상인 14례를 대상으로 치료 방법 및 최종 추시까지의 상태를 점검하였다. 전례 모두 병리학적 진단하에 치료되었으며, 재발 후 전원된 9례를 포함한 13례에서 광범위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1례는 서혜부의 신경, 혈관이 종양과 인접하여 종양내 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술후 항암요법을 추가한 경우였다. 결과 : 재발후 전원되었던 9례의 평균 재발 회수는 1.3 (1~2)회였으며, 처음 수술 후 첫번째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1.8(2~24)개월이었다. 술후 최종 추시까지(평균 추시기간 50.8개월)에서 광범위절제술로 치료한 13례에서는 재발을 볼 수 없었으나, 병소내 전절제술과 항암제치료를 하였던 예에서는 반복된 재발을 보였고, 결국 폐전이로 사망하였다. 결론 :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은 반드시 생검을 통한 확진 후 초기에 광범위 절제연 이상으로 절제를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발은 최소한 2년까지의 추시가 있어야 그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DFSP) is a rare tumor of the skin with a strong tendency of infiltration to surrounding tissues. Inadequate surgical intervention brings about frequent recurrence and poor prognosis. We attempted to find a guideline for adequate treatment for DFSP. Materials and Methods : Fourteen cases who had been treated in our department since Mar. 1993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postoperatively were reviewed. Including nine cases who were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 after recurrence, thirteen cases underwent wide resection. One case was treated by intralesional resection followed by chemotherapy (CYVADIC) due to neurovascular abutment to the mass in the inguinal area. Results : The nine cases who were transferred due to recurrences experienced recurrence in average 1.3(1-2) times and the average period until first local recurrence from primary operation was 11.8(2-24) months. The thirteen cases with wide surgical margin showed no recurrence at the final follow up. One case treated by intralesion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showed multiple recurrence and died of the disease due to lung metastasis. Conclusions : From these data, we could find that primary wide resection can be the way of reducing recurrence and metastasis, and the follow up period for the detection of recurrence should be at least two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