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갑상선기능항진증환자에서 소장운동성의 동태 변화

        서정은,유재영,임규성,박형진,권혁일,김연근,이영천,김교명 대한내과학회 1990 대한내과학회지 Vol.39 No.2

        It is well-known that hyperthyroidism i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GI) motility disorders, such as frequent defecations and diarrhea. However, few studies have done a manometric analysis of GI motility, particularly the migrating motor comples (MMC)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The changes of MMC period and each phase occurred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are considered as a candidate of the magjor causes for GI manifest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GI motility as measured by manomet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GI motility and GI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This study was performed on nine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and six control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MC periods in the duodenum and proximal jejunum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were significantly shorten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subjects (p$lt;0.05). 2) A shortening of Phase l and prolongation of Phase II occurred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subjects (p$lt;0.05, p$lt;0.01, & p$lt;0.001). 3) The frequency of contractions of Phase Ⅲ in the duodenum and upper iejunum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subjects(p$lt;0.05 & p$lt;0.01). 4) The propagation velocity of Phase III in the duodenum and upper jejunum in patients with hyperthyroism was not significantly faster than in the control subjects.

      • KCI등재

        누구를 위한 사랑노래인가? T. S.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노래」를 중심으로

        서정은 한국T.S.엘리엇학회 2007 T.S. 엘리엇 연구 Vol.17 No.2

        Many critics have pointed out the self-reflexive character of T. S. Eliot’s early poetic work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With few exception, these critics have read the failure of poem as its main theme. On the contrary, I argue that the apparent failure of meaning-production on the surface level of the text derives from the deliberate choice of the persona called Prufrock who in many ways resembles the young poet behind him. Though yearning to linguistically articulate and resolve the psychic tensions clouding his mind, Prufrock refuses to accept both the readily-available resource of conventional language and the temptation of Romantic illusions. Against both the standardizing, homogenizing forces of the ready-made language and temptation of mystification, he attempts to carve out a room of his own in which he can prolong his quest for alternative ways of symbolization. In this respect, the apparent timidity and anxiety impeding his action are more of pretexts than defects. As in physical symptom in whose guise the repressed psychic impulse awaits for its moment of verbal representation, Prufrock’s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s a strategic front under which poet’s ego prepares to usher in his unnamed self. Prufrock’s love song is not dedicated to anyone real―either within or outside the text―but to this unexpressed self seeking for a name. His inaction is a testament to this labor struggling to defend this creative space and to maintain his fidelity to the unknown self.

      • KCI등재

        물질과의 상응작용으로서의 ‘제작(making)’ 개념 탐색: 탈인문적 미술교육철학에 대한 시론적 탐구

        서정은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2

        ‘Making’, as a bodily activity in which humans are related to materials, has been considered a cornerstone of arts education. Interestingly, however, the concept of making traditionally tends to be poorly illuminated because it accompanies carnal and repetitiv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cept of ‘creation’ that accompanies intelligent novelty. In this sense, this essay attempts to rethink the concept of making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making and articulate our self-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by assuming that making is the correspondence between human and non-human/materials rather than assuming it as hylomorphism. To do so, this essay introduces Tim Ingold and Jane Bennett’s material theories based on the New Materialism philosophy, which understand the meaning of making in the aspects of materiality rather than mentality. Finally, the essay attempts to show how the act of making can be educationally resourceful, exemplifying a post-humanist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of arts education. 인간의 몸을 사용하여 무언가를 만드는 활동, 즉 ‘제작’은 인간이 물질과 관계하는 신체 활동으로서 미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융합교육 등 교육에서 중요한 활동이자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제작이라는 행위는 몸을 동반한 수행적 측면으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정신적인’ 새로움을 동반하는 ‘창작’ 개념에 비하여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조형 활동 및 실기 활동에서 기초이자 중심을 이루는 제작이라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것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를 명료화하는 것은, 현재 행해지는 다양한 미술교육 실천들의 가치를 설명해주는 언어를 다양화 하는 데매우 긴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작에 대한 개념적 검토를 통해 그것을 ‘물질과의 관계를 새롭게 하는 활동’으로 재해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그간 제작 개념이 이해되어 온 방식을 검토하고, 그러한 개념 이해가 지니는 한계의 대안으로서 최근 신물질주의 철학적 논의들 가운데 제작과 물질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함의하는 팀 잉골드와 제인 베넷의 논의를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리하여 새롭게 재해석한 제작 개념 해석이 구체적인 미술교육 장면에서의 질문들을 어떻게 바꾸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에 대한 언어를 어떻게 다양화 해줄 수 있는지, 그 교육적 가능성을 시론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숨겨진 인용을 통한 두 세계의 병존과 대위: 헬무트 락헨만 《아칸토》(Accanto, 1975/76)의 경우

        서정은 한국서양음악학회 2011 서양음악학 Vol.14 No.3

        ‘Musical quotation,’ one of compositional techniques developed since medieval music, is represented in a new and original way in Helmut Lachenmann(1935- )'s Accanto: Musik für einen Solo-Klarinettisten mit Orchester. The quoted Mozart's Clarinet Concerto K. 622 remains intact, played by a tape recording, without being modified or united into Lachenmann's music; and is heard momentarily and intermittently while Lachenmann's radically experimental music is played on stage. Such a paradoxical quotation, i.e., unheard quotation despite coexistence through the playing time, is a kind of Lachenmann's reaction to 'aesthetic apparatus.' As a result of this hidden quotation, both Lachenmann's and Mozart's musical dimension coexist in a unique way, creating a contrapuntal relation in the following aspects: fetishistic and anesthetic world vs. introspective and critical world; meta-music vs. object music. 헬무트 락헨만(1935- )의 ‘한 명의 클라리넷주자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 《아칸토》에서는 서양의 중세 이후 발전해온 작곡기법중 하나인 ‘음악적 인용’기법을 새로운 차원에서 제시한다. 인용한 음악(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K. 622)이 변형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채 원형 그대로 테이프 재생을 통해 들려지는데, 다만 락헨만의 실험적 현대음악이 연주되는 동안 매우 일시적이고 간헐적으로 들리게 된다. 이처럼 공존하되 (거의 내내) 들리지 않는 역설적 인용은 락헨만이 말하는 ‘미적 장치’에 대한 그의 반응이라 할 수 있겠는데, 필자는 이를 통해 락헨만의 음악세계와 모차르트의 음악세계가 다음과 같은 독특한 방식으로 병존하면서 둘 사이의 대위적 관계가 발생한다고 본다: 물신화된 마취적 세계와 각성된 세계, 그리고 메타음악과 대상음악의 병존 및 대위.

      • KCI등재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정은,박혜원 인지발달중재학회 201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2 No.1

        본 연구는 울산 지역의 일반 아동 101명과 주의문제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이 실 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유아의 실행기능 중 ‘주의전환’을 살펴보면 일 반유아에서는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주의문제 유아는 내면 적 동기화와 관련된 자기정서의 이용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지능이 실행 기능에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 간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일반 아동과 주의문제 아동의 비교

        서정은,박혜원 인지발달중재학회 201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울산 지역의 일반 아동 101명과 주의문제 아동 50명을 대상으로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 중‘주의전환’을 살펴보면 일반유아에서는 또래와의 관계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주의문제 유아는 내면적 동기화와 관련된 자기정서의 이용이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요인이 두집단 간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xecutive functions with 101 normal & 50 attention-deficit children in Ulsa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diversion' factor of executive function was explained by the peer-relationship factor of EM in normal children but it was explained by the use of self-emotion factor of EM in attention-deficit children. The 'plan organization' factor of executive functions was explained by peer relationship in normal children, but the use of self-emotion had an effect on children with attention problems. It was suggested that executive function factors that affects EM were different between normal & attention-deficit childr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