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지구과학회지 논문(1979-2014)의 정량적 분석

        조영선,김정률 한국지구과학회 201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5 No.7

        In the celeb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the whol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JKES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JKESS has played a major role in exchanging academically among earth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and in educating next generation for the last 36 years since it was founded in 1979. The total number of 1544 articles in thirty five volumes about the earth sciences and the earth science pedagogy has been published by August, 2014, and the number of the yearly published articles has been increasing. Regarding the research area, 69.3% was published in earth sciences and the other 30.7% was in earth science education; the percentage of research articles in geology, atmospheric science, environmental science, oceanography, and astronomy was 55.2, 17.6, 16.0, 6.0, and 5.2%,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atmospheric science and environmental scienc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whereas,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articles have been decreasing, which was similar to the pattern seen fifteen years ago. We thought that one of the reasons was related to anew journal nam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started to publish in December, 2008. The number of articles authored or co-authored with foreigner scholars was totaled 53, which is only 3.4% of the entir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t suggests that international advertisement via public relation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nglish homepage be necessary. In order to become an excellent registered academic journal, it is the time to comprehensively discuss how to improve both the quality growth and the quantity of JKESS. According to the Ministryof Education, it is now in its planning stage to convert the current registration system of the academic journals to the autonomous evaluation system in academia. Therefore, we recommend tha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be prepared for the upcoming future change. 한국지구과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1979년 창간 한 이후 36년간 지구과학과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의 학술교류와 다음 세대 교육에 큰 역할을 한 한국지구과학회지에 출판된 논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구과학회지를 통하여 2014년 8월 기준 35권 1,544편의 논문이 실렸고, 년 간 실리는 논문 수도 증가하여 왔다. 한국지구과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은 지구과학 내용학 관련 논문이 69.3%, 지구과학 교육학 논문이 30.7%이며, 내용학 논문 중 지질학 55.2%, 대기과학 17.6%, 환경과학 16.0%, 해양학 6.0%, 천문학 5.2%의 분포를 보였다. 최근 들어 대기과학과 환경과학논문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지구과학 교육학 관련 논문수는 15년 전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2008년 12월 창간호를 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의 창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외국인 저자들의 공동 참여 논문 수는 53편으로 전체 논문의 3.4%에 불과하여 한국지구과학회지가 우수등재학술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학회지의 양적인 팽창 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영문 홈페이지 개선과 함께 국제적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육부는 앞으로 학술지 등재제도의 지나친 문제점의 발생으로 학술지 등재제도폐지를 통한 학계 자율평가체제로의 전환을 구상 중이며 한국지구과학회지도 이러한 미래의 변화에 대해 철저히 준비하여 학회의 위상을 제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김민재,김동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s” section of a thesi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esents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published by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the conclusion section was analyzed on the four-year academic papers published.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ding chapter and the number of conclusion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most commonly used title for the conclusion section w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was 85.4 lines or 2.1 pages.. Th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lusions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s in sentence units, we found stages as a kind of semantic unit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 we obtained that these stages are often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ages. Finally, a conclusion template for papers common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raf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more, specific thesis regard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might be prepared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논문 결론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분석한 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의미 구성단위로서의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과학 교육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 논문의 글쓰기 실태를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과학교육 연구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양적 연구를 더 많이 하는 특징이 있어 논문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번역투는 순수한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에서 유래한 상투적 표현을 말한다. 한국어 기초 문법은 호응의 문제, 맞춤법·띄어쓰기·문장 부호의 문제, 사동 표현의 문제, 무분별한 영어 사용의 문제로 정리하였고, 번역투는 영어번역의 문제, 일본어 번역의 문제, 영어와 일본어 번역의 문제로 구분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 호에 실린 논문 9편의 글쓰기 중에서 한국어 기초 문법에 어긋나는 사례와 번역투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문제를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문제사례는 ``~적``, ``영어 사용``, ``복수 표현``, ``하다류 피동``, ``~고 있는``, ``~을 통하여``, ``~에 대하여``, ``가지다``, ``관형격조사 ~의``, ``사물주어 수동태``, ``사동(시키다)`` 등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과학교육 소 논문의 글쓰기 특징을 ``양적 연구의 글쓰기``, ``학술 연구의 객관적 글쓰기``, ``외국에서 유래한 연구의 글쓰기``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과학교육 논문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는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에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사례와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과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한국정보교육학회 게재 논문들의 추세적 변화에 대한 고찰

        문외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6

        Many papers are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for objectively validating research results and evaluations. This study collected articles published from 2008 to October, 2018 (10 years) of KAIE, which is a representative KCI registration institute which publishes various research related to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and classified and analyzed by 10 subject areas . As a result, 34.2%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topic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were found in the whole papers, and 33%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is society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citations of papers relating to software education. Many of the remaining articles analyzed by subject area were overlapped with software education in the field of small scale medicine. In the future, a considerable number of researchers are expected to focus on software education. 많은 논문들은 연구성과와 평가를 객관적으로 검증받기 위해 KCI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정보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물을 게재하는 대표적 KCI등재 학회인 한국정보교육학회지의 2008년부터 2018년 10월(10년간)까지 게재된 논문을 수집하고 10개의 주제분야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소프트웨어교육에 관련된 주제로 발표된 논문이 전체 게재 논문 중에서 34.2%로 나타났으며, 본 학회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논문의 인용회수가 3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나머지 분석된 주제분야별 게재논문에서도 상당수가 소주제분야에서 소프트웨어교육과 중첩되어 있었다. 향후, 상당수의 연구자들 연구방향은 소프트웨어교육에 치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대학 논문 작성 교육의 과정적 접근과 다면피드백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박현희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0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research paper writing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by proposing a teaching strategy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process approach with a multi-faceted feedback (MFF) system. Based on the writing pedagogy of a ‘Social Science Writing’ course offe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presents a process approach educational model, the roles of MFF,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drawing special attention to the research aspects of research paper writing, this study developed steps in teaching how to write a research paper. The writing process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steps. The first step requires understanding the basics of writing a research paper and ‘finding the writing topic’ (topic selection draft form). Step two 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cess and ‘study design’ (research proposal). Step three requires getting feedback on the proposal and revisiting and revising it. Step four involves revising the proposal, carrying out the research, and writing the research paper. Step five necessitates receiving feedback on the paper and making final revisions (final revised paper). By the instructor offering MFF in each step, students have a chance to experience interactivity, revisiting, and parallelism while writing a research paper, ultimately improving their research paper writing. In fact, the majority of students wrote a better research paper by integrating the feedback derived from each step. Incorporating MFF into the process approach is believed to be a highly effective method for teachers to use when instructing students in writing better quality research papers.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으로 기존의 과정적 접근을 보완한 교육과 다면피드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수업의 논문 작성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과정적 접근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수업 방법과 다면피드백의 역할과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논문 교육의 과정적 접근으로 논문의 특수성, 즉 연구 과정으로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육 단계를 마련하였다. 논문 작성 과정을 1단계 논문의 이해 및 ‘연구주제 탐색’ 단계(주제선정기안서), 2단계 논문 작성의 이해와 ‘연구계획하기’(연구계획서), 3단계 연구계획서 피드백과 회귀적 점검·수정 단계, 4단계 연구계획 수정· 연구 실행과 논문 초고 작성 단계, 5단계 초고에 대한 피드백과 최종 수정 단계(최종 수정 글)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다면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논문 쓰기의 상호작용성, 회귀성, 병렬성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보다 나은 논문을 작성하게 된다. 실제로 대다수의 학생들은 글쓰기 각 단계에서 이뤄진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하여 수정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 과정적 접근과 다면피드백시스템을 활용한 논문 작성 교육은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논문을 작성하는 데에 상당히 유효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학생의 논문에 나타난 서론 서술의 특징

        조광희(Jo, Kwanghe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이 작성한 연구 논문의 서론 부분을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 학술지에 2009년부터 2019년 사이에 게재된 총 48편의 과학 분야 논문을 시기별로 조사하고, 그 중 서론 형식이 유사한 23편을 대상으로 장르 분석 방식으로 서술 단계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학생들이 작성한 논문의 서론 서술 방식은 시기별로 다른 특징을 보였다. 초기에는 대부분 서론 단독으로 도입부를 구성하였으나, 최근에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이론적 배경을 분리하여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전반적으로 서론을 서술하는 문장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서론 서술 단계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학생이 작성한 서론은 전반적으로 전문 연구자 집단의 연구 논문과 유사하게, 기본적인 서술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의 유기적 제시, 타당하고 적절한 논리 전개, 연구 목적의 도출 등에 있어 일부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교육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introductory part of research papers written by science-gifted students was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To this end, a total of 48 scientific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from 2009 to 2019 were surveyed by period, and among them, 23 articles with similar introductory formats were examined in a genr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types of introductions written by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eriod. In the early period, introductory parts were composed mostly of introduction alone, bu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delineate research go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separately. In addition, overall, the number of sentences describing the introduction has been on the ri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narrative st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troduction prepared by the science-gifted students generally contained the basic narrative stage, similar to the research paper of a group of professional researchers. However, there were some inadequate aspects in the presentation of previous researches and related data, development of valid and appropriate logic, and derivation of research purposes. In view of these poin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ollow-up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

        국내 지구 과학 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신동희,Shin, Dong-Hee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4

        ${\ulcorner}$한국지구과학회지${\lrcorner}$가 발간된 지 20년이 지난 이 시점에 우리 나라 지구 과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ulcorner}$한국지구과학회지${\lrcorner}$에 게재된 106편의 지구 과학 교육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양적 측면의 분석 결과, 지구 과학 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2년 동안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주제 측면에서 보면, 지구 과학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우주 과학, 지질 과학, 대기 과학, 해양 과학 등의 ,세부 영역별 연구가 동일한 비중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연구의 대상 측면에서 보면, 교사보다는 학생 , 특히 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연구의 방법 측면에서 보면, 교과서나 교육 과정을 분석하거나 검사 문항 등을 활용한 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고, 문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의 내용 측면에서 보면,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반면 평가나 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es published in ${\ulcorner}$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lrcorner}$ during last 20 years, 106 artic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researches in earth science education has increased, especially in recent two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areas. general earth sciences were studied more than other areas such as astronomy, geology, and meteor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s, students, especially high-school students, were studied more than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methodology, survey including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or curriculum were most preferred. In contrast, literature study were never accomp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researches of leaching/learning were the most common. It is notable that few studies were about educational assessment or teacher training.

      • 科學敎師의 科學的 態度 調査

        朴勝太 全北大學校 師範大學 1975 사대논문집 Vol.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science and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further, to consider the following questions in detail : 1)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among the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science students at college? 2)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between the science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ose from institutions other than the college of education? 3)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among the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A sample of 258 science teachers were chosen from among the science teachers who were prticipating in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given at Jeonbug, Kyungpook, and Seoul National Universities during the summer of 1975, and 26 college students from among the senior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Jeonbug National University. The Scientific Attitude Scale was developed by the author. For the analysis of data, analysis of variance and test of significance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⑴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were found between the science teachers, and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science teachers who had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ose from other institutions: ⑵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⑶ all group revealed a low positive score in the scientific attitude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