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재영(Han JaeYoung),이지영(Lee Chiyoung),이혜인(Yi Hyein),노태희(Noh Tae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행 의지, 교사의 배경 변인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44명의 초ㆍ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절반 이상이 한 학급당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 교사들은 주로 성적과 성별이 다른 4명을 한 조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조별 및 개별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보상하거나 협동학습에 임하는 태도를 고려한 평가를 많이 하였다. 이 교사들은 협동학습에 적합한 주제로 STS 주제들을 선호하였다. 협동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무임승차 효과, 협동학습 모형, 실시 가능한 학급 규모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편이었다. 이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협동학습 실행을 장려하는 외부요인들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협동학습을 실행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교직 경력이 긴 교사들은 그러한 외부의 지원을 얻기 쉽다고 인식하였다.   We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instruction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44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science instructions. More than half of them implemented cooperative learning once or twice a month. The teachers mainly organized 4 students into one group, who were heterogeneou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gender. In many cases, the teachers rewarded students on the basis of both group and individual scores, and evaluated them on the basis of their attitud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preferred STS issues to the others as the topics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test scores for the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were generally high, but low for the issues of ‘free rider’,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class size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e teachers, in general, perceived that cooperative learning was useful but there were not enough outside aids to implement it. However, the teachers with willingnes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and with long career years perceived that they can easily obtain outside aid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 KCI등재

        전기 자동차용 니켈수소 배터리 1차원 열전달 모델링

        한재영(Jaeyoung Han),박지수(Jisoo Park),유상석(Sangseok Yu),김성수(Sung-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8 No.3

        전기 자동차의 연료 소모량은 배터리 성능에 의존한다. 배터리의 성능은 작동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배터리 온도 관리는 성능과 내구성을 보장한다. 특히, 배터리 팩에서의 모듈의 온도 분포는 냉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모듈 사이의 온도 분포를 확인 할 수 있는 배터리 열적 모델링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배터리 모델은 NiMH 각형 모델이며, 10개의 모듈로 구성되어졌다. 배터리 열 모델은 열 발생, 채널을 통과하는 대류 열 전달 그리고 모듈 사이의 전도 열 전달로 구성되었다. 배터리 내에서 발생되는 열발생 모델은 충/방전 동안의 전기적인 저항열에 의해 계산되어 진다. 모델은 전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운전 동안 적절한 열관리의 전략을 결정한다. Fuel consumption rates of electric vehicles strongly depend on their battery performance. Because the battery performance is sensitive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battery ensures its performance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mong modules in the battery pack affects the cooling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rmal modeling of a battery pack to observ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mong the modules. The battery model is a prismatic model of 10 NiMH battery modules. The thermal model of the battery consists of heat generation, convective heat transfer through the channel and conduction heat transfer among modules. The heat generation is calculated by the electric resistance heat during the charge/discharge state. The model is used to determine a strategy for proper thermal management in Electric vehicles.

      • KCI등재후보

        해외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

        한재영(Han, JaeYoung),홍준의(Hong, Juneuy),서혜애(Seo, Hae-Ae),신세인(Shin, Sein),임성민(Im, Sungmin),차정호(Cha, Jeongh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해외봉사활동을 나가면 주는 것보다 받는 것이 더 많다고 흔히 말한다. 특히 해외교육봉사활동에서는 현지 학생과 봉사단원이 직접 상호작용을 하므로 이러한 주고받음이 활발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수행한 예비교사들이 무엇을 주고받으며 성장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 4주 이상 해외에 나가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을 수행한 4개 대학의 교수들이 봉사활동 결과 보고서, 예비교사들의 최종 보고서, 일지, 포트폴리오, 평가회 기록물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가 경험하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틀로 ‘교육’, ‘봉사’, ‘해외’의 3개 범주를 설정하였다. ‘교육’ 범주에는 ‘수업 준비’, ‘수업 진행’, ‘수업 반성 및 개선’, ‘코티칭 경험’, ‘교사관 및 학생관’의 소범주가 있으며, ‘봉사’ 범주에는 ‘봉사관’, ‘단체 활동’, ‘정리’의 소범주가, ‘해외’ 범주에는 ‘언어/비언어’, ‘문화’, ‘촬영’, ‘여행’의 소범주가 있다. 각 소범주에 따라 예비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해 나간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해외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사에게 미친 영향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문화역사활동이론에서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6가지 하위 요소(주체, 객체, 도구, 규칙, 커뮤니티, 역할분담)와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 내용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해외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사 교육에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해외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Normally, the person doing an overseas voluntary activity gets more than he gives. I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the volunteer communicates with students abroad a lot in the lesson.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while doing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has supported the project that helps pre-service teachers to go abroad more than four weeks for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he authors are the professors from the university that carried out this project. We analyzed the final report by a leading professor, and pre-service teachers’ report, the journal, the portfolio, and the record of reflection etc.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the categories of ‘education’, ‘voluntary activity’, and ‘abroad’. The education category includes ‘preparation of the lesson’, ‘progression of the lesson’,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lesson’, ‘experiencing the coteaching’, ‘views o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s the subcategories. The voluntary activity category includes ‘view on the voluntary activity’, ‘group activity’, and ‘reporting’, and the abroad category includes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culture’, ‘recording’, and ‘trip’, We described how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ability in each subcategory. In addition, to overview the influence of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 analyzed the link between the six elements of activity system according to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subject, object, tool, rule,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and the professional ability developed.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derived the necessity of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is project.

      • 연료전지 내구 특성 예측을 위한 모델 개발 연구동향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전망 Vol.22 No.4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화탄소 배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신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중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PEMFC)는 내연기관을 대신에 자동차 동력원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양산화를 위한 노력을 전 세계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소 자동차가 시장과 소비자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내구성을 개선하여야 한다. 현재 선진사들을 중심으로 수소 자동차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대부분 실험적 방법으로 내구성의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기고문에서는 내구성에 영향을 받는 인자, 연료전지 시스템 내구성을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소 자동차 내구성 모델 개발에 필요한 수식에 관한 연구, 그리고 내구성 개선을 위한 해석적 방법(simulation)에 관한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인솔하는 교수의 삶과 배움

        한재영(Han, JaeYoung),서혜애(Seo, Hae-Ae),신세인(Shin, Sein),임성민(Im, Sungmin),차정호(Cha, Jeongho),홍준의(Hong, Juneuy)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3

        대학생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인솔하는 일은 매우 힘들지만, 이것을 계속하는 교수들이 있다. 이 연구는 해외교육봉사활동에 대해 연구하는 장기 프로젝트의 일부로, 봉사활동을 인솔하는 교수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국립국제교육원의 지원을 받아 해외교육봉사활동을 1회 이상 운영한 교수 7명이다. 봉사활동 일지, 봉사활동 평가 회의록, SNS 대화 내용 등을 모아 기본 자료로 삼고, 참여자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문화역사활동이론에서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6가지 요소에 따라 봉사활동 인솔교수의 삶과 배움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인솔교수는 봉사활동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지만 보람을 느끼고, 삶의 모습이 변화된다. 현지에서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며, 의사소통과 쉼의 중요성, 현지어 학습의 중요성과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봉사활동 중 안전 관리, 예산 관리, 현지 기관이나 현지인과 긴밀한 협조 및 의견 조율의 중요성을 깨달으며, 가족과 일상의 소중함도 느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자기 관리와 적절한 역할 배분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활동체계 안에서 나타나는 갈등은 봉사활동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에 영향을 주며, 인솔교수와 봉사단원의 배움과 발전에 기여한다. 인솔교수는 봉사활동 전체 과정에서 긍정과 부정의 감정을 다양하게 경험하며,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힐링과 행복감을 느꼈다. 이 논문은 봉사활동 관리자 교육에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Undertaking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for university students is very hard, but some professors continue to do this. As part of a long-term research project o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leading such voluntary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seven professors who had more than once led a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We collected data from participants interviews, based on voluntary activity journals, evaluation meeting reports, and dialogues in social network service as basic data sources. Based on data analysis, we described the participants lives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ir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ix elements of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lthough the activity was time intensive, the professors found it worthwhile and believed that certain aspects of their lives had subsequently changed.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rest, learning the local language, and sharing information while they solved problems and overcame personal challenges. Furthermore, they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management, budgeting, close collaboration, and getting along with the locals, as well as the value of their families and everyday lives. As they took on diverse roles,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adequate role distribution. Conflicts in the activity system affected their values and attitudes toward voluntary activity in a way that contributed to their learning and growth. The professors experienced many different kinds of feelings,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roughout the voluntary activity, which made them experience healing and happiness. This paper can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to educate voluntary activity managers.

      • KCI등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TGT(Teams-Games-Tournaments) 협동학습의 교수 효과

        한재영(Han Jaeyoung),권은경(Kwon Eunkyung),노태희(Noh Tae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2

        학습자 중심의 열린 교육에서 교수 학습의 개별화와 소집단 학습이 모두 가능한 방법으로 TGT 협동학습이 제안된다. 이 연구에서는 물질의 입자성이 강조된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TGT 협동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2학급 59명을 각각 협동학습 집단, TGT협동학습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 운동',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에 대하여 13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이전에 학급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처치 후에는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에서 TGT 협동학습 집단이 힘동학습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학업 성쥐도와 학습 동기에서 두 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또한 TGT 협동학습의 장ㆍ단점과 TGT 협동학습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인식을 논의하였다. TGT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a method which enables both th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nd the small group learning in students-centered ope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a TGT cooperative learning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Two classes of seventh graders (N=59) at a co-ed middle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three states of matter', 'motion of molecules' and 'change of state and thermal energy' for 13 class hours.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was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the conception test, the achievement test, and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were administer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in the conception tes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cores of the achievement test and in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Advantage/disadvantage and usefulness of TGT cooperative learning were also discussed.

      • 하이브리드 자동차 열관리를 위한 리튬 이온 배터리 열관리 2차원 모델링

        한재영(Jaeyoung Han),김성수(SungSoo Kim),유상석(Sangseok Yu)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E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depends strongly on their batter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sensitive to battery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will affect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and improve performance and extend the life.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ell to cell in battery pack differ for cooling characterisrics and cooling methode. It is desirable to have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5°C from cell to cell. Appropriate modeling for Automotive application battery thermal management shortens the battery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presents temperature distribution between cell for cooling characterisrics and cooling methode through a two-dimensional using the Matlab/Simulinkⓡ. The battery assumes prismatic and consists of 10 cell. Battery thermal management model consists heat generati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Especially The heat generation model considers charge/discharge stat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emperature distribution of between cell for appropriate battery thermal management, and By applying the integrated model of a lithium-ion battery, while driving the battery to ensure proper thermal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