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적 치유와 제의로서 북한 영화 : <자강도 사람들>을 중심으로

        전영선 ( Young Sun Jeon ),권정기 ( Jeon Kee Kwon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1

        ?집단적 치유와 제의로서 북한영화 읽기?는 영화 <자강도 사람들>이 집단적 치유와 국가적 의례로서 제작 되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자강도 사람들>은 2000년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제작되어, 2001년에 개봉되었다. 2001년 5월에는 조선중앙TV를 통해 방영되었다. <자강도 사람들>은 1990년대중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자강도의 발전소 건설 과정을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에서 주목되는 것은 ``고난의 행군``을정면으로 다루었다는 것이다. 북한 문학 예술에서 ``고난의 행군``을 다룬 작품은 많지 않다. 1990년대 중반의 위기 상황은 북한 전체가 겪어야 했던 집단적 위기 상황이었다. 식량난, 자원난, 외화난으로 인해 수만에서 수십만의 죽음이 있었다. 영화에서도 고난의 행군 시기 자강도 사람들이 겪었던 문제를 정면으로 드러낸다. 먹을 것을 찾아 눈 덮인 벌판을 헤매다 죽은 정만호는 <자강도 사람들>을 상징한다. 북한 영화에서 죽음은 수령이나 체제를 위한 헌신적인 희생으로 그려졌다. 북한 영화에서 먹을 것이 없어 눈밭을 헤매다 죽는 장면은 거의 없다. 눈보라 치는 험한 환경도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상징되기 때문이다. 그 만큼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이 겪어야 했던 고난이 어려웠음을 보여준다. 정만호 뿐만 아니라 병실에서 암으로 죽어가면서도 약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는 발전소 건설단의 여단장인 강호성의 아내 리선희, 발전소 건설을 위해 굴착작업에 나선 노동자들에게 옥수수 알갱이 40알을 확인하고 주어야 하는 처녀대원들의 모습은 고난의 행군에 대한 사실적인 고백이다. 예술이 국가의 절대적인 영향과 통제 안에서 이루어지는 북한에서 이런 영화를 만들고 방영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글에서는 집단적 치유를 명분으로 한 북한 체제의 자기 서사의 회복을 위한 과정으로 분석한다. 고난의 행군은 북한 당국의 이름으로 명명된 것이었기에 고난의 행군이 끝났음을 의미하는 집단적 문화의식이 필요하였다. 2000년 들어 북한 당국이 강조한 강성대국 건설이라는 목표는 고난의 행군에 대한 출구 없이는 설득력을 갖기 어려웠다. 고난의 행군이 완전하게 종결되었음을 선언하는 문화적 행위가 필요하였다. ``고난의 행군``이라는 집단적 트라우마로부터 벗어났음을 확인하는 집단적 치유 과정이 필요하였다. 고난의 행군의 원인을 제시하고 결과로서 승리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고난의 행군 트라우마에서 공식적으로 벗어 났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비판적 기억의 재구성 과정이 아니었다. 북한체제의 개입으로 진행된 집단적 기억의 재구성 과정이었다. 영화를 통해 고난의 행군에 대한 ``집단적 기억의 재구성``이 이루어진 것이었다. 드러내기는 불편하지만 반드시 지나갔음을 선언해야만 하는 ``고난의 행군``에 대한 문화적이고 의례적인 종식 선언이 바로 <자강도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Reading North Korean Film as Collective Treatment and Suggestion?is to illuminate that the film <People of Jagang-do> was produced for collective treatment and as a national occasion. <People of Jagang-do> was produced by Joseon Arts Movie Studio in 2000, and released in 2001. In May of 2001, it was broadcasted through the Joseon Central TV. <People of Jagang-do> is a movie that pictur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power plant in Jagang-do during the period of the ``Arduous March`` during the mid-1990s. The significance of this movie is that it directly issued the theme of the ``Arduous March``. Among North Korean art and literature, there are not many works handling the theme of the ``Arduous March``. The crisis during the mid-1990s was a collective experience that influenced all of North Korea. Food crisis, resource crisis, and foreign currency crisis resulted in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death. Likewise, in the movie, the problems that the people of Jagang-do had to face during the period of the ``Arudous March`` are explicitly revealed. Chung Man-ho, who died while wandering around snow-covered fields to find food,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of Jagang-do>. In North Korean movies, death is commonly portrayed as devoted sacrifice for their leader or the social system. In North Korean films, there are hardly any scenes with people dying in snow-covered field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food. Hazardous environment such as a snow storm would be perceived as a symbolic hardship that needs to be overcome. This implies that the adversity North Korea had to go through during the ``Arduous March`` was tormenting. Not only Chung Man-ho but also the features of Lee Sun-hee, the wife of the power plant construction brigade commander Kang Ho-seong, who had to die of cancer with the lack of medication; and young female workers, who had to make sure the workers of the power plant excavation construction each received 40 seeds of corn, are a realistic confession of the ``Arduous March``. What could be the motives of North Korea to produce and broadcast this film, considering that art activity is usually allowed only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and control of the government.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as a process for restoration of the self-narrative epic of North Korean social system under the pretext of collective treatment. As the ``Arduous March`` was nam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re was a need to form a collective cultural consciousness signify- ing the end of the ``Arduous March``. The goal of building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increasingly emphasized since 2000, could not be persuasive without finding the exit to the ``Arduous March``. Thus, there was a need for a cultural act to announce the complete end of the ``Arduous March``. A collective treatment process to confirm the escape from collective trauma of the ``Arduous March`` was necessary. By suggesting the causes of the ``Arduous March`` and showing the process of winning as the result, it is to announce that they have officially overcome the collective trauma of the ``Arudous March``. This process was not a critical reconstruction process of memory. It was a reconstruction process of collective memory influenced under the intervention of the North Korean social system. The ``reconstruction of collective memory`` regarding the ``Arduous March`` was achieved through the movie. Although it was disturbing to reveal, the passing of the ``Arduous March`` had to be proclaimed, and the cultural and ritual announcement to mark the end of the ``Arduous March`` happened to be precisely the <People of Jagang-do>.

      • KCI등재

        탈북 작가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가치관의 변화 양상 연구 - 고난의 행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중심으로 -

        Seema null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4

        본 논문은 탈북 작가의 단편소설에 투영된 고난의 행군 시기와 그 이후의 북한 사회와 인민의 일상을 분석하면서 고난의 행군이 북한 인민들에게 미친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1990년대의 경제난은 북한 사회와 주민들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가져왔기 때문에 고난의 행군은 탈북 작가 문학에서 끊임없이 재생되는 주제 중 하나이다. 고난의 행군은 북한 경제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더불어 북한 인민의 일상과 가치관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 식량 배급이 중단되면서 주민들은 살아남기 위해 거래 활동을 통해 스스로 먹을 것을 구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적인 당 사상이 강한 인물들도 생계유지를 위해서 북한의 비공식적인 시장인 장마당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처음 장마당의 거래 활동은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돈에 집착하면서 시장화를 수용하여 이윤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했다. 따라서 고난 행군 시기에 장마당의 형성과 시장화의 수용은 북한의 사회주의적인 가치관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여성은 가사 노동을 전담하였는데, 고난의 행군 시기에 가족의 생계까지 여성의 몫이 되었다. 따라서 책임감이 강한 여성은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집을 떠나 경제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돈을 벌기 위해 여성은 필요에 따라 몸을 팔기도 했다. 당시 경제 활동은 주로 여성들이 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남성은 군대에 가거나 건설 현장에 가야 했기 때문이었다.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시작하게 시작된 여성의 경제 활동은 비도덕적인 면도 있었지만, 여성이 당시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넓혔고 더 중요한 자리에 앉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고난의 행군 시기 장마당 활동을 비롯한 시장의 수용 증가에서 당시 북한 주민의 사회주의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대의 이러한 변화와 같이 북한 여성의 역할도 점차 변했다. 고난 행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는 사회주의가 없었다면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북한 사람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즉 시대의 변화와 함께 변해가는 북한 주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난의 행군과 북한주민의 마음: 국가가 기억하는 "고난의 행군"

        이우영 ( Woo Young Lee )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1

        ‘고난의 행군’은 북한체제 전반에 영향을 미쳤는데 구조적인 차원뿐만이 아니라 사회구성원들도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고난의 행군’을 ‘북한 주민의 마음’이라는 미시적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고난의 행군’이 역사적 트라우마로서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가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북한 당국이 고난의 행군을 어떻게 기억시키고 있는가’, ‘역사적 트라우마로서 고난의 행군은 북한주민들의 마음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공식 문건에 나타나는‘고난의 행군’의 기억은 위기와 고통이었고, 그것을 극복하는 기제는 과거의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공식 문건이 설정한 위기의 원인은 외부에 있거나 불가피한 일이었으며, 극복의 주체는 개인이었다. 이 과정에서 ‘고난의 행군’의 기억에 대해 국가의 공식문건과 문학예술작품 간의 균열을 볼 수 있었다. ‘고난의 행군’에 대한 기억은 트라우마화 되어 마음체계를 구성하는 장이 되고 있는데, 그 특징인 이념과 윤리가 아닌 물질의 중시, 집단보다 중요한 개인의 대두, 국가와 공동체에 대한 불신, 의식의 퇴행 등은 북한 주민들의 기존 마음체계의 근본을 흔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rduous March’ has affected North Korea throughout its entire system, including its people.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March at the micro-level on the mind of North Korean people. This article then focuses on the March as historical trauma and how it is remembered, arguing the regime’s role in people’s memory of the event and its effect on their mind system. The official documents on the March account it as a threat and suffering, and the solution to overcome the issue was to rely on similar experiences from the past. The cause of the ‘threat’ was either an external factor or something inevitable and it was the people themselves that helped overcoming the threat. There is also a distinction in portraying the March between the official state documents and literature. The memory of the Arduous March has traumatized the mind systems of the people. What’s important to point out here is that the affected mind systems then prioritizes materials over ideologies and ethics, individualism over collectivism and raises distrust of the state and the community while the regression of consciousness to shook up the core foundation of the mind systems of the people.

      • KCI등재후보

        ‘고난의 행군’ 세대의식과 체제변화

        이기동(Lee Gee Dong) 북한학회 2011 북한학보 Vol.36 No.2

        이 글은 세대의식의 변화가 체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이라는 공통의 트라우마를 경험한 세대가 현재와 미래의 북한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고, 앞으로 미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사회주의권의 붕괴, 김일성 사망, 그리고 전대미문의 기근은 당시 청소년기를 보내던 세대들에게 정신적 외상이 되었다. 이러한 정신적 외상은 고난의 행군세대들에게서 공식적 가치지향과의 괴리, 체제유지에 대한 책임감 약화, 시장ㆍ한류 친화적 문화 체득이라는 세대의식의 변화가 발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대의식의 변화가 향후 5년 내 북한체제에 미칠 영향을 변화의 주체, 변화의 방향, 변화의 성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향후 5년 이내에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퇴행적 변화(사회적 억압)가 주로 나타날 것이지만, 북한 사회내에서 의미있는 변화는 지속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This article have purpose of looking over how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affect the change of system and especially, in N.K how the generation experiencing same trauma which is so-called ‘March of Suffering’ has affected present and future of North-korean system and will affect in future. First, the collapse of socialism, the death of kim il sung, and the unprecendented famine become spiritual trauma to the generation which went through its adolescense. This trauma for ‘March of suffering’ generation made the cha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like disjunction with value orientation, weakening responsibility for regime security, marketㆍhanryu friendly culture learning revealed. And the impact from this change of generation-consciousness to North-Korean system in the next five years is analyzed by dividing the subject of change, the direction of change and the charater of change. As a result, the conclusion that in the next five year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hange of the lower part and the regressive change(social oppression) is mainly occurred, however, meanigful change will be continued in North Korean society is reached.

      • 김정은의‘고난의 행군’과 ‘자력갱생’노선 선택 의도 및 미칠 영향

        유판덕 ( Yoo Pan-duck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1 접경지역통일연구 Vol.5 No.1

        이 글은 김정은이 최근 선택한 ‘고난의 행군’과 ‘자력갱생’을 김일성-김정일 시대와 비교하여 그 배경과 의미, 그리고 대내외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김정은이 택한 ‘고난의 행군’과 ‘자력갱생’은 ‘비핵화와 개방’으로 ‘보다 유연한 체제로 생존’하느냐, ‘핵 보유와 폐쇄’로 ‘유일 지배체제의 불안전한 영속’ 이냐의 딜레마적 기로에서 ‘선대들의 경험’을 답습한 ‘쉬운 방법’을 택한 것이다. 그는 자신이 선택한 ‘폐쇄정책(〓핵 보유와 자력갱생)’을 통해 두 가지를 의도했을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주민들을 향해 고난이 지속될 것이므로 자신의 영도에 절대복종하고 어렵지만, 허리띠를 졸라매고 이겨나갈 것을 요구한 것이다. 둘째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대한 메시지다. ‘자력갱생’으로 대응할 것이니 국제제재를 비롯한 미국의 대북정책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략적 우군인 중국을 끌어들이는 외교적 묘술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북한의 공안체제와 현재 미국과 대치하고 있는 중국의 이익이 맞물려 어느 정도의 일시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80여 년이 넘은 버전(version)인 ‘고난의 행군과 자력갱생’으로 복잡·다양한 21세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김정은의 이 선택은 궁극적으로 자신과 핵심 지도부가 의도한 ‘주민 불만 무마를 통해 약화된 사회주의 체제 및 정권 지탱력 복원’이 아니라 오히려 약화를 가속화시킬 것이며, 북한 주민의 ‘고난의 행군’을 더 길고 혹독하게 만들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backgrounds, meanings, and effects on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by comparing Kim Jong-un’s recent policy decisions of “March of Hardship” and “Self-Rehabilitation” with the policies of the Kim Ilsung and Kim Jong-il era. Kim Jong-un has taken the policies as an ‘easy way’ to follow ‘the predecessors’ experiences’ in the crossroads which side to choose between ‘surviving with a more flexible system of denuclearization and opening’ and ‘continuing an insecure monolithic system with nuclear possession and closure.’ He seems to have intended two things through his chosen ‘reclusive policies(nuclear possession and self-rehabilitation).’ The first is to demand that the residents obey their leadership and overcome the hardship with a tight belt, as it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The second is a messag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move calls for a drastic shift in U.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including international sanctions, as She will confront them through the “self-rehabilitation.” To achieve that goal, North Korea is using diplomatic tactics to attract its strategic ally, China. These attempts could bring some temporary results, coupled with the interests of the North Korea’s public security system and China, which is currently confronting the United States. However, it will inevitably bring limitations to solving complex and diverse 21st century problems with the march of hardship and self-rehabilitation, a version that has been more than 80 years. Therefore, Kim Jong-un’s choice will ultimately not only accelerate the weakening of the socialist system and regime’ s sustainability, but it will make the North’s “March of Hardship” longer and more severe far from achieving the aim to restore the weakend socialist regime’ s sustainability by soothing the dissatisfied people.

      • KCI등재

        규범에 경합하는 북한여성들의 성적실천

        권금상(KeumSang Kwo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이 연구는 북한사회에 극심한 변동을 가져온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여성들이 수행한 기존 규범에 경합하는 성적실천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했다. 북한에서 그 시기를 지낸 탈북여성들의 구술 자료를 통해 일상에서의 성경험을 파악했다. 북한권력은 집단주의와 가부장 질서를 통치 규범으로 내세우며 개인의 욕망을 억압해왔다. 국가가 구축한 집단주의적 규범은 고난의 행군 이전까지 인민들을 규율하며 일상에서 무리 없이 작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장기간의 식량난과 경제난은 특히 여성들에게 새로운 생존 방식과 기존의 규범에 대한 변화를 강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북한여성들은 장마당과 밀수 등의 경제활동을 통해 사적 이익을 앞세웠고, 기존의 규범을 넘어서는 성경험으로 확장하였다. 여성들의 성적실천은 기존의 규범에 경합하는 파편화된 개인의 경향을 보이면서 한편으로는 국가담론에 조우하는 이중적 생존 전략을 보이고 있었다. 급변하는 환경에서조차 가부장 질서는 견고한 통치기제이자 내구성 있는 문화체계로 구축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난의 행군기 이후 규범에 경합하는 북한여성들의 성적실천은 새로운 생존전략이었으며, 권위주의적 사회에 저항하고 변모하는 개인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This study sought to interpret the meaning of sexual practices that are performed after the conflict in the North Korean women Arduous March brought the extreme fluctuations in North Korean society existing norms. Through the oral data of North Korean women who experienced that time in the North, to identify the sexual practices on a daily basis. North Korea is utilizing the power collectivist and patriarchal order in governance norms and the norms were typified by suppressing the desire of the individual. Collective humanitarian norms governing a country is presented before the people’s march to suffering and was working smoothly on a daily basis. However, the food crisis and the economic crisis was an opportunity for long-term, especially for women devise a new survival mode changes to the existing norms. North Korean women are erected in front of the private interests through economic activities such as smuggling and marketplaces, and to expand sexual deviate from traditional norms. Sexual practices of women held the tendency of individuals to contend with fragmentation of the existing norms hand, was showing a dual strategy to survive encounters national discourse. North Korea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Even patriarchal order had been built with robust governance mechanisms and durability culture system in. Nevertheless, the sexual practices of North Korean women competing after the Arduous March period was the new norm is a survival strategy, it means the possibility of personal transformation and to resist the authoritarian society.

      • KCI등재

        ‘고난의 행군기’ 북한 군대의 사회적 역할 연구

        김용현(Kim Yonghyun),한승대(Han Seungda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고난의 행군 시기 조선인민군의 사회적 역할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이것이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로동신문』을 연구의 주요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고난의 행군 이후 선군정치의 등장에서 주목할 점은 ‘혁명의 주력군’의 변화이다. ‘노동계급’에서 ‘인민군대’로의 변화는 사회주의 건설에서 군대가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고난의 행군이라는 극심한 체제위기 속에서 군대는 가장 유일한 통제 가능한 조직이었다. 이 시기 대민지원과 일상의 영역에서 군대 의 역할은 강조되었다. 군대는 가장 모범적인 대상이었으며, 건설과 농업 분야에서 역할이 두드러졌다. 김일성 사망 후 그의 혁명사적지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상도 군대였다. 이를 통해 북한 군대는 기존의 체제수호를 포함해 경제건설, 정치사상적 모범으로서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결국, 군대의 지위와 역할이 강조되면서 체제의 경직성과 군사적 사회질서는 더욱 강화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ocial roles of the Korean People’s Army by each type during the Arduous March Time and their implications. The Rodong Sinmun was used as the main analysis data of the study. What should be noted in the appearance of the military-first policy after the Arduous March is a change in ‘the Main Force of the Revolution.’ The change from ‘the laboring classes’ to the ‘Korean People's Army’ means that the status and role of the army has increased in building socialism. In particular, in the extreme crisis of the system, the Arduous March, the army was the only controllable organization. During this time, the army’s role was emphasized in the military aid to civil authorities and the domain of everyday life. The army was the most exemplary subject, and its role was noticeable in the construction and agricultural sectors. The army was the subject tha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historic sites of the revolution after Kim Il-sung died. Through this, the North Korean Army came to take on rol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economy and as a model of political ideology, including the protection of the existing system. Consequently, emphasizing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the army has caused issues such as the rigidity of the system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military social order.

      • KCI등재후보

        고난의 행군 이후 김정일 현지지도 패턴 분석: 2000년~2009년 까지

        박영민 ( Young Min Park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0 동북아연구 Vol.25 No.1

        북한의 최고지도자의 공개활동은 현지지도, 군부대 시찰, 공연예술 관람, 외빈접견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현지지도는 지도자와 대중이 소통하는 과정으로서 북한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관심사항, 그리고 정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대표적 공개활동인 현지지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김정일의 통치전략과 정책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런데 현지지도는 두가지 배경에서 정당화 되고 있다. 하나는 조선노동당의 ``당적 지도``이며, 다른 하나는 주체사상에 기초한 수령의 지위와 관련된다.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심각한 생존위기를 경험하였다. 이른바 ``고난의 행군``을 통해 위기탈출을 모색하였으며, 2000년에는 조선노동당 창건 55주년을 맞아 ``고난의 행군``이 종료되었다고 선언하였다. 논문은 북한이 ``고난의 행군`` 시기의 마감을 공식 선언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 행해진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가 시기별, 대상별로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 지를 분석하였다. 2000년 이후 현지지도는 경제부문에 집중된 가운데 전력산업 등 선행공업부문과 협동농장 등 농업부문에 집중된 경향을 보인다. 결국 이 시기 북한의 국가전략은 여전히 ``결핍 경제(shortage economy)``에 머물러 있으면서, 생산력 확대를 위한 인민에 대한 ``교시경제``를 답습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Open activities of North Korea``s supreme leader are field supervise( Hyunji-jido), military inspection, watching art performance, and reception of foreign guests. Among these activities, the field supervise,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leader and the general population, is a useful research area to understand out the problems and the interests, and recognition of the current political status that North Korea is facing.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North Korean supreme leader Kim Jong Il``s political strategy and policy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im``s field supervise. The field supervise is being analyzed on two respects. First is the leadership of Chosun Labor Party at political party level, and the second is the position(influence) of the leader based on ideological term. North Korea has endured severe survival crisis after mid-90s. The country has tried to escape from such crises through so called ``death march( Konaeui-haenggun)``, and has proclaimed the end of ``death march`` in 2000 at the 55th anniversaryofthefoundationofNorthKorea. ThispaperanalyzesthepatternsofKim``sfieldsuperviseperiodicallyandondifferentsubjectsforth epasttenyears. The field supervise after year 2000, shows very much related to economic areas such as electricity industries and cooperative farms showing its concentrated focus on primary and agricultural sectors. After all, the North Korea is following ``instruction economy`` for its citizens(people) in order to expand their productivity, yet its national strategy still remained at ``shortage economy`` level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북한은 ‘고난의 행군’을 극복하였는가? : 북한 자력갱생노선의 시련과 도전 그리고 재정립

        박후건 ( Park Phillip H )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1

        김정일은 ‘고난의 행군,’이라는 북한 최대의 국가적 위기를 ‘선군정치’를 통해 돌파하려고 하였다. 김정일은 위기 돌파에서 가장 큰 문제를 당이 사상적으로 흔들리는 것으로 진단하였고 이를 군을 앞세워 바로 잡고 다시 사상을 우위에 놓고 경제건설(재건)을 추진하였던 것이다. 김정일은 사상과 더불어 과학기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하였는데 과학기술을 국방력을 제고하는데 그리고 경제건설에서 실리를 극대화하는데서 있어서 핵심적 요인으로 판단하고 강행군 시기 국가의 거의 모든 투자를 집중하였다. 김정일의 이러한 위기 돌파 전략은 현실에서 추진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지만 ‘강계정신’으로 대변되는 자강도에서의 자력갱생 경험에서 큰 지원과 탄력을 받아 그대로 밀고 나갈 수 있었다. 북한은 경제건설에서 자력갱생의 마스터키와 같은 CNC기술의 최첨단화를 2009년도에 완성하고 2011년도에 주체철, 주체섬유, 주체비료로 대변되는 경제건설(재건)에서 실체적 자력갱생의 기반을 마련하고 고난의 행군을 실질적으로 끝낼 수 있었다. Kim Jong Il tried to break through DPRK's biggest national crisis so called, 'Arduous March' through the 'Military First Politics.' Kim Jong Il diagnosed the biggest problem in crisis breakthrough as an ideological wavering of the Party. By making the military as a keeper of the ideology of self-reliance (Juche) and giving priority to ideology, he attempted to correct the problem and rebuild economy. As Kim Jong Il also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through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g with the ideology, he put almost all the national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Although carrying this out in the reality was extremely difficult task, he got tremendous moral support from 'Kangkye Spirit' which represented the self-reliant experiences of Jakang province and was able to pushed it through. By 2009, DPRK has completed the cutting-edge of CNC technology that was like a master- key of its self-reliance. On this basis, the DPRK was able to build the foundation of self-reliance and finish the 'Arduous March' by 2011.

      • KCI등재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기록영화에서 조형된 집단적 마음

        김승(Seung Kim),이우영(Woo-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현재적 관점이지만 북한은 고난의 행군이라는 체제 위기 상황을 극복했다. 충분히 체제가 전복될 수도 있었던 상황을 극복한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북한 당국이 집단적 마음을 형성시키기 위해 기록영화를 통해 어떤 전략을 취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인민에게 영웅적 환타지의 주인공이 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강한 정신력으로 고난을 돌파한 모범 사례들을 해답으로 제시한 것이다. 둘째, 패배주의를 경계하고 승리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이미 닥쳐온 경제문제의 돌파구로 집단적 마음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주민의 동질적 마음 형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도 강조되고 있는 공산주의적 도덕성의 회복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집단적 마음이라는 것도 결국 사회적 경험으로 얻은 결과물이다. 북한은 기록영화를 통해 집단의식의 발현으로 비록 현실은 고단하지만, 고난의 행군을 낙원의 행군길로 전환시킬 것을 역설하고 있다.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North Korea overcame its crisis situation of the regime, the Arduous March. What was the driving force, enabling the regime to overcome the situation that could have been collapsed?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what strateg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ok to unite the social minds through its documentary films in the midst of the national cri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ocumentary films emphasize that the people should become heroes in heroic fantasies. These films present the model cases, in which the people break through the hardships with their strong willpower, as an answer. Second, they mind the defeatism and encourage the triumphalism.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uniting collective minds as a breakthrough in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Third, they place an emphasis on creating the harmonized minds. They repeat the recovery of communistic morality, which has been emphasized up to date. Collective minds are eventually the outcome obtained from social experiences. North Korea stresses to convert the arduous march into the march to the paradise by the creation of collective minds through documentary films even in difficult re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