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내 초급간부와 병사의 갈등관리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Jong Seo Kim,Hyo Sun Park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2

        본 연구는 군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갈등관리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갈등관리방안 을 강구함으로써 악성사고를 예방하고, 조직 효과성을 제고시켜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육군과 해군 4개 부대의 초급간부와 병사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실증 분석을 위한 통계 처리는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 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관리와 조직 효과성 측면에서 갈 등 예방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갈등 해소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뚜렷한 양(+)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갈등 자극방안은 조직 효과성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 째, 갈등 유형과 조직 효과성 측면에서는 개인 및 대인갈등은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갈등 관리와 갈등 유형 측면에서 갈등 예방 및 해소방안은 개인 및 대인갈등 수준을 감소시키고, 자극방안은 개인 및 대인갈등 수준을 증가시켰다. 넷째,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인구학적 특성 중 낮은 계급인 일․이등병과 직책에 대한 업무 숙달이 어려운 기술병이 상대적으로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갈등 관리방안과 조직 효과성에서는 초 급간부와 전투병이 기술병과 행정병에 비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급 간부와 병사들의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으로는 갈등 예방방안이 우선이며, 갈등 예방방안을 시행하면서 갈 등 자극방안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또한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조직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갈등 해소방안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현재 부대관리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비젼캠프, 고충상담, 인성검사, 자살예방 대책, 선진병영문화 정착, 기능별 사고예방대책 등을 갈등 관리체계에 포함하여 혁신적으로 조치하면서, 군내의 갈등에 대한 인식전환, 갈등 관련 법 ․ 규정 ․ 제도 보완, 군의 주요정책 보완 등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vent accidents and to improve combat power by seeking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through research on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ilitary organization. The research is subjected to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who are doing mandatory military servic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method i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randomly selected 330 men from four units of army and navy. Thirty of poor respondents were removed and 300 responses were analyzed. SPSS 18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empirical analyzation using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conflict prevention plan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flict resolution plan showed distinctly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aspects of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both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aspects of conflict typ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conflict prevention and resolution plan decreases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and stimulation plan increases level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type,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traits, rank and job, of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suggests practical ways of conflict management that can prevent accidents and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increases combat strength, by efficiently managing the conflicts of junior 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 KCI등재

        폭력화된 갈등: 갈등론의 입장에서 본 프랑스 이민자 소요

        김민정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1

        Social dynamics is expressed when the conflict is resolved in a society with a right function. In this sense, the social dynamics is the consolidation of social capacity. The best tool for this explanation is the conflict theory. The conflict of the conflict theory includes a structural attribute, and therefore this structural attribute affects how to solve the conflict. According to Dahrendorf, the conditions of social structure to settle the conflicts in a functional way are 1) a society which recognizes the existence of conflict, 2) a society where a conflict can be institutionalized, 3) a society which develops a formal rule for the competing conflicts. With this structural condition, the contents of conflict is also important to settle the conflict in a functional way. First to be settled functionally, the conflict should be a conflict between the functional interaction. Secondly, the conflict should not attack the principal social value. Finally the conflict should be practical. In France, immigrants riots were developed more violently which were not settled with a functional way because the French society did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immigrants as foreigners, and the expression of immigrants's unsatisfaction could not be institutionalized and finally there did not exist the formal rule of competition between social groups who were in conflict.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also show that they are not the object to be solved in a functional way. First of all, they attacked the social fundamental value of French society, and they were the conflict of unfunctional interaction. And finally they were unpractical. With these all reasons, the French immigrants riots could not avoid a violent conflict. 사회의 역동성은 갈등이 나타났을 때 이를 순기능적으로 해결하여 보다 나은 사회질서로 나아가도록 하는데서 나타난다. 이렇게 볼 때 사회적 역동성은 사회적 역량의 강화이다. 이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갈등론이다. 갈등론에서 말하는 갈등은 구조적인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회의 구조적 조건이 갈등의 순기능적 해결을 가능하게도 하고 불가능하게도 한다. 다렌도르프의 의견에 따라서 본 갈등 해결의 순기능적 해결을 위한 조건은 갈등의 현실성을 인정하는 사회, 갈등이 제도화를 통해서 표출될 수 있는 사회, 갈등관계에 대한 공식적 경기규칙을 가진 사회이다. 또한 갈등의 내용도 갈등의 순기능적 해결에 영향을 주는데 실제적인 내용이며, 기능적인 상호작용속에서 발생한 갈등이거나 사회의 핵심가치를 공격하지 않는 갈등의 경우 순기능적 해결이 가능하다. 프랑스 이민자소요 사태에서 나타난 갈등 해결 방식을 보았을 때 상당히 폭력적으로 갈등이 전개되면서사회의 역동성을 저하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우선 사회의 구조적인 조건이 순기능적 해결을 불가능하게 하는 구조였다. 즉 갈등의 현실성, 즉 이민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사회인식, 갈등이 제도화되지 못하고 분산된 구조, 마지막으로 갈등관계에 대한 공식적 경기규칙을 가지지 못하였다. 두 번째 갈등에 내용에 있어서도 사회의 핵심가치를 둘러싼 비기능적 상호작용 속에서의 갈등이었으며 비실제적인 갈등이었기 때문에 폭력적인 대결을 통한 갈등의 표출이 나타날 수 밖에 없었다.

      • KCI등재

        공공갈등 상황에서 문화성향, 갈등인식과 조정유형이 협력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밀양 송전탑 갈등 위기에 대한 분석

        Yung Wook Kim,Seung Kyung Ha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3

        문화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관계를 통해 형성된 위계주의, 개인주의, 평등주의, 운명주의로 구분되는 문화적 성향에 따라 자연관, 인간관, 위험관 등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이 연구는 문화이론을 공공갈등 상황에 대입해 문화적 성향에 따른 갈등 인식이 조정 상황에서 갈등 해결을 위한 협력의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위계주의와 평등주의는 가치 갈등 인식과 관련이 있었고, 운명주의 성향은 이익갈등과 관련이 있었다.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갈등 당사자들는, 촉진적 조정과 평가적 조정 모두에서 협력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운명주의 성향이 낮은 갈등 당사자들은 촉진적 조정에서 가치갈등 인식이 낮은 경우 협력의지가 높았고, 평등주의 성향이 높은 갈등 당사자들은 평가적 조정에서 가치갈등 인식 수준이 낮아야 협력의지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 조정 유형에 따라서 갈등 당사자의 갈등인식은 문화적 성향과 상호작용해 갈등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매개변인 역할은 미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이고 문화적인 함의를 논의했다. This study analyzed how cultural biases, conflict perceptions and mediation types affected willingness to negotiate for solving conflicts in the context of the public dispute. The study investigat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biases and conflict perceptions in the first phase, and the impacts of these variables on willingness to negotiate under different mediating situ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hierarchical and egalitarian biases were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value-related conflicts, and the fatalistic bias had an effect on interest-related conflicts. Conflicting parties with an individualistic bias expressed a strong willingness to negotiate both facilitative and evaluative mediation. On the other hand, conflicting parties with an egalitarian bias showed a strong willingness to negotiate only when they had a low level of the perception toward value-related conflicts in the situation of evaluative med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flict perceptions operate as moderating variables resulting in willingness to negotiate by interacting with cultural biases and mediation types.

      • KCI등재

        공공사업에 대한 갈등관리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배(Cho S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3 공공사회연구 Vol.3 No.1

        2012년 말 현재, 국내의 공공사업에 대한 갈등관리는 갈등이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사업에 대하여 각 실무기관에서 자체 내규를 토대로 의사결정자 판단 하에 진행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행 갈등관리가 대통령령 이외에 법ㆍ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그 시행기준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법제도개선이 추진되었으나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이처럼 갈등관리가 선택적 판단과 추진이기는 했으나 이를 통해 일부 발생 가능한 갈등을 미연에 방지한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갈등관리는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종합적으로 정리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한계도 있다. 또한 사후 평가, 관련 자료의 활용, 차후 사업진행에 따른 적용 등 관련 제도 미비로 인한 선순환 구조가 이우러지지 못하면서 일부 성과에 대한 의문을 갖는 것도 사실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현행 갈등관리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국내 공공사업의 갈등관리의 실제 추진경과와 공과 실을 고찰하고 이후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공공사업에 대한 갈등관리 사례가 많지 않고 보안을 요구하는 사업도 많아, 사례분석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적 규모’, ‘동일범주’, ‘연속적인 공공사업’으로 한정하여 갈등관리가 진행 중인 사업으로 한정한다. 이에 만족하는 사례로는 철도건설사업 중 ‘송ㆍ변전설비’ 사업을 들 수 있다. 본 사업은 국토해양부 산하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관할 아래 추진되고 있으며 2009년의 ‘호남고속철도 송ㆍ변전설비사업’, 2011년 ‘수도권고속철도 수ㆍ변전설비사업’에 대한 갈등관리가 이루어졌다. 또한 2012년 말 현재에는 ‘원주강릉 복선전철 송ㆍ변전설비사업’ 등에 대한 갈등관리가 진행 중으로, ‘동일범주내’ ‘연속성 있는’ 갈등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사례에 대한 갈등관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관리 성과와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현행 갈등관리의 주요 성과와 한계를 최초로 제시한 연구이다. 둘째, 논자가 해당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각종 자료 및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철도 건설사업 송ㆍ변전설비 갈등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된 결과로서 국내 갈등관리 전체에 대한 평가에는 부족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타 사례의 갈등관리에 대하여 조사ㆍ분석 및 평가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종국에는 공공사업에 대한 실천적이며 종합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Conflict Management(CM) of public works projects has recently been going on a projects having conflicts or its possibility under each subordinate agencies’s control in south korea. That reason is that CM has no specific context and clear enforcement standards because there is not to support current CM through legal system excepting a presidential decree. There is to progress legal system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until now, but it failed because the bill has not been passed National Assembly. For this reason, current CM is going on a choice of enforcement authorities and its decision by arbitrary judgment is making a limitation of conflict managing. It has effect to prevent some public conflicts which actually will be through CM although it was arbitrary. In fact, there is doubt to prevention in results which has no virtuous circle with the related system like using related data, post evaluation and project planning af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ctual CM’s progress and its merits and demerits in public works projects and suggest improved methods, based on a awareness of current CM in south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cases because there are not yet many cases, and some projects are needed security. Accordingly, this study is limited under ‘nationwide scale’, ‘same category’ and ‘continuous public projects in conflict managing now’. As a result of these, I suggests that Railway Projects of Transmission Lines and Substations(RPTLS) is suitable to analyze case of this study. Because this project already had a CM to two public projects which is ‘Honam High-speed RPTLS’ in 2009 and ‘Capital High-speed RPTLS’ in 2011. Also, in late 2012, the conflict management is making progress on Wonju-Gangneung RPTLS that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CM in same categor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ly, this is first study to suggest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current CM on RPTLS. Secondly, this is meaningful as a overall evaluation result from each data and knowledge in research of each cas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s on evaluation over internal CM because it is evaluated result from only RPT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nother CM’s cases, and each cases are researched, analyzed and evaluated. After this, I expects it will be managed totally, also CM’s actual plan will be provided through conflict assessment analyzed from each public works projects.

      • KCI등재

        팀 내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과 절차공정성 풍토의 역할

        이현실,최규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contextual conditions on which team task conflict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eam performance. This study hypothesizes the 3-way interaction effects of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eam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will be positive when team relationship conflict is low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is high.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present study obtained survey data from 465 organizational employees of 83 work team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the 3-way interaction effects of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probing the interaction indicated that even when relationship conflict is low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high, the effect of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was not positive. The data suggeste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was remarkably reduced on that cond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구성원들 사이의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조건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팀 성과에 대한 팀 과업갈등 및 관계갈등, 그리고 절차공정성 풍토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팀 구성원들 사이에 관계갈등의 수준이 낮을 때 그리고 절차공정성 풍토의 수준이 높을 때, 팀 성과에 대한 과업 갈등의 부(-)적인 효과가 감소되고 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83개 팀(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구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과업갈등, 관계갈등, 그리고 절차공정성 풍토의 삼원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지만, 그래프를 통한 사후분석은 예상과는 다르게 관계갈등이 낮고 절차공정성 풍토가 높은 조건에서 팀 성과에 미치는 과업갈등이 정(+)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다른 상황조건들과 비교할 때, 관계갈등이 낮고 절차공정성 풍토가 높을 때, 팀 성과에 미치는 과업갈등의 부(-)적인 효과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집단 내 갈등유형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김남균(Nam Kyun Kim),안성은(Sung Eun An),임춘회(Chun hae Lim),채준호(Jun Ho Chae)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1

        집단 내 구성원의 갈등유형을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으로 구분하고,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직무소진의 하위변수인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개인성취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직무자율성을 조절변수로 집단 내 갈등유형이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를 같이 확인하여 보았다. 연구목적을 갈등유형에 따른 갈등의 높은 지각은 직무소진의 수준을 높일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직무자율성의 변수는 갈등관계에 대한 직무소진의 영향에 있어 긍적적인 효과를 기대할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갈등유형과 직무소진의 영향은 집단 내 구성원들의 갈등유형에 따라 갈등관계의 지각을 높게 인식 할수록 직무소진의 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대와 다르게 조절변수인 직무자율성은 집단내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수준의 갈등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정(+)의 영향을 가지면서 종속변수인 직무소진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시사해주고 있다. 첫째, 구성원들이 높은 지각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을 때 직무자율성의 부여는 구성원들의 직무소진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을 줄이기 위해서는 선행적인 갈등관리의 해결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높은 지각의 갈등이 해소되었을 때, 부여된 직무자율성의 효과가 직무소진 감소에 기여하리라 예상된다는 점이다. 이의 연구결과는 갈등상황을 겪고 있는 조직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하며, 특히 기업은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해리더가 갈등유형을 선행적으로 관리하는 리더십의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갈등유형에 따른 갈등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기업의 지속적인 경영활동을 보장하는 경영 요소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for a study on an effect of conflict's types on Job Burnout.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if job autonomy is effective in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types and Job Burnout as controling variable. The summary of conclusion is as follows. The higher the member feel conflict in the Intragroup, the more the standard of Job Burnout increase. It is verified that controling effect of job autonomy on conflict influences to cynical attitude in Job Burnout. So the member's attitude on the conflict has an effect Job Burnout. And if conflict as preceding variable isn't got rid of, autonomy can't adjust Job Burnout. Although Regulatory effect of job autonomy occur, Job Burnout increase. Thus when organization is administered in a business, conflict is the one of key factor resolved by priorit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 study on conflict's types with diverse variable is expended.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gresses preceding variable on conflict's types. Second, if conflict is continuous, negative effect is repetitively made. Conflict is the key factor to be solved even duty's conflict of proper standard. In the future research, I desire to progress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types and Job Burnout with using various controling variable. Also I hope that an Empirical study o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receding variable and positive dependent variable is expended and segmentalize conflict's types. This research provide usful information to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when it is in the conflict situation. Especially, to realized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der has to manage and understand the casue of the conflict and it might be the business factor of the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 KCI등재

        공공정책갈등의 제3자 중재개입의 역할과 한계

        김도희(Kim, Do 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공공갈등의 경우 개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갈등과는 달리 갈등발생으로 인한 비용과 피해를 보게 되는 범주가 크기 때문에 공공갈등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갈등전개의 전 과정을 분석하여 갈등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내용을 언급하자면 최근 갈등해결의 기법으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제3자 중재개입을 통한 갈등해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울주군청사 이전갈등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갈등조정기제로서 제3자 중재개입에의 필요성과 갈등해결효과에 대한 사실여부를 증명하고자 한다. 최근 공공정책갈등에서 제3자 중재개입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본 연구에서 역시 이러한 차원에서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렇다면 울주군청사 이전 갈등사례에서 나타난 제3자 중재자의 역할은 갈등 전개 전반적인 과정을 두고 보았을 때 어떠했으며, 제3자 중재개입을 통해서 공공정책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데 있어서 봉착되는 한계는 과연 무엇이며, 이러한 제도가 갈등해결시스템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case of public conflict, incurred costs and the extent of damage are much larger compared with personal conflict cases.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determine fundamental elements hampering conflict resolution by analyzing the entire stages as a conflict is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ird party intervention, which is gathering much attention as a state-of-the-art method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is respect,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ase of conflict over transfer of Ulju district office and demonstrate the needs of third party intervention as a tool for conflict resolution and show its effectiveness for conflict resolution. Third party intervention in public policy conflict is discussed actively these days, which is the main topic of the present research.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 which way the third party intervention found in the conflict over transfer of Ulju district office function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public conflict. Also,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limitations encountered while public policy conflict is resolved through third party intervention.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s further issues for third party intervention to be settled down as a conflict resolution system.

      • KCI등재

        주민참여 도시사업 갈등 해결을 위한 TRIZ 문제해결모형의 알고리즘 적용에 관한 연구

        최성진(CHOI, SUNG JIN)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3

        지역사회가 참여하여 도시를 개발, 정비하는 사업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갈등의 효과적 관리와 해결을 위해 다양한 연구와 보고서가 발표되었지만 개별 사업지에서 발생하는 갈등 대처에는 여전히 관련자의 경험과 제한된 지식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이며, 보고된 갈등과 해결 사례는 너무나 양이 방대하고 특정 지역과 상황에 해당되는 것이어서 다른 지역과 여건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그대로 접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TRIZ의 문제해결 개념과 절차는 개별 지역과 상황에 맞춘 해결법을 실용적으로 찾아야 하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 관리, 해결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TRIZ기법을 적용한 갈등 도구 개발에 앞서 그 전제조건으로서 본 연구는 TRIZ의 문제해결모형이 갈등해결모형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알고리즘 대응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TRIZ가 가지고 있는 개념적 구조와 문제 해결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보고된 50편의 갈등 사례 연구와 보고서에서 나타난 갈등의 원인과 과정, 해결, 이론적 근거들을 종합하여 TRIZ의 알고리즘에 실제로 갈등 구조가 대응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TRIZ의 모순정의는 상호 대립적 모순과 양립적 모순이라는 구조로, 문제표준화를 위한 모순파라미터는 99개의 갈등 요인으로부터 12개의 변수로, 표준해결안은 127가지의 해결 사례로부터 12가지의 해결원리와 22가지의 분리법칙 사례, 20가지의 이론적 해결요소로 대응되어 TRIZ 기법의 갈등 해결 도구로서 알고리즘의 연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are emerging as the community participates are increasing in the urban projects. Various studies have been published to effectively resolve these conflicts, but individuals still rely on their experiences and limited knowledge. The reported conflict cases are so vast to deal with and corresponding specific regions and conditions ar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other situations. TRIZ"s problem-solving concepts and procedures show effective methods to resolve the conflicts, which requires practical approach. Prior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nflict tools applying the actual TRIZ techniques, this study tries to confirm the algorithm response for the problem-solving model of TRIZ to function as a conflict-solving model. In specific,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problem-solving algorithms in TRIZ techniques. In addition, the causes, processes, resolutions, and theoretical grounds of conflict that have been reported in 50 conflict case studies and reports were rearranged to verify whether the conflict structure actually responds to TRIZ"s algorithm. As a result, first, the technical and physical contradiction in TRIZ can be structured as the reciprocal and compatible contradictions. Second, the contradiction parameters for problem standardization can be drawn as 12 variables from 99 conflict factors. The Last, the standard solution can be organized as 12 resolution principles, 22 separation principle cases, and 20 theoretical solutions.

      • KCI등재

        재난예방정책 추진 상의 갈등영향요인 및 수준에 관한 연구 : 한탄강댐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희(Kim, Do Hee),김민정(Kim, Min J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재난예방사업인 댐 건설 정책추진 전반에 걸친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사례를 토대로 주요하게 작용하는 갈등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사례는 한탄강댐 건설 사례이다. 이 사례는 최초로 중재기법을 통해 오랜 기간 첨예하게 대립되어 온 갈등을 해결한 사례로 갈등해결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한탄강 댐 건설 사례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완공단계에 이르기까지 추진단계별 갈등 발생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시사점으로는 공공갈등에서 주민참여, 법적준수, 상호신뢰 등이 갈등영향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주민참여, 상호신뢰에 대한 영향수준은 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법률 개정을 통한 사전검토협의회 운영의 의무화 및 활성화 방안, 중재자 선정과정의 투명성 확보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공공갈등사례에서 갈등해결의 방향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적극적인 대응방안 모색에서 기존의 법·제도상 개선되어야 내용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primary conflict-influencing factors on the basis of a conflict case which has occurred over the whole process of implementing a dam construction policy as a disaster prevention project and to analyze their impact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Hantan river dam case. The Hantan river dam case is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arbitration scheme through which a long-lasted conflict involving sharp confrontation has been solved,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 great deal of insight in conflict resolution. We analyzed how conflict has evolved along the implementation steps ranging from the planning to the completion stage of the Hantan river dam construction and analyzed primary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of residents, compliance to legitimate procedures, and mutual trust are important as conflict influencing factors in a public conflic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mutual trust showed high impact levels.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mandatory operation of a preliminary review council, activation plan thereof, and a method for securing fairness in selecting an arbitrator through law amendment are needed. Through this research, we propose a basis for a direction to be pursued in the future for solving conflicts in public conflict cases. A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great deal of implications on what should be improved for the existing law system in pursuit of active countermeasures.

      • KCI등재

        갈등유형이 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치이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주경,고대유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3 분쟁해결연구 Vol.21 No.1

        Recently, various social conflicts are appearing in our society. These social conflicts are increasing distrust in our society and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environmental conflicts, labor-management conflicts, local government conflicts, rich and poor conflicts, and educational conflicts affect people’s perception of conflict among the types of conflicts in our socie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political ideology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conflict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conflict. As a result of the study, labor-management conflict and rich-poor conflict showed significant results as conflict typ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conflict among Koreans. Political ideology, a moderating variable, did not actually affect the perception of conflict, and in the case of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political ideology a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at affected the perception of confli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urgently resolve labor-management conflicts and rich-poor conflicts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in our society and further increase public trus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prepare an institutional device at the government level, but also to make efforts to derive a social consensus for national unity.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develop questionnaires so that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data can be secured and analyzed. 최근 우리사회는 다양한 사회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갈등은 우리사회의 불신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갈등유형 중 환경갈등, 노사갈등, 지자체갈등, 빈부갈등, 교육갈등이 국민들의 갈등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한 연구이다. 또한, 정치이념이 갈등유형에 따라 갈등인식에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의 갈등인식에 미치는 갈등유형으로는 노사갈등과 빈부갈등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절변수인 정치이념은 실질적으로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빈부갈등에 있어서는 정치이념이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들의 신뢰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노사갈등과 빈부갈등을 시급히 해결할 필요성이있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에서의 제도적 장치 마련 뿐만 아니라 국민 대통합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