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연 : 바이러스성 및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서 51Cr-EDTA을 이용한 장투과성의 측정

        김정욱,전우규,윤중원,박동일,조용균,성인경,박창영,손정일,김병익,김은정,신명숙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장투과성의 증가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병기전과 간경변증 환자의 균혈증과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과 같은 세균감염의 발병 유발요인 중에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간질환에서의 장투과성의 변화와 임상양상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결과들이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성 및 알코올 간질환에서 장투과성의 변화 및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강대조군 18명, 알코올성 간염 17명, 알코올성 간경변증 24명,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14명, 바이러스성 간경변증 32명을 대상으로 장투과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질환별, 알코올 섭취량, 흡연량, 문액압항진, 간성뇌증의 발생, Child-Purgh 분류, 간기능검사 수치 등의 임상양상과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장투과성 검사는 51Cr-EDTA (51Cr-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을 이용하여 24시간 소변에서의 회수율로 측정하였다. 결과: 장투과성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2.05±0.57%)에서 건강대조군(1.99±0.53%)보다 차이가 없었으나 바이러스성 간경변증(3.15±1.39%, p<0.01)과 알코올성 간염(5.62±2.80%, p<0.001) 및 알코올성 간경변증(5.29±2.48%, p<0.001)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바이러스성 간경변증보다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의미있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알코올성 간질환에서는 알코올성 간염과 간경변증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일일 알코올 섭취량과 장투과성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간경변증 환자에서 문액압 항진, 간성 뇌증의 발생, 간기능 검사, 흡연량, Child-Purgh 분류 등의 임상양상과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간질환 환자에서 장투과성의 증가는 바이러스성 간경변증과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관찰되며,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바이러스성 간질환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나 알코올성 간질환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후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 남녀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점수와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과의 연관성

        박상봉,최희정,두송희,정동,심예나,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ibrosis score (NFS) is a scoring system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to predict advanced fibrosi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Evidence shows that progression of steatohepatitis and liver fibrosis reduces the production of very-low-density lipoprote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NFS and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s and in adults with NAFLD.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24,889 subjects who had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NFS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severity of fibrosis in all the subjects. Serum LDL-C levels were measured using a direct method. Results: Serum LDL-C level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NFS quartiles (P for trend<0.01). NFS w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serum LDL-C level after adjusting for age, sex,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other covariates. The estimated mean serum LDL-C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st quartile of NFS than in the lowest quartile of NFS. Conclusion: NFS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serum LDL-C levels in adults with NAFLD. Elevated LDL-C level is not only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but also a predictive indicator of NAFLD severity. 연구배경: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간 섬유화의 진행을 예측하기 위해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수체계이다. 최근 지방간염이나 간 섬유화가 진행될 때 간에서 초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생성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이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와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4,88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계측과 혈액검사에서 측정된 변수를 이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를 계산하였고,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은 직접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의 사분위수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1). 연령, 성별, 생활습관 관련 요인과 그 외 다른 공변량을 보정하고도 섬유화 지수는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의 주요 결정인자였고,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의 추정평균치는 섬유화 지수의 사분위수가 가장 높은 군에서 가장 낮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에서 섬유화 지수는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일 뿐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중등도를 예측하는데 추가적인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건강검진 초음파에서 지역별 간질환 유병률 비교 분석

        이미연(Mi-Yeon Lee),정홍량(Hong-Rayng Jung),임청환(Chung-Hwa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3

        전국 6개 도시의 종합검진센터에서 검진 서비스를 받은 건강한 성인 총 수진자 29,531명(서울 11,976명, 인천 3,749명, 대전 3,759명, 광주 3,155명, 대구 3,470명 부산 3,422명)을 대상으로 간질환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질환 유병률은 43.1%로 나타났고, 성별로는 남성에서 23.3%, 여성에서 19.8%로 남성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지역별 간질환 유병률은 대전이 49.6%로 가장 높았고, 서울 48.2%, 부산 42.9%, 인천, 대구 각각 36.2%, 광주 32.1%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간질환 유병률 순위는 지방간 69.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간내낭종 13.2%, 간내석회화 9.6%, 간내혈관종 4.5%, 간내종양 1.4%, 미만성간질환 1.0%, 간경화 0.5%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유병률은 전 간질환이 4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에서 50대에 높은 유병률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간질환의 지역별 유병률은 부산은 지방간, 대전은 간내낭종, 간내혈관종, 간내석회화, 간내종양, 서울은 미만성간질환이 타 지역에 비하여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간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 및 성별의 유병률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The study find out developmental factors of the liver diseases in 29,531 subject of the healthy adults who diagnosed by using ultrasound at healthcare centers located at 6 cities around the n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liver diseases diagnosed by using ultrasound revealed to show 43.1% of prevalence, and the occur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23.3%) than in female (19.8%)(p<0.001). The disease revealed to show highest prevalence rate in regionally, Dae-jeon was found to record the highest prevalence by showing 49.6% (p<0.001). The order of liver disease prevalence was the highest in Dae-jeon(49.6%),which was followed by Seoul(48.2%), Busan(42.9%), Incheon(36.2%), Daegu(36.2%), Kangju(32.1%)(p<0.001). The order of hepatic disease prevalence was the highest in fatty liver (69.7%), which was followed by intrahepatic cysts (13.2%), intrahepatic calcification (9.6%), intrahepatic hemangioma (4.5%), intrahepatic tumor (1.4%), diffuse liver disease (1.0%),and liver cirrhosis (0.5%) (p<0.001). The liver disease revealed to show highest prevalence rate in 40s and regionally, disease was found to record the highest prevalence from 30s to 50s (p<0.001). The distribution of the liver diseases by sex revealed to show the higher occurrence of the fatty liver and the diffuse liver diseases in male, but the intrahepatic cysts, intrahepatic calcification and intrahepatic tumors were highly distributed in female. In the regional evaluation, the fatty liver was most often found in Busan, and intrahepatic cysts, intrahepatic hemangioma, intrahepatic calcification and intrahepatic tumors were highly found in Dae-jeon and Seoul revealed to show higher occurrence of diffuse liver disease than other regions (p<0.001).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ed factors which affect the prevalence of the liver diseases resulted to show the higher prevalence by age. sex,

      • KCI등재후보

        경기도 지역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고은선,신진희,강은영,황유나,서아름,송상욱 대한비만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7 No.1

        연구배경: 생활습관의 변화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유병률이 점차 높아지고 이 질환이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부 초음파로 진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유병률 및 특성을 살펴보고, 아시아-태평양 복부 비만 진단 기준에 의한 대사증후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의 관련성,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대사 이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2005년 1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복부 초음파를 시행한 검진 수진자 중에서 알코올성 간염, 약제유발성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등을 제외한 1,8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 초음파를 통해 지방간 질환을 평가하였고,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NECP-ATP III의 기준을 이용하였으며 허리둘레 항목은 아시아-태평양 비만치료지침의 기준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자 1,819명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군은 802명(44.1%)이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에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ALT 그리고 총철결합능이었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대조군(9.9%)에 비해 경도 및 중등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가진 경우 각각 40.8%, 57.8%로 더 높았고(P < 0.001),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자가 대사증후군을 가질위험률도 정상인에 비해 8배(95% CI, 6.2~10.2) 높았다. 복부 초음파상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각 항목의 유병률 및 위험률도 증가하였다.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초음파 검사로 분류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대사증후군 및 각 구성 항목의 위험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진단된 경우 대사증후군의 동반 여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비당뇨 성인에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선별검사로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의 활용 가능성

        이혜정,이재호 대한가정의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3 No.4

        Backgrou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prevalence rapidly increases worldwide and may lead to end-stage liver disease such as cirrhosis or hepatocellular carcinom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FLD and insulin resistance, evaluate the accuracy of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for NAFLD in Korean adults without diabetes as a screening tool, and estimate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distinguishing NAFLD from non-NAFL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12,924 Korean adults aged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hepatic steatosis index (≥30 or <30) as a simple screening tool for NAFLD. We used HOMA-IR as a method to measure insulin resistance.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determined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identifying NAFLD. The association between NAFLD and HOMA-IR was exa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rea under the curve of HOMA-IR to identify NAFLD was 76.3%. The optimal threshold of HOMA-IR for distinguishing NAFLD from non- NAFLD was 1.665. HOMA-IR cut-off was associated with NAFLD (odds ratio, 1.77; 95% confidence interval, 1.53–2.04; P<0.001), independent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triglyceride levels,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 HOMA-IR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NAFLD in adults without diabetes and could be used as a screening tool in clinical practice. 연구배경: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질환으로 간경화나 간세포암과 같은 말기 간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알코올지방간질환과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를 평가하고 비당뇨 성인을 대상으로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예측하기 위한 최적의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결정점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2019–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중에서 12,924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대상자는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의 선별 지표 중 하나인 hepatic steatosis index값을 이용해 두 그룹(30 이상, 30 미만)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수치로 HOMA-IR을 이용하였다.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최적의 HOMA-IR 결정점을 확인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 analysis를 실시하였고, 해당 결정점이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잘 예측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ROC curve를 통해 확인한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최적의 HOMA-IR 결정점은 1.665였다(area under the curve=76.3%).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HOMA-IR 결정점 이상인 경우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혼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특성, 중성지방,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odds ratio, 1.77; 95% confidence interval, 1.53–2.04; P<0.001). 결론: HOMA-IR은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 비알코올지방간질환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선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간 질환을 가진 환자의 정신약물요법

        구본훈(Bon-Hoon Koo)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8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4 No.2

        간은 인체 내에서 약물을 대사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임상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중의 하나이다. 간 기능장애 시 대사과정의 장애로 인한 독성물질 때문에 신경학적 증상과 정신과적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서 우울, 불안, 섬망, 알코을 및 물질관련장애 등의 여러 가지 정신과질환이 같이 동반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간 질환을 가진 정신과환자의 약물치료에 있어서 임상의사가 고려해야할 주제들을 정리하여 임상에서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간에서의 약물 대사는 phase Ⅰ과 phase Ⅱ의 두 가지 대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간에서의 약물의 청소(clearance)는 간 효소(hepatic enzyme)에 대한 약물의 전달 정도(rate of delivery)나 또는 효소의 내적인 역량(intrinsic capacity)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의 약물 사용 시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에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의 정신과약물은 일차적으로 간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간 기능장애는 정신과약물의 청소(clearance)를 감소시키고 약물의 혈중 농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정신과의사는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서 정신과 약물의 부작용이 더 흔히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이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을 해야 한다.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정신과약물을 사용할 때는 초기에 낮은 용량으로 시작하고 좀더 천천히 약물의 용량을 증량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신과약물의 상호작용은 임상적으로는 크게 문제가 되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ver is the key organ to metabolize various drugs and nutrients.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in clinical perspective that liver dysfunction leads to change the level of the drugs. Toxic materials due to liver dysfunction cause several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symptoms such as fatigue, change of mood & personality, and memory disturbances.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also have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depressive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lcohol and other substance use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bout the issues of psychopharmacotherapy of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The metabolic process of the drugs in liver are divided into phase I and phase Ⅱ metabolism. The clearance of the drugs depend on the rate of delivery of the drugs to hepatic enzymes, and the intrinsic capacity of hepatic enzymes. There can be changed of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of the drugs when we use psychiatric drugs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Because the most psychiatric drugs are primarily metabolized in liver, liver dysfunction can reduce the clearance of the drugs, and change the blood level of the drugs. The issues of each psychiatric drug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Psychiatrists should be cautious to develop adverse effects of the psychiatric drugs, and need to monitor carefully. The initial doses of psychiatric drugs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should be reduced and titrated more slowly than medically healthy patients. But the interactions of most psychiatric drugs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a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 만성 간 질환 환자의 영양상태

        이은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0 생활환경대학원논총 Vol.1 No.-

        간경변증 환자들의 이환율을 낮추고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만성 간질환의 원인 및 진행에 따른 환자들의 영양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에 맞는 실질적인 영양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간염, 대상성,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들과 건강한 성인을 비교하여 전반적인 영양상태를 분석하였다. 만성 간질환을 가진 24세부터 66세까지의 남성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만성간염이 17예, 대상성 간경변이 13예, 비대상성 간경변이 11예였고, 이들의 나이와 비만도가 비슷한 정상인 남성 41명을 비교하였다.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고, 공복혈당, 혈청 지질, 지단백, 총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만성 간질환 환자군에서 활동량은 정상성인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간질환 환자군 중 비대상성 환자군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가 가장 낮아 총 열량섭취량이 낮았다. 정상인의 당질섭취량은 305g 정도임에 비하여 비대상성 환자군에서 당질섭취량은 270g 정도로 낮아져 있었지만, 섭취열량이 가장 낮아 총열량에 대한 당질의 열량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지방의 열량섭취 비율은 정상인의 70%로 가장 낮아 권장량보다 밑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복혈당은 정상인과 간질환군들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청중성지방, total cholesterol이 정상인에 비하여 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중성지방의 경우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정상인의 약 1/4정도로 감소되어 있었다. 혈청 총 단백질과 알부민 농도는 정상 성인에서 높았으며 간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고, 알부민의 경우 비대상성 환자군에서 정상 성인보다 40%정도 감소되었다. 지용성 비타민 중 carotenoids, retinol과 tocopherols의 농도는 만성 간질환군에서 감소되어 있었다. 혈청 인지질 포화지방산의 총 함량은 정상 성인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은 간질환 환자 중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가장 높았다. 다불포화지방산의 총 함량은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이 중 dihomo-γ-linolenic acid(C20:3ω6)와 arachidonic acid(C20:4ω6)는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가장 낮았다. Eicosatrienoic acid(C20:3ω3)는 만성 간염에서 높고 정상성인에서 낮았으며, docosahexaenoic acid(C22:6ω3:DHA)는 정상성인에서 높았으며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낮았다. 만성 간질환에서 Δ9-desaturase의 활성을 나타내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 다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과 관련있는 Δ6-desaturase와 Δ5-desaturase, chain elongation을 반영하는 지방산의 비율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낮았다.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leucine과 valine의 농도가 다른 군에 비하여 낮았으며 phenylalanine과 tyrosine의 농도가 높았고, 분지아미노산에 대한 방향족 아미노산의 비율은 낮았다. Arginine의 농도는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높았으며 mehtionine, threonine, asparasine, glutamine, glycine, histidine, serine, proline의 농도도 높았다. 혈청 셀레늄과 아연, 구리의 농도는 비대상성 간경변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이 중 셀레늄과 구리의 농도는 정상성인에서 높았고 아연의 농도는 만성간염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철분은 비대사성 간경변군에서 가장 높았다. In order to decrease the prevalence of disease and increase survival rate in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suitable nutritional care would be needed with basis of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patients' nutritional status including the causes and degree of liver failure. To determine nutritional status of chronic liver disease, 41 subjects aged 24 to 66 years were classified into 17 hepatitis, 13 compensated cirrhosis, and 11 decompensated cirrhosis compared with 41 healthy males with similar age and body mass index(BMI) as a control group. Nutrition intake by 24 hours recall, fasting levels of glucose, lipids, proteins, lipid soluble vitamins, minerals, fatty acid compositions, and amino acids were measured. Physical activities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groups, however, the intake of total Calorie, protein and fat were the lowest in decompensated cirrhosis group. The intake of carbohydrate was lower in decompensated cirrhosis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the percent of carbohydrate intake to total Calorie was relatively high since their total Calorie was the lowest. The percent of fat intake to total Calorie was lower th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and decreased by 70% of that in control group. Fasting glucose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but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protein and albumin were gradually decreased as disease progresses. Especially, compared to the level of control group, triglyceride was only one fourth of control and albumin was 40 % of control in decompensated cirrhosis. The levels of carotenoids, retinol and tocopherols were very low in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The composi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high in control group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was high in decompensated cirrhosis group. The composi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but dihomo-γ-linolenic acid(C20:3ω6) and arachidonic acid(C22:4ω6) were the lowest in decompensated cirrhosis group. Eicosatrienoic acid(C20:3ω3) was high in chronic hepatitis, and docosahexaenoic acid(C22:6ω3:DHA) was high in control and low in decompensated cirrhosis. The activity of Δ9-desaturase was high, however those of Δ6-desaturase, Δ5-desaturase and chain elongation were low in chronic liver disease compared with control. The plasma levels of leucine and valine were lower and phenylalanine and tyrosine were high. and therefore, the ratio of aromatic amino acid to branched chain amino acid was low in decompensated cirrhosi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rginine, methionine, threonine, asparasine, glutamine, glycine, histidine, serine and proline were high in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Serum levels of selenium, zinc and copper were the lowest in decompensated cirrhosis. Among those levels, Se and Cu were high in control, Zn was the highest in chronic hepatitis group, and Fe was the highest in decompensated cirrhosis group. This results indicate the need of appropriate nutritional support for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depending on the degree of liver failure.

      • KCI등재

        간질환자의 우울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및 가족강인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송자경 ( Ja Kyung S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

        우울은 다양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간질환자의 대표적인 정서문제로서 본 연구는 간질환자의 우울에 대한 자기효능감, 가족강인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5개 간질환자 치료기관을 이용하는 간질환자 70명이었다.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특성에 따른 연구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간질환자의 우울과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인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질환자들의 삶의 어려움은 미래 삶 걱정이 가장 높은 평균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질환자의 우울은 연령, 종교, 결혼상태, 그리고 가족 중 대화상대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학력, 소득, 그리고 가족 중 대화상대자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족강인성은 학력, 가족 수, 가족 수, 가족 중 대화상대 수, 그리고 유병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간질환자의 우울은 자기효능감 및 가족강인성과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적인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간질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가족강인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 학력, 종교, 소득, 가족 수, 발작형태, 발작빈도, 유병기간 등을 통제변인으로 두고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인성은 모두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Among people with epilepsy, mental health problem is common, with an elevated rate of major depression. This study explored how self-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among individuals with epilepsy relate to depression. A structured questionaire was administrated to 70 individuals with epilepsy aged between 20-65years and having epilepsy for more than 1 year`s durat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epilepsy was the worry about future life. Depression of epilepsy differed when they were compared in terms of age, religion, marital status,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haring communication. It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Using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among adult epilepsy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The controlled variables were age, income, educational experiences, seizure type, seizure frequency, and duration of illness. In conclusion, positive self efficacy and family hardines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epilepsy.

      •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김형숙 ( Hyung Sook Kim ) 대한간학회 2018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8 No.1

        2010년 9월 미국 장기이식관리센터(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UNOS)의 통계에 따르면 알코올성 간질환은 미국의 전체 간이식 원인의 2위를 차지했다. 2016년 우리나라 장기이식관리센터(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에 따르면 간이식을 받은 19.56%가 알코올성 간질환이 원인이었으며 이중 생체로 간이식을 받은 경우는 12.65%이고 뇌사자로부터 간이식을 받은 경우는 32.68% 였다. 이는 2012년 간이식을 받은 원인이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9.89%였던 때보다 1.98배 증가하였다. 알코올로 인한 간질환은 지방간, 급성 알코올 간염이나 알코올 간경변으로 변화되며 이는 이따금씩 폭음을 하는 습관보다는 지속 적인 음주습관자에서 흔하게 발생한다고 한다. 알코올성 간염의 경우 금주를 시행하고 steroid를 포함한 약물요법을 시행할 경우 간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나 3-6개월 이상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증세가 보이지 않을 경우 간이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간이식 후 음주를 계속하는 경우가 생겨서 Dew들은 메타분석을 통해 간이식 전 사회적인 지지의 부족, 알코올 중독 이 있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금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를 간이식 후 음주에 노출될 수 있는 3가지 요인이라고 하였다. 6개월 미만의 금주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6개월 금주기간의 예측 유용성에 대해서는 널리 사용하는 편이다. 예전의 연구들은 알코올 중독으로 간이식을 받고 나면 이식 후 관리에만 집중하여 알코올 중독에 관한 치료를 꺼려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대기하는 동안, 이식 전의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증진하고 간 이식 후 음주를 줄이기 위해 심리 치료법을 테스트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병원에 따라서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대한 이식 전부터 금주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이식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병원별 차이가 있고 이에 대한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알코올 중독에 의한 간이식을 진행되는 경우 가족 관계에도 변화가 생겨서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고통을 받았던 가족 구성원 은 환자의 상태가 급박하여도 생체로 간을 기증할 의사는 없지만, 뇌사자에 의한 이식을 원하는 가족들을 만나게 될 경우가 많다. 뇌사자에 의한 간이식은 응급도에 의해서만 진행 될 뿐 알코올에 대한 금주여부가 규정으로 없기에 실제 간이식 후 음주를 하는 환자들도 있어서 소중한 뇌사자 간이식을 통한 생명 나눔의 본 취지가 퇴색되지 않도록 하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인한 간이식의 경우 간이식 전부터 프로토콜을 가지고 준비를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들을 있으며 더 나아가 알코올 중독인 환자로 인해 상처받고 피폐된 다른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심리적 지지 역시 필요성을 제기하고 싶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