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및 일본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물리 영역 비교

        강남화,유숙정,이은경 한국물리학회 2017 새물리 Vol.67 No.8

        The curricula in schools change in order to reflect changes in society. Korea has a new curriculum that emphasizes education for competency. New textbook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to implement the curriculum in schools. This study compared the aims, contents and emphases of Korean and Japanese high school physics curricula. Physics textbook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how the curricula were repres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physics curriculum emphasizes recent developments in physics-related technologies and connections between physics and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physics curriculum emphasizes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Japanese physics textbooks demonstrated the country's curriculum emphasis, which was exemplified in the topic of electromagnetic wave transfer. These findings provide both a way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ysics curriculum by way of comparing it with that of another country and a basis for Korean physics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well as topics for further discussion on physics curriculum revision.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에 발맞추어 한국에서는 내년부터 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2015 개정교육과정이 시행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물리 교육 과정과 교과서를 목표, 내용 및 주안점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한국의 2015개정 물리 교육과정과 이에 해당하는 일본의 이과 지도요령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물리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전개한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물리 교육과정은 첨단 과학 기술과 실생활의 연계를 강조하는 반면, 일본의 물리 교육과정은 기본 개념을 강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주안점이 교과서에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고, 그 예로 파동 단원의 전자기파의 발생 부분의 분석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른 나라의 물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물리 교육과정의 특성을 이해하고, 물리 교육과정 실행 및 추후로 진행될 개정에 대한 논의 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중국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물리 영역 비교 연구

        최설매,한승기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8

        The present study takes 2011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standards in China and the physics field of the 2015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in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s, and compares the objectives of science (physics)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contents in the two count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science (physics) education goals, both countries aim to improve scientific literacy, aiming to cultivate students’ inquiry ability and innovative consciousness on practical issues in nature and life; The curriculum standards in China stress learning basic physics, basic skills, and research method, while the curriculum standards in South Korea stress understanding the core concepts of science. 2. In terms of the content of middle school physics courses, in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breadth and the depth of the content standards, we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physics courses in China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South Korea, but not as deep than those of South Korea. This result reflects the fact that science education in South Korea does not focus on the quantity of knowledge, but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core competence by learning an appropriate number of science core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references for the revision of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as sell as useful enlightenment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physics education. 본 연구는 중국의 2011년 중학교 물리 교육과정 표준과 한국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영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양국의 과학 (물리) 교육의 목표와 과학교육의 물리 영역 내용 구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물리)교육의 목표에서 양국 모두자연 현상 및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것을 과학 (물리) 교육의 목표로 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중국은 물리 기초지식, 기본 기능과 연구 방법을배우는 것을 강조하고, 한국은 과학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둘째, 중학교 물리영역 내용 구성의 범위(breadth)와 수준(depth)을 정량적 비교하였을 때, 중국 중학교 물리교육과정의학습 내용의 범위가 한국보다 더 넓은 반면, 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의 과학교육이지식의 양보다는 적절한 과학 핵심 지식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과학 핵심 역량의 함양을 육성하는 것을강조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학교 물리교육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모색하여 향후중학교 물리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중학교 물리 교육과정의 실행에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물리 영재학생들의 기본물리상수에 대한 인식

        김완선,김은진,김성원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4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re very important for the study of and the research in physics. However, their importances have not been considered in physics education for a long time. In this paper,to investigate gifted-students' perceptions of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quantitatively, we improved the inventory and applied it to 263 gifted students in physics, who participated in the summer camp of the Korea Physics Olympiad (KPhO) 2011. The new inventory was developed for 10 constants, with six information dimensions for each constant. The six dimensions are as follows: significant digit,order of magnitude, unit, dimension, experiment or related history,and physical meaning. Among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the speed of light and Avogadro's number were the most highly perceived constants while Rydburg's constant was the lowest. I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among the dimensions, significant digit was highly correlated with order of magnitude, and dimension was correlated with unit except for the elementary charge ($e$) and Aavogadro's constant ($N_A$). Experiment or related history was not correlated with any of the other dimensions. We conclude that gifted students merely consider a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 to be a tool or a constant to solve physics problems. 물리학에서 기본 물리 상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교육현장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연구에서는 물리 영재 학생들의 기본 물리 상수에 대한 인식 수준에대하여 보다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인식 수준의 특성을 이해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한국 물리 올림피아드 여름학교 일반물리온라인 수업을 이수한 물리 영재학생들로서, 서울지역의 263명의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기본 물리 상수는 선행연구에서 채택된 `진공 중광속'을 비롯한 10개의 물리 상수이며, 이들 각각에 대해 6개의 구성요소(수치, 크기, 단위, 차원, 탄생배경 및 측정실험, 그리고 물리적 의미)를정의하여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SPSS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은 기본물리 상수 중에서 `진공 중 광속'과 `아보가드로의 수'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고, `리드베리 상수'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물리 상수의 수치와크기와는 대체적으로 강한 상관을 보였으며, 단위와 차원 간의 상관은기본 전하량 ($e$)과 아보가드로의 수 ($N_A$)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보통 정도의 상관을 보였다. `탄생배경 및 측정실험'과 물리 상수의나머지 구성요소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기본물리 상수에 대한 인식에 배경지식의 유무가 크게 상관이 있지 않는다는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대다수의 학생들은 기본 물리 상수를 단지문제풀이나 계산과정에서 필요한 도구로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간주된다.

      • KCI등재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인식도와 수요도에 관한 설문조사

        최선영 ( Sun Young Choi ),윤장원 ( Jang Whon Yo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3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관한 인식도와 수요도,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의 인구분포도에 대비하여 소아 물리치료사와 보호자, 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모든 집단이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대해인식도는 낮았으나 각 집단 모두 빠른 시일 내에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둘째,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참여·이용에 대한 의사여부에서 모든 집단이 높은 참여·이용률을 보였다. 셋째,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를 시행할 소아 물리치료사로 6∼10년의 임상자격조건을 원하였다. 치료비용에서는 물리치료사는 현재 치료비보다 2배를, 보호자는 현재 치료비와 동일하게를, 의사는 현재 치료비보다 1.5배에 많은 분포를 보였다. 물리치료사, 보호자, 의사 모두 현재와 동일한치료횟수와 1시간의 치료 소요시간을 선호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아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낮으나 수요도와 참여·이용률이 높음을 알 수있었다. 이렇게 높은 수요도와 참여·이용률을 보이는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를 제도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일정기간의 시범사업을 통해 많은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며, 먼저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와 관련된 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 제도 정립을 위해 현재 의료 시스템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ediatric home-based physical therapy (PHBPT) provides profess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t the patient`s home, where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are actually performed. PHBPT also allows to avoid the difficulties of trans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clinic. Despite these advantages, PHBPT is not yet widely practiced in Korea. There is little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inions of the main stakeholders on PHBPT.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HBPT among the main stakeholders, 41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T) (of 60 contacted) were recruited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population distribution. The recruited PTs completed their questionnaires and also participated in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35 medical doctors (MD) with whom they worked and from randomly selected 201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ruited.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85.5%. The awareness of PHBPT differed between PTs (95.1%) and parents (67.2%) (p<.001). The survey showed that 82.9% of MDs had at least heard about PHBPT. Significantly more parents (83.5%) than MDs (57.1%), and 70.0% of PTs, wanted to start PHBPT service immediately (p<.001). Significantly more parents (90.0%) than PTs (73.2%)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PHBPT (p<.001). Opinions on the details of policies and procedures (i.e., necessity for prescription, treatment cost, and treatment frequency) differed among the respondent groups, but all favored a minimal qualification of 6∼10 years of pediatric experience and a treatment session duration of 1 hour. These findings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to support health service administrators to understand the current demand and develop feasible policies and procedures of PHBPT in Korea.

      • KCI등재

        대학기초물리 개념에 대한 복잡계 네트워크

        최연무,김현주 한국물리학회 2006 새물리 Vol.52 No.2

        We investigate the toplogical structure of the complex network of physical concepts in college physics. In this network, the nodes represent the physical concepts in a college physics book. We divide the physical concepts into three types - law concepts, quantity concepts, and phenomenon concepts - to avoid the diversity and the ambiguity of interactions among concepts. We make connection rules reflecting the natures of the concepts. With a method recentry introduced in statistical physics we quantitatively analyze the complexity of the network of physical concepts in college physics. We show that the network of physical concepts has ``small-world" and ``scale-free" characteristics as do other real-world networks. 이 연구에서는 대학기초물리학 책에 등장하는 물리 개념들을 연결하여 개념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물리 개념들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의 다양함과 모호함을 피하고 연결성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물리 개념을법칙개념, 물리량개념, 현상개념으로 분류하고, 어떤 개념을 정의, 설명하는데 다른 물리학 개념을 필요로 한다는개념의 특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의 연결규칙을 정하였다. 최근에 개발된 통계물리학의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좁은-세상 특성과 척도-없는 네트워크 성질 등 대학기초물리학 개념 네트워크의 복잡성을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물리와 대학 일반 물리 교재에서 솔레노이드의 무한길이 이상화를 다루는 방식과 교육적 함의

        임정,강남화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xtbooks for high school and college general physics students addressed both the infinite-length idealization of solenoids for magnetic fields and the determination of experimental conditions for actualizing idealized values. We examined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exercise books, and four different general physics textbooks for college freshmen. Also, we created and tested various sizes of solenoids to find conditions for producing idealized values of the magnetic field at the center of an inner solenoid. We found that high school textbooks and related exercise books completely failed to address idealization while college textbooks and exercise problems implicitly presented solenoid sizes that met the conditions for producing idealized values. Experiments showed that the length of the solenoid should be at least 6 times larger than its radius to have the magnetic field reach idealized values within marginal errors. Considering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dealized and the real worlds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physics theories, we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physics education and research. 이 연구에서는 솔레노이드 자기장의 ‘무한길이 이상화’를 고등학교 물리와 대학 일반물리의 교재에서 다루는 방식을 검토하고, 무한길이 이상화에 근사한 실측치가 나오기 위한 조건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하여 물리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Ⅰ, 물리Ⅱ 인정교과서 2종과 관련 문제지, 대학 일반물리학 교재 4종을 선정하여 솔레노이드의 무한길이 이상화를 다루어진 방식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교과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고, 대학 일반물리학 교재의 경우 일부 무한길이 이상화를 다루었으나 그 의미에 대해 명시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솔레노이드 길이에 대한 반지름 비율이 다른 여러 크기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솔레노이드의 반지름에 비해 길이가 6배 이상일 때 오차 범위 내에서 무한길이 이상화에 근사한 자기장의 세기 실측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솔레노이드 현상 및 개념의 이해와 물리학의 기초적인 탐구 방식으로서의 무한길이 이상화에 대한 교육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주제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예비물리교사의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의 관계 탐색

        김홍정,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2

        Science liter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objective in modern science education and was reflected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1. For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literac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emphasized, and various efforts have been to that end. On the other hand, belief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discussed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o affect the cognitive process such as conceptual understanding. Although many studie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exist, little has been done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of science and other variables in learning science.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pre-service physics teachers'beliefs about learning physics and their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by using the Belief About Learning Physics Survey (Im, 2001)and a survey tool for the NOS by Nott \& Wellington (1993). Then,the author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bout learning physics and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 correlational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learning dimension of belief about learning physics and the process-content dimension of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were highly correlated, which means that pre-service physics teachers who have a physicist's perspectives on learning might consider contents as more important than process in physics inquiry. From this study, we can infer implications in physics teacher education for teaching of the nature of science. 과학적 소양은 국내외적으로 현대과학교육에 중요한 목적으로 부각되고있으며, 이는 2011년 개정된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에도 반영되고 있다.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해서 학교 현장의 과학교육에서는 과학의본성 이해가 강조되어왔으며, 과학의 본성 교육에 대한 다양한 노력들이이루어져 왔다. 한편, 과학교육연구에서 신념은 물리 개념의 이해와 같은인지적 과정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구인으로서 점차 부각되고 있다. 과학의 본성 이해를 측정하는 도구와 이를 활용한 연구는 많지만, 과학의본성과 다른 심리적 구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과학의본성과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이 연구에서는 Nott \& Wellington(1993)의 과학의 본성 조사 도구와임성민(2001)의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Belief About Learning Physics Survey)를 활용하여 예비물리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물리학습에 대한 신념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상관분석을 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예비물리교사가 가진 물리학습에대한 신념 중 학습 차원만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중 과정-내용중심차원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것은 물리학자적인 학습관을 지닌예비물리교사는 과학 탐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과정보다 내용을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의 본성이해를 다루는 예비물리교사교육에서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을 어떻게고려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물리학I II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 삼차원 분석

        강경희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history material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hysics I』and 『Physics II』textbooks in a three dimensional framework according to context, role and presentation type. An analysis of the five『Physics I』textbook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science history materials was 22.4. In addition, the average number of science history material was 24.6 in『Physics II』textbooks. In the『Physics I』textbooks, the number of science history materials presented in the ‘matters and electromagnetic fields’ was smaller than it was in the other units, and the number of ‘electromagnetic fields’ was the smallest in the『Physics II』textbooks. These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cience history materials presented for each unit. Also,『Physics I』and『Physics II』textbooks were included only 21 of the 48 types for three-dimensional framework. In particular, both textbooks had the most conceptual-fundamental-discovery/device (C-F-D) typ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efforts to diversify the types of science history materials in『Physics I』and『Physics II』textbooks.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물리학I』과『물리학II』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를 수업 맥락, 역할, 제시 유형의 삼차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5종의『물리학I』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과학사 자료의 수는 평균22.4개로 나타났다. 또한『물리학II』의 경우 5종 교과서 평균 24.6개였다.『물리학II』교과서에서 ‘물질과전자기장’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수가 다른 단원에 비해 적었고,『물리학II』교과서에서도 ‘전자기장’ 단원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각 단원에 따라 제시된 과학사 자료 수에 큰 차이를 보였다. 각 교과서에제시된 과학사 자료들을 삼차원 분석틀에 따라 살펴본 결과 전체 48가지 유형 중『물리학I』와『물리학II』교과서에서는 21개 유형만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교과목의 교과서 모두 개념적- 기본적-발견/고안 (C-F-D) 유형이 가장 많았다. 수업 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에 치중되어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유형이 가장 많았다. 제시 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교과서 과학자 자료의 유형을 다양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물리탐사 기술의 석회암 지반침하 지역 공동탐지 적용성 연구

        박영수,임형래,이명종,손정술,김정호,박삼규,김창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9 No.4

        국내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석회암 공동에 대한 조사는 단순한 지반침하 원인의 규명 이외에 지반침하 지역 또는 예상지역의 보강 설계 및 사후 관리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지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반침하지역 공동탐지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리탐사기법으로 한 종류의 지반 물성을 이용하는 단위 물리탐사기술보다는 여러 가지 물성의 지하를 조명하는 복합 물리탐사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침하조사 시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복합 물리탐사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에 과거 석회암 공동에 의한 지반침하 경력이 있는 지역을 현장 실험장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리탐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전기비저항탐사, 전자탐사 그리고 고정밀 중력탐사 결과로부터 지하 공동의 위치 및 분포를 추정・해석하고,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서 단위 물리탐사 기술의 공동탐지 적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추조사결과, 실험장 지역 기반암내 공동은 대부분 지하수 또는(물로 포화된) 점토로 채워져 있어 주위 기반암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전기비저항 및 밀도를 가지며, 넓은 지역에 걸쳐 망구조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험장에 적용한 전기비저항, 전자 및 고정밀 중력 탐사 결과, 저비저항대와 음의 중력 이상대 분포 지역이 시추 조사에서 확인된 지하 공동의 분포 위치와 상당 부분 일치함을 보여 이들 각 탐사법들이 지하 공동 분포 파악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개별 탐사 기법 해석과 아울러 각종 탐사결과를 종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지하공동의 분포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국내에서의 사용이 미비하였던 고정밀 중력탐사기법이 지하공동 탐지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새물리"에 게재된 경험적 연구 논문의 구성 체제 분석: 실험물리학과 물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조광희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8

        The characteristics of empirical research papers on experimental physics and physics education were compared by analyzing their structure in the journal “New Physics: Sae Mulli”. A total of 20 experimental physics papers and 20 physics education papers published in 2020 and 2021 were collected for analysis. Consequently, their structural patterns were similar to, but not the same as, IMRD, a typical pattern of empirical research. Experimental physics papers were written in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with physics education papers, and they primarily presented figures rather than tables with mostly IM[RD]C patterns. In physics education papers, the results were commonly presented in the third section based on tables and discussed with the conclusion in the last section. In addition, experimental physics papers tended to briefly present the conclusion section, but physics education papers had almost the same number of lines in the introduction, method, and last section, including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This result indicates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empirical research papers in the field of experimental physics and physics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최근 “새물리” 학술지에 게재된 경험적 연구 논문의 구성 체제를 분석하고, 실험물리학 논문과 물리교육 논문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분석 대상은 2020, 2021년 새물리 학술지에 게재된 실험물리학 논문 20편과 물리교육 논문 20편이었다. 논문의 쪽 수, 각 절의 제목과 분량, 표와 그림 개수, 참고문헌 수 등을 조사하였다. 절 제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물리학 논문의 구성 양식은 경험적 연구의 전형적인 전개 방식인 서론-방법-결과-논의(IMRD)와 유사하였지만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실험물리학 논문은 물리교육 논문에 비하여 비교적 전체 분량이 짧았고, 표보다 그림 위주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대부분 서론-방법-결과 및 논의-결론(IM[RD]C) 형식을 사용하였다. 물리교육 논문에서는 표를 중심으로 셋째 절에서 결과를 제시하고, 마지막 절에서 결론과 함께 논의를 전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또 실험물리학 논문은 특히 결론 절을 짧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물리교육 논문은 서론, 방법, 그리고 결론을 포함한 마지막 절의 서술 분량이 거의 비슷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물리학 논문과 물리교육 논문의 구성 체제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