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고재천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의 성격과 특성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초등교육의 성격을 고찰하고 초등교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육은 통합교육, 전인교육, 기초기본교육, 보통일반교육, 무상의무교육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초등교육의 특성들이 타 교육분야의 특성들과 완전히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라고 하기보다는 강조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초등교직은 당위적인 측면에서는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전문직이라고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당위적인 측면에서 전문성을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는 초등교육학에 대한 통합적인 안목을 갖고 전인형성을 위한 모델로서 전 교과를 아동 발달 수준에 맞게 가르칠 수 있는 사명감과 봉사정신이 투철한 교육 전문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의 인정 여부는 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육의 특성에 맞게 초등교사의 전문성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literature analysi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by the five aspects of educational processes. And then, this study explor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f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examined were integrative education, whole-child education, basic and fundamental education, common and general education, and free and compulsory education.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s characterized as a profession in the normative aspects, but it is difficult to say so in the practical aspects.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normative aspects was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has the integrative view on elementary education.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behaves as a model to form a whole-child. Thir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teaches all subject matters in an elementary school. Four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instructs children with a proper way in an elementary level. Lastl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the professional who possesses, as a practicer, the consciousness of mission and servicemanship in his/her occupation. After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problem on ap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depends on how teacher's professionalism can be actualized in the classroom settings.

      • KCI등재후보

        개화후기(1906~1910) 초등교육의 성격 탐구

        조연순 ( Jo Yeon Sun ),정혜영 ( Jeong Hye Yeong ),김정준 ( Kim Jeong Jun ),김형숙 ( Kim Hyeong Su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초등교육이 제도적으로 증등교육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개화후기 초등교육의 성격을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화후기의 사회적 상황과 교육적 요구, 초등학교의 교육목적, 교과과정과 교육내용, 교육방법과 평가, 초등교원 양성과 임용과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 초등교육의 성격이 어떠했는지 규명하였다. 개화후기의 관·공립학교는 일제의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교육의 장이 되었으며 사립학교는 통감부의 교육정책에 저항하고 민족교육, 애국인재 양성의 역할을 하였다. 이 당시 공·사립 학교는 초등교육의 특성인 아동 중심적 교육을 실천하기보다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열악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서도 이 시기의 초등교육은 제도적으로나 교과과정 면에서 중등교육과 분리되어 분화·발전함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의 공교육화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ses, school curricula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aws and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s, and educational journals that were amended an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were analyzed Comparing to the beginning period of the Enlightenment(1880-1905) that the idea of elementary education had not 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last five yea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identified as an initial stage that the modern meaning of element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split up and specified from the meaning of the secondary education. Thus, the idea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curricular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arly-child or secondary ones for the first time,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ere identified, developed, and refined. However Korean elementary education in that period, showed two contras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bodies of foundatio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period were used for strengthening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ver Korea, whereas the private ones were mainly emphasized on educating nationalists and patriots who would resist against Japan, though the educational resistances from the private sector were soon eradic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the idea of the child-centered education was introduced, but had not implemented yet to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 KCI등재

        독일'초등학교교육학(Grundschulpadagogik)'의 학문적 성격 :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 Die Bedeutungen und Aufgaben der ' Grundschulpadagogik ' in Korea

        정혜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그 대상인 초등학교를 명확하게 드러내어 '초등학교 교육학'으로 규정 지음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고찰하고, 그것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은 교육개혁의 맥락 속에서 '학교교육학'의 부분영역으로 성립되었으며. '기초단계 교육학'과 '초등학교 교수학'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초등학교교육학'의 연구영역들로서 초등학교이론, 초등학교 수업이론, 초등학교 특수적인 교육내용, 교사에 관련된 이론 등이 제시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서 비교연구방법, 역사연구방법, 정신과학적-해석학적 연구방법, 경험적 연구방법, 행위적 연구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및 초등교사 양성교육 실제에 주는 의미와 과제가 시사되었다. Seit einigen Jahren wird die Diskussion u¨ber die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vielfach entwickelt. Fu¨r die Feststellung der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wird zuna¨chst eine theoretische Grundlage fu¨r die Grundschule gefordert, dafu¨r ist es notwendig, eine wissenschaftliche Disziplin u¨ber die Grundschule zu feststellen. In Deutschland wird schon die Theorie der Grundschule als ein selbststa¨ndliches Forschungsgebiet mit dem Namen der 'Grundschulpa¨dagogik' festgestell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zu betrachten and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zu vorstellen. Diese Arbeit besteht aus den vier Kapiteln, in denen die Entstehungskontext und erziehungswissenschaftlicher Standor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wissenschaftliche Eigensta¨ndigkei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Gegenstandsbereiche und die Forschungsmethoden mit den deutschsprachlichen Fachliteraturen untersucht werden. Zum Schluβ habe ich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mit der Theorie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vorgestellt.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임문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산수과의 목표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ith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Based on that work, I induced some suggestions which is useful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purpos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 of mathematics, scholastic ability and learning volition. On the other hand, Japan's curriculum concentrated on the utility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and the motive of learning mathematics. Second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differing from Korea's, are closely divided into concrete items. Final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ch grade,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are presented in outlined form according to general purpose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researcher could display flexibilities and creativities in making mathematics textbook.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김민재,김동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s” section of a thesi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esents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published by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the conclusion section was analyzed on the four-year academic papers published.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ding chapter and the number of conclusion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most commonly used title for the conclusion section w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was 85.4 lines or 2.1 pages.. Th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lusions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s in sentence units, we found stages as a kind of semantic unit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 we obtained that these stages are often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ages. Finally, a conclusion template for papers common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raf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more, specific thesis regard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might be prepared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논문 결론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분석한 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의미 구성단위로서의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과학 교육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연구동향 분석

        신원섭,박형민,김남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이 연구는 1970년에 설립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50년 역사를 정리하고 반추함으로써 학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학술지인 ‘초등과학교육’ 1권(1983년)부터 39권 2호(2021년 2월호)까지 1,018개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과학교육 1권(1983)부터 6권(1987년)은 초등과학교육 총서 1집(輯)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7권부터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메타 분석은 1) 연구자 수(단독, 2인, 3인, 4인 이상), 2)연구 종류(순수, 학위, 연구지원, 기타), 3)1저자 정보(학생, 교사, 교수, 교육기관, 기타), 4)교신저자 지역(교신저자 표기 없을 경우 1저자 기준), 5)연구대상(학생, 예비교사, 교사, 교사+학생, 예비교사+교사, 교과서, 교육과정, 기타), 6) 연구 분야(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학문간 융합, 과학교육 전반, 영역 융합, 기타), 7) 연구방법(조사, 실험, 개발, 문헌, 기타), 자료 분석방법(양적기술, 양적통계, 질적, 혼합, 기타), 8) 효과 검증(지식, 탐구, 태도, 지식+탐구, 지식+태도, 탐구+태도, 지식+탐구+태도, 창의성, 창의성+α, 기타)으로 총 8개의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술지의 제목표기, 저자표기, 교신저자, 요약, 편집 등의 논문 체제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을 분석을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및 시대구분

        김현미,신항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 으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시대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기별 교육과정 의 총론에서 개정 배경 및 방향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을 분석하였고, 초등학교 수학 과 교육과정에서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지 금까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 기능, 태도 요소를 추가하면서 꾸준히 변화하는 특징을 보 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수 학적 개념이나 기르고자 하는 수학적 능력 및 태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학적 변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변화의 특성을 기준으로 ‘도입기(교수요목기~3차)-확립기(4차~6차)-전환기(제1: 7차, 제2: 2007 개정)-통합·안정기(2009 개정~2015 개정)’로 시대를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미래 지향 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cont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lso to divide the periods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the background, direction,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a revision were analyzed in the curriculum generals in each perio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ms, contents, methods for teaching and study, and the evaluation parts were analyz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Until now,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has shown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steadily changed by adding new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elements required by society based on the existing curriculum, while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s and directions of the revisions by period. Therefore,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various pedagogical transformation centered at new mathematical concepts or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hanges, the history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s divided into ‘introductory period(syllabus~3rd)-establishment period(4th~6th), transition periods(1: 7th, 2: 2007 revision), integration·stabilization period(2009 revision~2015 revi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histor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 KCI등재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송미사 ( Mi Sa Song ),정혜영 ( Hye Young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고자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초등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를 언어적 유창성, 수업계획, 실천, 지식, 전문성 발달 노력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어교육 경력 1~3년, 4~6년, 7~18년, 9~30년, 31년 이상으로 나누고 각 경력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의 경력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의 시각’에서 ‘학생의 상황과 눈높이’에서 수업을 바라본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초등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어교육 중심’에서 ‘초등교육 중심’이 된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 영어과를 기반으로 한 연구 활동 및 교사 간의 공식적, 비공식적 상호교류는 매우 중요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영어 교육 전문성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각 경력별 특징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t aspects of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n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five developmental stage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research, total of 15 elementary teachers having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at school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depth.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as follows. First, as they``re having more teaching experiences their conceptions of good English teaching had been changed from teachers`` to children``s viewpoints. They attempted expanding and transferring the content from their focus on the English curriculum itself to more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general when they taught English. And it was very important and critical for teachers to involve in research activities and formal and informal mutual interchange among teachers since it helped to improve their English expertis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reflecting upon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they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of linguistic proficiency, lesson planning, teaching practice, knowledge, and staff development. It needs to provide the customized programs of staff development for teachers reflecti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and to have further research on th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