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임문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산수과의 목표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ith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Based on that work, I induced some suggestions which is useful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purpos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 of mathematics, scholastic ability and learning volition. On the other hand, Japan's curriculum concentrated on the utility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and the motive of learning mathematics. Second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differing from Korea's, are closely divided into concrete items. Final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ch grade,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are presented in outlined form according to general purpose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researcher could display flexibilities and creativities in making mathematics textbook.
김현미,신항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 으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시대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기별 교육과정 의 총론에서 개정 배경 및 방향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을 분석하였고, 초등학교 수학 과 교육과정에서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지 금까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 기능, 태도 요소를 추가하면서 꾸준히 변화하는 특징을 보 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수 학적 개념이나 기르고자 하는 수학적 능력 및 태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학적 변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변화의 특성을 기준으로 ‘도입기(교수요목기~3차)-확립기(4차~6차)-전환기(제1: 7차, 제2: 2007 개정)-통합·안정기(2009 개정~2015 개정)’로 시대를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미래 지향 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cont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lso to divide the periods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the background, direction,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a revision were analyzed in the curriculum generals in each perio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ms, contents, methods for teaching and study, and the evaluation parts were analyz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Until now,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has shown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steadily changed by adding new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elements required by society based on the existing curriculum, while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s and directions of the revisions by period. Therefore,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various pedagogical transformation centered at new mathematical concepts or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hanges, the history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s divided into ‘introductory period(syllabus~3rd)-establishment period(4th~6th), transition periods(1: 7th, 2: 2007 revision), integration·stabilization period(2009 revision~2015 revi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histor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신원섭,박형민,김남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이 연구는 1970년에 설립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50년 역사를 정리하고 반추함으로써 학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학술지인 ‘초등과학교육’ 1권(1983년)부터 39권 2호(2021년 2월호)까지 1,018개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과학교육 1권(1983)부터 6권(1987년)은 초등과학교육 총서 1집(輯)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7권부터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메타 분석은 1) 연구자 수(단독, 2인, 3인, 4인 이상), 2)연구 종류(순수, 학위, 연구지원, 기타), 3)1저자 정보(학생, 교사, 교수, 교육기관, 기타), 4)교신저자 지역(교신저자 표기 없을 경우 1저자 기준), 5)연구대상(학생, 예비교사, 교사, 교사+학생, 예비교사+교사, 교과서, 교육과정, 기타), 6) 연구 분야(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학문간 융합, 과학교육 전반, 영역 융합, 기타), 7) 연구방법(조사, 실험, 개발, 문헌, 기타), 자료 분석방법(양적기술, 양적통계, 질적, 혼합, 기타), 8) 효과 검증(지식, 탐구, 태도, 지식+탐구, 지식+태도, 탐구+태도, 지식+탐구+태도, 창의성, 창의성+α, 기타)으로 총 8개의 기준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술지의 제목표기, 저자표기, 교신저자, 요약, 편집 등의 논문 체제의 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의 연도별 연구동향을 분석을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권정은,최재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6년까지의 초등수학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학술지의 논문이 분야별로 얼마나 고르게 연구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기대와 요구에 부합되게 초등수학교육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서 향후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연도, 연구주제, 수학과 내용영역,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지역 등을 분석기준으로 삼고, 분석대상으로 국회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항목 중 키워드(key word)를 '초등 수학'으로 하여 검색된 학술지 논문 중에서 1998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발표된 국내수학교육 전문 학술지인 대한수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 각 교육대학교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 175편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학술지 논문 60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주제 및 수학과 내용영역에서는 수업설계와 방법, 수와 연산 등 특정영역에 편중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방법에서는 초등수학교육 이론정립 및 내용분석과 관련된 교수학적분석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어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하여 개별적인 특성과 환경적 변인 등을 고려한 보다 다양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the articles in Math-Educational journals between 1998 and 2006 in a bid to discuss whether the articles evenly dealt with different fields and whether studies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were in line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a. It's basically meant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he articles included in Math-Educational journals during the selected period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theme, area, method and subjects of the studies and when the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checking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by inputting a keyword 'elementary mathematics', 235 articles were found, and a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had been steady research efforts about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s 20 or 30 studies had been conducted on a yearly basis. Second, as for theme of research, the most common themes were instructional design and method(25.5%), and an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15.3%) was the second most dominant theme. Third, regarding the area of study, the most widely investigated area was number and operation (30.0%), followed by character/expression(27.8%), figure (23.9%), regularity/function (8.9%), probability/statistics(5.6%), and measurement (3.9%). Fourth, concerning the method of research, didactical analysis(43.8%) was most prevalent,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29.8%), qualitative research(16.6%) and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9.8%). Fifth, as to subjects, many of the studies(21.7%) investigated upper graders. In conclusion, it has to be accomplished the impartial researches for the whole area in order to develop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attain the objec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김민재,김동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s” section of a thesi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esents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published by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the conclusion section was analyzed on the four-year academic papers published.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ding chapter and the number of conclusion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most commonly used title for the conclusion section w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was 85.4 lines or 2.1 pages.. Th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lusions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s in sentence units, we found stages as a kind of semantic unit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 we obtained that these stages are often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ages. Finally, a conclusion template for papers common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raf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more, specific thesis regard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might be prepared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논문 결론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분석한 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의미 구성단위로서의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과학 교육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조연순 ( Jo Yeon Sun ),정혜영 ( Jeong Hye Yeong ),김정준 ( Kim Jeong Jun ),김형숙 ( Kim Hyeong Su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초등교육이 제도적으로 증등교육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개화후기 초등교육의 성격을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화후기의 사회적 상황과 교육적 요구, 초등학교의 교육목적, 교과과정과 교육내용, 교육방법과 평가, 초등교원 양성과 임용과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 초등교육의 성격이 어떠했는지 규명하였다. 개화후기의 관·공립학교는 일제의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교육의 장이 되었으며 사립학교는 통감부의 교육정책에 저항하고 민족교육, 애국인재 양성의 역할을 하였다. 이 당시 공·사립 학교는 초등교육의 특성인 아동 중심적 교육을 실천하기보다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열악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서도 이 시기의 초등교육은 제도적으로나 교과과정 면에서 중등교육과 분리되어 분화·발전함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의 공교육화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ses, school curricula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aws and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s, and educational journals that were amended an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were analyzed Comparing to the beginning period of the Enlightenment(1880-1905) that the idea of elementary education had not 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last five yea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identified as an initial stage that the modern meaning of element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split up and specified from the meaning of the secondary education. Thus, the idea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curricular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arly-child or secondary ones for the first time,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ere identified, developed, and refined. However Korean elementary education in that period, showed two contras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bodies of foundatio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period were used for strengthening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ver Korea, whereas the private ones were mainly emphasized on educating nationalists and patriots who would resist against Japan, though the educational resistances from the private sector were soon eradic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the idea of the child-centered education was introduced, but had not implemented yet to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 지도법 관련 교재 편찬 논의
전영석,박형민,나지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초등학교 예비교사가 과학수업 전문성을 갖추는 첫 시작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초등과학교육 관련 강좌는 수업 내용, 수업방식이 서로 달라, 내실 있고 일관된 교원 양성 체제를 이루기 어렵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의 학습 부담이 매우 과중한 실정이다. 2020년 동계 학술대회에서 초등 과학교육 관련 강좌가 가진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는 초등과학교육학회 회원들이 모여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그 논의의 주된 내용 중 한 가지는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관련하여 개발된 교재는 몇 종 있으나, 구체적인 초등과학교육 지도방법과 관련된 교재는 찾기 어렵고, 현실적으로 그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고 공유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초등과학교육학회에서는 ‘초등과학교육 교재연구 및 내용지도법’ 관련 과목의 교재를 학회 차원에서 개발하기로 하였다. 그 첫걸음으로 교과서의 단원별, 차시별 교수법과 관련된 강의 사례를 수집하고 논의하여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전에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교재에 담겨야 할 내용에 대한 의견을 수합하였고, 본 워크숍을 통해 구체적인 집필 방향과 일정에 관해 관심 있는 회원들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 초등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초등교육연구』(1987-2022) 분석을 중심으로
김민호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연구』(1987-2022)에 게재된 1,005편의 논문에 대한 양적,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3년의 선행연구와 달리 2022년까지 발간된 논문을 추가 분석했고, 선행연구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한국초등교육학계의 초등교육의 본질 규명 시도를 ‘교과교육론자’‘교육의 과정론자’‘사회적 실제론자’등으로 유형화했으며, 각 유형에 대한 학문적 반론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교육학과 초등교육학, 초등교육학과 교과교육학의 관계에 관한 논문을 분석, 논의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초등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초등교육의 11개 구성 요소별로 분류한 뒤, 각 요소에 해당하는 논문을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하위범주로 코딩함으로써 초등교육 연구의 구성 요소별 특징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자는 향후 초등교육 연구를 초등학교 교육이 아니라 평생교육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ults and challenges of Korean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1,005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1987-2022 ). Unlike previous study in 2013, this study further analyzed the papers published until 2022, and categorized attempts to find out the essence of elementary education of the Korean elementary education academia, which were not specifically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into ‘subject-matter education,’‘educational process,’and ‘social practices.’And this study raised academic objections to each typ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of education and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tudy of subject-matter educ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and future challenges of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by classify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into 11 componen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coding the research papers belonged to each component into subcategories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elementary educatio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rather th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