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속 저전력 동작을 위한 개방형 파이프라인 ADC 설계 기법

        김신후,김윤정,윤재윤,임신일,강성모,김석기,Kim Shinhoo,Kim Yunjeong,Youn Jaeyoun,Lim Shin-ll,Kang Sung-Mo,Kim Suki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1a

        본 논문에서는 고속, 저전력 8-비트 ADC를 설계하는 기법들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적은 전력 소모를 가지면서 고속으로 동작 시키기 위해 기존의 파이프라인 구조인 MDAC를 이용한 폐쇄형 구조 대신에 개방형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Distributed THA와 캐스캐이드 형태의 구조를 이용하여 높은 샘플링 속도에 최적화 하였다. 제안한 각 단의 크로싱 지점을 판별하는 기법은 증폭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전력과 좁은 면적의 ADC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 500-MHz의 샘플링 속도와 1.8V 전원 전압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디지털 회로까지 포함, 210mW의 전력을 소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1.2Vpp(Differential) 입력 범위와 200-MHz까지의 입력 주파수에서 8-비트에 가까운 ENOB를 가짐을 볼 수 있었다. 설계된 ADC는 $0.18{\mu}m$ 6-Metal 1-Poly CMOS 공정을 이용, $900{\mu}m{\times}500{\mu}m$의 면적을 차지한다. Some design techniques for high speed and low power pipelined 8-bit ADC are described. To perform high-speed operation with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open loop architecture is adopted, while closed loop architecture (with MDAC) is used in conventional pipeline ADC. A distributed track and hold amplifier and a cascading structure are also adopted to increase the sampling rat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die area, the number of amplifiers in each stage are optimized and reduced with proposed zero-crossing point generation method. At 500-MHz sampling rat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210mW including digital logic with 1.8V power supply. And the targeted ADC achieves ENOB of about 8-bit with input frequency up to 200-MHz and input range of 1.2Vpp (Differential). The ADC is designed using a $0.18{\mu}m$ 6-Metal 1-Poly CMOS process and occupies an area of $900{\mu}m{\times}500{\mu}m$

      •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스발생기 유량조절특성 연구

        최호진(Hojin Choi),현형수(Hyungsoo Hyun),이경호(Kyoungho Lee),박익수(Iksoo Park),이재윤(Jaeyoun Lee),윤현걸(Hyungull Youn),임진식(Jinshik Lim) 한국추진공학회 201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덕티드로켓 추진기관에 사용되는 불완전연소 가스발생기 및 유량조절시스템을 설계/제작하고 연소시험을 수행하여 유량조절특성을 분석하였다. 추진시스템 설계요구조건을 바탕으로 가스발생기를 설계하고 불완전연소용 고체연료 조성을 개발하여 연소시험을 수행, 일반적인 고체추진기관 해석모델을 통한 예측결과와 상당한 차이의 실험결과로부터 불완전 연소가스를 위한 별도의 해석모델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유량조절 시험을 통해 밸브각도에 따른 가스발생기 압력변화 특성을 확인하였고, 출구 면적에 따라 유일하게 결정되는 유출계수로부터 가스발생기 압력을 예측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The combustion and flow-rate control characteristics of fuel-rich gas generator which could be adopted to Ducted Rocket propulsion system are investigated. The gas generator is designed considering the design requirements of propulsion system and solid fuel for fuel-rich combustion is developed then adopted to ground test. The results of combustion test show the necessity of the special analysis tool for estimating the gas generator performance where multi-phase flow of fuel-rich gas exists. During the flow-rate control test, characteristics of gas generator pressure with the angle of valve are analyzed and, method to estimate the pressure of gas generator is suggested u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valve exit area and discharge coefficient.

      • KCI등재

        1930년대 시(詩)와 漢字(語) 문제 -이상(李箱)의 연작시 기획 「오감도(烏瞰圖)」, 「정식(正式)」에 나타난 한자(漢字) 어휘의 양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하재연(河在姸) ( Ha¸ Jae-yo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李箱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漢字 어휘 표기 방식은, 작가들 개인의 다양한 朝鮮語 문체 실험이 이루어졌던 1930년대의 文學場 속에서 다른 어떤 작가보다 ‘漢字’ 문자 표기를 적극 실험했던 李箱의 시도를 돌올하게 부각시킨다. 「烏瞰圖」와 「正式」 연작의 각 작품들이 보여주는 표기 및 문체는 상대적으로 차이와 변폭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 연작의 작품들이 구현하는 朝鮮語 문장의 이른바 漢字 혼용적 형태를 구분하고 그 효과와 의도를 규명하여, 1930년대 文學場 안의 다양한 漢字(漢文)에 대한 인식과 사용법의 한 구체적 예를 가시화시키고자 하였다. 李箱은 漢字 표기가 강화시킬 수 있는 시각성, 상징과 논리의 기능을 전면화하며, 혼종적인 朝鮮語 문장의 구조와 詩의 배치를 만들어냈다. 李箱의 詩는 당대에 그가 습득한 朝鮮語-日本語-漢文 전통-외국어 등의 여러 가지 선택과 배제의 역학 속에서 자신만의 朝鮮語 문장을 만들어나가고자 한 치열한 시도의 결과이다. 혼종적이고 잡스러운 것, 부자연스러운 것, 율격의 아름다움이 아닌 理智와 보편성의 추구를 朝鮮語 詩에서 보여주었던 李箱의 실험은 여전히 현재적이다. Yi Sang’s inventive Sino-Korean words orthography in his works is the prominent attempt among diverse rhetoric experiments in 1930s’ Korean literary fields. In serial poetry, Ogamdo(烏瞰圖) and Jeongsik(正式), his orthography and poetic styles are varied due to respective works and in this paper, I analyze their variations and his intention to represent rhetoric notion and poetic style about Sino-Korean words. He displays symbolic and reasoning effects along with visualities in his works by hybrid Korean writing and poetic composition through Sino-Korean words orthography. His poetry is the consequence of intense endeavors to achieve own Korean style of writing through the dynamics of selections and exclusions among his acquired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Sinograph and other foreign languages. His poetic experiments, including crossover, hybrid, unnaturalness, universality and intellectuality other than beauty of versification, is still contemporary.

      • KCI등재

        내몽골 홍산문화의 굽은 동물형 옥기 등장시점 검토

        김재윤 ( Kim¸ Jae-yo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홍산문화에서는 돼지, 곰, 용 등으로 해석된 ‘결형저용(玦形猪龍)’ 혹은 ‘옥웅룡(玉熊龍)’이라 불리는 유물과 ‘C자형 용’형 옥기 등이 대표적 유물로서, 홍산문화 문명론을 상징하는 유물로 알려졌다. 그러나 두 동물모양 옥기는 크기, 평면과 단면형태, 전면과 측면 등이 확연하게 달라서 같은 동물을 형상화했다고 볼 수 없다. 평면형태로 ‘C자형 용’은 C자형 동물형옥기, ‘결형저용’은 D자형 동물형옥기로 구분할 수 있다. 대형의 C자형 동물형옥기는 출처가 불분명하고, 출처지가 확실한 D자형 동물형 옥기는 우하량 유적과 반랍산 유적의 소규모 석관묘에서 출토된다. 굽은 동물형 옥기 등장시점은 무덤의 편년과 연동되어 있다. 홍산문화의 편년은 대표유물인 압인之자문토기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홍산문화 2기인 백음장한(白音長汗)유적 3기에서 홍산문화의 무덤이 처음 확인된다. 3~4기는 5300~5000년 전 으로 남태자(南台子) 유적이 있고, 5기는 5000~4400년 전 즈음 우하량 유적과 반랍산(半拉山) 유적, 호두구(胡頭溝)유적, 전가구(田家溝)유적, 초모산(草帽山) 유적 등 대부분의 무덤 유적이 집중된다. D자형 동물형 옥기도 이 시점에 등장하며, 홍산문화의 옥기 대부분이 이 시점에 출토된다. C자형 동물형옥기는 출처가 불명확하여 등장시점을 특정할 수 없다. D자형 동물형옥기가 출토되는 우하량 유적과 반랍산 유적의 옥기 부장양상을 살펴보면, 계층성이 나타나는 않으나 남녀에 따라 특정 옥기가 부장되는 현상이 파악된다. D자형 동물형 옥기는 두 유적의 남녀 무덤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성(性)에 따라 부장된 유물로 보기 힘들다. 따라서 1500년 이상 지속된 홍산문화에서 상징처럼 여겨진 굽은 동물형 옥기는 이 문화의 가장 마지막 시기에 등장해 5기의 특징적인 옥기는 될 수 있지만, 전체 문화를 대변하는 옥기로 보기는 어렵다. 비교적 간단한 석관묘에서 출토되기 때문에 무덤의 규모 및 구조와 이 옥기의 사회적 의미는 연관이 없다. 홍산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고고자료 분석으로 이 문화에 대한 모순과 과장이 밝혀지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terest in Hongshan culture is centered on the cultural heritage of Jade. In particular, the curved animal-shaped jade was interpreted as a dragon, a pig, a bear, and so on. However, the two relics differ markedly in size and shape, and thus cannot be regarded as the same animals. Planar features can be seen as C-shaped and D-shaped jade, and abstract animal expression. Large C-shaped animal-shaped jade is unclear in its excavation location, while D-shaped animal-type jade is the grave site if the excavation remains certain. Thus, the two artifacts do not have a basis to be seen as a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Not only that, but the animal jadeite is not the largest so-called ‘central tomb’ at the Niuheliang site and Banlashan site, but a relatively simple sarcophagus. The period of appearance of jade is linked to the chronology of the tomb. The jade flags of Hongshan culture began to be excavated from the 3rd period of this culture, and most of them were excavated at the 5th Niuheliang site and Banlashan site. The D-shaped animal-shaped jade also appears at this point, and the C-shaped animal-shaped jade is unclear from the source, so the point of appearance cannot be specified. At present, the largest excavations of jade are Niuheliang site and Banlashan site. Both site differ in women’s and men’s graves. Hoof-shaped Jade, Jade in Shape of Hook and Cloud, and animal-shaped jade are excavated in the site of the Wu Ha Liang site, and bracelets are concentrated in the female tomb. In the Banlashan site, on the other hand, the relics that are only excavated in the male tomb are the moon and D-shaped jadeite, while in the female tomb, rings, bracelets, and walls are excavated. The most excavated remains of theNiuheliang and Banlashan site are rings, bracelets and walls, both of which are concentrated in the female grave. The jade figure of Hongshan culture is more likely to be deriv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an the symbolism of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