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KCI등재

        Safety of subtotal or total colectomy with primary anastomosis compared to Hartmann procedure for left-sided colon cancer obstruction or perforation

        Eun-Do Kim,Jin-Kwon Lee,Jin-Kyu Cho,Jae-Myung Kim,Ji-Ho Park,Ju-Yeon Kim,Sang-Ho Jeong,Young-Tae Ju,Chi-Young Jeong,Eun-Jung Jung,Young-Joon Lee1,Soon-Chan Hong,곽승진 대한종양외과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15 No.2

        Purpose: Whether subtotal or total colectomy with primary anastomosis (PA) is safer than Hartmann procedure (HP) for left-sided colon cancer obstruction or perforation remain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ostoperative morbidity, mortality, and defecation frequency between PA and HP for left-sided colon cancer obstruction or perforation.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54 patients from January 2014 to February 2018 who underwent emergency surgery due to left-sided colon cancer obstruction or perforation. Results: PA was carried out in 20 patients while HP was performed for 34 patients. Thirty-day mortal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15.0% vs. 14.7%, P=1.000). No anastomotic leakage occurred in PA group while three (8.8%) cases of stump leakage occurred in HP group. Stoma repair was performed for 13 cases (44.8%) and stoma reformation was performed for one case in HP group (7.7%). Stoma 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five cases (17.24%). For patients after stoma repair, defecation frequency at 3 months after operation was 2.91±2.88 times per day in PA group and 2.86±2.63 times per day in HP group. At 1 year after operation, defecation frequency was changed to 1.40±1.12 times per day in PA group and 1.17±0.39 times per day in HP group. Conclusion: Primary ileosigmoid or ileorectal anastomosis for left-sided colon cancer obstruction or perforation is safe, and shows similar outcome of defecation frequency compared to H

      • 수입각증후군에 의한 급성 복증 1례

        정은욱,지삼룡,이영태,박지훈,김동기,제인수,채두근,박성재,박은택,이연재,이상혁,설상영,정정명 白中央醫療院 2005 仁濟醫學 Vol.26 No.1

        Afferent loop syndrome is an uncommon complication of a gastrectomy and Billroth Ⅱ reconstruction. It may cause symtoms at any time from the first postoperative day to many years after the gastrectomy. Afferent loop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abdominal pain, vomiting and elevation of serum amylase. Thus,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afferent loop syndrome from other cause of acute pancreatitis. However, the history of gastrectomy can be an important clue for diagnosing afferent loop syndrome. We experienced one case of chronic afferent loop syndrome with acute pancreatitis. After appropriate management, the abdominal pain disappeared and serum amylase level decreased.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하치조신경 및 설신경 손상 평가를 위한 한국인 정상 성인의 하순-이부 및 혀의 감각 조사

        이종호,이세영,송승일,이은진,안강민,김성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2

        In the head and neck area, there are so many sensory nerves, which are sometimes injuried iatrogenically or inadvertently so that involved patients complained of the loss of sensations. In such cases, it is important to judge the degree of injuries and regeneration of nerve for better diagnosis and treatment. Seddon and Sunderland's classification, which is commomly used, is focused on histological change and nerve conduction. As times goes by, it is difficult to access patient's sensory disturbance by this method. Until now, so many methods such as contract threshold, direction,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have been introduced for sensory evaluation. However, there hasn't been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each methodology nor integrated standard methodology for the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orean adult normative sensory values of lower lip,chin and tongue using modified methods of contact thershold, ditection, two point discrimination, pin prick, thermal discrimination and assess degree of regeneration of sensory nerve damage.

      • Semi-fragile 워터마킹 기반의 영상 인증 방법

        이명은,임현,박순영,조완현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2 공업기술연구 Vol.2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mi-fragile watermarking based image authentication technique using a look-up table of DCT coefficients. Binary watermark is generated from Bernoulli random number and look-up table is obtained by mapping randomly selected binary numbers 0 and 1 to the each interval of DCT coefficients with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 Watermark embedding is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watermark with the component of the look-up table corresponding to the coefficients in which watermark is inserted. Watermark detection process is to find the component of look-up table whose interval matches the watermarked coefficients. Statistical analysis is derived to decide the reliable authentication and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very efficient in the performance of image authentication.

      • 단순형 국어통증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이은옥,최정명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1988 간호학 논문집 Vol.3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velop the Short-Form Korean Pain Rating Scale(KPRS) 2.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KPRS and Short-Form KPRS. The study 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705 patients among those who are suffered from acute and chronic pain. The Original KPRS was used to measure the pain and to develop the Short-Form KPRS was used frequency with patient's response. The Pearson Corelation Coefficient was employed to identify relationship. The outcom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component of the Short-Form KPRS consists of 20 pain items with 20 subclasses. 2.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did exist between two pain measurement tools (r=0.3143~0.7823, p=0.000~0.029)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hort-Form KPRS showed promise as a useful tool in situations in which the Original KPRS task too long to administer. However, replications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 of the Short-Form KPRS in the future.

      • 청소년 인터넷 중독증과 우울, 사회적 불안, 또래관계 문제와의 연관성 조사

        이명수,오은영,조선미,홍만제,문재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 현황조사와 더불어 인터넷 중독증과 우울, 사회적 불안, 또래관계 문제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수원시 소재 고등학교 학생 869명(남/여=371/498)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과 연관된 기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인터넷 중독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Young의 인터넷 중독척도를 사용하였고 우울증상의 평가는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불안 및 회피정도는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측정은 Fear of Negative Evaluation-Brief척도를 , 또래관계의 문제는 Index of Peer Relations척도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중독의 현황조사를 위해서 실수와 백분율,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인터넷 중독증과 우울, 사회적 불안 및 또래 관계 문제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 과 : 1) 총 869명의 대상자 중 남학생이 371명(43.7%)이었으며 여학생이 498(57.3%)이었고 평균연령은 16.27세(표준편차=0.82)로 남녀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 총 869명의 대상자중 291명(33.4%)이 인터넷 중독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나타났고 그 중 18명(2.07%)은 명백한 중독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중독척도 상위 30%를 중독경향군으로, 하위30%를 정상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3) 인터넷 중독척도 평균점수의 비교를 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독경향군에 포함되는 비율도 더 높음을 알수 있었다. 을, 정상대조군에서는 정보검색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5) 중독경향군에서 더 우울성향이 높고 외부의 부정적 평가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고 또래관계의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정도는 집단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결 론 : 인터넷 중독으로 비교적 명백하게 분류된 비율은 이제까지의 다른 연구조사와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중독경향군까지 포함했을 겨우, 조사대상자의 약 30%에서 인터넷과 연관된 문제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과다사용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에 우울이나 또래관계등의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판명되어 향후 인터넷 사용자체에 대한 중독치료적 접근이외에 동반 정신병리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s of adolescents' Internet us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Internet addiction to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problems in peer relationship. Method : Eight hundred and sixty-nine high-school students(male/female=371/498) were included in the study, each of whom completed a standard questionnaire related to Internet use determined. We assessed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olescents using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pectively.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were employed to measure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Brief Scale was for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 people. An Index of Peer relation was devoted to problems in peer relationships. Chi-square test and 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present conditions of Internet addic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 of Internet addiction with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problems in peer relationship. Results : 1) Of these 869 subjects, 371(42.7%) were male students and 498(57.3%)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16.27 years(SD=0.8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ex groups. 2) Of these 869 subjects, 291(33.4%) showed addictive tendency and among them 18 subjects(2.07%) were classified into obvious addiction group. In this study, we defined upper 30% of Internet addiction scores as 'addiction group' and lower 30% as 'normal control group'. 3)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of Internet addiction scale than females and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male students in addiction group. 4) Comparing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preferred types of Internet media, although addiction groups tended to use chatting and E-mail more, normal control group tended to use information search mor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games on the Internet. 5) There was more depressive tendency in line with more sensitive response against negative-evaluation and more problems of peer relationship in addicti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anxiety on social situation. Conclusion :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rates classified as the group of obvious Internet addiction were relatively lower. However, including those who had tendency of Internet addiction, about 30% of all subjects had problems related to Internet use. In addition, depression or relationship problems were triggered more severely in Internet addiction group. With these findings in mind we finally suggest that therapeutic approach to comorbid psychopathology as well as Internet addiction itself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기름의 양과 지지는 시간에 따른 화전의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

        이승현,박정은,장명숙 한국조리과학회 200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9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various methods and recipes of Hwajeun (glutinous rice pancake with flower) appeared in the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n the sensory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Hwajeun in terms of the various levels of oil and frying times were investigated.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a sensory evaluation in terms of the acceptance (color, flavor, oily feeling, softness, chewiness, adhesiveness,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and objective evaluation performed by a texture analyzer, a color difference meter and measurements of the water content and oil absorp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treatments as a function of the frying time, S7, showed a significantly(p<O.01) low value, and the oil absorption of the Hwajeun made with different frying tim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ment of the frying time(p<0.001). In terms of color, the b value of the Hwajeun made with 16g oil for frying showed a higher value than the others. In the two bite compression test, the hardness of the Hwajeun made with 4g oil for frying showed a significantly (p<O.001) high value among the S2 and S3 sampl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for the Hwajeun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oil and frying times, the Hwajeun made with 16g oil for frying and a 2 min frying time for each side (S6) was the most preferred in terms of the softness, chewiness,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sensory evaluation.

      •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계층적인 장면 전환 검출

        이명은,박순영,방만원 목포대학교 정보산업연구소 2000 情報産業硏究誌 Vol.8 No.-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the detection of cuts. fades and dissolves among scene change elements by applying a wavelet transform which is useful for signal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takes histograms from a low frequency subband of wavelet. and then calculates the histogram differences between two consecutive frames. If this value is above threshold value, the method classify it as cuts indicating an abrupt shot transition. Also, the method detects a gradual shot transition, such as fade in or fade out, and dissolve where the spot of cuts is not clear. To do this, it calculates central moments of edge components which are extracted from high frequency subbands. Then, it analyzes the variation rate between adjacent frames. If the analyzed value is increasing, fade in is detected, otherwise fade out is detected. Finally, dissolve is detected by finding the concave shaped interval in the variation rates of moments. As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method onto real video segmentation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cut, fade and dissolves more accurately than the exist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