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간세포암과 하대정맥 막성폐쇄의 치료 후 호전된 백혈구파괴혈관염 1예

        이준엽 ( Jun Yeob Lee1 ),이주원 ( Ju Won Lee1 ),이진욱 ( Jin Wook Lee ),박현준 ( Hyun Joon Park ),장국환 ( Gook Hwan Jang ),김다정 ( Da Jung Kim ),김선민 ( Sun Min Kim ),한병훈 ( Byung Hoon Han ),정규식 ( Gyoo Sik Jung ),김근태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2 No.5

        저자들은 하지 자색반과 고환 통증으로 내원한 알코올성 간경화증 환자에서 LCV의 원인 감별하는 과정에서 HCC와 하대정맥 막성폐쇄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치료 후 LCV의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Vasculitis is a heterogeneous group of diseases that destroy blood vessel walls by inflammation. Approximately half of vasculitis cases are idiopathic, but sometimes associated with genetic factors, medicines, chronic infection, autoimmune diseases, and malignancies. Although the mechanism remains unclear, vasculitis secondary to malignancy, also known as paraneoplastic vasculitis, has been reported. It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rather than solid malignancies and commonly presents as leukocytoclastic vasculitis or polyarteritis nodosa. We experienced a case of leukocytoclastic vasculitis in a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membranous obstruction of the inferior vena cava. Here,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J Rheum Dis 2015;22:322-326)

      • KCI등재후보

        요양병원 입원환자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이지윤,윤주영,장사랑 노인간호학회 2008 노인간호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patient assessment instrument fo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0 patients admitted to 3 long-term care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in May and June 2007. Criterion related validity of the K-ADL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test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with the K-MBI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Inter-rater reliability between two nurses was tested using weighted kappa and agreement percentage. Results: Criterion related validity of the K-ADL with the K-MBI was good with averag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96.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tems were between 0.63 and 0.96. Inter-rater reliability was satisfactory with the average weighted kappa equal to 0.76. Items with weighted kappa of more than 0.4 numbered 122 (86.5%) and of more than 0.75, 74 (52.5%) Conclusion: The patient assessment instrument fo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s reliable and K-ADL is valid for classifying these patients based on resource utilization, and for quality monitoring indicators.

      • KCI등재

        製造業에서 勞務比率과 收益性과의 相關關係 硏究 : 忠北 中小 製造企業을 中心으로

        이주성,장병집,조명자 한국세무회계학회 2003 세무회계연구 Vol.12 No.-

        노무비의 비중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낮아지는가에 대한 검증은 향후 경영자가 노동집약적 산업에 투자할 것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충북에 소재하고 있는 82개 중소 제조기업을 표본기업으로 하여 노무비율과 수익성과의 상관관계를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노무비율과 매출총이익률, 영업이익률, 경상이익률, 당기순이익률, 총자산순이익률 등 수익성 변수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론할 수 있다. 첫째는 노무비율과 수익성간에 유의적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은 제조원가에서 노무비 비중이 수익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둘째는 노동집약적 산업에 대한 축소와 자본집약적 산업에 대한 확대를 다시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셋째는 국가의 기업에 대한 정책적 차원에서 노동집약적 산업에 대한 전반적 재검토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Clozapine 투여후 발생한 급성 간염

        장순주,이호택,백주희,이상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Clozapine 투여 후에 급성 간염이 발생했던 두 명의 환자에 대한 증례로, 두 명 모두 이전에 약물에 이한 간염이 발생한 과거력이 있었던 환자로서 무증사의 급성 간염이 발생한 후에 보존적 치료 후에 호전 되었다. 간염이 발생한 후에 간효소수치에 대해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면서, 사용하고 있던 clozapine의 용량을 낮춘 후 간장제를 투여함으로써 간효소수치는 정상화되었다. Clozapine과 비교하면 clozapine은 간세포의 cytochrome P450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고 chlorpromazine은 간내 담즙저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약물에 의한 간염을 경험한 환자는 clozapine에 의해 유도된 감염에 보다 취약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이전의 간 기능 이상을 경험했거나 물질 사용 장애 등의 병발이 있을 경우 정기적인 간기능 평가가 임상적으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uthors report two cases of clzapine-induced acute hepatitis. Two patients developed asymptomatic hepatitis and got better with conservative care. We decreased the dosage of clozapine and added hepatic protections, resulting in normalized laboratory findings. The authors also reviewed side effects of clozapine in this report. We reviewed the suggested mechanism of either clozapine or chlorpromazine-induced hepatitis. clozapine influences the liver cell via cytochrome P 450 and chlorpromazine does so via mild cholestasis. There may be a possibility that a patient who has experienced drug-induced hepatitis is vulnerable to clozapine-induced acute hepatitis. In this respect, those who have experienced drug-induced hepatitis must be observed more closely.

      •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의 효과

        장필순,강현모,이정은,권선중,안진영,이연선,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Both gemcitabine and vinorelbine are effective anticancer drugs with mild toxicity o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monotherapy of these drugs are effective as a second-line chemotherapy. The aim of this trial was to assess the response and toxicity of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24 patients, initial stage III A/B,IV and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ium and taxane based regimens, were enrolled from June 2000 to March 2004. The regimens consisted of vinorelbine 25mg/㎡ followed by an infusion of gemcitabine 1000mg/㎡ on day 1 and day 8 every three weeks. This course was repeated more than twice. Results : Twen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for the response, survival rate, and toxicities. The overall response was 17% with a complete remission rate of 4%. The median time-to progression (TTP) was 3.1 months (95%, CI l-10months), and the survival time was 8.2 months (95%, CI 1-23 months). The grade 3/4 toxicities encountered were neutropenia (12.5%), anemia (0%), thrombocytopenia (0%). Non-hematological 3/4 toxicitie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provides a relatively good response rate, and a low toxicity profile.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uberc Respir Dis 2005; 58: 344-351) 배경 : Gemcitabine, paditaxel, docetaxel, vinorelbine, ir-rinotecan 새로운 항종양제의 출현으로 일차 치료의효과가 증대 되고 있고 재발시에도 좋은 신체 활동도를 보이고 있어서 이차 치료의 대상군도 늘어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치료의 필요성은 증대 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표준 치료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Gem-citabine과Vinorelbine모두 독성이 강하지 않아서 혼합 요법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효과도 입증이 되어있어서 본 연구는 반응이 없거나 반응을 보인후에 재발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ge-mdtabine과 vinorelbine 흔합 요법을 시행하여서 치료 반응률과 생존율 그리고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내원하여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IIIA/IIIB, IV로 진단을 받고 일차 항암화학요법치료를 받은 환자중에 초기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치료에 반응이 있었으나 병이 진행된 환자로 추적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과 반응률 그리고 독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총 치료 반응률은 17%. 반응 유지기간의 중앙값은 3.1개월(1-10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8.2개월 (1-23개월) 그리고 1년 생존율은 35%였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독성은 3도 이상의 중성구 감소가 12%, 오심과 구토가 12.5% 였다. 결론 : 일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한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이차 치료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요법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3상 연구를 통한다른 약제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구개편도에 발생한 결핵

        이병돈,강주원,장혁순,박철규,김장묵 순천향의학연구소 199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 No.1

        Tonsillar tuberculosis, almost always secondary to pulmonary tuberculosis is very rare disease in otolaryngologic fields. Authors have experienced a case of tonsillar tuberculosis associated with miliary pulmonary tuberculosis. The patient had cough, sputum and sore throat for 1 month. On physical examinations, palatine tonsils were slightly hypertrophied, smoothly surfaced, but crypt ulceration or patches were not seen. Diffuse discrete nodules were seen in both lung fields by simple chest X-ray. In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miliary tuberculosis was suspected and in pleural needle biopsy, granulomatous inflammaiton was diagnosed as tuberculosis. AFB smear of sputum was two positive. Histopatholoigic finding of right tonsil was consistent with tuberculosis. He was cured of it with antituberculosis medications for one year. We report the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Bone-supported pendulum을 이용한 상악대구치 원심이동

        장용걸,박호원,이주현,서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요구되는 경우, 구외견인, Wilson distalizing arches, 가철식 스프링 장치 그리고 Schwarz plate-type 장치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대구치의 원심이동 장치들로 치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많은 소아치과 의사들은 환자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임상가가 통제 할 수 있는 장치들로 전환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pendulum 장치인데, 고정원이 되는 전방치아의 원하지 않는 이동과 고정원 소실, 그리고 구개부 고정원이 좋지 않은 경우 원하는 정도의 구치부 원심이동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pendulum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SAS(Skeletal Anchorage System)를 pendulum에 접목하여 골에서 직접 지지를 얻는 변형된 형태의 pendulum, 즉 bone supported pendulum을 제작하여 장착 시킨 후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대상으로 bone supported pendulum을 사용하여 안정된 고정원 유지, 원치 않는 치아이동의 최소화 및 양호한 상악 대구치 원심이동 등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o distalize the maxillary molars.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extra-oral traction. Wilson distalizing arches. removable spring appliances and Schwarz plate-type appliances have been used. But, these need considerable patient cooperation. For minimal patient compliance. many practitioners use the pendulum appliances. Several clinical studies demonstrated pendulum is effective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 in the growing patient(using the premolars and the palate as anchorage). But unfortunately, maxillary anterior teeth also shift mesially as the molar moves distally. As a result anchorage loss is occurr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we used bone-supported pendulum, combined the conventional pendulum with Skeletal Anchorage System(SAS). The miniscrew was implanted in the anterior paramedian region of the median palatal suture, which has comparatively sufficient bone thickness and is low risk to damage on the dental follicles. We report three cases, using bone-supported pendulum for the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in children. After treatment, we find out anchorage stability, minimal unfavorable anterior tooth movement and sufficient molar distalization.

      • KCI등재

        손상평가도를 이용한 용접구조물의 균열형 결함에 대한 사용적합성 평가

        李精錫,朱章福,張宰溢,金禹植,고영대,權東一 대한금속재료학회 200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0 No.10

        Flaws nucleated during operation of structur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petroleum facilities and gas equipment raise many safety problems, and thus the integrity assessment of crack-like flaws in structures has been very important. Since large-scale structures include weldments with complex micro-structures and inhomogeneous material propertie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both metallurgical and mechanical factor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integrity assessment in welded structures was developed based on API 5L X65 grade natural gas pipeline (an approximately 2400 ㎞ pipeline in Korea). A failure assessment diagram(FAD), which includes all failure modes from linear elastic fracture to plastic collapse, was used for integrity and fitness-for-service(FFS) assessment of the pipeline. Since tensile properties and fracture toughness of base metal, weld metal and heat affected zone(HAZ) are required for the FAD, tensile tests and fracture toughness tests were performed on each region.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of representative properties of HAZ make it possible to assess FFS accurately by using the HAZ-based FAD when crack-like flaws exist in HAZ. This HAZ-based FAD is different from current codes, which assess integrity by the material properties of weld metal or base metal even when flaws exist in HAZ.

      • 국부성 또는 침투성 액아억제제에 의한 연초식물의 액아억제

        장종오,엄유리,이이,신주식,석영선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6 煙草硏究 Vol.20 No.-

        본 실험에서는 황색종 KF-118을 사용하여 적심 후 발생하는 액아의 생장을 약제처리법을 이용하여 억제하였다. 약제로는 침투성 액아억제제, 접촉성 액아억제제, 국부성 액아억제제 등 세 종류의 약제를 활용하였다. 약제를 처리한 후 액아의 길이, 생장률, 생중량, 건중량 등을 측정하여 액아억제제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A, B, C, D, E 총 5가지의 액아억제제를 처리하였으며 무처리구를 포함한 총 6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시험하였고, 각 처리구는 적심 직후, 적심 후 액아가 2 cm 이하로 자랐을 때와 4 cm 이하로 자랐을 때로 분류하여 5주씩 3반복으로 처리구당 총 15주를 시험하였다. 실험 결과 무처리구와 처리구는 액아생장에 있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처리효과는 적심 직후에 약제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적심 후 액아가 2 cm 이하로 자랐을 때, 4 cm 이하로 자랐을 때의 차례로 나타났다. 또한 적심 직후 약제를 처리한 경우 A약제를 제외한 모든 액아억제제가 억제율 90 %를 넘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Suckers were controled by suckercide treatment using a flue-cured tobacco cultivar, KF-118. Three types of suckercides, systemic suckercide, contact suckercide and local suckercide, were used. Length, growth rate,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sucker were measured after suckercide treatment. Five kinds of suckercides (A, B, C, D, E) were treated directly after topping, when sucker length shorter than 2 cm after topping, and when sucker length shorter than 4 cm after topping. Five plants were treated and three times repeated. The sucker growth rates of treated pla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ntreated plant. The smaller the sucker size, the higher the treatment effect. All suckercides, except for suckercide A, showed more than 90 % sucker control rate when they were treated directly after top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