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시 발현되는 유전자의 규명

        서은영,조문준,이증훈,이영숙,나명훈,이웅희,김준상,김재성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3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임상에서 사용하는 방사선량을 조사하여 환자의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유도되는 유전자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대조군)과 1.8 Gy 조사후 40분 지나서(조사군) 자궁경부암 조직을 생검하여 각 군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기법(DDRT-PCR)으로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발현에 변화가 있는 cDNA를 추출하고 증폭하여 얻은 클론을 reverse Northern Blot방법을 이용하여 screening하였고, North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sequencing을 실시한 후 NCBI database를 이용하여 blast search를 하였다.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를 대상으로 다른 환자에서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를 받는 5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RT-PCR로 검사하였다. 결과 : DDRT-PCR기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군에서 발현이 증가 혹은 감소된 18개의 cDNA band를 발견하였다. reverse northern blot을 이용한 screening에서 발현이 증가된 10개의 클론과 감소된 1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클로닝된 cDNA 조각들은 대부분 400~5OO bp 정도 되었으며, 그중 1개의 클론은 잘 알려져 있는 chemokine receptor CXCR4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4개의 클론은 Human ESTs로 확인되었고 5개의 클론은 기능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알려져 있는 염기서열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에 의하여 발현이 감소한 CXCa-11 클론이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시료에서 발현을 보였으나, 방사선치료 후 시료에서는 그 발현량이 감소하거나 발현이 안되었다. 결론 : DDRT-PCR을 이용하여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사선량을 환자의 자궁경부암에 조사했을 때 발현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의 확인은 방사선치료과정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기전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비인강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조문준,장지영,김준상,김병국,송창준,김재성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3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3 No.

        목적 : 비인강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9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비인강암으로 진단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별로 보면 Ⅰ 병기가 2명, Ⅱ 병기가 6명, Ⅲ 병기가 2명, Ⅳ 병기가 9명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이 5명, 미분화세포암이 14명이었다. 14명은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5명은 항암제치료를 받았다. 추적 기간은 5개월에서 115개월이였으며 중앙값은 33개월이었다. 모든 환자에게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 후 15명(79%)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2명(10.5%)에서 부분관해를 보였으며 2명(10.5%)에서는 무반응을 보였다. 치료실패 양상은 국소 실패가 6명이었으며 원격전이가 4명에서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뼈, 간, 폐 등 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7.4%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8.1%였다. 병기, T 병기, N 병기, 뇌신경침윤 여부, 병리학적 유형, 활동지수, 반응도, 방사선량, 항암제 치료여부 등에 의한 생존율의 의미 있는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7.4%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48.1%이었다.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방사선치료 방법의 개선 및 항암제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각종 암세포주에 대한 Sb-31^(?)의 항암효과

        김삼용,김송배 忠南大學校 癌共同硏究所 1998 癌共同硏究所 硏究誌 Vol.2 No.1

        Extracts of P. koreana(SB-Sl_(?)) has been tried as an antitumor agent by traditional medicine practitioner in Korea for the past 30 years. It is a specially prepared extract of P. koreana whose fractions lose efficacy compared to the original mixture. Lee observed substantial antitumor effects and minimal toxicity of SB-31 in sarcoma 180 animal tumor model(unpublished data). For the past 5 ears, there has been dramatic though anecdotal therapeutic outcomes with SB-31 in some advanced stage cancer patients. We evaluated the in vitro antitumor effects of SB-31 against 3 kinds of gastric cancer cells, A549, HeLa and Caski, MCF7, HepG2 and Hep3B and normal mononuclear cells. Cytotoxicity ws evaluated with the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MTT) after incubation of cancer cells with SB-31. Results; in 3 gastric cancer cells, ID_(50), of SB-31 were 0.16, 0.34 and 0.53mg/ml. Most effective tumor cell kill was achieved after 96 hrs of incubation with SB-31. The ID_(50) values of SB-31 on various cancer cell lines ranged from 0.14 mg/ml to 0.27 mg/ml. Keeping SB-31 ampul in room temperature up to 4 days did not affect the efficacy but the activity decreased after more than 4 days in the ambient temperature. It is concluded that SB-31 is an active antitumor agent without significanct toxicity. The mechanism of action of SB-31 and its toxicity and efficacy should be further evaluated.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 결핵균 30 kDa 항원과 Triton X-100 Solubilized Protein 항원에 의한 대장암 주변 림프절 단핵구의 활성화

        박정규,김광호,조은경,임재현,민들레,송영자,김화중,백태현 忠南大學校 癌共同硏究所 1998 癌共同硏究所 硏究誌 Vol.2 No.1

        Tumor-draining lymph node mononuclear (TDLMN) cells are specifically sensitized to the growing tumor but such cells are deficient for mediating an antitumor respons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easibility of using mycobacterial 30 kDa or Triton X-100 solubilized protein (TSP) antigen to stimulate mononuclear cells of colon cancer-draining lymph node for the generation of cell mediated immune effector cells.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TDLMN cells stimulated with mycobacterial 30 kDa or TSP antigen was determin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The proliferation of TDLMN cells to mycobacterial 30 kDa or TSP antig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PD (+) patients, but a poor response to the 30 kDa or TSP antigen was observed in PPD (-). The expression on γδ T cells to mycobacterial 30 kDa or TSP antigen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y. The γδ T cells from PPD ( + ) patient responded only to 30 kDa antigen but to TSP antigen. An investigation of cytokine mRNA expression was undertaken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o follow TDLMN cells stimulated with the 30 kDa or TSP antigens for 5 days. The IFN-γ and TNF-α mRNA expression was only induced in TDLMN cells of PPD ( + ) patient in response to the 30 kDa or TSP antigen. The IL-2 mRNA expression was induced in both PPD (+) and PPD (-) in response to the 30 kDa or TSP antigen. But the IL-4 mRNA expression was not induced in response to the 30 kDa or TSP antig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30 kDa and TSP antigens may serve as biologic response modifier for the generation of cell mediated immune effector cells.

      •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in Cervix Carcinoma Cells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Kim, Jun-Sang,Lee, Young-Sook,Lee, Jeung-Hoon,Lee, Woong-Hee,Seo, Eun-Young,Cho, Moon-June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Purpose: A number of genes and their products are induced early or late following exposure of cells to ionizing radiation. These radiation-induced genes have various effects on irradiated cells and tissues.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based on PCR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radiation in cervix carcinom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and poly (A)^(+) mRNA were isolated from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HeLa cells. Forward- and reverse-subtracted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using SSH. Eighty-eight clones of each were used to randomly select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using reverse Northern blotting (dot blot analysis). Northern blotting was used to verify the screened genes. Results: Of the 176 clones, 10 genes in the forward-subtracted library and 9 genes in the reverse-subtracted library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by PCR-select differential screening. Three clones from the forward-subtracted library were confirmed by Northern blotting, and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cluding a telomerase catalytic subunit and sodium channel-like protein gene, and an ESTs (expressed sequence tags) gene. Conclusion: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radiation-induced genes with low-abundance genes with SSH, but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ses gene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 biological functions of them. 목적: 자경경부암세포에서 polymeric chain reaction (PCR)원리를 이용한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 방법으로 방사선조사 시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를 동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궁경부암세포주인 HeLa 세포주에 방사선조사 전과 후 총 RNA와 poly (A)^(+) mRNA를 분리하였다. SSH방법으로 forward 및 reverse-subtracted cDNA Iibranes를 만들었다. 차등 발현된 유전자를screening하기 위해 reverse Northern blotting (dot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각각의 library에서 88개의 클론을 선택하였고 Nothern blotting으로 확인 후 sequencing하였다. 결과: screening상 176개 클론 중 forward-subtracted library에서 10개의 유전자가 reverse-subtracted library에서 9개의 유전자가 동정되었다. forward-subtracted Iibrary로부터 3개의 유전자가 Northern blotting에 의하여 확인되었고 이중 telomerase catalytic subunit and sodium channel-like protein 유전자와 1개의 ESTs (ex-pressed sequence tags) 유전자가 방사선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자궁경부암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를 SSH 방법을 통해 동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가 어떤 생물학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Acetylshikonine 및 합성 Naphthazarin 유도체의 L1210 및 S-180 암에 대한 항암효과

        김현,안병준 忠南大學校 癌共同硏究所 1991 癌共同硏究所 硏究誌 Vol.1 No.1

        Acetylshikonine, isolated from the roo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howed a strong cytotoxic activity (ED_(50)=0.10 ug/m/) against L1210 cell and T/C=182% in ICR mice bearing S-180 at a dose of 5 mg/kg. Administrations of 10 mg/kg and 15 mg/kg reduced the T/C values to 60 and 77% respectively. Higher doses reveal toxicity. Seven naphthazarin derivatives synthesized showed good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L1210 cell. Especially, naphthazarin and hydronaphthazarin have strong activities (ED_(50)=0.05 ug/m/ for both). Naphthazarin showed a severe toxic effect on ICR mice bearing S-180; no significant toxic effect was observed at a dose of 1 mg/kg or 2 mg/kg, but a severe toxicity (T/C=23%) by administration of 5 mg/kg. Alkylation of C-2 of naphthazarin is necessary for reducing the toxic effect on ICR mice bearing S-180.

      •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의 효과

        장필순,강현모,이정은,권선중,안진영,이연선,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Both gemcitabine and vinorelbine are effective anticancer drugs with mild toxicity o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monotherapy of these drugs are effective as a second-line chemotherapy. The aim of this trial was to assess the response and toxicity of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24 patients, initial stage III A/B,IV and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ium and taxane based regimens, were enrolled from June 2000 to March 2004. The regimens consisted of vinorelbine 25mg/㎡ followed by an infusion of gemcitabine 1000mg/㎡ on day 1 and day 8 every three weeks. This course was repeated more than twice. Results : Twen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for the response, survival rate, and toxicities. The overall response was 17% with a complete remission rate of 4%. The median time-to progression (TTP) was 3.1 months (95%, CI l-10months), and the survival time was 8.2 months (95%, CI 1-23 months). The grade 3/4 toxicities encountered were neutropenia (12.5%), anemia (0%), thrombocytopenia (0%). Non-hematological 3/4 toxicitie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previously treated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provides a relatively good response rate, and a low toxicity profile.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uberc Respir Dis 2005; 58: 344-351) 배경 : Gemcitabine, paditaxel, docetaxel, vinorelbine, ir-rinotecan 새로운 항종양제의 출현으로 일차 치료의효과가 증대 되고 있고 재발시에도 좋은 신체 활동도를 보이고 있어서 이차 치료의 대상군도 늘어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치료의 필요성은 증대 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표준 치료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Gem-citabine과Vinorelbine모두 독성이 강하지 않아서 혼합 요법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효과도 입증이 되어있어서 본 연구는 반응이 없거나 반응을 보인후에 재발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ge-mdtabine과 vinorelbine 흔합 요법을 시행하여서 치료 반응률과 생존율 그리고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내원하여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IIIA/IIIB, IV로 진단을 받고 일차 항암화학요법치료를 받은 환자중에 초기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치료에 반응이 있었으나 병이 진행된 환자로 추적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과 반응률 그리고 독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총 치료 반응률은 17%. 반응 유지기간의 중앙값은 3.1개월(1-10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8.2개월 (1-23개월) 그리고 1년 생존율은 35%였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독성은 3도 이상의 중성구 감소가 12%, 오심과 구토가 12.5% 였다. 결론 : 일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한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이차 치료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요법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3상 연구를 통한다른 약제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이차항암화학요법으로서 Docetaxel 단독요법의 성적

        강현모,이정은,장필순,이연선,권선중,안진영,정성수,김주옥,김선영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2006 암공동연구소 업적집 Vol.5 No.

        Background : The survival benefit associated with first-line chemotherapy in lung cancer has led to the need for second -line chemotherapy, for which Docetaxel (Taxotere^(?)) has proven efficacy in both settings.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docetaxel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 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between March 1999 and August 200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docetaxel, either 75 mg/㎡ or 100 mg/㎡, with routine premedication every three weeks. Results : Fourteen patients (45.2%) had a partial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were 12.5 months (95% CI 7.3-17.6) and 3.0 months (95% CI 1.6-4.5),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2 factors gave different survival benefits; the age (< 60 years: 20.1 months vs. > 60 years: 6.6 months, p=0.0105) and the histological type (adenocarcinoma: 25.6 months vs. others: 7.9 months, p=0.0055). The predominant toxicity was neutropenia, which occurred as WHO grade 3 or 4 in 38.7 % of patients. One treatment related death was also reported. Non-hematological toxicity was minor and easily controlle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rvival benefit and toxicity between the two doses. Conclusion : Docetaxel, as second-line monotherapy, was well tolerated and effective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failed first line platinum -based chemotherapy. (Tuberc Respir DiS 2005: 58: 465-472) 연구배경 : 일차항암화학요법 후에 생존의 이득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대다수가 결국은 재발하거나 진행성 병변을 보인다. 이에 저자들은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보고 된 구제요법으로서 docetaxel의 항암효과와 비교적 적은 독성의 결과를 바탕으로,platinum을 근거로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밖았으나 개발되거나 진행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docetaxel 단독요법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을 받고 platinum을 근거로 한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나 재발 또는 진행성 병변을 보인 3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docetaxel 75 mg/m² 또는 100 mg/m²을 3주마다 정주하였다. 임상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재발 또는 진행성 병변을 보인 31명중 남녀 비는 24:7이고 중앙연령은 60세였다. 2) 반응평가로 완전 관해는 없었고 부분관해는 14명(45.2%), 불변이 10명(32.3%), 진행이 7명(22.6%)으로 전체적인 반응율은 45.2%이었다. 3)중앙생존기간은 12.5개월(95% 신뢰구간: 7.3개월 17.6개월) 이었고, 1년 생존율은 52%였다. 무진행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0개월(95%신뢰구간: 1.6개월 -4.5개월)이며, 반응군에서의 중앙반응지속피간은 3.7개월(95% 신뢰구간: 3.0개월 - 4.4개월)이었다. 4) 60세 미만인 경우(20.1 months vs 6.6 months. p=0,0105), 조직학적 아형이 선암일 경우(25.6 months vs 7.9 months, 0=0.0055)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존기간의 증가가 있었다. 5)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은 12명(38.7%),호중구 감소증에 동반된 발열은 6명(19.3%),감염이 동반된 호중구 감소증은 4명(12.9%)에서 발생했다. 치료와 관련되어 1명이 사망하였다. 6) Docetaxel 용량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나 독성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Platinum을 근거로 하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후 재발 또는 진행성 병변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환자들에게 docetaxel을 투여하는 것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치료법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