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ICT ODA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양자간 무상원조를 중심으로

        KHALTAR ODKHUU,김태형 한국국정관리학회 2019 현대사회와 행정 Vol.29 No.1

        본 연구는 한국의 ICT ODA의 결정요인을 공여국의 이해, 수원국의 필요, 그리고 국제규범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ICT ODA의 배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한국의 경제적 이해, 수원국의 정보격차와 경제발전수준, 국제 ODA 지원규범과 세계화 수준을 통해 한국의 ICT ODA 배분 동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이 ICT ODA를 제공한 127개의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패널분석 결과, ICT 제품 수출 규모가 증가할수록, 전력소비량과 휴대전화가입자 수가 적고 ICT 제품수입비중이 증가할수록, 1인당 국민소득이 낮을수록, 경제적 세계화 수준이 높을수록 ICT ODA 규모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정부 수준이 높고 정부부채가 적고, 1인당 지원받는 ODA 규모가 작은 국가에게 더 많은 ICT ODA를 배분하는 것으로 나타나, ICT ODA 배분 과정에서 수원국의 정보격차와 경제 수준에 따른 필요성이 부분적으로 간과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2015년에 채택된 인도적인 ODA 전략 실행을 위해서는 ICT ODA의 배분 과정에서 수원국의 정보격차, 경제적 수준, 기타 공여국들이 공유하는 규범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ICT ODA in Korea in terms of donor countries' interest, the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and international norms, and analyzes what factors are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ICT ODA. Therefore, we empirically analyzed motivations of Korean ICT ODA distribution through Korea's economic understanding, digital gap and economic development level of the recipient country, international ODA support norms, and economic globalization level. The analysis targeted 127 developing countries which received ICT ODA from South Korea between 2006 to 2016. The results show that size of ICT ODA increases as export volume of ICT products increases. Moreover, the smaller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and the number of mobile phone user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imports of ICT products, the larger the ICT ODA size. Further, low per capita income and high levels of economic globalization have been associated with ICT ODA size. In addition, more ICT ODA distributed to countries with high e-government levels, low government debt, and low ODA per capita, suggests that in the ICT ODA allocation process, the needs of beneficiary countries such as the information gap and economic development levels have been partially ignored.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the humanitarian ODA strategy adopted in 2015, it is necessary to fully consider the digital gap, economic level, and norms shared by donor countrie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ICT ODA.

      • KCI등재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 Qual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A Case Study of Nepal and Ethiopia

        Odkhuu Khaltar,김태형,이현옥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9 地域發展硏究 Vol.2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the impa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QOL) in the local governments of Nepal and Ethiopia.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quality of government as a universal measure of the quality of life and have tested its effectivenes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effects in developing countries. By testing this model in developing country cases, this study shows whether it’s still applicable in the developing world and examines what kind of local government capacities a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n each country context. We used the survey data already collected from 412 local residents in Nepal’s Tikapur in 2017 and 500 local residents from three Ethiopian regions in 2019.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project of ‘Capability Data Serie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quality of governanc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and the convenience of access to public serv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at individual freedom, health condition, and living habits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mpact of government qual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various dimensions of quality of life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The result indicates that individuals living in a community whose governments is accountable, provide better public services, and ensure easy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are more satisfied and happier than those living in areas with low-quality of local government. Also, individuals living with strong and healthy social-economic-physical status and good habits enjoy a high level quality of life.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와 한국인의 복지태도: 정부의 코로나19 대응평가, 정부역량, 정부역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Odkhuu Khaltar,김태형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정부의 코로나19 위기대응역량에 대한 평가와 전반적인 관리역량, 정부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정부의 규모와 기능에 대한 기대가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감염병에 대해 지각하는 위험인식 수준에 따라 코로나19 대응평가, 정부역량, 정부역할에 대한 인식이 복지확대 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로나19 대응평가 중 재난지원금에 대한 효과성이 복지확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역량의 경우 관리역량이 높은 것으로 인식할수록 복지확대 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할수록 복지확대에 대해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다. 셋째, 정부의 규모와 기능의 확대를 기대할수록 복지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대응평가와 복지확대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부역량과 복지확대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역할과 복지확대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 시대의 정부의 대응, 정부의 역량, 정부의 역할, 그리고 위험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위기에 대한 경험적 학습과 복지태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정부조직의 민첩성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 조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haltar Odkhuu ),김태형 ( Kim Taehyung )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1

        전통관료주의에 기반한 정부 운영은 정책 난제의 대표 사례인 코로나19에 따른 위기에 직면하면서 그 취약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경험은 위험회피, 조직이기주의, 명령과 통제에 순응하는 구조, 폐쇄적 의사결정에 익숙한 정부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민첩하고 회복탄력성이 있는 정부를 설계해야 함을 보여준 계기가 되었다. 한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대한 민첩한 초기대응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실질적으로 정책 난제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결론 짓기에는 이르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조직의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역량을 탐색함으로써 정부의 민첩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정부조직의 민첩성을 강화하는 조직역량으로 조직의 자원관리 역량(지식관리, 정보공유), 조직의 의사소통역량, 조직의 학습역량을 영향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의 정부조직의 민첩성에 관한 연구들은 민첩성의 역할과 조직성과에 대한 효과 등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라면, 본 연구는 정부조직의 민첩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다양한 자원과 주요 내부역량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가 있다. The vulner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 based on traditional bureaucracy was revealed as governments faced the public health crisis caused by COVID 19,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wicked problem. This experienc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 need to design a more agile and resilient government, away from risk aversion, organizational selfishness, a structure that obeys command and control, and closed decision-making.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or its agile initial response to COVID 19, but it is too early to conclude that it has the agility to respond to difficult challenges in practi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trategic ground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agility in government by exploring organizational capacities that affect organizational agility. In previous studies, the organization's managerial resource capacity (knowledge management, information shar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apac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were presented as determining factors of organizational capacities that strengthen organizational agility in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results were tested using survey data of 500 public officials of central and regional local governments. Whereas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agility of governments analyze the role of agility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considers the various resources and major internal capacities of the organization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agility in government organizations.

      • KCI등재

        위험사회와 미래정부의 역량: 정부의 민첩성, 관리역량, 그리고 정부신뢰가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KHALTAR ODKHUU,김태형,문명재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9 정부학연구 Vol.2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on the perception of economic risk, social risk and environmental risk through trust in governmen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s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by the public lower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through increased the trust in the government. Additionally, a positive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managerial capacity has exhibited a direct reduction on the perception of economic risk and environmental risk. Conversely, the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of govern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government's trust, although it fail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risk perception. Furthermore, government agility has been shown to an indirect effect on lowering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risk through improved trust in the government, however it directly has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Lastly, in terms of demographics, older people, women, and those with a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higher risk percep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that were previously overlooked in prior studies and identified the role of trust in government. 본 연구는 위험관리 주체인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를 통해 국민의 경제위험 인식, 사회위험 인식, 환경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인 인식이 정부신뢰를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위험 인식과 환경위험 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관리역량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국민의 경제위험 인식과 환경위험 인식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위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민첩성은 정부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는 환경위험 인식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적으로는 환경위험 인식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진보적인 정치성향을 가질수록 위험을 더욱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의 위험인식을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위험관리 주체인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부신뢰를 통한 간접효과와 직접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여성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성희롱 경험이 이직 의도와 결근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dkhuu Khaltar,김영제,안옥순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0 No.8

        본 연구는 여성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장 내 성희롱 경험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와 결근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이직의도와 결근의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와 결근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간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긍정심리자본은 또한 이직의도와 결근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성 요양보호사의 직장 내 성희롱 경험이 결근의도를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직장 내 성희롱 경험은 직무만족,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의 근로 비중이 높은 요양 보호 서비스에 종사하는 여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와 결근의도를 최근 전문 업무역량으로 강조되는 긍정심리자본과 직장 내 성회롱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등 직무태도를 통한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Pandemic Tracing Effort: Overcoming Digital Divide for Covid-19 Digital Contact Tracing Adoption in Indonesia

        Virindra Naufal,Odkhuu Khaltar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3

        This research explores the digital tracing adoption with the PeduliLindungi application to combat the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factors that affect the digital tracing adoption, and the prospect of the digital divide that might hamper the digital tracing effort. It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Covid-19 digital tracing adoption and its barriers factors, the digital divide as one of the barriers, the mobile government in the Covid-19 pandemic, and some best practice examples, particularly in the Covid-19 digital tracing context. Examining secondary data from PeduliLindungi application users survey, mobile cellular and mobile broadband datasets, smartphone adoption datasets, and Indonesia’s internet access datasets, this study found that the digital divide is one of the scourges for Indonesia to fight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digital tracing since there was a gap between PeduliLindungi application users, gap in smartphone adoption in 2020, gap in internet penetration from 2015-2020, and even consistent divide in the internet usage between genders, age groups, and domiciles from 2015–2019 in Indonesia. This paper offers four recommendations to make social support movement, distribute affordable smartphones with basic internet packages, provide official training, and provide a task force t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in the PeduliLindungi project based on successive phases by Van Dijk in 2017.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ly not only beneficial for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but also to make a better digital tracing effort with a mobile government approach in the future pandemic.

      • KCI등재

        공공조직의 소통문화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박이레(朴이레),박채린(朴彩璘),Khaltar Odkhuu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최근 공공조직을 둘러싼 환경변화의 폭이 큰 가운데,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조직의 소통문화는 조직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쳐 업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혁신이 적용되는 범위가 확장되는 환경 가운데, 조직관리 측면에서의 혁신도 강조되고 있다. 혁신은 성공할 경우 큰 유익을 가져다주게 되지만, 그만큼 위험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소통문화를 조직침묵과 의사소통 방향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에서 혁신행동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며 구조적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체념적 침묵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순응적 침묵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평적 의사소통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수직적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혁신행동은 체념적 침묵과 업무성과와의 완전 관계를 매개하였지만, 순응적 침묵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행동은 수직적 의사소통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지만, 수평적 의사소통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공공조직의 소통문화, 혁신행동을 통한 업무성과 도출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the midst of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public organizations,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an organization affects the organization’s work process, which also affects wor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innovation is expanding, innov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also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the organization into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irection and analyzed its effect on work performance. Moreover, the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dings suggested that adaptive silence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work performance whereas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innovative behavior, indicating that vertical communication has an important indirect effect on work performance through its influence on fostering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whereas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work performance by weakening the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deriving work performance through communication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in public organiz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