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학교중퇴의도 차이 검증

        홍세희,윤소진,하승혁,민동환 통계청 2022 통계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사회, 가정, 학교 요인 중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잠재프로파일 별로 학교중퇴의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고등학생 3,4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은 총 3개(주관적 웰빙 저·중·고집단)로 분류되었다. 또한,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사회, 가정, 학교 요인중 주관적 웰빙 집단 분류에는 10개의 변수(성별, 주관적 경제수준, 여가시간, 주관적 건강, 고민을 나눌 사람 여부, 차별 피해경험, 민주적 양육태도, 체벌/욕설 경험(부모), 친구의 배려, 교사의 존중)가 모든 집단 분류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웰빙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학교중퇴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교중퇴의도를 낮추고 주관적 웰빙을 높이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어야 할 방안에 대한 논의점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 회복탄력성 척도의 Rasch 모형 분석

        홍세희,이현정,손수경,김효진,윤미리,강윤경,조기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confirm the item fitness, difficulty level, and response category of the Youth Resilience Scale, which was developed as 37 items to measure the resilience level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641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and it was analyzed by applying Rasch model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IR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item fit of this scale was generally good, and it was found that some items that did not meet the standard need to be reconfirmed by further securing the sample. In terms of the difficulty of the scal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ed to add the items with high level of resilience to the adolescents with high resilience level. However, since the number of adolescents deviating from the range of difficulty of this scale is very small, the difficulty of this scale seems to be appropriate even if only 1-2 difficulty items are added. On the other hand, analysis of the response category of the Youth Resilience Scale showed that it is appropriate to construct the items with 5 point Likert sc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useful and practical measurement tool by confirm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 fitness, difficulty level and response category of this resilience scale for adolescent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measurement tool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related research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yout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37개의 문항으로 개발된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검사의 문항적합도, 난이도 및 응답범주의 척도수를 평가하고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6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회복탄력성 검사의 문항적합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준에 맞지 않는 일부문항은 표본을 추가로 확보하여 재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사의 난이도 측면에서는 회복탄력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에 부합하는 고난이도의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검사의 난이도 범위에서 벗어나는 청소년은 극히 일부이기 때문에, 고난이도 문항이 1-2개 정도만 추가되어도 검사의 난이도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청소년 회복탄력성 검사의 응답범주에 대한 분석 결과 Likert 5점 척도로 문항을 구성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회복탄력성 검사의 문항적합도, 난이도 및 응답범주의 적절성을 확인함으로써 유용하고 실용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연구에서 효과적인 측정도구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카메라에 담긴 춤의 시공간 확장 탐구 : 댄스필름 'Amellia' 를 중심으로

        홍세희,오광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춤을 논하는데 있어 춤이 카메라를 통해 시공간의 한계를 어 떻게 뛰어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춤과 카메라의 만남은 1894년 영화카메라가 개발되었던 당시부터 시작되었다. 춤이 가진 역동성은 영화기술을 증명하는데 가장 좋은 피사체였다. 춤과 카메라의 작업은 뮤지컬 영화와 춤을 소재로 한 영화 등 수많은 작품들을 창조하였다. 극장공연 자체 를 영화로 기록하는 작업들도 많아졌다. 1945년 마야 데런(Maya Deren)이 발표한‘카 메라를 위한 안무습작(A Study in Choreography for Camera)’을 계기로 춤을 영화기 법으로 재창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댄스필름이었다. 이 영화는 극장에서 담아낼 수 없는 춤 움직임의 원칙을 탐구한 첫 번째 시도였다. 극장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춤을 카메라와 편집기술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춤으로 안무하는 방식 이 댄스필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댄스필름은 카메라가 가진 변형의 가능 성에 매료를 느낀 현대무용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댄스필름 의 특징과 흐름을 살펴보고 캐나다 랄랄라 휴먼스텝스의 안무가 Eduard Lock이 안 무·감독한 댄스필름‘Amelia’를 중심으로 카메라를 통해 확장되는 춤의 시공간을 탐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디지털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홍세희,조기현,장유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털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분석(Meta-analysis)을수행하였다. 방법 청소년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콘텐츠(스마트폰 자체, 인터넷, 게임, SNS) 중독까지 포함하여 디지털중독의 범위를 확장하였고, 144편의 논문을 메타분석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전체 및 이용 콘텐츠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출판편향, 조절변인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결과 디지털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1.219로 나타났으며, 이는 큰 효과로 해석될 수 있다. 중독 유형별 효과크기는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1.191,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1.253,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1.048, SNS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0.927로 나타났다. 연구특성에 따른 분석에서 표본크기, 프로그램 실시 회기, 표본특성(위험군/일반군)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게임 중독, 인터넷 중독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표본특성이 가장 유의한 조절변인으로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메타분석 시 포함되는 연구의 범위를 보다 확장하여, 중독 유형별 메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조절변인의 공통적인영향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중독 유형별 프로그램의 효과를 세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의 구성: Rasch 평정척도모형의 적용

        홍세희,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No.3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DBT) is a 70-item self-report inventory, which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three first-order factors (negative social self-concept,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and negative belief of others and social relations) and a single second-order factor(Cho, 2004; Cho & Won, 1999). In this study, to construct a short version of the DBT, Rasch Rating Scale model was applied to the three sub-dimensions of the DBT in a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N = 571). Results showed that 6-point rating scale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DBT than the 7-point scale used originally. And, for each of the three dimensions, based on item fit and item difficulty indexes estimated from Rasch model, 12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a short version of the DBT. Finally, the utilization of the short version of the DBT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호트연속설계의 통계적 절차 및 잠재성장모형의 다양한 확장

        홍세희,이청아,신현우,이현정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2

        As an extens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cohort-sequential design estimates a common developmental trajectory from different overlapping age cohorts. Its analytic process has rarely been introduced to researchers although the design has academical and practical advantages. This study introduces basic assumptions and statistical procedure of the design, applying multigroup analysis to longitudinal change of early teenagers’ life satisfaction. The study also shows the procedure of extending the model into other trajectory functions, for instance, a quadratic model, and examining predictor effects as well. The benefits of using the multigroup analysis are also introduced, compared to one of the missing data analysis,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analysis. This study aids researchers’ understanding of cohort-sequential design by providing them with the detailed process and results of analyzing the actual data, and encourages further research using the design. 코호트연속설계(cohort-sequential design)는 서로 다른 연령 코호트를 반복측정하고 자료의 특정 시점을 중복하여 공통의 변화궤적을 추정하는 모형으로, 잠재성장모형의 확장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단일 종단패널을 사용한 잠재성장모형에 비해 짧은 시간으로 긴 기간의 변화궤적을 추정하는 등 학문적, 실용적 장점이 있으나, 모형의 설계와 통계적 절차가 복잡하여 연구자들이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호트연속설계의 기본 개념과 가정 및 자료 구조를 설명하고, 다집단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그동안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다양한 함수모형으로의 확장방법과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방법의 장점을, 중복되지 않는 시점을 결측으로 처리하는 분석방법과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코호트연속설계의 개념과 가정, 절차 등을 자세히 제시하여 연구자들의 모형 이해도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에 코호트연속설계 모형을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 추정 :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부모효과와 또래효과의 검증

        홍세희,박언하,홍혜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2

        Estimating Adolescents' Changes in Self-Concept :Tests of the Effects of Parents and Pee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자아개념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이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부모, 또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자료의 중2, 중3, 고1 총 3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첫째, 자아개념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초기치(중2)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자아개념수준을 보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변화율(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여자의 증가율이 남자의 증가율보다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둘째, 초기치에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대부분의 부모, 또래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치를 통제한 상태에서 자아개념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인(부모, 또래)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부모, 또래변인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학생은 부모의 불화, 또래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불화가 심할수록 자아개념의 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