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조사연구학회 학술활동 분석, 1999-2019

        설동훈,이유경,변종석,강정한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4

        We analyzed 1,190 papers in its official journal, conference proceedings, and tutorial lecture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KASR) for 20 years since its foundation: 1999-2019. We first categorized those papers by their disciplines, methodologies, research objects, and data features. We then examined their trends by the categories in years and three distinctive periods: 1999~2004, 2005~2012, and 2013~2019. We also interviewed former and current presidents and executives of the KASR. Analysis showed that (1) paper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have decreased whereas those with inferential statistics increased, (2) panel data have not been fully exploited, and (3) qualitative data have been minimally used. We proposed the KASR to continue baseline research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acilitate research with panel data, and exploit qualitative data by recent development of text-mining methods. The KASR can also keep their leading role of setting ethical guidelines in response to fast-changing survey environments. 한국조사연구학회의 학술지, 학술대회 및 방법론 강의에서 발표되었던 1,190개 논문을 학문분야, 방법론, 연구대상, 데이터에 따라 분류하고, 지난 20년의 학술활동을 이러한 분류에 따라 연도별 또는 시기별(1999∼2004년, 2005∼2012년, 2013∼2019년) 특성을 살펴본다. 한국조사연구학회를 이끌었던 회장과 임원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그간의 학술활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조사연구학회의 장래 전망을 탐색한다. 분석의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기술통계보다는 추론통계 연구가 증가했지만, 패널조사자료의 활용도는 축적된 양에 비해 높지 않았고, 질적 자료 연구는 미약하였다. 한국조사연구학회는 조사연구의 근간인 조사방법론 연구도 발전시키는 한편, 축적된 패널자료의 활용을 높이고,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텍스트 자료 축적 및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자료의 활용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조사연구윤리를 선도적으로 확립해 온 성과를 이어가, 최근 급변하는 조사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여론조사 정보공개 제도화에 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여론조사정보공개지침의 제정에 부쳐

        이기재 ( Kee Jae Lee ),김도연 ( Doh Yeon Kim ),이기홍 ( Gi Hong Yi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1

        한국조사연구학회는 정치 여론조사에 대한 추가 정보의 체계적 공개가 조사의 발전 및 다양한 조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여론조사정보공개위원회를 조직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학회 차원의 정보공개 지침을 통해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는 생각에 일차적으로 정보공개의 범위와 그 구체적인 방법을 이 논문에서 제안해 보았다. 예컨대, 우선 전화 접촉 기록, 면접원의 역량, 표본추출 과정, 가중치 부여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공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조사 기법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므로 파라데이터를 공개하는 것 역시 필요할 것이라고 보고 그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도 제시하였다. 위원회에서는 또한 이러한 정보공개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학회 차원의 웹 사이트 방안도 제시한다. 그 웹 사이트에는 각 조사에 대해 학회의 검증을 거친 정보를게시할 것을 제안한다. 이어 이러한 내용을 제도화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제언을 첨한다.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or KASR), recognizing that making the paradata of political opinion and other surveys publicly available would improve their overall quality and further accumulate trust between the public and survey-related institutions, organized a committee on the sharing of opinion survey paradata and began this research. To pursue changes in this direction, the authors recommend that the KASR start the sharing of the paradata based on a guideline, as briefly suggested in this paper. For instance, sharing paradata regarding phone calls, interviewer capacity, sampling process, weight usage, etc. would be necessary. As survey techniques continue to develop, the authors think that more of such paradata may have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and suggest basic ways of doing so. We also recommend using a KASR-run web site to share such paradata.

      • KCI등재

        한국사회조사와 함께하신 (고)박무익 회장을 기리며

        이계오 ( Kay O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3

        이 글은 지난 4월 19일에 운명하신 한국갤럽 박무익 회장이 한국 조사통계분야와 선거여론조사에 기여하신 업적을 살펴보고 고인의 뜻을 살려 한국조사연구학회의 발전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작성하였다. 고인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선거 예측결과를 투표 당일 18시에 정확하게 발표하여 선거여론조사의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14대와 제15대 대통령선거여론조사에서도 정확한 예측결과를 발표하여 선거여론조사뿐 아니라 사회여론조사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또한 1993년 비표본 오차 워크숍, 제15대 대선 예측조사의 성공사례 발표와 한국조사연구학회의 한국갤럽학술논문상, 박사학위논문상 제정 등으로 조사방법의 연구발전에 기여하였다. 기록을 중요시했던 그는 국회의원선거여론조사, 대통령선거여론조사와 지방선거여론조사 등에 관련된 모든 과정의 내용을 자료집으로 발간하였고, 매주 금요일에 발표하는 데일리 오피니언 여론조사 프로그램은 역사적 기록물일 뿐 아니라 정치민주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in the sense that President Moo-ik Park of Gallup Korea, who died on April 19th, looked at the accomplishments contributed to the Korea survey statistics and the election poll and pray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by making use of the late Park`s wish. In 1987, the results of the 13th presidential election were announced accurately at 18:00 on the day of the ballo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ction polls. In addition, in the 14th and 15th presidential election polls, we published accurate prediction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ls as well as election polls. The announcement of the non-sampling error workshop and the success stories of the 15th presidential election prediction survey, the support of both The award of Gallup Korea academic paper and doctoral dissertation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ies among members and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contents of all the processes related to the election polls, the presidential election polls, and the local election polls were published in the resource book, and the opinion polls published every frida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historical records but also to political democratization.

      • KCI등재

        한국조사연구학회 발표 논문 내용분석, 1999∼2019년: 학문분야‧방법론‧연구대상‧ 데이터분석기법의 지속과 변동

        설동훈,고재훈,유승환,이기재 한국조사연구학회 2020 조사연구 Vol.21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KASR) 1999-2019,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survey research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in its official journal, conference proceedings, and tutorial lectures of the KASR.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atorized the total of 1,190 papers in four dimensions: disciplines, methodologies, research objects, and techniques of data analysi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 (STM)-to the text corpus of 1,145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analysis revealed 87 topics in 1999-2019. We conducted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analysis using data of the weights of the 87 topics by each year, and divided into three distinctive periods: 1999-2004, 2005-2012, and 2013-2019.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five key words by the three periods in the four dimensions. We discussed continuation and change in the focus topics at each dimension and identified the trajectory of survey research in Korea. We identified the growth, continuation, and decline patterns of each topic: (1) the diversity of disciplines has increased, (2) in terms of methodology, more papers have been published/ presented applying statistical analysis rather than research on the method itself, (3) in terms of research objects, mor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ociety than on statistics itself, and (4) in terms of data analysis techniques, advanced statistical techniques have been more increased. 이 논문은 한국조사연구학회가 창립된 1999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조사연구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체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조사연구의 변동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연구≫ 게재 논문, 정기학술대회 발표 논문, 특별심포지엄 및 세미나 자료집 수록 논문을 빠짐없이 수집하였고 두 단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을 통해, 학문분야‧방법론‧연구대상‧데이터분석기법의 네 차원에서 총 1,190개의 논문을 분류하였다. 둘째,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의 하나인 ‘구조적 토픽모델’(Structural Topic Model: STM)을 1,145개 논문의 말뭉치(text corpus)에 적용하였다. 1999∼2019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87개 토픽을 발견하였고, 연도별 각 토픽의 비중을 데이터로 삼아 스피어만(Spearman) 순위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여 그 순위가 유사한 연도들을 묶어 1999∼2004년, 2005∼2012년, 2013∼2019년의 세 시기로 구분했다. 토픽을 다섯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네 차원별로 세 시기씩 제시하였다. 학문분야‧방법론‧연구대상‧데이터분석기법의 네 차원에서 연구 초점의 지속과 변동을 설명하였고, 각 토픽의 성장‧지속‧쇠퇴 형태 분석을 통해, 국내 조사연구의 발전 궤적을 파악하였다. 첫째, 학문분야의 다양성이 증가해왔다. 둘째, 방법론에서는 조사방법 자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통계 분석기법을 적용한 논문이 증가해 왔다. 셋째, 연구대상에서는, 최근으로 올수록 연구방법 자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통계적 분석을 적용하는 논문이 더 많이 발표되고 있다. 넷째, 데이터분석기법에서는 고급통계기법을 사용한 논문이 점점 늘고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소비자 행동 분석을 위한 문화인류학 연구방법의 활용방안 연구; 에스노그라피 활용방식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숙 ( Yong Sook Lee ),유창조 ( Chang Jo Yoo ),김영찬 ( Young Chan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조사회사나 기업체 마케팅 부서에서 ``에스노그라피``라는 이름의 조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제의 원인과 개선대안 찾기``를 목표로 소비자행동 연구에 적합한 에스노그라피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로 설계되었다. 즉 소비자 연구현장에서의 정성조사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문제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재개발된 연구방법을 직접 실제 조사에 적용하면서, 그 과정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여 개선된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분석방법을 마케팅 조사 담당자에 게 소개하는 워크숍을 포함한 4가지 상황에 대한 참여관찰과, 국내 외 7개 조사회사 및 3개기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서구 기업체에서의 소비자 행동연구의 에스노그라피 적용사례 문헌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어떤 정성조사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사회사 구성원들은 정성조사 방법들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에스노그라피가 사용되는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개선방안과 함께 논의하였다. 정성조사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방법의 활용이 계속 시도되고 정성조사 전담 직원의 확충과 교육이 늘어나고 있으나, 국내 조사회사에서 정성조사의 사용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성조사의 비중도 외국 조사회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또한 에스노그라피 활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한계가 나타났다: 1) 참여관찰 없이 관찰만 실시하는 경향, 2) 인터뷰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으며, 인터뷰는 에스노그라피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 3) 조사회수와 조사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향, 4) 다양한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다단계 조사설계의 부족과 에스노그라피의 다양한 유형 중 일부만 사용됨. 결론에서는 에스노그라피 활용을 통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학제 간 연구의 확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둘째, 경영학 또는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방법론에 대한 교육은 주로 정량적인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정성적인 연구방식에 대한 교육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산업이 요구하고 있는 마케팅과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모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에스노그라피를 사용하기로 한 경우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료수집방법만이 아니라 분석방법에 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연구의뢰 회사의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서 단기적인 수요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수요에 맞춘 다양한 연구단계의 조사를 보다 장기적으로 하는 조사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ethnography is used in research firms and marketers in Korea, and brings up some problems and ideas. With the objectives to find the causes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 design an action research by applying redeveloped research methods at field and coming up with revised ways of research. Also, we have workshops, participant observations on 4 situations, interviews with researchers of 7 research firms and 3 firms, questionnaires, case analyses, and many other ways with the newly developed ethnographic methods suitable for consumer behavior researches. In this paper, we especially discuss on which qualitative methods are mainly used in domestic research firms and how researchers think about them, and also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using ethnographic methods.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being discussed and tested, and educated to employers, they are tended to be limited to FGD, in-depth interviews, home visiting observations/interviews, and accompanied shopping and the usage rate is low. More the les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pplications of ethnography such as: 1)observation without a participation, 2) too high dependence on interview and not including interview in an ethnographic method, 3) too short days alloted to data collection, 4) lack of research constructs on using and appl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ltogether, and the use of just a few types of ethnography.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consumers by using ethnography, we made some suggestions. Firstly, extension on systems in consumer behavior research is in need. Secondly, since education on quantitative methods is more emphasized in marketing, a complement of educ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needed. Thirdly, development of a general research model on marketing and ethnography is important, and fourthly, a question on the various uses of ethnography has to be discussed. Fifthly, not only consideration on data collecting, but investigation on analysis has to be done. And lastly, by the effort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lients, we need to develop a research model which contains various steps of researches designed for the long term demands as well as the short term demands.

      • 소비문화의 차원화와 국제비교 -서울, 뉴욕, 스톡홀름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선우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

        소비의 국경(國境)이 무너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경제체제 속에서 다른 문화권으로 진출하는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문화권의 소비문화를 일관된 기준으로 파악하고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소비문화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으로는 물론 실용적으로도 절실하게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비문화를 차원화와 국제비교를 시도함으로써 소비문화의 총체적 전망을 꾀하고 소비문화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소비문화는 소비자와 상품,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환경 사이에서 발생하는 의미의 이동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 소비문화는 두 가지 주요한 속성인 의미성과 상호작용성에 따라 차원화된다. 소비문화는 의미성에 따라 기능과 상징의 범주, 그리고 상호작용성에 따라 개인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범주를두 개의 축으로 삼아 개인적 기능, 개인적 상징, 사회적 상징, 사회적 기능의 네 개의 소비문화 차원이 도출되었다. 소비문화의 각 차원은 두 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는데, 개인적 기능 차원은 경제성과 검약지향, 개인적 상징 차원은 향유와 자기표현지향, 사회적상징 차원은 타자승인과 유명선호지향, 그리고 사회적 기능 차원은 친사회와 친환경지향의 하위차원으로 이루어진다. 소비문화 차원의 척도 검증 및 국제비교를 위하여 대한민국 서울, 미국 뉴욕, 스웨덴스톡홀름의 세 도시에서 20-40대 소비자 각 500명 등 총 1,500명을 대상으로 2006년9월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의 비교가능성 확보를 위하여 한국어로 구성된 최종 설문지는 조사지역의 언어인 영어와 스웨덴어로 번역되었다. 한편 국가별 소비문화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각국의 원주민 혹은 체류경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을 풍부하게 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수집된 조사항목을 바탕으로 구성된 조사도구에 대하여 소비자학과 박사학위자 3인의 안면타당도 검증과 두 차례의 예비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조사도구가 마련되었다. 조사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자료분할법(data-split method)을 활용하였으며, 총 1,500개의 케이스를 750개씩 분할할 후 각각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를 위하여 CEFA(Comprehens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0과 AMOS 5.0 프로그램이 각각 사용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소비문화의 차원 측정을 위한 총 20개 문항의 조사도구가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소비문화의 차원별로 전반적인 비교를 해 보면 세 도시에서 모두 상징지향적 소비수준보다는 기능지향적 소비수준이, 그리고 사회지향적 소비수준보다는 개인지향적 소비수준이 더 높게 나타나 소비자들의 인지구조 속에서 소비란 기능적이고 개인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도시별로 살펴보면, 서울, 뉴욕, 스톡홀름의 소비문화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상대적으로 타자지향적이고 향유지향적인 특징을 보여 소비의상징적 의미, 그 중에서도 사회적으로 부여된 상징에 대한 고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향유지향적이고 개인지향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어 개인적 상징 차원에 대한 고려가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스웨덴은 전반적으로 소비성향이 낮으며 개인적 기능차원에 대한 고려가 가장 높아 소비의 상징보다는 기능에 대한 고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소비문화 수준을 살펴본 결과, 상징적 소비차원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개인적 상징에 더 큰 비중을 두는 반면 남성은 사회적 상징에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또한 젊은 층일수록 상징 차원의 소비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서울의 경우 20대가 독보적으로 높은 소비수준을 보이고 30대와 40대가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반면 뉴욕과 스톡홀름에서는 20대와 30대가 상대적으로 동질적인 모습으로 나타나 소비문화의 성숙도에 따라 연령대별 소비문화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능적 소비차원의 경우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비문화를 의미성과 상호작용성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바탕으로 살펴볼 수 있음을 발견했다는 점에 있다. 소비문화의 차이는 소비의 상징적 의미 범주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 현대 소비사회 속에서 소비의 상징적 의미영역이 점점 확장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비문화 척도는 조사대상 도시가 속한국가인 한국, 미국, 스웨덴 삼국에서 공히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다른 국가 및 문화권을 대상으로 한 척도검증 및 보완작업이 요구되며, 이를 통하여 국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소비문화 척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의 사회조사: 과거와 현재

        홍두승 ( Doo-seung Hong ),성지영 ( Jee Young Se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3

        이 글에서는 지난 70여 년간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사회조사의 변천과정을 살펴본다. 사회조사는 크게 보아 언론매체가 중심이 된 여론조사, 기업의 활동과 시장개척을 위한 마케팅조사, 그리고 실증적 학술연구를 위한 사회조사 등 세 갈래로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여론조사는 1948년 정부수립 이전에도 실시된 기록이 보이지만, 보다 체계적으로 사회조사를 수행하게 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이 글은 특히 선거여론조사, 사회과학분야에서의 실증연구, 조사방법론 교육의 발전 과정, 조사업계의 출범 및 외연확장, 사회조사 관련 학회, 협회 및 연구소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다. 끝으로 표본의 대표성 확보, 응답자에 대한 접근성, 응답률 제고, 개인정보와 사생활 보호문제 등 점차 어려워지는 조사환경 하에서 조사연구 분야의 미래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social survey carried out by academics and practitioners in Korea over the past 70 years. Social survey has been dealt in three ways; public opinion polls by the media, market research by business firms and empirical social research by academics. Although polls were attempted in Korea in the late 1940s, it was not until the early 1960s to implement social survey more systematically. This paper focuses on election polls, empirical research in social sciences, education and training for survey research methods, launching of survey companies and the activities of research institutes and associations for survey research. Finally, the paper presents the issues and problems we have to face and solve in the future, such as secur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enhancing accessibility to the respondents, raising response rate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초연구;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최샛별 ( Set Byol Choi ),이명진 ( Myoung Jin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의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국내의 문화자본 관련 문헌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주요 문헌과 조사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질문지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과 차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영역과 차원을 고려하여 한국 사회에 보다 적합한 질문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각 분야별 문헌조사와 전문가 조사, 그리고 대상자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장르를 주요 영역으로 선정하고 문화의 ``고급/대중`` 차원과 ``소비/생산`` 차원, 그리고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각 항목들에 대해서는 그 동안 문화자본의 보유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에서 일관성 없이 사용된 문화자본 측정의 세 가지 측면(선호, 참여, 인지)을 통합·보완하여, 각 항목을 좋아하는 정도(선호), 각 항목에 참여하는 정도(참여), 그리고 각 항목이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와 각 항목이 멋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를 묻는 질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큰 틀을 마련하고, 이로써 그 동안 서구 중심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문화자본 논의에 있어서의 비서구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is a part of a fundamental research to form the topographic map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cultural capital, based on large scale research data. Its purpose is to suggest suitable questions for today`s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compare with previous data accumulated from other nations. For this,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critical study on the extensive literature on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apital and collect measures, questionnaires, and data used in important literature and surveys. Based on this, the major domains and levels that should be dealt in the questionnaire were chose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each field; exper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questions more suitable for the Korean society considering each domain and level,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s were conducted. This research as seen through the above processes, music genres and culture activities were chosen as major domains, "high/popular" level and "consumption/ production" level were chosen as items, and specific items were composed considering Ko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Each of these items combine and complement the three aspects of measuring cultural capital(preference, participation, perception), which have been used incoherently in previous researches in measuring the level of possession in cultural capital. This led to developing questions such as the level of liking each item(preference), the level of participating in each item(participation), the level of luxuriousness in each item(perception), and the level of stylishness in each item(perception).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critically examines the vast amount of questionnaires used in the past for cultural capital research, provides a large framework to find Korean cultural capital by adding items considering Ko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groundwork to fill in the non-Western gap in the discussion of cultural capital, which has been based on the West.

      • KCI등재

        시간일지와 미디어일지의 비교를 통한 청소년의 ICTs 미디어 이용시간 측정

        권순범,배한진,진미정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mounts of time spent using ICTs media in two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the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and to address comparability of the two data sets. We selected 8th grade students from each survey data and compared their ICTs media use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ime spent on phone calls, SMS, e-mail, and social media in the Time Use Survey were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at i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due to the low proportions of respondents who reported their ICTs media use. However, the time spent on online games were underestimated i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The decomposition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ata sets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the respondents who reported online game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survey data have limitations in the measurement of ICTs media use and researchers need to take a caution in estimating time in media use. 스마트폰을 포함한 ICTs 미디어 이용이 일상화되면서 ICTs 미디어 이용 실태에 대한 사회적․학문적 관심이 크게 증대되었다. 그러나 조사 자료마다 ICTs 미디어 사용시간이 다르게 나타나 자료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일지 방식으로 조사된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와 미디어일지 방식으로 조사된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4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ICTs 미디어 이용시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2학년 청소년으로 요인분해를 이용하여 생활시간조사 자료와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자료의 ICTs 미디어 이용시간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자료의 삼각화를 통한 삼각검증을 실시하고, 분석대상이 다른 경우에도 두 자료에서 동일한 패턴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행위자비율이 낮게 측정됨으로써 생활시간조사의 통화, 문자/메일, 소셜미디어 이용시간이 한국미디어패널조사보다 과소 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외적으로 게임시간은 한국미디어패널조사가 생활시간조사보다 짧게 측정되었는데, 요인분해를 통해 이러한 결과가 행위자비율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사방식에 따른 ICTs 미디어 이용시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국제비교연구 활용 가능성

        부가청,장지연 한국조사연구학회 2006 조사연구 Vol.7 No.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launched in 2006, has developed a research network with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 US),’ ‘Studies on Health and Retirement in Europe(SHARE, EU),’ and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ELSA, UK)’ and tried to construct a mega data library. The KLoSA team has designed their research with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in order to use KLoSA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First, KLoSA shares the key research areas such as family structure, health, employment, income, asset, subjective expectations with the comparable studies. Second, KLoSA team has developed the instrument to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institutions. They considere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public pension and health care system and in employment practices. They also counted the cultural conventions in family life such as financial management and care exchange. Finally, KLoSA tries to captu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by making the measurement scales more understandable. 2006년에 제1차 본조사에 들어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는 HRS(미국), SHARE(유럽), ELSA(영국) 등과 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 사업과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국가간 비교연구가 가능한 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음 세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첫째, 가족, 건강, 고용, 소득, 자산, 주관적 기대감 등 비교대상으로 삼은 조사들의 핵심적인 주제와 주요 조사영역을 일치시켰다. 둘째, 주요영역의 세부 항목은 우리나라의 제도적,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도록 설계하였다. 우리나라의 공적연금과 의료보장제도의 특성 등 제도적 특성을 반영하여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고용상의 관행이나 금융상품의 범위도 고려하였다. 또한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가족간의 경제적 지원양태의 특징이나 재산관리상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설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척도의 선정에 있어서도 우리나라 고령자들에게 정확하게 의미가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국가간 비교연구도 가능한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