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자조모임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가정위탁보호를 중심으로-

        홍나미,박주혜,강현주 한국아동복지학회 2023 한국아동복지학 Vol.72 No.2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의 심리 사회적 자립을 지원하는 자조모임의 의미와 유용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설보호아동보다 사회관계망이 부족하고 정 보 접근성이 낮은 가정위탁보호 자립준비청년 7명을대상으로 자조모임 참여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참여자들이 사진을 매개로 자신의 경험과 상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준비청년의 자조모임 경험은 3개의 상위범주와 8개의 하위범주, 20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갑작스럽게 맞닥뜨린보호종료 현실에 불안했던 자립준비청년들은 자조모임을 통해 결속하면서서로의 힘듦을 위로하였고, 다양한 자립 정보를 공유하면서 현실을 헤쳐나가고 있었다. 자립준비청년에게 자조모임은 자립역량을 쌓아갈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자 재충전의 시간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립지원을 위한 자조모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청소년과 가족 대상 실천적 지원방안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홍나미,박재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으로 인해 피해를 겪고 있는 청소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지원현황을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실천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지원현황은 ‘피해자 지원보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중심의 지원’, ‘피해자의 심리적 고통에 대한 인식 부족’, ‘지속되는 후유증에 대한 지원 미흡’, ‘담당교사의 역랑에 의존’, ‘지역사회의 지원과 한계’로 나타났다. 피해청소년 가족에 대한 지원현황은 ‘피해보상에 대한 기준미흡으로 떠안아야 하는 부담’, ‘피해청소년 가족을 위한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다. 피해청소년을 위한 지원방향으로는 ‘피해자에 대한 초기 조치 필요’, ‘피해청소년의 심리적 고통완화를 위한 장기적 지원전략 마련’, ‘학교폭력 담당 교사들의 역량 강화’, ‘지역사회의 적극적 연계 및 교류’, ‘통합적 사례관리’ 등의 지원내용이 도출되었다. 피해청소년 가족을 위한 지원방향에는 ‘학교와 학부모의 의사소통 채널 구축’, ‘학교폭력 상황에 대한 부모의 대처방법 안내’, ‘피해자에 대한 기준 및 피해보상 제시’, ‘가족상담 지원’, ‘자조집단 필요’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practical methods to support school violenc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the present conditions of supporting school violence victims are identified to be ‘focus on bullies punishment rather than victims,’ ‘lack of victims’ psychological support,’ ‘poor support for continuous aftereffect of school violence,’ ‘dependency on individual teacher’s competence,’ and ‘community support and limit.’ Second, the present conditions of supporting victims’ families are identified to be ‘economic burden caused by inadequate standard,’ ‘all family member’s hurt,’ and ‘lack of family support.’ To re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as follows. First, strategies for school violence victims are ‘early intervention for school violence victims,’ ‘long-term strategies for relieving psychological pain,’ ‘empowering competence of teacher in charge,’ ‘necessity of community network and exchang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co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victims family are ‘necessity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school and parents,’ ‘guidance of how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suggestion for standard rule to identify school violence victim and compensation,’ ‘support for family counseling’ and ‘necessity of self-help group.’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시론

        홍나미,정익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xpand the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present realistic methods in terms of contents level of publicness that community child centers can realize. For this purpose, FGI was conducted with the representatives who were selected as the best community child centers or acted as supervisors. We have explored the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a changing community car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lan to expand the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was derived from 4 categories and 18 sub-categories. Specifically, it was discussed the obstacles to the expansion of public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efforts of community child centers needed to expand publicness, the way to promote publicness, and the support for community child centers expanding publicness as incentives.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for expanding public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clarifying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publicnes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지역아동센터가 공공성을 주체적으로 실현해갈 수 있는 내용적 공공성 측면에서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우수 지역아동센터로 선정되고 슈퍼바이저로 활동하는 시설장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변화하는 지역사회의 돌봄 환경에서 지역아동센터가 나아가야 할 공공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방안은 4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의 걸림돌을 확인하고, 공공성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지역아동센터의 노력과 공공성 확대를 위한 추진 방법, 그리고 공공성을 확대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 공공성에 대한 개념을 명료화하고 앞으로 추진될 공공성 방향을 설정하는 데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변화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홍나미,정익중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아동의 변화를 탐색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기간 “1%나눔 아트스쿨”을 진행한 예술강사들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포토보이스는 연구참여자들이 연구주제에 관한 사진을 직접 촬영하고, 사진의 의미를 탐색하면서 사회변화를 자극하는 시각적 연구 방법이다. 연구 분석 결과,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변화는‘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놀라운 성장’,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내재화’, ‘아동의 변화가 일으킨 문화예술교육의 파동(波動)’의 3개 범주, 8개의 하위범주, 21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기적으로 운영된 문화예술교육으로 변화하는 아동의 경험을 입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아동의 변화를 문화예술의 효과와 가치, 영향력으로 구분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의미가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하였다는 점,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참여아동의 변화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시설 전원경험이 있는 그룹홈청소년의삶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홍나미,박현정,정익중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aning of the life of youths living in out-of-home car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space which adolescents had and lived in after separating from their family.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4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change of out-of-home car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Group home youths' life meaning was verified through participants' narratives. Prior to entering out-of-home care, the situation which participants lived with their family was awful but living in the institution residence was the process of stabilizing participants' life. Experiencing changes in out-of-home care was a time of drifting for them. After living in out-of-home care, they were living in the present, shaking and adapting to out-of-home care. They were struggling and moving towards tomorrow.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group home youths with concrete support strategies such as offering the incubation period of adapting, building a secure relationship, recov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and providing finance support for adolescents to live independently by understanding their life journey of group home youths experiencing the change of out-of-home care.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홈청소년들이 원가족으로부터 분리되어 가정외보호 시설에 입소되어지냈던 시간, 전원 경험과 이후의 생활, 그 과정 속에서 그룹홈청소년들이 살아내는 삶의 의미를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설 전원경험이 있는 그룹홈청소년 4명의 연구참여자를 심층면담한 후 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확인된 삶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시설입소 과정 직전의 상황은원가족과의 사지(死地)와 같은 상황이었으며, 시설 거주 경험은 온 몸으로 뿌리 내리는 과정이었다. 시설 전원경험은 떠밀려 표류하는 시간이었으며, 그 이후 그룹홈에 다시 흔들리며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고 있었으며, 고군분투하며 내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원경험이 있는 그룹홈청소년의 삶의 여정을 따라가며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여 적응과정에서 인큐베이터 기간 마련과 안전한 관계구축, 원가정과의 관계회복과 자립지원 등 그룹홈청소년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모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 우울의 매개효과

        홍나미,박현정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7 미래사회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부모의 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여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초4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1,34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방임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위축과 우울은 모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에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주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개입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전략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 George Crumb의 Madrigals, Book I 에 나타난 음조직에 대한 연구

        홍나미 신음악학회 2001 新음악논집 Vol.2 No.-

        George Crumb's Madrigals, Book I reflects many of his stylistic features in terms of pitch materials, instrumental writing, text setting, rhythm, and tex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Madrigals, Book I, concentrating on pitch materials, adopting pitch class set theory as found in Allen Forte's The structure of atonal music and Robert Morris's Composition with pitch classes. As in most of Crumb's music in this period, this piece is almost entirely based on trichordal sets. Pc set 3-5 and 3-1 are used as primary sets. In addition to these, pc set 3-2 (2nd movement) and 3-9 (3rd movement) are used as secondary sets. These trichords are treated both exclusively, and as articulations within the context of larger sets, such as pc sets 4-9, 4-16, 5-7, and 6-z6. Pc set 3-5, the most prominent trichord in this piece, is related to all of these larger sets by abstract inclusion and kh complex. Among these larger sets, pc sets 4-9 and 5-7 comprise basic fragmentary motives which became highlighted at the surface by means of pc set 3-5. My analytical approach wa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use of pc sets in each movement.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홍나미,신문희,박은혜,박지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학업을 중단한 뒤에 다양한 학업복귀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기간이 1년 이상이면서 3개월 이상 학업복귀를 지속하고 있는 청소년 14명을 심층면접한 후,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의 중심현상은 "학업중단을 딛고 일어서기"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심리적 어려움을 온몸으로 경험", "자퇴생이라는 사회적 낙인", "방황의 시간"이었고,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관심과 지원의 손길", "긍정적 과거 경험을 되돌아 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스스로 의지 세우기", "주변의 인적지원과 정보지원 받음"이었으며,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미래에 대한 현실적 방향잡기", "주변 환경 정리하기", "학업복귀를 구체적으로 준비하기"였다. 중심현상의 결과는 "노력으로 인한 긍정적 복귀경험", "안정적 학업복귀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으로 핵심범주는 "학업중단을 딛고 시작의 문을 두드리기"였으며, 관계유형에 따라 지속발전형, 고분분투형, 현상유지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에 필요한 개입 서비스를 위한 방안과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chool dropouts who undergo returning to academic course. Participants were 14 adolescents who experiences from dropout to returning to academy, they were individually face to face in-depth interviewed until data were saturated. The interview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used in grounded theory. The study derived 78 concepts, 31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in open coding. In the axia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entral phenomenon was "Overcoming difficulties of the school dropout". The casual conditions were "Experiencing severe psychological difficulties", "Social stigma considered as school dropouts", and "Wandering tim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Providing helpful concern and support", and "Looking back on the positive past".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Shaping a will by oneself", and "Getting the surrounding support such as human resources and informa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Making a practical direction about future", "Arranging surroundings", and "Preparing for returning to academy specifically". The consequences were "Positive returning to academy by effort", and "Difficulty regarding stable returning to academy". A core category was "Getting to restart be overcoming school dropouts" in selective coding. Based on the core category, three types and 4 stages of the process of school dropouts who undergo returning to academic course. The types were "Sustaining development type", "Struggling by oneself type", and "Maintaining the present status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thesis suggests the ways to provide services for helping school dropouts who try to return to academic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