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핵심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분석

        한유미,김희영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개발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성과지표를 바탕으로 핵심성과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핵심성과지표 선정을 위해 구조화된 개별면접,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투입, 산출, 성과의 3단계로 구성된 총 15개 지표를 확정했다.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아동복지교사, 사업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아동권리보장원의 시스템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은 투입, 산출, 성과 각 단계에서 사업의 목적인 아동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 지원,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을 통한 아동복지 서비스 인력 양성이라는 긍정적 성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성과에 관한 평가의 간소화와 효율성을 통해 사업의 성과관리를 활성화하고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based 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at project developed in 2021. It also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To select key performance indicators,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expert consultation were conducted. Finally, a total of 15 indicators were confirmed in three stages: input, output, and performanc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a survey was conducted to child welfare teach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the project, and data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the Child’s Rights was collected.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was found to have positive results at each stage of input, output, and performance: supporting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is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training child welfare service personnel through creating job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erformance management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s through simplification and efficiency of evaluation.

      • KCI등재
      • KCI등재

        다중정 개별 생산거동 예측을 위한 다목적함수 기반 히스토리 매칭

        한유미,박창협,강주명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5

        The paper presents a multi-objective history matching to reduce the performance uncertainties and forecast it reliably in a heterogeneous reservoir with multiple production wells. Individualized well performance is optimized separately using a genetic algorithm coupled with non-dominated sorting and diversity preservation. The fitness is sorted along to the proximity and then the diversity is added by examining the crowding distance as the approach to arrive at the global optimum. Individual watercut trajectory is observed in a heterogeneous oil reservoir with three production wells. The model depicts the effect of unexpected shut-in/out more accurately than the conventional history matching based on linearly weighted objective function. The prediction accuracy is improved up to around 25 to 85% compare to the former. Each performance shows stable prediction regardless of weights. Without extra sensitivity analysis and intuitive selection of weights, it can find out another feasible solution on Pareto front. 불균질 저류층에서 불규칙한 생산폐쇄가 존재할 때 개별 생산정의 생산추이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다목적함수 기반의 히스토리 매칭법을 개발하였다. 개별정의 생산추이는 비지배정렬과 밀집도거리를 결합한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하였다. 최적치는 낮은 오차순으로 순위를 평가하고, 밀집도거리를 통해 다음 세대 유전자 추출의 다양성을 제공함으로써 광역 최적해에 도달하게 하였다. 각기 다른 원유 생산량을 가진 3개의 유정에서 개별정 물생산비를 관찰하였다. 개발 모델은 오차가중합법을 사용한 기존의 히스토리 매칭에 비해 불규칙한 생산폐쇄에도 25-85% 가량 향상된 예측성능을 보였다. 또한 다수 최적해를 공간적으로 분포시킨 파레토면을 통해 추가적인 민감도 분석 없이 최적해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가중치를 임의로 설정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예측성능을 보임으로써 가중치 설정에 따른 예측민감도를 극복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다목적 히스토리 매칭법은 다양한 생산거동을 보이는 다중정의 생산량 예측에 유용하며 추가 생산정 설계 및 생산효율성 평가에 활용 가능하다.

      • KCI등재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교사와 유아의 언어 기능

        한유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7

        Little studies has focused on the language function of children’s language while man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interest on the structural aspects of langage.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compare the teacher’s language and child’s language in the circle time according to the language function. For this purpose, eleven teachers and 141 preschool children of C ctiy in ChoongNam-Do were observed during the circle tim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number of teachers’speaking were far more than those of total children in the classroom. There were little sexual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utterances. Second, teachers and children were differ according to the ranking of language function use. Among teachers information function were most often used, followed by maintaining & asserting of social needs function and projcet function were used least. Children used information function most often, followed by predict & inference function and used control function least. Third, teacher’s use of language function were partly associated with child’s use of language function. 아동의 언어와 관련된 많은 연구자와 교육자들이 언어의 기능에 관심을 둔 반면 언어의 기능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일어난 유아교사와 유아들의 대화를 Stabb의 언어의 기능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반 교사 11명과 이들 학급에 재원중인 유아 141명의 발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학급 전체 유아의 발화 수를 합한 것보다 많이 말을 하고 있었고, 남아와 여아간의 발화 수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사와 유아가 사용하는 언어의 기능은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교사는 정보 기능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사회적 욕구의 주장 기능 > 통제 기능 > 예측 및 추론 기능 > 투사 기능의 순으로 발화를 했으나 유아는 정보 기능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예측 및 추론 기능 > 사회적 욕구의 주장 기능> 투사 기능> 통제 기능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언어 기능사용과 유아의 언어 기능사용은 일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한유미,권희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본 연구는 어머니들의 양육신념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들의 어머니 234명으로 어머니 양육신념,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사후검증으로 Tukey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양육신념은 자녀가 다니는 취학 전 유아교육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이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어머니들보다 아동 중심적인 양육신념을 갖고 있었다.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는 연령이나 학력이 낮은 어머니들이 나이가 많거나 학력이 높은 어머니들보다 숫자나 한글 등의 학업적 영역에 대한 자녀의 성취기대를 더 높게 가지고 있었다.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에서 취업모들은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유아교사의 역할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다. 성인중심적인 신념을 가진 어머니들은 자녀가 숫자와 한글을 더 잘 하기를 바랬으며, 아동중심적인 신념을 가진 어머니들은 교사가 유아의 정서발달을 도모하는 역할을 많이 해주기를 기대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between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nd their expectation toward child's efforts and teachers' role in early childhood settings. Participants were 234 mothers of 5 year-ol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on expectations to child's efforts in making friends, sports, numbers, and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expectation to teachers' role in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One way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have more child-centered-beliefs than those who have children attending institutions of secondary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others' expectation toward children's efforts due to maternal child rearing beliefs in children's numbers and letters.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nd expectations of teachers' role have a difference in roles related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