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동억제 및 활성화체계와 해석편향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지수,양재원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3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model of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disorder. We explored temperamental and cognitive factors contributing to social anxiety (i.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and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 total of 493 under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the BIS/BAS Scales, Consequences of Negative Social Events Questionnaire (CONSE-Q),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We analyzed the data using a procedure based on regression models.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between BIS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regardless of gender. The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BAS were significant in male participants. We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BIS on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decreased when levels of the BAS were higher. Furthermore, higher levels of BAS reduced the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AS in men could play a buffering role in the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평생학습중심대학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지속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질의 조절효과

        최지수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지속간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질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지역의 평생학습중심대학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의 학습자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지속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질의 조절효과를 검증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의 참여동기가 학습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참여동기는 학습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활동지향 동기, 학습지향 동기, 목표지향 동기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교육서비스질이 학습지속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교육서비스질의 하위변인 중 교수강의 영역과 학내외 활동 영역이 학습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지속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질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중심대학 학습자와 공급자인 교수, 운영주체인 대학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학습을 지속하기 위해 어떤 교육서비스질을 제공할지에 대한 전략설계에 도움을 주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the learning persistence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students. Conducted in May, 2014, surveyed 300 students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improves the learning persistence. Especially, the more increased the level of activity-oriented motivati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goal-oriented motivation. Second,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s a meaningfu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arning persistence. Finally, it is analysed that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s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the learning persistence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long learning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 and university, that helped design the strategy for what you want to provide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continued learning.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최지수,최나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0∼2022년 사이에 발간된 학술지 논문 32편, 학위논문 25편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시행되어온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독서치료’와 ‘상호작용’이 논문의 키워드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는 대부분 ‘어머니’였고, 대면 방식의 ‘강의’와 ‘실습’이 주로 진행되고 있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자문과 같은 방법을 중복하여 사용하고,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기간은 ‘6주 이상∼15주 미만’, 교육횟수는 ‘6회 이상∼10회 미만’, 교육시간은 ‘10시간 이상∼15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부모교육은 부모와 자녀의 사회·정서, 언어·인지적 측면,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및 양육태도, 그림책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자녀 관계와 상호작용의 증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의 그림책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SAO의 성능개선을 위한 저면적 하드웨어 설계

        최지수,류광기,Choi, Jisoo,Ryoo, Kwangki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2

        In this paper, for HEVC decoding, an SAO hardware design with less processing time and reduced area is proposed. The proposed SAO hardware architecture introduces the design processing $8{\times}8$ CU to reduce the hardware area and uses internal registers to support $64{\times}64$ CU processing. Instead of previous top-down block partitioning, it uses bottom-up block partitioning to minimize the amount of calculation and processing time.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proposed architecture with TSMC $0.18{\mu}m$ library, the gate area is 30.7k and the maximum frequency is 250MHz. The proposed SAO hardware architecture can process the decode of a macroblock in 64 cycles.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HEVC 복호기 설계를 위해 SAO(Sample Adaptive Offset)의 수행시간 단축과 연산량, 하드웨어 면적 감소를 위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SAO 하드웨어 구조는 $8{\times}8$ CU(Coding Unit)를 처리하는 연산기를 구성하여 하드웨어 면적을 최소화하고, 내부레지스터를 이용하여 $64{\times}64$ CU의 처리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 SAO의 top-down 블록분할 구조 대신 bottom-up 블록분할 구조로 설계하여 연산시간 및 연산량을 최소화한다. 제안한 SAO 하드웨어를 TSMC $0.18{\m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 이용해 합성한 결과 게이트 수는 30.7k개의 로직게이트로 구현되며 최대동작주파수는 250MHz이다. 제안한 SAO 하드웨어 구조는 하나의 매크로 블록을 복호화하는데 64사이클이 소요된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사회적 관계 속에서 구성한 돌봄의 의미

        최지수,최나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care teachers construct the meaning of care in social relationships.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 material analysis, in-depth interview, photo-voice, and FGI were conducted for 6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childcare experience. For teachers, caring was a process of modulating through distancing between emotions, greed, authority, and job. Teachers form an organic community to care for each other by form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fellow teachers, parents, and daycare centers. In this way, teachers expanded the ‘meaning of caring' by caring for childre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constantly reflecting on their own care. They realized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that caring was relational care that they could not do alone. This study reminds us of the need to practice ‘caring together'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care in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어떻게 돌봄의 의미를 구성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보육경력이 3년 이상인 보육교사 6명에 대한 현장 관찰, 현지문헌 분석, 심층면담, 포토보이스,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에게 있어 돌봄은 자신의 감정, 욕심, 권위, 직업과 거리두기를 통한 조절하기의 과정이었다. 보육교사는 영유아, 동료교사, 학부모, 어린이집과 관계를 맺으며 서로를 돌보는 유기적인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는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영유아를 돌보고 끊임없이 자신의 돌봄을 성찰함으로써 돌봄의 의미를 확장해 나갔다. 이들은 돌봄이 보육교사 혼자서만은 할 수 없는 관계적인 돌봄임을 사회적 관계를 통해 깨달았다.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돌봄의 의미 구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함께 돌봄’을 실천해야 할 필요성을 환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Tacrolimus-induced, Transplant-associated Thrombotic Microangiopathies after Lung Transplantation

        최지수,김송이,이진구,김수정,송명진,윤보라,김무현,박무석,백효채 대한이식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Vol.30 No.2

        We report a case of tacrolimus-induced transplant-associated thrombotic microangiopathies (TA-TMA) after lung transplantation. A 71-year-old man underwent lung transplantation secondary to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After 4 months, he presented with abdominal discomfort and dyspnea, and was diagnosed with hemolytic anemia and thrombocytopenia. Tacrolimus was considered the cause of the TMA. Tacrolimus was stopped and several sessions of plasma exchange we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diagnosis of TA-TMA. However, his platelet count did not normalize, gastrointestinal bleeding was recurrent, and severe pneumonia developed, following which he died. TA-TMA are rare but severe,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A-TMA should be considered in posttransplant recipients.

      • KCI등재

        舌音系 漢字의 韓・日 漢字音의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최지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본 연구에서는 中古漢語의 舌音系 漢字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 운표를 작성하여 韓․中․日 漢字音의 음운체계에 관한 분석과 韓․日 漢字音의 수용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端母는 中國 中古音에서 t로 再構되며, 日本漢字音은 吳音․漢音 모두 タ행(t) 으로 반영되었다.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는 t(ㄷ)/65字, th(ㅌ)/5字로 대부분 t(ㄷ) 로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반영은 漢字音 유입 당시 古代 韓國語에 有氣音과 無氣音의 대립구조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現代 韓國漢字音에서 는 t(ㄷ), th(ㅌ), c(ㅈ), ch(ㅊ) 順으로 반영되었는데, 中世 韓國漢字音에 나타난 漢字 音보다 c(ㅈ), ch(ㅊ)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現代 中國漢字音에서는 d[t], zh[ʦ], t[th] 順으로 반영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タ행(t)으로 반영되어 있다. 2) 知母는 中國 中古音에서 ṭ로 再構되며, 日本漢字音은 舌頭音과 舌上音의 구별 이 없기 때문에 吳音․漢音 모두 タ행(t)으로 나타난다. 韓國漢字音은 t(ㄷ)로 반영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는 t(ㄷ)/17字, th(ㅌ)/11字, c(ㅈ)1 字, ch(ㅊ)1字로 반영되었다. 現代 中國漢字音에서는 대부분 zh[ʦ]로, 現代 韓國漢字 音에서는 t(ㄷ), th(ㅌ), ch(ㅊ) 順으로 반영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タ행(t)으로 반영되어 있다. 3) 透母는 中國 中古音에서 th로 再構되며, 日本漢字音에서는 吳音․漢音 모두 タ行(t)으로 반영되었다. 日本漢字音은 有氣音․無氣音의 구별이 없는 日本語의 음 운체계상 端母와 같이 t로 나타난 것이다.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는 th(ㅌ)/45字, t(ㄷ)/9字로 반영되었다. 現代 中國漢字音에서는 t[th], d[t] 順으로, 現代 韓國漢字音 에서는 th(ㅌ), ch(ㅊ), t(ㄷ), c(ㅈ)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タ행(t)으로 반영 되어 있다. 4) 徹母는 中國 中古音에서 ṭh로 再構되며, 日本漢字音은 吳音․漢音 모두 タ행 (t)으로 나타난다. 日本語의 음운체계상, 有氣音․無氣音의 구별, 그리고 t․c의 구 별이 없기 때문에 端母와 같이 t로 나타난다. 韓國漢字音은 th(ㅌ)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며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는 th(ㅌ)/9字, t(ㄷ)/1字로 반영되었다. 現代 中 國漢字音에서는 ch[ʦh], zh[ʦ], x[ɕ] 順으로, 現代 韓國漢字音에서는 대부분 ch(ㅊ) 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タ행(t)으로 반영되어 있다. 5) 定母는 中國 中古音에서 d로 再構되며, 日本漢字音은 吳音과 漢音에서 タ행 (t)으로 나타난다. 漢音에서의 이러한 반영은 定母가 有氣音화해서 透母化한 秦音 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タ행(t), ダ행(d), ザ행 (z)으로 반영되어 있다. 中世 韓國漢字音에서는 t(ㄷ)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t(ㄷ)/69字, th(ㅌ)/17字로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반영은 漢字音 유입 당시 古代 韓 國語에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구조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現代 中國漢字音에서는 t[th], d[t], ch[ʦh], zh[ʦ] 順으로 반영되며, 現代 韓國漢字音에 서는 t(ㄷ), c(ㅈ), th(ㅌ), ch(ㅊ) 順으로 반영되어 있다. 6) 澄母는 中國 中古音에서 ḍ로 再構되며, 日本漢字音에서는 舌頭音과 舌上音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吳音․漢音 모두 定母와 같이 タ行(t)으로 나타난다. 日本 常用 漢字音에서는 タ행(t), ダ행(d), ザ행(z)으로 반영되어 있다. 中世 韓國漢字音은 c (ㅈ)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t(ㄷ)/34字와 th(ㅌ)/17字로 혼재되어 반영되었다. 現代 中國漢字音에서는 zh[ʦ], ch[ʦh] 順으로 혼재되어 반영되며, 現代 韓國漢字音 에서는 t(ㄷ), c(ㅈ), th(ㅌ), ch(ㅊ) 順으로 반영되어 있다. In this study, the phonetic system of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and their acceptance and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on the Group Tongue Sound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rcial Chinese consonants. 1) The vowel Tuan(端) is reflected in Sino-Japanese appear as タ(t) line. The vowel Tuan(端) is expected to reflect the Chinese consonants of the Middle Ages in Korea, and the actual consonants are mostly in t(ㄷ). In modern Korean consonants, the ratio of c(ㅈ) and ch(ㅊ) is increasing. In modern Chinese, d[t], zh[ʦ], t[th] in Japanese common consonants, it is reflected in タ(t) line. 2) The vowel chi(知) is reflected in Sino-Japanese appear as タ(t) line. Becau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ongue-up and tonguehead, both Go'on and Kan'on. Zh[ʦ] in modern Chinese, t(ㄷ), th(ㅌ), ch(ㅊ)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タ(t) line in Japanese common consonants. 3) The vowel Tou( 透) is reflected in Sino-Japanese appear as タ(t) line. Becau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aspirated and unaspirated sounds. T[th], d[t] in modern Chinese, th(ㅌ), ch(ㅊ), t(ㄷ), c(ㅈ)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タ(t) line in Japanese common consonants. 4) The vowel Che(徹) is reflected in Sino-Japanese appear as タ(t) line. This is because in the phonetic system of the Japanese languag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aspirated and unaspirated sounds, and t and c. Ch[ʦh], zh[ʦ], x[ɕ] in modern Chinese, almost ch(ㅊ)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タ(t) line in Japanese common consonants. 5) The vowel Ting(定) is reflected in Sino-Japanese appear as タ(t) line. T[th], d[t], ch[ʦh], zh[ʦ] in modern Chinese, t(ㄷ), th(ㅌ), c(ㅈ), ch(ㅊ)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タ(t)/ダ(d)/ザ(z) line in Japanese common consonants. 6) The vowel Cheng(澄) is reflected in Sino-Japanese as タ(t) line. Zh[ʦ], ch[ʦh] in modern Chinese, t(ㄷ), c(ㅈ), th(ㅌ), ch(ㅊ)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タ(t)/ダ(d)/ザ(z) line in Japanese common conson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