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文法研究の現状と展望

        이경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in 2017 and 2018, on Japanese grammar and explores their current trends, clarifies special features,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prospect of future studies on Japanese grammar. I tried to divide Japanese grammar into several categories. This paper will examine research articles on Japanese grammar that have been published in papers. Descriptive grammar studies, Contrast research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 research applying contrast studies, Application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research, Research using corpus, Cognitive semantics and cognitive grammar, Politeness and discourse,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besides, The trends of the Japanese grammar research which is found in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was clarifi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being done in the book seems to have not changed much in the way of research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in Korea is carried out similarly to international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There are not many announcements, postings, or research findings by Korean researchers at Japanese academic conferences, seminars, etc. This is because Japanese academic societies do not acknowledge much in the field of research in Korea. It is because research articles highly evaluates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 think that such phenomenon will prevail for the time being. I think research articles will change positively as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 Korea changes. In spite of such bad conditions, Korean researchers should positively announce a lot in Japan. 본고에서는 2017~2018년에 걸친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검토 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10종의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는 일본어문법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일본어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일본어문법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 논문을 살펴본 결과, 기술 문법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연구 ․ 대조 연구를 이용한 번역 연구 ․ 문법 연구 결과의 일본어교육 응용․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연구 ․ 인지언어학과 인지 문법 ․ 경어와 담화 등등 주제가 다양하였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본어학회, 일본어문법학회, 일본어교육학회, 언어학회에서 발표되는 일본어문법 연구 경향도 확인한 바, 한일 양국의 일본어문법 연구 흐름은 유사하지만, 일본에서는 일본어교육문법이라는 새로운 형태와 방법론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앞으로 한국에서도 일본어교육문법연구라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일본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 및 세미나, 학술지 등에 한국인 연구자의 발표나 논문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점은 아쉽다. 이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이나 각 대학에서 일본에서의 학술 발표나 논문보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더 인정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현상일 것이다.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지 않는 한,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거나, 평가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학문의 발전만을 위해 애쓰는 연구자들이 많이 나와야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않은 일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연구들을 문법교육과 일본어교육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즉, 교육현장에서 문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일 것이다.

      • KCI등재

        일본한자음의 장음화에 관한 고찰

        우찬삼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1 日本語敎育 Vol.19 No.-

        본고에서는 오늘날 日本漢字音에서 長音形 -オウ(-o:), -ヨウ(-jo:), -ユウ(-ju:)로 나타나는 漢字를 對象으로 원래 어떠한 음이 長音形으로 되었으며, 長音形으로 통합된 시기는 언제인가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우선 어떠한 음이 長音形으로 되었는가를 보면 舊音形 -アウ, -オウ, -アフ는 -オウ 長音形으로, -ヨウ, -エウ, -エフ, -ヤウ는 -ヨウ長音形으로, -イウ, -エウ, -イフ -ユウ 長音形으로 통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이 통합됨으로써 많은 동음이의어가 발생하게 되었다고 하는 것도 증명하였다. 이들 長音形이 나타나는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시대-南北朝時代, 鎌倉時代 室町時代-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통합이 완성된 시기는 대개 江戶時代에 들어와서이다. 그리고 이러한 長音形이 나타나는 日本常形漢字音을 조사하여 표를 만들어 韓國漢字音과 日本漢字音을 비교해 보았으며, 日本語敎育上 注意해야 할 漢字등에 대해서 기술해 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배경 위에서 韓國人 日本語學習者에 대한 日本漢字音敎育의 指導方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韓國漢字音의 -ang, -^(w)ang, -ap은 -オウ로 指導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ang, -^(w)ang, -ap은 日本漢字音에서 -アウ型, -ワウ型, -アフ型이었는데, 이것이 長音化에 의해서 오늘날 한자음에서는 모두 -オウ型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江(カウ>コウ), 光(クヮウ>コウ), 答(タフ>トウ)등과 같이 변했기 때문이다. 단, 오늘날의 韓國漢字音-ang으로 나타나는 漢字에는 「長 · 商」과 같이 원래 -jang이었던 것이 單母音化에 의해서 -ang으로 바뀐 漢字도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注意해야 한다. 이것에 속하는 漢字는 주로 舌音 · 齒音字, 즉 ㅈ-, ㅊ-, ㅅ-頭子音으로 나타나는 漢字들이다. 이들 漢字는 -オウ型을 適用할 것이 아니라, 원래 音이 -jang이었기 때문에, 이 -jang과 對應을 보이는 -ヨウ型으로 지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長」은 チョウ로 指導하고, 「商」은 ショウ로 指導하면 좋을 것이다. 2. 韓國漢字音의 -wng과 -ong은 -オウ로 指導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wng은 日本漢字音에서 吳音 · 漢音 모두 -オウ型으로 나타나는 한자가 많고, -ong은 吳音에서 -ウ(ウ)型, 漢音에서 -オウ型으로 나타나는 한자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能은 ノウ로 指導하고, 送은 ソウ로 지도하면 좋을 것이다. 韓國漢字音의 -ong이 간혹 -ヨウ型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1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예를들면 松의 韓國漢字音은 song인데, 日本漢字音에서는 ショウ으로 나타나는 한자들이다. 3. 韓國漢字音의 -?ng, -j?ng은 우선 -エイ로 指導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 ng, -j ng으로 나타나는 漢字는 日本漢字音에서 吳音 -ヤウ型, 漢音 -エイ型으로 나타나타났는데, 오늘날 漢字音에서는 -ヤウ型은 -ヨウ型으로 長音化하고, 漢音 -エイ型은 그대로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常用漢字音에는 漢音이 많이 揭載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漢音 -エイ型으로 지도하면 좋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京(キョウ·ケイ)」、「正(セイ·ショウ)」와 같이 常用漢字音에는 吳音과 漢音이 같이 게재되어 있는 漢字도 있기 때문에 注意를 요한다. 이 경우 吳音이라면 -ヨウ型으로 漢音이라면 -エイ型로 지도하면 좋을 것이다. 吳音의 變化過程을 보면, 예를 들면 評은 吳音 ヒャウ가 ヒョウ로 長音化하였고, 頂은 吳音 チャウ가 チョウ로 長音化하였다. 4. 韓國漢字音의 -j?p은 -ヨウ로 指導하면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j?p으로 나타나는 漢字는 日本漢字音의 -エフ型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오늘날 漢字音에서는 -ヨウ型으로 長音化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葉은 -エフ가 ヨウ로 長音化하였고, 協은 ケフ가 キョウ로 長音化한 것이다. 5. 韓國漢字音의 -jang, -jong은 -ヨウ로 指導하면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jang, -jong은 日本漢字音에서는 -ヤウ型, -ヨウ型로 나타났는데, 오늘날 漢字音에서는 모두 -ヨウ型으로 長音化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陽은 ヨウ로 指導하고, 用은 그대로 ヨウ로 지도하면 되는 것이다. 6. 韓國漢字音의 -u, -ju는 -ユウ로 지도하면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u, -ju는 日本漢字音에서는 漢音에서-イウ型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長音化에 의해서 -ユウ型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丘는 キウ가 キュウ로 변했기 때문에, キュウ로 指導하고, 週는 シウ가 シュウ로 변했기 때문에, シュウ로 指導하면 되는 것이다. 7. 韓國漢字音의 -wp는 -ユウ로 指導하면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韓國漢字音의 -wp는 日本漢字音에서는 漢音에서-イフ型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長音化에 의해서 -ユウ型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韓日兩言語の平敍文における無助詞現象について

        권정애,안병곤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7 日本語敎育 Vol.39 No.-

        平敍文이 담당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聽者에게 情報나 話者의 判斷을 전달하는 것으로 韓國語와 日本語에는 여러 가지 文法的 카테고리나 모달리티의 類型이 발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平敍文의 모달리티를 事態에 대한 話者의 認識的 態度를 나타내는 認識 모달리티와 事態에 대한 話者의 評價的인 態度를 나타내는 評價 모달리티로 分類하여 그 文末 形式을 基準으로 韓日 兩言語의 無助詞 現象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調査하였는데, 兩言語에서의 無助詞의 比率은 아래 表와 같다.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斷定形式에서의 無助詞 現象은 單文, 複文 모두 韓國語에서의 比率이 높으며, 兩言語 모두 鄭重함의 모달리티에 따른 차이는 없고 또한 云達態度 모달리티에 따른 特徵도 없다. 推量形式에서는 日本語의 禹가 매우 적어서 그 特徵을 判斷하기는 어려우나 兩言語에서의 無助詞 比率은 거의 비슷하며, 日本語에서는 普通體 쪽, 韓國語에서는 鄭重體 쪽의 無助詞 比率이 높다. 文末 形式으로는 日本語는「だろう」「でしょう(でしょ)」가 대부분이고 여기에 終助詞「ね」가 付加되는 경우도 있으며 韓國語에서는 ``거야`` ``겁니다`` ``겠다`` ``겠네``와 같은 表現 形式이 많다. 蓋然性을 나타내는 平敍文에서 無助詞文의 比率은 韓日 兩言語가 거의 비슷하지만 日本語 單文에서의 無助詞 比率이 다른 것에 비해 상당히 낮다. 鄭重함의 모달리티에 따른 調査에서는 日本語에서 普通體 13文 중 4文이 無助詞文이며 鄭重體에서는 無助詞 現象이 나타나지 않았다. 韓國語의 경우는 普通體 13文 중 3文이 無助詞文이며 普通體에서는 無助詞 現象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日本語 無助詞文의 경우 終助詞「ぞ」「ぜ」「もの」가 付加되는 경우가 많고, 韓國語의 경우는 ``아요/어요`` ``지요``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證據性을 나타내는 平敍文에서의 無助詞 비율은 日本語의 경우 單文, 複文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韓國語에서는 單文보다 複文에서의 無助詞 比率이 높다. 또한 日本語는 鄭重함의 모달리티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韓國語에서는 普通體 쪽이 다소 높다. 傳達態度의 모달리티에 따른 結果로는 日本語의 경우 終助詞「ね」가 자주 付加되고 韓國語에서는``아/어(아요/어요)``가 자주 사용된다.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일반적으로 韓國語가 日本語보다 無助詞 出現度가 높다는 認識과는 달리, 必要를 나타내는 平敍文에서는 日本語 쪽이 韓國語보다 더 높다는 점은 매우 특이하다. 不必要의 경우는 日本語에서 단 2文이며 2文 모두 無助詞를 취하고 있고 韓國語에서는 다른 文에서의 無助詞 比率보다 높은 편이다. 兩言語 모두 鄭重함의 모달리티에 따른 차이는 그다지 없으며 日本語 必要 形式에는 終助詞「の」「よ」「ね」가, 不必要形式에서도 「よ」가 付加된다. 韓國語에서는 必要ㆍ不必要 모두에서 ``지(지요)`` ``어(어요)`` ``야`` 등에 接續되는 경우가 많다. 許容과 非許容을 나타내는 平敍文은 그 例가 매우 적다. 일본어에서는 許容 5文 中에 無助詞文은 1文밖에 없으며, 非許容도 2文만으로 2文 모두 普通體로 無助詞를 사용하고 있다. 韓國語에서는 許容 8文 中에 無助詞文이 5文, 非許容은 4文 中에 無助詞文이 2文이며, 鄭重함의 모달리티에 따른 차이는 없다. 또한 日本語의 許容ㆍ非許容의 無助詞文에는 終助詞의 付加가 없으며, 韓國語에서는 許

      • KCI등재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과 수입액에 세계금융위기가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4

        이 연구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 시발전인 1998년 8월 3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 105개의 자료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발 후인 2007년 5월 3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105개의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를 사용하여 금융위기 전후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의 상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은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이 있고 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 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의 상관계수는 금융위기 전후로 0.896612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에서 0.673477로 다소 약화된 양(+)의 상관관계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둘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의 원시계열 상태에서의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에서는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 모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 공적분 검정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섯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금융위기 이후로 대일본 수입액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between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We examine the interdependence of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for 105 monthly data from August 1998 to April 2007. We employ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Engle and Granger(1987) pointed out that a linear combination of two ro more non-stationary series may be stationary. If such a stationary linear combination exists, the non-stationary time series are said to be cointegrated. The stationary linear combination is called the cointegrating equation and may be interpreted a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purpose of the cointegration test is to determine whether a group of non-stationary series are cointegrated or not. The vector autoregression(VARs) is commonly used for forecasting systems of interrelated time series and for analyzing the dynamic impact of random disturbances on the system of variables. The VAR approach sidesteps the need for structural modeling by treating every endogenous variable in the system as a function of the lagged values of all of the endogenous variables in the system.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has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we find that while the effect from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s relatively strong after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 KCI등재

        文法研究の現状と展望

        李暻洙(이경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본고에서는 2017~2018년에 걸친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검토 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10종의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는 일본어문법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일본어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일본어문법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 논문을 살펴본 결과, 기술 문법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연구 · 대조 연구를 이용한 번역 연구 · 문법 연구 결과의 일본어교육 응용 ·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연구 ․ 인지언어학과 인지 문법 · 경어와 담화 등등 주제가 다양하였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본어학회, 일본어문법학회, 일본어교육학회, 언어학회에서 발표되는 일본어문법 연구 경향도 확인한 바, 한일 양국의 일본어문법 연구 흐름은 유사하지만, 일본에서는 일본어교육문법이라는 새로운 형태와 방법론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앞으로 한국에서도 일본어교육문법연구라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일본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 및 세미나, 학술지 등에 한국인 연구자의 발표나 논문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점은 아쉽다. 이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이나 각 대학에서 일본에서의 학술 발표나 논문보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더 인정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현상일 것이다.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지 않는 한,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거나, 평가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학문의 발전만을 위해 애쓰는 연구자들이 많이 나와야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연구들을 문법교육과 일본어교육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즉, 교육현장에서 문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in 2017 and 2018, on Japanese grammar and explores their current trends, clarifies special features,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prospect of future studies on Japanese grammar. I tried to divide Japanese grammar into several categories. This paper will examine research articles on Japanese grammar that have been published in papers. Descriptive grammar studies, Contrast research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 research applying contrast studies, Application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research, Research using corpus, Cognitive semantics and cognitive grammar, Politeness and discourse,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besides, The trends of the Japanese grammar research which is found in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was clarifi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being done in the book seems to have not changed much in the way of research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in Korea is carried out similarly to international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There are not many announcements, postings, or research findings by Korean researchers at Japanese academic conferences, seminars, etc. This is because Japanese academic societies do not acknowledge much in the field of research in Korea. It is because research articles highly evaluates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 think that such phenomenon will prevail for the time being. I think research articles will change positively as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 Korea changes. In spite of such bad conditions, Korean researchers should positively announce a lot in Japan.

      • KCI등재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방향성

        박해환(朴海煥)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2

        본고는 한국의 일본어학연구 규모의 전체상을 파악하고 그 환경과 시스템 및 내용과 관점에 대하여 문제점으로 판단되는 점을 검토함으로써 그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서두에서 한국의 일본 관련 연구 규모의 관점으로서 일본 관련학과가 개설된 대학과 대학원,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는 학회와 연구소를 중심으로 그 대략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본론에서는 현황 진단과 향후의 방향성 모색의 관점으로서,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환경과 시스템의 면에서는 「연구의 양과 질의 밸런스, 학회 및 학술지의 성격, 교류와 소통, 전문 분야별 연구 활동, 대학원생에 대한 포괄적인 배려」 등에 관한 내용을,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내용과 관점의 면에서는 「분야 간의 융·복합 연구 및 타 분야와의 연계 연구, 한국에 있어서의 일본어교육연구, 한국에 있어서의 한일어대조연구, 넓은 시야와 장기적인 계획에 근거한 연구 활동, 장기적인 관점의 기획과 연구에 근거한 출판 활동」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본론에서 검토한 한국의 일본어학연구의 방향성에 관한 핵심적인 내용의 대략은 「연구 환경 및 시스템의 보강과 개선에 의한 연구의 질적 완성도의 제고, 교류와 소통을 통한 연구의 유기적이고도 통합적인 선순환의 사이클 확보, 융·복합과 연계의 방법을 통한 연대 연구의 활성화,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 환원되는 연구의 확대, 넓은 시야와 장기적인 안목의 기획과 연구에 근거한 집대성 중심의 연구 풍토 조성,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자의 입장과 역할을 중시하는 연구 환경 조성, 다양한 전문 연구 모임을 통한 교류와 소통의 활성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일본어학 전체 역량의 성장에 기여하는 연구의 증대」 등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上代 특수 표기법 O(オ)단 갑ㆍ을류 백제인 기원설”에 대하여

        水野俊平(미즈노 슌페이)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0

        上代 일본어의 차자 표기법에 나타나는 上代 특수표기법(上代特殊假名遣)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일본어학에서 큰 논란거리가 되어 왔다. 上代 특수표기법이 실질적인 모음의 변별에 기인한 것인지의 여부를 둘러싸고 현재까지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 과정에서 上代 일본어의 o(オ)단 갑?을류의 구분이 백제 한자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즉, 上代 일본어의 필기 활동을 주로 백제계 도래인이나 백제 멸망에 따라 일본(왜)에 망명한 백제 귀화인이 담당하였으며, 그들이 上代 일본어의 조건 변이음이었던 원순성을 띤 /o/와 원순성을 띠지 않는 /o/를 알아듣고 구별하며 표기함으로서 お단 갑?을류의 구분이 생겼다고 하는 주장이다. 그 근거는 お단 갑?을류의 표기에 쓰인 한자를 중세 한국 한자음과 대조하면 갑류에는 주로 ‘ㅗ’ 모음이 포함된 한자가 쓰이고 있으며, 후자에는 주로 ‘ㅓ’ 모음이 포함된 한자가 쓰이고 있다는 점이었다. 다시 말해 上代 일본어의 o(オ)단 갑?을류 표기는 일본인이 변별하지 못했던 /o/의 변이음을 백제인이 변별하여 백제 한자음을 바탕으로 한 차자표기로 표기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上代 일본어의 o(オ)단 갑?을류 표기가 백제인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주장을 편의상 “上代 일본어의 o(オ)단 갑?을류 백제인 기원설”이라 부르고,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백제 한자음을 비롯한 고대 한국 한자음의 특징에 비추어서 그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 “上代 일본어의 o(オ)단 갑?을류 백제인 기원설”이 주장하듯이 上代 일본어 자료에서 o(オ)단 갑류 표기에 쓰인 音假名는 중세 한국 한자음에서 ‘ㅗ’로 반영되고, o(オ)단 을류의 표기에 쓰인 音假名는 중세 한국 한자음에서 ‘ㅓ(ㅡ)’로 반영되고 있다. 다만 o(オ)단 갑·을류 표기에 쓰인 音假名의 유기·무기음 대립에 관한 문제, 또한 한자음의 淸濁에 관한 문제에는 아직 논의를 거쳐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으며 o(オ)단 이외의 다른 단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재구된 백제어 음운과 백제 한자음과 o(オ)단 갑·을류의 音價를 대조하는 작업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중・고등학교 학교 급별 국어교과서 어휘 변화 연구

        李美淑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본고는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中1)와 고등학교(高1)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의미 분야별 분포에 나타난 학교 급별 변화를 밝히고 더불어 양국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표’(한국:김광해 2003, 일본:국립국어연구소 2001)를 적용하여 단계별 어휘 사용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양국의 사회 문화적 특징 및 문제점을 살펴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빈도 상위 100어 분석을 보면 한국은 전반적으로 어휘의 의미 분포에서 학교 급별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고등학교에서 동식물 및 신체 관련 어휘가 고빈도어에 포함되는 등 학교 급별 차이는 명확하지 않으나 한국에 비해 높은 등급의 어휘가 사용되고 있다. 전체어수에 한해, ‘분류어휘표’(1964)를 활용한 분석 결과를 보면, 양국 모두 학교 급이 오르면서 추상적 관계 및 인간활동 및 행위 관련 어휘는 늘고 인간 및 생산물, 자연물은 줄었다. 단, 한국 쪽이 변화의 폭이 크다. 중분류에서 한국은 중학교는 인간・가족・군주・인종, 식료, 주거, 자연, 신체 관련 어휘에서, 고등학교는 언어행동, 저술・창작, 지시, 종류, 사회, 일 등에서 유의차가 높았다. 한편, 일본은 중학교에서 생물, 생명, 자연 및 가족・자녀・친척, 물품 등에서, 고등학교는 마음, 언어행동, 창작・저술, 의무, 예술・문예, 기계, 동물, 신체 등에서 유의차가 높았다. 고빈도 상위 10%에 해당하는 어휘를 0-5급으로 분류한 등급별 분류에서는 한국 교과서에서 학교 급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어휘의 난이도에 있어서는 중・고등학교 모두 일본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전체 어휘로 확대하여 어휘 등급을 대조하고 나아가 의미 분포별 어휘의 등급 분포를 밝히고자 한다. By consulting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semantic area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vocabulary in national language textbooks that were in use in 2015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by verifying whether the use of vocabulary for each stage is appropriate. For this purpose, the “Vocabulary Table for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Different Levels” (Kim, GwangHae 2003,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001) of the two countries was applied. An analysis based on Bunrui Goihyo (1964) shows that, as for the total number of words, those related to abstract relations, human activities, and behavior increase, whereas those related to human beings, products, and natural objects decrease in both countries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s. Classification by educational level from 0 to 5 of the top 10% of high frequency vocabulary shows that the differences among school levels are apparent in Korean textbooks. However, in books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Japan,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vocabulary was higher than in their Korean counterparts. Further study would exten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entire vocabulary, and clarify the distribution of vocabulary by educational level according to items in relation to meaning distribution to further elucidat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한국인に 대する 일본어교수법(2) : 발음지도と 문법지도を 중심に 發音指導と 文法指導を中心に

        김인현 한국일본어교육학회 1990 日本語敎育 Vol.6 No.1

        韓國人의 日本語學習者가 日本語를 배울 때에 注意할 点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本稿에서는 韓日兩語의 音韻體系와 文法體系를 比較對照하면서 發音指導와 文法指導를 中心으로 硏究했다. 즉, 日本語의 音素의 數는 韓國語에 比하여, 적지만 撥音과 促音 등의 特殊音素를 가지고 있으므로 注意하여 指導해야 한다 特히, 日本語의 母音은 5개이나 韓國語의 母音은 10개나 되어, 日本語의 母音의 異音을 發音할 때, 留意해야 하며, 日本語의 子音音素는 調音位置나 調音方法에 있어서 有聲과 無聲으로 分類하지만, 韓國語의 子音은 平音, 激音, 濃音으로 分類되는 点, 韓國語에는 「t」, 「s」와 音韻的으로 對立되는 「d」,「z」의 有聲音이 없기 때문에, 그의 區別과 發音이 어렵다. 그리고 兩語의 音節構造와 音律의 比較對照을 通해 韓國人의 拍感覺과 엑센트에 對한 指導方法을 硏究했다. 特히, 韓日兩語의 助詞의 意味用法을 中心으로 文法指導의 方法을 硏究했다. 日本語의 「で」,「に」,「を」와 韓國語의 「e」,「es○」,「w¨l」를 比較對照하여, 그의 機能과 意味用法을 考察하여 共通点과 相違点, 問題点 등을 論하고, 韓國人의 日本語學習者가 틀리기 쉬운 「を」,「に」,「で」등의 用法과 機能, 助詞의 省略 등의 諸問題를 日本語敎育의 觀点에서 考察했다.

      • KCI등재

        日本人が抱く韓国の国、人、言葉に対するイメージ -日本の国、人、言葉に対するイメージとの比較を通して-

        세키자키 히로노리,김경분,최재영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mages that Japanese people have toward Korea in an attempt to obtain an objective view to improve the relationship. For this aim, the features of images that Japanese people have toward the Korean country, people and language are described through comparison to the images about themselv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required to freely describ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Japanese people have relatively more negative images than positive toward Korea considering that the numbers of images against Korea was fewer than tha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e result of coding and text analysis showed that Japanese people tend to have images such as “clear assertion” and “strong patriotism” toward the Korean country and people in common. Moreover, these images turned out to be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at the same time. As for language, it was found that <sound/hearing impressions> and <sense in common> are typical images on the one hand, while language system, including grammar and vocabulary, was rare on the other hand. In particular, the tendency of holding negative <sound/hearing impressions> toward the Korean language is suggested to be influenced by negative images toward the country and people. It is discussed that the Japanese images toward the Korean country and people are strongly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familiarity, media, or frequency and experience of contact with Korean people. Besides, the images about the Korean language are considered to be brought by little knowledge, information or study experience.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같은 축으로 두고 서로에 대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을 해명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일본인이 한국에 대해 갖는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자국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그 특징을 밝혔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는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혔다. 조사는 이미지를 실태에 맞춰 파악하기 위해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의 기입란을 각각 설정하여 자유 기입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일본(자국)에 대한 이미지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나쁜 이미지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코딩 및 텍스트 분석 결과,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서는 확실한 자기 주장, 강한 애국심 등의 공통된 이미지를 갖고 있었고 그것들은 좋은 이미지이기도 하고 나쁜 이미지이기도 했다. 한국어에 대해서는 <발음/청각적 인상>, <감각 일반(언어)>가 많은 반면, 한국어라는 언어 체계에 관한 이미지는 적었다. 그 중에서 나쁜 이미지로서의 < 발음/ 청각적 인상>은 한국, 한국인에 대한 나쁜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을 고찰하여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는 친밀함, 미디어, 한국인과의 접촉 빈도나 경험 등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에는 지식이나 정보, 학습 경험 등이 적은 점이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시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