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Chinese Female Consumers’ Purchase of Second-Hand Fashion Luxury

        최이진,최미영,이윤정 한국복식학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19 No.2

        China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merging luxury fashion consumption market, receiving a favorable evaluation of its potential demand for second-hand fashion luxurie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roperties of second-hand fashion luxuries and consumer confidence on the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512 females in Shanghai who had fashion luxury consumption experienc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The collection value and consumer confidence in second-hand fashion luxuries significantly positively af- fected their perceived benefit, whereas the collection value and signs of use significantly positively af- fected their perceived risk. The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whereas the per- ceived risk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inally, signs of use nega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perceived risk and the collection value had a significant offsetting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y partially mediating both the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Consumer confidence pos- 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perceived benefi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 for second-hand fashion luxury companies in China to establish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and generate higher profits.

      • 단백질 분석에 의한 선인장 유연관계 분석 및 접목선인장 교배조합간 비교

        최이진,김경제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大學院硏究論集-東國大學校 大學院 Vol.28 No.-

        본 실험은 24종의 접목선인장을 전기영동에 의해 단백질 특성을 검정하고 1996년 접목선인장 교배조합 실험과 비교 분석하여 접목선인장 품종간의 유연관계를 체계화함으로써 신품종 육성에 소요되는 노력과 경비를 줄이기 위해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 특성에 따라 94 kDa부터 14.4 kDa 사이의 20개 품종간 구분 지표를 선발하였다. 2. 공시 품종을 NTSYS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그룹간 유연관계를 알 수 있었다. 3. 실험결과를 1996년 교배조합실험 결과와 비교분석한 결과 원연관계인 엽록소(♀)×고양6호(♂), 엽록소(♀)×서울1호(♂) 교배조합을 우량개체로 선발할 수 있었다. 4. 근연관계인 블랙루비(♀)×태양2호(♂) 등의 교잡율은 원연관계의 교배조합들보다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선인장 신품종 육성시 원연관계인 조합을 선정하여 이용하면 여러 교배 조합을 통하는 것보다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pattern of protein in Cactus and to analyse the experiment on the crosses of Cactus in 1996. Twenty four varieties of Cactus were tested for the electrophoresis pattern and the results were followed : 1. The classification indexes of twenty varieties of Cactus were selected between 94 kDa and 14.4 kDa due to the pattern of protein. 2. The NTSYS analysis of the varieties of Cactus indic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 analogy. 3. The crosses, Euplokso(♂)×Koyang6(♀), Euplokso(♂)×Seoul1(♀), which have a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were superior to the other crosses due to the experiment on the crosses of Cactus in 1996. 4. The cross rate of the crosses which hav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was smaller than the crosses which have a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5. When a new variety of Cactus is breeded, a selection of crosses having a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will save time and reduce the expenses.

      • KCI등재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한 지렁이분립이 채소류(열무와 엇갈이배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박유순,강종운,Choi, I-Jin,Kwon, Hyuk-Hyun,Lee, Han-Ho,Son, Hyoung-Gi,Hong, Sang-Kil,Park, Yu-Soon,Kang, Jong-Wo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본 연구는 공동생활주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지렁이먹이로 공급하기 위하여 먹이로 조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생산한 분변토를 텃밭이나 옥상 농원 등에 채소 재배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지렁이 분변토 적정 혼합비율을 규명하였다. 음식물쓰레기는 수거 후 kg 당 수돗물 15L로 세척하여 햇빛에 물기가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여 달걀껍질을 혼합하여 65~70%로 수분을 조절한 것을 지렁이 먹이로 사용하였다. 처리는 무처리(일반 채소재배용 상토, 서울바이오), 100% 지렁이 분립, 지렁이 분립을 상토(서울바이오상토)에 30, 50, 70%를 혼합하여 재배토양을 조제하였다. 각 처리구에 열무(청농춘하열무, 청농(주))와 엇갈이배추(대농, 대농종묘(주))를 공시하여 2012년 6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플라스틱하우스 내에서 재배하였다. 수확 후 생육특성 조사결과 열무의 경우 지렁이 분립 70% 혼합 처리구에서 엽폭은 7.85cm로 고도로 유의성이 있었고,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한 결과 지렁이 분립 혼합비율 70% 처리구는 중량이 식물체당 129.92mg로 높았고, 지상부 건조중도 지렁이 분립 혼합비율 70%처리구가 10.25mg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열무의 생육특성 조사결과 지렁이 분립 70%처리구가 생육이 가장 적합했다. 엇갈이 배추의 생육특성 조사결과 초장은 지렁이 분립 50% 처리구에서 24.32cm로 가장 길게 나타났고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엽폭은 지렁이 분립 50% 처리구에서 9.79cm로 유의하였다. 지상부 생체중은 지렁이분립 50% 처리구에서 식물체당 185.08mg으로 무거웠으며, 지하부 생체중은 30, 70% 처리구가 각각 24.09mg, 23.96mg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지상부 및 지하부 건조중은 50% 처리구가 각각 15.63mg, 7.03m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엇갈이배추의 생육 특성 조사 결과 지렁이 분립 50% 처리구가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 음식물 쓰레기를 지렁이 먹이로 공급하여 생산한 분변토를 텃밭이나 옥상 농원 등에 봄, 가을철 주요 채소인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재배 용토에 혼합하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ake the method of food waste manufacturing for feeding to earthworm and different ratio of earthworm cast was investigated for applying vegetable plants that cultivated in a family or roof garden. We made conventional treatment of gardening soil and prepared soils with earthworm cast (the only fertilizer) at 30, 50, 70 and 100% for planting vegetable plants and then we studied its growth feature. The treat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with 12 weeks for each time. The cultivation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were managed at the same cultivation level for RDA standard cultivation method, and each sample of soils and plants was analyzed by appropriate analysis method. The growth investigation was performed 12 week after planting, and as for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leaf diameter, leaf number, leaf leng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investiga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soils and plants, were surveyed. As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radish and chinese cabbage showed the biggest growth in 70% and 50% treatment with average growth of all characteristics, height, leaf diameter, leaf number, leaf leng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respectively. Applying these results, a new equation for vermicast recommendation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 in summer (June-August) was presented. The earthworm cast 50% level with the gardening soil showed the high production in chinese cabbage. In case of radish, earthworm cast 70% with gardening soil level showed great growth, significantly.

      • KCI등재
      • KCI등재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강종운,박유순 한국자원식물학회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fulness of plant extracts for a city organic farm. Insecticidal activity of 8 plantspecies, plants crude extracts by ethanol and water, against third instar larvae (susceptible strain) of Plutella xylostella wasevaluated in this study. Ethanol(25%) extracts of plant materials had better insecticidal activity than water extracts at theroom temperature. Insecticid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by leaf disc spray method. Five plant extracts (Capsicum annuum,Chelidoniun majus, Leonurus sibiricus, Coptis japonica, Mentha piperascens) showed over 50% insecticidal activity to P. xylostella at the concentration of 1500 mg·L-1. Extract of C. annuum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activity (83.3%) againstP. xylostella. Phytotoxicity was not observed on Raphanus sativus and Brassica campestris with spray application. Seedgermination and growth of two plants were not affected. Extract of C. japonica revealed 73.3% control efficacy against P. xylostella of R. sativus and showed 70% control efficacy against those of B. campestris, respectively, in plastic house.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various insects was observed in C. japonica extract as 87.4% for R. sativus and 74.3% for B. campestris in the fiel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tracts of C. annuum, C. japonica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activity, and could be used as city farm insecticides for organic farming. 본 연구는 살충효과가 알려진 식물체들 중 8종을 공시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살충효과의 여부를 검정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식물추출물 1500 mg·L-1에서 48시간 후의 배추좀나방 살충율은 고추씨 추출물이 83.3%로 가장 높았다. 생물검정을 해서 배추좀나방 방제효과가 있는 고추씨, 애기똥풀, 익모초,박하, 황련 식물추출물 5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5종의 약해 검정 결과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발아, 유아, 유엽의 생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온실 안에서pot에 식물추출물을 처리하여 조사하였는데 열무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3.3%의 방제가를 보였고, 고추씨 추출물도 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0%,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할 때 방제가가66.7%이었다. 포장에서 선발한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피해엽률로 조사한 결과, 열무는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방제가가 62.4%로 나타났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처리할 때 64.6% 방제가를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12회를처리 한 후 수확 전에 조사한 결과 열무는 황련추출물 및고추씨추출물은 방제가가 87.4%, 83.7%였고, 엇갈이배추는 방제가가 황련추출물이 74.3%, 애기똥풀 추출물이69.3%를 나타냈다.

      • KCI등재
      • KCI등재
      • Whistleblowing and Whistleblower’s Protection in Korea and Its Prospects

        최이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Ewha Law Review Vol.6 No.-

        내부고발제도와 내부고발자에 대한 보호는 기업의 운용에 있어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고 해당 기업에 대한 일반인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제도이다. 미국의 경우 엔론(Enron), 리먼브라더스(Lehman Brothers) 등의 사태를 겪으며 기업의 구성원이 유발한 법 위반 행위가 불러일으키는 경제적 위기에 대한 경각심이 커졌고, 이에 따라 도드-프랭크법(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에서 내부고발제도와 그 고발자를 보호하는 조항을 개설하여 상세한 보호를 도모하는 추세이다. 이에 비해 한국은 아직 내부고발제도가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고 고발자에 대한 신변보호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내부고발제도가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 이유로 기업의 수직적 조직문화, 물질주의문화, 내부고발제도에 대한 대법원의 소극적 태도 등을 검토하고, 내부고발제도가 국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정책적 접근법과 기업측면 접근법으로 나누어 논하고자 한다. Whistleblowing system and whistleblower’s protections are valuable means for promoting transparent company management and credibility. However, as much as whistleblowing system serves as an incentive for companies to abide by laws and regulations, it is also very common for whistleblowers to be named as ‘traitors’ of the company. Korea has established acts and regulations that cover methods for protecting whistleblowers.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of 2011 is one example. However, regardless of the legislation, the concept of ‘protecting’ an individual who, as a consequence, has put the company through much ordeal is still new and thus not fully accepted in Korean business culture. Hierarchical corporate culture, and family ownership management are two main internal reasons, whereas outer influences include the Supreme Court’s reluctance. There could be a two-way solution to promote: a legislative solution combined with a corporate culture reform. A complete set of law is of no use when companies’ levels of compliance are low. Thus, building corporate culture with viable measures in which employees can report any wrongdoings freely should be encouraged as well. Implementing detailed protection provisions, courts making decisions that are in favor of the whistleblowers are important. However, the first step should be taken by the corporates themselves by setting a long-term plans of revamping their rigid hierarchical company structures to build workplaces where whistleblowing protection can be implemented.

      • KCI우수등재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최이진,이재정,조상태,장윤아,허주녕,Choi, I-Jin,Lee, Jae Jung,Cho, Sang Tae,Jang, Yoon Ah,Heo, Joo Nyung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4

        본 연구는 학교 텃밭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내 59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조사에 응답한 161개 학교 모두가 학교 텃밭을 조성 운영하고 있었다. 서울시 초 중 고 포함 학교 텃밭 면적은 $166,901m^2$, 평균 $131.2m^2$이고, 설문조사에 응답한 161개교의 학교 텃밭 면적은 $65,493m^2$, 평균 $363m^2$, 학생 1인당 $1.15m^2$로 조사되었다. 학교 자체적으로 조성 운영하는 경우는 11.8%, 학교 자체적으로 조성하여 운영하다가 기관 지원 사업을 통해 재조성 혹은 환경개선을 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50.3%로 조사되었다. 학교 텃밭은 조성위치에 따라 혼합형(교내 텃밭과 상자텃밭 조합)이 34.8%로 많았고, 교내 텃밭형이 32.9%, 상자 텃밭형이 29.2%, 교외 근린텃밭을 활용하는 교외 텃밭형 학교도 3.1%였다. 텃밭 운영 담당자는 담당교사가 51.6%로 가장 높았으며, 텃밭 조성 시에 함께 조성된 시설물은 소형 온실 농기구 보관함이 26.1%로 가장 많았으나, 별도의 기반시설이 함께 조성되지 않은 경우도 21.7%였다. 텃밭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텃밭 관리가 34.2%로 가장 높았고, 텃밭의 지속적 운영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 물리적 환경 개선과 유급관리인 고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 32%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 텃밭 조성목적은 교육환경 조성(81.6%)이 가장 높았으며, 텃밭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주로 주변 자문(67.8%)을 통해서 얻고 있었다. 텃밭에서 발생하는 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퇴비화하는 학교는 45.8%였다. 학교 텃밭의 교육적 활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매우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63.2%,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36.8%로 조사대상 학교 전체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텃밭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운영방안으로 학교 실정에 맞는 텃밭조성 지원,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적용 및 교구개발, 담당교사 직무연수 확대, 전문 강사 지원방법 모색, 텃밭관리조직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surveyed 599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o provide measures for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sustainable oper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school garden. Of all schools, 161 schools had formed and were operating school gardens. The total area of school gardens was $166,901m^2$ and the mean area was $131.2m^2$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Seoul. Meanwhile, the total area of school gardens was $65,493m^2$ and the mean area was $363m^2$ in 161 school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dicating $1.15m^2$ per student. Of these schools, 11.8% were operating gardens themselves, while 50.3% were operating gardens that had been newly renovated or environmentally improved by institutional support projects after initially managing gardens themselves.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school gardens, mixed-type gardening (a combination of school gardening and container vegetable gardening) accounted for 34.8%, followed by school gardening at 32.9%, container vegetable gardening at 29.2%, and suburb community gardening at 3.1%. Those in charge of garden operations were teachers at 51.6%, comprising the largest percentage. Facilities built when forming the garden included storage facilities for small-scale greenhouses and farming equipment at 26.1%, accounting for the largest percentage. No additional facilities constructed accounted for 21.7%. The greatest difficulty in operating gardens was garden management at 34.2%. The most needed element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gardens were improvement in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need for hiring a paid garden, each accounting for 32%. The most important purpose for school gardening was creating educational environments (81.6%). The major source for gaining information on garden management was consultation from acquaintances (67.8%). Schools that utilize plant waste from gardens as natural fertilizers accounted for 45.8% of all schools. Responses to the impact of operating school gardens for educational purpose were positive in all schools as 'very effective' in 63.2% and 'effective' in 36.8%.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ntend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school garden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support the formation of school gardens appropriate for each school with sustainable operation measures, implement a high-quality education program, develop teaching materials, expand job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charge, devise measures to support specialized instructors, and propose the need for a garden management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