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90년대초 복식에 나타난 가벼움에 관한 고찰

        최윤미 한국의류학회 1994 한국의류학회지 Vol.18 No.5

        It has been representing the delicate changes which express new sentiments through the floating, fluid, free look with the transparent, sheer material in fashion during the early 1990' s. The concept of lightness is selected to describe the phenomenon of recent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lightness as external forms and internal meaning in fashion of the early 1990'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ashion magazines such as American Vogue, Italian Vogue from 1987 to 1994. The characteristics of lightness of fashion in the early 1990's are as follows; The external forms are consisted of the material such as the transparent, sheer, soft material, of slim and bell silhouette which occupying the more space in bottom, of the drapery, pleats to shape the unfitted look and is identified as the open, whole, indeterminate and planar intergration form according to the catagory of clothing form suggested by Delong. It is also the reflection of the social changes which is getting out of the modernity. It is the results of the dominant social state which are diffused the sensual pleasures, transitoriness.

      • KCI등재
      • KCI등재

        전작권 전환에 대한 정책결정 변화요인 분석: 세 가지 분석의 틀을 활용한 주요 변수들의 영향력 평가

        최윤미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9 국방연구 Vol.62 No.4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olicy-making changes on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OPCON) by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n OPCON. The issue of transferr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South Korean troops to the U.N. commander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and has been used as a key base for forming the Korea-U.S. military alliance to the present day and a useful issue in terms of domestic political ideolog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in 1978. However, the problem perception and approach of each government differed over the same issue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the discussion of wartime control resulted in different policy outcomes and changes, including the conversion-delay-reaction-quiet return as the public consensus remained sluggish amid sharp political conflicts and conflicts. Against this backdrop, the question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simple. What are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change the decision to transfer wartime control? Using the “Three levels of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useful framework for studying a nation's policy-making variables, we want to identify the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decision to transfer wartime control.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derived at each level of analysis will be assessed, divided into personal levels, including the political ideologies of an individual president or a ruling party, national levels that reflect the domestic security environment and threat awareness due to North Korean threats, and international system levels that take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changes in the U.S. international security strategy. Based on the core concept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factors that the transfer of wartime control implies, the government will provide policy suggestions on the challenges of achieving a solid Korea-U.S. alliance after the transfer of wartime control. 본 논문은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논의의 변천과정과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정책결정 변화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군의 전작권 전환 문제는 1950년 6.25전쟁 발발 직후 북한군 격퇴를 위해 유엔군사령관에게 단일 지휘권이 이양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1978년 한미연합사령부 창설을 통해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작전 지휘권이 전환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미군사동맹을 이루는 핵심 기반인 동시에 국내 정치적 이데올로기 측면에서도 유용한 쟁점으로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전작권이라는 동일한 사안을 두고도 각 정부마다의 문제인식과 접근방법이 상이했으며, 첨예한 정치적 갈등과 대립 속에서 국민적 공감대까지 부진하여 전작권 논의는 전환-연기-재연기-조속한 환수 등 서로 다른 정책 결과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이 갖는 연구 질문은 명료하다. 전작권 전환 결정을 변화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한 국가의 정책결정 변수를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유용한 분석의 틀로 손꼽히는 ‘세 가지 분석의 틀(three levels of analysis)’을 활용하여 전작권 전환 결정에 변화를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즉, 대통령 개인 또는 집권 정당의 정치적 이념을 포함한 개인적 수준, 북한 위협에 따른 국내 안보환경과 위협 인식을 반영한 국가적 수준, 그리고 미국의 국제안보전략 변화에 따른 영향력을 고려한 국제체제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 수준에서 도출한 주요 변수의 영향력을 평가한다. 전작권의 핵심 개념 및 변천과정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전작권 전환이 내포한 내·외부적 갈등 요소를 바탕으로 전작권 전환 이후 공건한 한미동맹을 이루는 도전과제에 대한 정책적 제언도 제공한다.

      • KCI등재

        중학교 주요 교과와 예체능 교과에서의 장애학생 수행평가 실태 비교

        최윤미,강영심,이소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 수행평가 실태를 주요 교과 및 예체능 교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지역 중학교 통합학급교사 300명이다. 설문지는 장애학생을 위한 수행평가의 계획 수립ㆍ내용과 방법ㆍ기록과 활용의 3영역 1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행평가 계획수립 단계에서 두 교과군 모두 장애학생에 대한 규정이나 안내를 제공 받는다고 하였으며, 장애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규정이나 안내 제공자가 모두 특수학급 교사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학생 수행평가의 사전 계획 수립에 있어서는 주요 교과와 예체능 교과 모두 수립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장애학생의 현행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요 교과와 예체능 교과 모두 교사 면담과 관찰을 사용하였다. 수행평가 내용과 방법에서는 주요 교과는 일반학생과 동일한 기준으로 부분적으로만 수행평가에 스스로 참여하며, 평가 방법은 평가지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예체능 교과는 일반학생과 동일한 수행평가 내용에 기준만 다르게 평가하는 방법으로 스스로 모두 참여하며, 관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수행평가의 결과 활용에 대해서는 주요 교과와 예체능 교과 모두 전국 학업 성취도 평가 반영과 교육 목표 달성 평가 반영, 개별화 교육 자료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학교에서 장애학생 수행평가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oxocariasis Mimicking Lymphoma and Presenting as Multiple Lymphadenopathy: A Case Report

        최윤미,박철민,김정우,박양신,이종미,최재웅,김경아,이창희 대한영상의학회 201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9 No.5

        Toxocariasis, a parasitic infection, causes hyper eosinophilia resulting in radiological presentation of eosinophilic infiltrations in the involved organs. In the abdomen, toxocariasis has been reported to manifest as infiltrations in the liver or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ut it is known to be uncommon to manifest as multiple lymphadenopathy. There have been two case reports of toxocariasis presenting as generalized lymphadenopathy in the chest, neck and inguinal regio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generalized conglomerated lymphadenopathy occurring mostly in the abdomen from toxocariasis has not been published in the English literature.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toxocariasis presenting as multiple conglomerated lymphadenopathy mimicking lymphoma on 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