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두, 향찰, 구결은 번역인가?

        김정우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8 통번역교육연구 Vol.6 No.2

        This paper has started from the question: Could it be true that three writing systems, Idu, Hyangchal, and Gugyeol, us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Ancient Period of Korean, are related to translations in some ways. To hit this target, we have established the proper boundary of translation by ascertaining its definition in the first place. Based upon this, we have in turn proposed four criteria to decide whether a given text is thought of as a translation or not. In order for a given text to be regarded as a translation: a. there should exist both SL and TL, and SL must be different from TL. b. there should exist an original source text. c. it should satisfy a target language's specific syntax. d. there should be a producer of ST and a consumer of TL, and the two must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ult of our analysis are as follows: As for Idu text, it is not a translation but a simple written product, in that it cannot reflect the Chinese specific syntax as a TL, and a producer of a ST is identical with a consumer of a TT. (Consequently, Hyangchal as an extended system of Idu is naturally just a written product.) But, Idu text read in Korean, which is translated from Chinese text, could be regarded as a translation. As for Gugyeol text, divided into Gugyeol text read phonetically and Gugyeol read semantically, the former is regarded as a reading process of ST in that it cannot reflect a complete syntax of TL, Korean, and the latter, even though regarded as a translation in that it can satisfy all of four criteria above, could be regarded as a pseudo-translation in that the comprehension of a S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translated text.

      • SCOPUSKCI등재

        Tintometer 를 이용한 FD & C Yellow No. 5 와 FD & C Red No. 2 의 퇴색에 미치는 부형제의 영향에 관한 연구

        김정우 한국약제학회 1975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5 No.2

        It was many differences to evaluate of the effect of excipients on colour fading in FD & C Yellow No. 5 by use Tintometer and nearly is not effective in FD & C Red No. 2. When we observed colour fading in sugar coating formulations by tintometer, FD & C Red No. 2 was appeared to follow Zero order reaction and FD & C Yellow No. 5 was not follow Zero order reaction or first order reaction. Also, we could know the tendency of colour fading by visible spectrum, but it was not suitable method for this experiment more than by tintometer. The relative colour fading effect of the surfactants(Polysorbate) was as follows: Tween 60> Tween 80> Tween 20. In addition to, Benzalkonium chloride was reacted with FD & C Yellow No. 5, so the stronger colour was appeared. On the other hand, the weaker colour was appeared in FD & C Red No. 2. While, the sunscreening agents was not almost effective in colour fading of FD & Yellow No. 5 and FD & C Red No. 2.

      • KCI등재

        복수노조 출현의 결정요인과 노조조직률 증감효과 패널분석

        김정우 한국산업노동학회 2019 산업노동연구 Vol.25 No.1

        Although 7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ormation of multiple labor unions has been permitted for individual workplaces,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that statistically examined how such institutional changes affected on-site industrial relations. As such, this study draws on data from the WPS (Workplace Panel Survey),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changes in various indicators of industrial relations (including multiple unions) at the workplace level to econometrically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s – “Which workplaces saw the formation of multiple unions?” and “Did multiple unions affect the increase of union density?”. The probabilities of multiple union form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industries. Higher probabilities of multiple union formation were largely associated with higher organization rates and inclusion in the public sector. Also, factors such as prior experience of a strike or a clear anti-union stance on the part of management were also associ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ies of multiple union formation. In both cross- sectional and panel data analys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ies of multiple union formation wer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larger workplace size and whether the previous period’s representative union was affiliated with the FKTU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or unaffiliated, as opposed to the KTCU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unions and union density, the number of unions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union density. While this might suggest that multiple unions could significantly affect union density, looking at affiliations revealed that cases where the previous period’s representative union was KTCU-affiliated had relatively lower membership growth rates than otherwise. Focusing on the panel model estimates, the results of the above two empirical analyse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ple unions occurred in larger workplaces and in workplaces where the previous period’s representative union was not KTCU-affiliated. While the formation of multiple unions did have the effect of leading to higher overall union density, this was found to be driven mainly by workplaces where the previous period’s representative union was not KTCU-affiliated. These key findings are largely in line with the theoretical or empirical predictions that were made prior to the arrival of multiple unions – that allowing the formation of multiple unions would lead to more unions but wouldn’t bring substantial membership growth, that multiple unions would tend to form in large-scale workplaces or workplaces that were prone to frequent strikes and adversarial industrial relations, and that allowing multiple unions would strengthen the domination / intervention by employers, thus providing the conditions for an industrial relations landscape that is stacked in the favor of management in the long run. 사업장 단위 복수 노동조합 설립이 허용 된지 만 7년 이상이 지났지만 이러한 제도변화가 현장 노사관계에 미친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매우 희소하다. 이에 복수노조를 포함하여 사업체 단위 노사관계의 다양한 상황 및 그 변화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어떤 사업체에서 복수의 노동조합이 출현했는지’, 그리고 ‘복수노조는 노조조직률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계량모형을 통해 검토해보았다. 복수노조의 출현확률은 산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으며, 대체로 노조조직률이 클수록, 그리고 공공부문일수록 복수노조가 생길 확률이 높았다. 또한 전기에 파업을 경험하였던지, 사측이 분명하게 반노조주의 노선을 견지하는 경우 복수노조가 생길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횡단면 분석에서는 물론 패널모형의 추정에서도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전기의 제1노조가 민주노총인 경우보다 한국노총이나 미가맹에 가입된 경우, 복수노조가 출현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복수노조와 노조조직률 간의 관계를 보면, 노동조합의 수와 노조조직률은 정(+)의 관계를 나타내 복수노조는 노조조직률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나, 상급단체별로 보면 전기의 제1노조가 민주노총인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조조직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두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를 패널 모형의 추정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복수노조는 규모가 큰 사업체에서, 전기의 제1노조가 비민주노총 계열인 사업체에서 더 많이 출현한다. 복수노조 출현으로 인한 노조조직률 증가 효과는 존재하나 이러한 노조조직률의 증가는 주로 전기의 제1노조가 비민주노총 계열인 사업체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 발견은 복수노조 출현 이전의 이론적 혹은 경험적 예측들 - 복수노조가 허용되더라도 노조 수는 늘어나지만 조합원수 증대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 복수노조는 대규모 사업장이나 파업 등이 빈번하고 노사관계가 적대적인 곳에서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 복수노조의 허용으로 사용주의 지배·개입이 강화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사측 우위의 노사관계 지형이 형성되는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예측 - 과 대체로 부합되는 결과이다.

      • KCI등재

        브랜드자산과 서비스편의성이 B2B기업의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우,이경탁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논집 Vol.27 No.4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verify which variables have effects on B2B entity's relationship performance and what kind of effects these variables have on B2B entity's relationship performance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of preceding studies. That is to say, after theoretically organizing the contents of B2B market performance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lass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in the B2B market based on the theoretical theorem, constructed a model, verified the factors empirically via a single company, and finally tried to present B2B-relate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realistically on the site.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of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ware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reject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 convenience, benefit convenience, post-benefit convenie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path-coefficient had a meaningful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 convenie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rejected. Finally,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s relationship performance. 본 연구는 B2B기업에 있어서 브랜드자산과 서비스편의성이 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관계만족은 관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선행연구에서 나타난 B2B시장의 관계성과와 관련한 여러 가지 이론적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B2B시장에서의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류하고, 연구모형을 도출한 후 사례기업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인 중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이미지가 관계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편의성 유형 중에서는 거래편의성, 편익편의성, 사후편익편의성이 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브랜드자산 의 구성요인 중에서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서비스편의성의 구성요인 중에서 결정편의성, 접근편의성은 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만족과 B2B기업의 관계성과에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B2B기업의 현장에서는 관계성과를 높이기 위해 관계만족이라는 변수에 초점을 둔 정책을 중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관계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브랜드자산과 서비스편의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기업 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B2B기업이 갖는 여러 가지 상황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적 측면에서도 관계성과를 위한 노력으로 관계만족을, 관계만족을 위한 노력으로 브랜드자산 및 서비스편의성이라는 변수를 중심으로 기업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광고의 토포필리아 활용 양상

        김정우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광고에서 특정한 장소에 대한 애착을 뜻하는 토포필리아의 활용 양상을 파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소비자의 삶 속에는 수많은 공간들이 있는데, 그 공간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게 되면 장소로 변화하고, 거기에 대한 토포필리아가 생성된다. 광고에서는 배경이 장소로 활용되기 때문에 토포필리아라는 감정적 요인을 자극하였을 때 광고의 설득력이 높아질 수 있다. 전통적으로 광고에서는 제품 중심의 설득방식을 많이 사용해왔다. 하지만, 제품 간의 차이가 줄어들고 소비자들의 삶이 윤택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생활 변화에 맞춘 광고 설득방식들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특히 제품의 소유보다 제품을 통한 생활의 변화를 추구하는 Scene 소비가 확산되면서 광고의 설득방식도 단순한 정보전달보다는 더 나은 생활을 제안하는 방향으로 달라지게 되었다. 이런 배경에서 광고는 광고 속의 제품도 중요하지만, 제품이 만들어내는 생활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그 장소에 대한 토포필리아를 높임으로써 제품에 대한 구매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광고에서 토포필리아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다. 먼저, 토포필리아의 생성은 단순히 물리적 객체로서의 공간에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좋은 경험이나 애착심을 부여하고, 그를 통해 소비자들이 그곳을 장소로 인식하고 토포필리아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로 토포필리아의 강화는 소비자들에게 토포필리아의 대상이 되던 장소를 제품이 변화시켜 더 큰 토포필리아를 갖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세 번째로 토포필리아의 변화는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특정 장소에 대한 토포필리아를 다른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그런 변화를 가져온 제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광고와 토포필리아 간의 연계성을 파악해본 시론적 성격의 논문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향후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정교한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면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