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일고찰 -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를 중심으로 -

        지현숙,황설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지현숙․황설운, 2018.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80 : 375~398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들이 어떠한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을 구사하는지를 도시언어담론에 의거하여 살피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응용언어학 연구와 도시언어담론의 횡단언어학이 개진하고 있는 전략의 개념을 비교·고찰하고 외국인 유학생, 한국인 학생과 교수, 외국어 교수자 등이 생산한 발화와 SNS 대화 등의 언어 자원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내 대학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접촉하고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창의적인 상호작용 전략들이 구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을 ‘넘어가기, 텍스트화, 재맥락화, 언어 이동, 언어 변환’으로 나눈 후 참여관찰법을 통해 그 구체적 양상들을 분석하여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한국언어문화교육은 어떻게 방향 전환을 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여 제안하였다. 본고는 다중언어시대에 부합하는 도시언어담론을 심화하고 접촉지대, 횡단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연구자적 관심을 생성하며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들이 생산한 언어 자원들을 실증적으로 보고한 것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ich kind of interaction strategies that dialogue participants existing in the university space in Korea are using based on urban language discourse.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strategy that existing applied linguistics studies and metrolingualism have introduced, and collected and analyzed discourse and SNS dialogue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Korean professors, and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versities in Korea are transforming into a space where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come into contac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at new and creative interaction strategies are being employ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author determined and suggested ways to chang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holds a primary significance in that it has deepened the urban language discourse that is in conformity with the multi-lingual era and stoked the researcher’s interest in contact zones, trans-linguistics, interaction strategy, and so on.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iewed the linguistic identity of speakers whose as creative communicators as well as open and active culture enjoyers, and that it empirically reported the language resources such community members produce.

      • KCI등재

        한국어 능력 시험에 관한 신문과 수험자의 담론 분석

        지현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what social issues current Korean proficiency test could bring forward; and, as a consequence,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test’s improvement. The articles about “Korean Language Test” and “TOPIK fever” in the five major Korean newspapers have been examined; and what discourses have been made in Korean society in concern of the test are studied. Also, 17 TOPIK test-takers were interviewed to elicit their understanding, attitude, feeling about the 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IK and actual Korean learning. According to the newspaper articles, they, in general, see Korean Wav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o increase also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They repeatedly use phrases such as ‘the greatest in history, fever, the biggest number in history’ highlighting tha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is historic. Some articles point out that the Asian Korean-learners tend to take the test due to economic causes and that the host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s student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iversities have been maintaining them improperly. The TOPIK test-takers say that they take the test with an integral motivation, adapting to Korean culture better and gaining their self-esteem. TOPIK is regarded as an “only” test to identify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y. Also it is regarded as a mean to get scholarship or financial support, a role of gate-keeping of living on in Korea. They think critically that TOPIK is ‘a test for test’, not ‘a real test for Korean language competency’ since it does not have a speaking test. They also claim that preparing for TOPIK has got nothing to do with their improving Korean ability. The present research, as a conclusion, suggests what follows to correct the problems in the Korean assessment. First,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tracting policy needs sweeping reconsideration and improvement. Second, TOPIK is not to be taken as a test covering all part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testing, issuing working visa, acquiring citizenship, and measuring Korean proficiency; individual tests must be made for different purposes. Third, intensive training programs or specific graduate schools for the Korean assessors need more practical interest and investment to make the Korean assessment specialized much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능력 시험이 어떠한 사회적 논제를 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한국어 능력 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일간지 신문 5종을 대상으로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에 대해 한국사회 안에서 어떠한 담론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또 TOPIK 수험자 17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시험에 대한 인식, 태도, 감정, TOPIK과 한국어 학습과의 연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신문 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일간지 신문들은 ‘한류→한국어 학습자의 증가→한국어 시험 응시생 급증’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또한 ‘사상 최대, 열풍, 역대 최다’ 와 같은 표현을 신문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TOPIK 응시자수의 증가가 역사적으로 놀랄 만한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부 신문은 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가 경제적인 이유로 TOPIK에 응시하는 경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하거나 정부나 교육기관의 유학생 관리 소홀을 우려하는 시선을 나타내었다. TOPIK 수험자들은 한국 문화권으로 더 잘 적응하고 자기 만족감을 얻기 위한 ‘통합적 동기’가 강하였다. 그들에게 TOPIK은 한국어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시험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또 TOPIK 점수는 장학금이나 생활비 지원 혜택을 받게 해주는 수단이며 한국에서 살아가기 위한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수험자들은 TOPIK을 ‘시험을 위한 시험’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말하기 시험이 없으므로 진정한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들은 TOPIK을 준비한 경험이 한국어 구사력과 연계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한국어 공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고는 결론으로 한국어 평가 분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학생 유치 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TOPIK 하나로 유학생 선발, 노동 비자 발급, 국적 취득, 한국어 숙련도 측정 모두를 할 것이 아니라 시험 점수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각각의 한국어 시험이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한국어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집중 연수 프로그램이나 대학원 차원의 전공 교육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서 한국어 시험의 전문화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지현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20 No.-

        Task-based teaching method for Korean spoken grammar i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spoken grammar’ in Korean grammar instruc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ask-based teaching model with it. Then it will suggest the teaching model for Korean spoken grammar. The Corpus Linguistics raised in England was the starting point of ‘spoken grammar.’ It is an alternative and practical perspective in language instruction research. As computational linguistics develops, spoken grammar can provide data-based and practical materials for language education. Spoken grammar carries out real-world approach as an alternative of the existing theory-based approach. It takes a critical stand against 4skill-centered language instruction prevailed widely since 1980 real world approach. 한국어 구어 문법 교육을 위한 과제 기반 교수법 본 논문은 ‘구어 문법’에 대한 개념을 살피고 한국어 문법 교육과 관련하여 그 시사점을 정리한 다음 특정한 교수법과의 접목 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향후의 한국어 구어 문법 교수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구어 문법은 전산언어학의 발전에 힘입어 자료 중심적이고 실제적인 언어 교육의 자료를 제공하고, 언어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이론 중심적 접근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실세계 중심적 접근법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며, 1980년대 이후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4기능 중심 언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가진다. 본고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하여 구어 문법을 개념화하는 것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기술되었으며, 현재의 가장 설득력 있는 언어 교수법의 하나인, ‘과제 기반 교수법’에 집중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연구자가 새롭게 제안하는 한국어 구어 문법 교육 영역에서 성취해 나가야 할 방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도시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韓國語文化 能力 習得에 관한 生涯史的 연구

        지현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eaching Korean and Korean culture for immigrant urban women is based on a detailed need analysis and is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al goal. I employed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to describe how immigrant women learn Korean and Korean culture. I interviewed three immigrant women from Japan, China, and the Philippines respectively. This study found that these immigrant urban women maintained a wide variety of social relations with their neighbors, learning communities, co-workers and that they had strong self-esteem and the sense of economy. They all could speak English, but Korean was their second proficient language. They had learned basic Korean before coming to Korea, and ‘support center for multi-cultural families’ served as a mai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ir language learning after coming to Korea. They mainly learned Korean culture from their husbands and Korean teachers. Their Korean in-laws did not contribute much to their learning because these immigrant women rarely had chances to meet the extended families of their husbands. All participants wanted to improve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showed high orientations for media, such as TV and Internet, for further learning. This study aims to bring about the interest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 urban women and redirect the future course of TKSL for these women. Also, I hop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TKSL. 본 연구는 현행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한국어교육이 정치한 要求 分析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는가를 점검하고 교육적으로 적정한가를 살펴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필자는 도시 거주 결혼이주여성이 韓國語와 韓國文化 능력을 어떻게 습득하게 되었는가를 生涯史的으로 기술하고자 한국어 숙련도가 유사한 일본, 중국, 필리핀 출신 여성을 面談하였다. 도시 거주 結婚移住女性은 이웃, 학습 공동체, 직장 동료들과 다양한 사회생활을 하고 있으며, 自尊感과 經濟 觀念이 강했다. 그들은 영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韓國語 熟練度가 더 높았고 주된 학습 기관은 다문화센터였다. 남편과 한국어 교사로부터 문화 학습을 하며 시부모와는 접촉 횟수가 적어 영향을 받지 못했고 TV프로그램과 인터넷 등의 媒體 志向性이 높았다. 본 연구는 結婚移住女性 대상의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도시 거주 여성에 대한 관심을 생성하고 韓國語文化 교육의 다변화와 방향성 재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중언어 시대 한국의 횡단언어 경관에 관한 고찰

        지현숙 한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 Vol.0 No.1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plurilingualism.”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re the discourses for insight into the language landscape in Korean society? 2) What translanguage landscapes are present in Korean society today? 3)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ranslanguage analysis for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e language resources that represent the pluri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re called “translanguag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kinds of languages such as TV programs, face-to-face conversations, SNS content, and street guides. The framework established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transversal language landscape in Korea is constituted by two factors: “background of language users” and “contact zone.” “Background of language users” comprises L1,” “age,” and “communication purpose,” while “contact zone” comprises “SNS content,” “street,” and “advertisements.” Based on the analyzing,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Korean and Kore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